KR0137799B1 -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 Google Patents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99B1
KR0137799B1 KR1019950007022A KR19950007022A KR0137799B1 KR 0137799 B1 KR0137799 B1 KR 0137799B1 KR 1019950007022 A KR1019950007022 A KR 1019950007022A KR 19950007022 A KR19950007022 A KR 19950007022A KR 0137799 B1 KR0137799 B1 KR 0137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proximity switch
strand material
switch element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642A (ko
Inventor
피룽 발터
록커 페터
Original Assignee
만프레트 바그너. 페터 록커.
리이터 아우토마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프레트 바그너. 페터 록커., 리이터 아우토마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만프레트 바그너. 페터 록커.
Publication of KR95002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pressing in moulds or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83Feed mean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2018/2208Feed or discharge means for web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 축을 통해 안내되는 가닥재료를 이송하고, 그 가닥 재료를 과립 형태로 절단하는 나이프 롤로 수송하는 견인장치로 구성되고, 견인장치는 견인롤과 대응 롤을 갖추고, 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가능하고 롤 사이에는 가닥재료를 견인할 수 있는 갭이 형성되어 있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입구 축의 영역, 특히 그 입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작동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는 롤간의 갭의 설정을 취소하고, 가닥 재료의 추가적인 견인이 갑자기 중단될 수 있는 폭으로 롤간 갭이 증가된다.

Description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제1도는 예비하중을 받고 있는 비구동 롤을 갖춘 실시예의 예시도.
제2도는 쐐기형 요소를 갖춘 실시예의 예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쐐기형 요소를 견인장치내로 견인하는 상테를 보인 예시도.
제7도는 구동 롤로부터 비구동 롤을 승강하는 레버를 갖춘 실시예의 예시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레버의 선회운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나이프 롤7:롤
8:롤9:입구 축
12:스프링13:가닥 재료
14:근접식 스위치 요소15:근접식 스위치 요소
20:정지부25:프레임
26:쐐기형 요소27:쐐기형 요소
본 발명은 입구 축을 통해 안내되는 가닥 재료를 이송하고, 그 가닥 재료를 과립형태로 전달하는 나이프롤로 수송하는 견인 장치로 구성되고, 견인장치는 견인 롤과 대응 롤은 갖추고, 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가능하고 롤 사이에는 가닥 재료를 견인할 수 있는 갭이 형성되어 잇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과립화 장치는 DE-PS 29 01 01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과립화 장치에 있어서, 견인 장치는 상부 롤과 하부 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롤을 향하는 상부 롤의 베어링의 지지체는 두 롤간에 형성된 갭의 고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과립화 장치에 있어서는, 공정중에 조작자가 위험한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롤로 구성되는 롤 배열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DE-PS 646199 에 따르면, 롤 및 전단 밀이 놓인 위험 지역은 교호 전자계에 놓임으로써, 조작자가 현재 위험지역에 있는 경우, 상기 교호 전자계는 경보 장치 및 /또는 스위치 기구에 연결된 수신장치에 공급되어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이와 유사한 배열이 DE-OS 42 35 161 에 개시되어 있는 바, 전기 파형계가 롤 배열 전방의 위험지역으로 향하며, 조작자가 상기 계로 들어올 때 상기 전기 파형계가 센서를 트리거링하고, 상기 센서는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특히 장치의 운전 스위치를 차단하여 동작을 중단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과립화 장치의 위험영역에 접근한 조작자가 그의 손을 실제의 위험지역으로 넣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입구축의 영역, 특히 그 오리피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작동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는 롤간의 갭의 설정을 취소하고, 가닥 재료의 추가적인 견인이 갑자기 중단될 수 있는 폭으로 갭이 증가되는 구성을 통해 달성된다.
근접식 스위치 요소 및 그 작용을 통하여, 즉, 근접식 스위치 요소를 변위시키는 조작자의 손에 의해,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롤간 갭의 증가를 통해, 가닥 재료상에 작용하는 장력을 제거하고 그에 의해 가닥 재료의 추가적인 견인을 즉각적으로 중단함으로써, 즉각적인 중단으로 인해 가닥 재료는, 특히 손이 감겨있는 경우 손에 어떠한 마찰도 가해지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입구 축 내부로 견인됨으로써 야기되는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또한 조작자의 손이 견인되는 것을 막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 과립화 장치는 조작자를 위험한 상황에 빠뜨림 없이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정지되는 롤 및 그 구동요소가 고려할 정도의 질량을 가지는 이유로 인해, 종래기술에서 야기되던 과립화 장치의 급격한 중단은 발생하기 어렵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롤의 특히 급격한 중단에 의해 롤은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해결책에 의해 가능한, 장치의 방해를 받지 않는 연속적인 동작은, 실제의 장치 환경에서 어떠한 문제도 야기하지 않지만, 롤간 갭의 급격한 증가를 통해 가닥 재료의 추가적인 견인은 신속히 그리고 문제없이 중단될 수 있게 된다. 롤중 어느 하나의 가닥 재료로부터의 단순한 이동으로 가닥 재료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가닥 재료의 견인이 중단되기 때문에, 긴 거리에 걸쳐 어떠한 운동이 일어나지 않눈 정도로 롤간 갭이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입구 축과 소통하고, 상기 입구축은 견인 장치와 근접식 스위치 요소간의 안전 여유를 결정할 수 있도록, 장치가 구성된다. 따라서, 입구 축은 근접식 스위치 요소의 지지체를 형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입구 축 자체가 근접식 스위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근접식 스위치 요소를 프레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입구 축을 둘러싸고 축의 스위치 방향으로 변위하며, 상기 프레임은 예를 들어 조작자의 손에 의해 변위 가능하고 따라서 롤간 갭이 증가되도록 축근접식 스위치 요소를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근접식 스위치 요소 및 롤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바람직한 설계방안으로서, 견인롤의 평행 변위를 허용하는 변위 베어링내에 보유되는 변위가능한 견인롤을 갖춘 견인장치로서, 변위 베어링은 예비하중에 의해 정지부에 압착되고, 상기 예비하중은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작동될 때 예비하중이 제거되어 반대되는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근접식 스위치 요소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상기 반대되는 힘은 변위 베어링을 정지부에서 들어올림으로 변위가능한 견인 롤이 대응 롤에서 분리되는 견인장치가 제공된다. 변위 베어링상에 작용하는 예비하중과,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작동할 때의 차단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반대되는 힘이 갑자기 작용하게 됨으로써 변위 가능한 롤이 대응 롤로부터 급격히 들어올려질 수 있게 된다.
변위 베어링의 바람직한 설계는, 변위 베어링이 록커 형상을 취하고, 근접식 스위치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 유트가 상기 록커 각각에 작용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달성된다.
록커 형상의 변위 베어링의 실시예는 관련 견인 롤의 요구되는 변위를 위한 단순한 설계이며, 그렇지 않으면 채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매우 복잡한 활주식 안내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가능한 피스톤-실린더 유니트에 의해 인가되는 예비하중은 록커 및 그와함께 지지되는 견인롤의 중량에 의해서도, 상기 중량이 다른 견인롤에 도입되는 가닥을 압착하기에 충분하다면, 발생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제어가능한 피스톤-실린더 유니트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반대되는 힘은 정지부에 인접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힘은 예비하중에 의해 극복된다. 근접식 스프링 요소에 의한 트리거링으로 인해 예비하중이 없어질 때, 스프링의 힘이 즉각 작용하여 변위가능한 견인 롤을 들어올리게 된다.
견인롤을 다른 견인롤에서 들어올리는 또다른 바람직한 방안은, 근접식 스위치 요소를 쐐기형 요소에 연결하고, 상기 쐐기형 요소는 롤쪽으로 테이펴 경사져서,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견인 장치쪽으로 변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롤과 가닥 재료의 접촉이 일어날 때, 롤과 그 축간을 이동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롤이 상호 분리된다는 점에서 작동되는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쐐기형 요소를 통해 롤상에 직접 작용하는 완전한 기계적인 구성이다.
입구 축이 근접식 스위치 요소로 설계되는 경우, 쐐기형 요소는 입구 축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조작자의 손에 의해 입구축이 변위되면, 쐐기형 요소는 직접 작동하여 견인롤에서 멀리 이동하게 된다.
쐐기형 요소의 조종한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정지부를 제공함으로써, 쐐기형 요소가 롤사이에 연결되어 있을때 구동되는 롤이 정지부까지 쐐기형 요소를 진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쐐기형 요소의 신뢰할 수 있을 정도의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쐐기형 요소에는, 측부가 정 또는 마찰 결합으로 구동되는 롤의 표면과 부합되는 구동되는 롤쪽을 가리키는 표면구조가 제공되고, 정지부에 이르렀을 때에, 표면 구조와 구동 롤의 관련 표면간의 정 또는 마찰 연결이 제거되는 바람직하다.
근접식 스위치 요소와 견인 장치를 연결하는 또다른 바람직한 방안은, 일단부가 근접식 스위치 요소에 의해 구동 롤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레버와 소통하고, 상기 레버 단부는 구부러져 있고, 구동 롤에 의해 롤간 갭을 향해 구동 롤과 접촉할 때, 레버와 비구동 롤의 베어링과의 결합을 통해 비구동롤이 구동 롤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앞서 설명한 쐐기형 요소의 설계에 있어서, 정 또는 마찰 결합으로 레버 단부가 구동롤과 결합할 때 상기 구동롤이 정지부까지 레버 단부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구동 롤의 표면과 부합되는 표면 구조를 레버 단부에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과립화 장치의 측면도로서, 전방 측면이 제거되어 있어서 과립화 장치의 내부 요소를 볼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후방 측벽(1)위에는 덮개(4)가 놓여있다. 과립화 장치의 앞쪽은 전방 패널(2)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그를 통해 가닥(13)이 과립화 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가닥(13)을 안내하는 입구 축(9)은 입구 갭(3)내에 삽입되어 있고, 전방 패널(2)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두개의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전방 패널(2)로부터 떨어져 대향하고 있는 입구 축(9)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근접식 스위치 요소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변위 가능한 견인 롤(8)및 대응 롤(7)로 구성된 견인장치가 과립화 장치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견인 롤(8)및 대응 롤(7)은 상기롤 사이에 형성된 롤간 갭(16)내에서 그들에게 공급되는 가닥(13)을 구속한다. 통상 두 롤중 어느 하나에 작용하는 구동기구로 인해, 상기 견인 롤(8) 및 대응롤(7)은 가닥(13)을 단단하고, 공지된 방식으로 나이프 롤(5)과 공동작용하는 대응 나이프(6)쪽으로 가닥을 이송한다. 공급된 가닥(13)은 대응 나이프(6) 및 나이프 롤(5)에 의해 과립형태로 절단된다.
나이프 롤 및(5) 및 대응 롤(7)은 공지된 방식으로 과립자 장치의 측벽에 지지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측벽은 단지 후방 측벽(1)만이 되시되어 있다. 변위 가능한 견인롤(8)은 록커상의 두 측벽상에 지지되고, 상기 록커는 축(18)상에서 평행하게 선회함으로써 견인롤(8)의 평행 변위를 허용하게 된다. (여기서는 단지 후방 로커(17)만이 도시되어 있음). 대응 록커는 변위 가능한 견인 롤(8)(도시 안됨)의 대향 단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록커(17)는 정지부(20)에 놓이게 되는 하향 연장부(19)로 변경된다. 정지부(20)는 후방 측벽(1)상에 장착된 휴지부(11)에 부착되어 있다. 정지부(20)를 갖춘 대응하는 휴지부(11)는 전방 측벽(도시안됨)상의 반대쪽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록커(17)및 변위 가능한 견인 롤(8)은 한정된 단부 위치를 가지며, 그를 통해 그에 대응하도록 조정되는 롤간 갭(16)이 결정된다. 롤간 갭(16)의 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정지부(20)가 변위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공기압에 의해 구동되는)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의 플린저(21)는 록커(17)를 압착한다. 플린저(21)를 통해서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에 의해 록커에 인가된 압력으로 인해, 록커는 예비하중을 받아 정지부(20)및 연장부(19)에 의해 주어진 한정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는 스프링처럼 작용하는 바, 그 결과 예를 들어, 두꺼운 가닥(13)이 통과하는 경우 변위가능한 롤(8)은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로부터의 압역에 대하여 물러날 수 있다.
연장부(19)는 중간요소(22)를 압착하며, 이어서 휴지부(11)내의 구멍내에 보유된 스프링을 압착한다. 스프링(12)은, 그 힘이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에 의해 인가된 하중에 의해 극복될 수 있도록, 그 치수가 정해진다. 이는 도면에 도시한 동작위치에서, 연장부(19)가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의 작용을 받아 정지부(20)에 내리눌리는 것을 의미한다.
근접 스위치(14,15)(근접식 스위치 요소)는, 전방 패널(2)에 면한 과립화 장치의 측부 근처에서 일하는 조작자가 예를 들어 그 손이, 가닥(13)의 통과로 인해 견인 축(9)내로 견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근접 스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2)에서 떨어져 면하고 있는 견인 축(9)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그들은 밸브 하우징(23)내의 밸브상에 작용하는 회전식 레버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근접 스위치(14,15)중 어느 하나를, 예를 들어 그의 손을 사용하여 가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을 회전시킬 경우, 이는 밸브 하우징(23)내의 밸브의 대응하는 동작을 야기한다. 밸브 하우징(23)의 밸브는 제어선(24) (도시안됨)을 통해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를 작동하기 위한 압력 매체를 공급하는 공급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동작방식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근접 스위치(14,15)에 의해 압력매체는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에 유입되고, 그 결과 상기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는 앞서 언급한 방식으로 록커(17)를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예비하중 하에서 변위 가능한 견인롤(8)을 고정할 수 있다. 근접 스위치(14,15)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통해, 압력 매체, 특히 공기에 의해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에 가해진 압력은 제거되고, 그 결과 플린저(21)에 의해 가해진 압력 및 하중이 록커(17)로부터 제거된다. 이 결과, 스프링(12)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중간 요소(22)를 통해 연장부(19)와 록커(21)를 정지부(20)로부터 들어올리게 되며, 이러한 결과, 추가적으로 어떤 견인력이 변위가능한 견인 롤(8)및 대응 롤(7)에 의해 가닥(13)에 인가되지 못하는 정도로 롤간 갭(16)이 개방된다. 따라서 가닥(13)의 전방이동이 급격히 중단되고, 그 결과 가닥은 마찰에 의해 어떠한 형태의 견인력도 입구 축의 전방의 어떤 물체도 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그렇지 않으면 여전히 이동하는 가닥(13)에 의해 견인될 위험성에서 신속히 벗어나게 된다.
스프링(12) 또한 스프링(12)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또다른 피스톤-실린더 유니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러한 피스톤-실린더 유니트는,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변위가능한 견인롤(8)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근접 스위치(14,15)에 의해 즉각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제2도는 과립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제1도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가 제공된 과립화 장치의 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제1도와 관련한 설명이 제2도에서 또한 적용된다. 제2도에 따른 구성은 롤간 갭(16)이 증가된다는 점에서 제1도의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 경우, 조작자를 보호하는 근접식 스위치 요소는 입구 축(9)으로 향하는 입구를 둘러싸는 변위가능한 프레임(25)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5)에는 두개의 쐐기형 요소(26,27)가 부착되어 있다(제2도 참조. 그 동작방식은 제4도 내지 제6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는 단지 과립화 장치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기 때문에, 제2도에는 단지 쐐기형 요소(27)만이 도시되어 있다. 쐐기형 요소(26,27)는 과립화 장치의 전방 패널(2)에 부착되어 있고, 장방형 구멍 베어링(28)을 통해 과립화 장치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제2도에 따른 과립화 장치의 제3도의 평면을 통해, 두 쐐기형 요소(26,27)가 어떻게 대응 롤(7)(하부견인 롤)위로 돌출되는지를 명백히 알 수 있다. 쐐기형 요소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동작위치에 놓여 있다. 두 쐐기형 요소(26,27)는 입구축(9)을 지나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입구 축(9)으로 들어가는 입구(29)의 전방에는 입구(29)를 둘러싸고 두개의 쐐기형 요소(26,27)가 부착된 프레임(25)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자의 손이 프레임(25)을 가격하면, 프레임(25)은 입구축(9)의 입구(29)쪽으로 변위하며, 그 결과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쐐기형 요소(26,27)의 팽창부(30,31)는 두 롤 (7,8)사이에 활주된다.
제3도에 도시한 과립화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설명된 제 2도에 따른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표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제3도에는 견인 롤(8), 덮개(4) 및 록커(17)가 도시되지 않았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쐐기형 요소(26,27)의 동작 원리의 세가지 동작상태를 보인 것이다(제4도 및 제6도는 제2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단지 쐐기형 요소(27)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제4도 내지 제6도에서 표시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는, 가닥(13)의 방해를 받지 않는 도입상태를 보이고 있다.(제2도 참조). 제4도에 따른 동작상태에서, 팽창부(31)는 롤간 갭(16)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팽창부(31)는 롤(7,8)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롤(7,8)(제2도 참조)에 의해 견인되는 가닥(13)은 견인롤(7,8)에 의해 방해를 받음이 없이 끌어당겨 질 수 있고, 나이프 롤(5)로 이송될 수 있다.
프레임(25)이 예를 들어 조작자의 손에 의해, 과립화 장치쪽으로 변위하면(제 2도 참조), 팽창부(31)는 롤간 갭(16)내에 삽입되고, 하부 견인롤(7)의 작용하에서 롤간 갭(16)안으로 더욱 밀어넣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팽창부(31)에는 하부 견인롤(7)과 면하는 그 측부에 하부 견인롤(7)의 구조에 부합되는 표면구조가 제공된다. 가닥(13)(제2도 참조)과의 양호한 견인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하부 견인롤(7)에는, 제4도 내지 제6도에서 기어 치형 표면의 형태로서 도시된 깔쭉깔쭉한 표면이 제공되어 있다, 팽창부(31), 그에 대응하여 기어 치형 표면의 형태로 된 깔죽깔쭉한 표면(32)을 갖는다. 그 결과, 하부 견인 롤(7)의 깔쭉깔쭉한 표면이 깔쭉깔쭉한 표면(32)과 결합하면, 팽창부(31)는 두 롤(7,8) 사이에서 견인된다. 팽창부(30,31)가 쐐기 형상을 취함으로써, 상부 견인롤은 팽창부(31)및 쐐기형 요소(27)의 매끄러운 후방 측부(33)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록커(17)는 이에 대응하여 그 축(18)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팽창부(31)가 최소한도로 도입된 후에도 롤간 갭(16)은 확장되며, 그 결과, 견인롤(7,8) 사이의 가닥(13)에는 추가로 어떠한 견인력도 가해지지 않으며, 그 낮은 관성으로 인해 상기 가닥(13)은 즉각 멈추게 된다.
팽창부(31)의 견인동작은, 깔쭉깔쭉한 표면(32)의 전영역을 통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는 제6도에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25)을향하는) 깔쭉깔쭉한 표면(32)의 단부에서, 깔쭉깔쭉한 표면은 매끄러운 전방 측부(34)로 변하고, 그 결과 하부 견인 롤(7)의 깔쭉깔쭉한 표면은 쐐기형 요소(27)에 추가로 어떠한 마찰도 가할 수 없게 된다.
쐐기형 요소(26,27)의 이러한 운동중에, 한편으로 제6도에 도시한 단부 위치에 이르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단부 위치가 지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롤러(35,36)가 쐐기형 요소(26,27)상에 제공되며, 특히 두 쐐기형 요소(26,27) 각각에 제공된다. 롤로(36)는 팽창부(31)의 영역에서 쐐기형 요소(26,27)에 부착되며, 제6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쐐기형 요소(26,27)가 그 단부위치에 이르렀을 때, 견인롤(7,8)의 축(38,39) 사이의 연결선(37) 바로 뒤에 놓일 수 있게 되는 직경을 갖는다. 쐐기형 요소(26,27)가 복귀될 때 상부 견인롤(8)을 들어올려야만 하기 때문에, 롤러는 이 위치에서 상부 견인롤(8)에 의해 그 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고정된다. 제6도에 도시한 쐐기형 요소(26,27)의 단부 위치는, 도시한 단부위치에서는 라부 견인 롤(7)에 직면해 있는 다른 롤러(35)에 의해 한정된다. 롤러(25)는 축(40) 위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전히 회전하는 하부 견인 롤(7)에 의해 올려 놓여질 수 있다.
제7도는 롤간 갭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변형예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7도에 따른 과립화 장치에는, 제3도에 따른 쐐기형 요소(26,27)와 유사하게 견인장치의 두 측부의 영역에 배치된 레버(41)가 제공되어 있다. 제7도는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과립화 장치를 관통하는 단면도이기 때문에, 표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제7도에는 단지 레버(41)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7도 및 제1도에서 동일한 도면부호가 제공된 구성요소에 있어서는, 제1도와 관련한 설명이 참조된다.
레버의 세가지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제8도,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여 레버(41)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에 따르면, 레버(41)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따른 견인 롤처럼 깔쭉깔쭉한 라부 견인 롤(7)로부터 거리를 두고 유지되는 휴지위치에 놓여 있다. 레버(41)는 여기서는 변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입구축(9)과 소통하며, 과립화 장치내로 돌출된 부분만이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 입구 축(9)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변위하여, 예를 들어 입구 축(9)으로 부터 입구(2)의 전방에서 수동동작을 통해, 과립화 장치의 하우징내로 도입한다.(도면의 화살표 참조). 그러한 변위가 일어나는 경우, 하부 견인롤(7)에 면하는 레버(41)의 단부(42)는, 똑같이 깔쭉깔쭉한 단부가 하부 견인 롤(7)과 결합하게 될 때까지 하부 견인롤(7)을 향하여 변위한다.
이 결합 위치는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 이르기 위하여, 레버(41)는, 이 경우 상부 견인 롤(8)의 축과 일치하는 축(4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레버(41)의 축은 다른 위치에 놓일 수도 있으며, 단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레버(41)가 하부 견인 롤(7)과의 결합을 통해 하부 견인롤(7)로부터 상부 견인 롤(8)을 위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상기 견인롤(7)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레버(41)는 이와 관련하여 상부 견인롤(8) 또는 록커(17)의 축과 소통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1)의 단부(42)와 하부 견인 롤(7)의 결합에 의해, 상기 단부는 그 회전으로 인해 하부 견인 롤(7)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놓이며, 축(43)은 하부 견인 롤(7)의 축(39)으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이 결과, 롤간 갭이 또한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하부 견인롤(7)에 단부(42)가 충돌하면 상기 롤간 갭(16)이 급격히 증가하고, 그에 의해 가닥 안으로의 이송이 즉각 종료된다.
단부(42)의 추가적인 변위로 인해, 레버(41)의 회전은 제10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계속되며, 레버(41)는 정지부(44)에 의해 그 이동이 중단된다. 이 위치에서, 레버(41)의 단부(42)는 하부 견인 롤(7)의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상기 하부 견인 롤(7)은 단부(42)에 추가로 어떠한 마찰로 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이 위치에서, 단부(42)의 영역에 배치되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롤러(45)가 하부 견인롤(7) 및 상부 견인롤(8) 사이로 들어옴으로써 축(38,39) 사이의 연결선(37) 뒤에 놓이게 된다. 롤러(45)는 제6도에 따른 롤러(36)와 유사하게 이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로써 레버(41)가 그 단부위치로 회전하고 나면, 장치내에서 또다른 형태의 조정이 일어나지 않는 한, 그 위치는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배열에 있어서, 예를 들어 조작자의 손에 의해 야기된 입구 축(9)의 변위는 롤간 갭(16)을 증가시키는 기구를 작동시키고, 그 결과 추가적인 가닥(13)의 견인은 급격히 중단된다.
상기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견인 롤이 다른 견인 롤로부터 들어올려지면, 가닥의 견인이 중단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과립화 장치의 연속 동작은 중단된다. 통상 위험한 상황에서 야기되는 이러한 동작의 중단으로 인해, 어떠한 경우에도 과립화 공정을 재수행할 필요가 있다. 과립화 장치는, 세척이 필요할 때와 같이,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종래의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과립화 장치의 개개의 구성요소는 통상적인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두 견인 롤(7,8)은 견인 갭을 형성하기 위해 다시 서로 접근할 수 있으며, 록커(17) 및 쐐기형 요소(26,27)와 레버(41)가 그 각각의 시작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Claims (12)

  1. 입구 축(9)을 통해 안내되는 가닥 재료(13)을 이송하고, 그 가닥 재료(13)를 과립 형태로 절단하는 나이프 롤(5)로 수송하는 견인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견인장치는 견인 롤(8)과 대응 롤(7)을 갖추고, 롤(8,7)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 가능하고 롤 사이에는 가닥 재료(13)를 견인할 수 있는 갭(16)이 형성되어 있는 가닥 재료(13)의 과립화 장치에 있어서,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25)가 입구 축의 영역, 특히 그 입구(29)의 전방에 배치되고, 작동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25)는 롤간의 갭(16)의 설정을 취소하고, 가닥 재료(13)의 추가적인 견인이 갑자기 중단될 수 있는 폭으로 롤간 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2. 제1항에 잇어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25)가 입구 축(9)과 소통하고, 상기 입구 축(9)은 견인 장치(7,8)와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25)간의 안전여유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축(9)은 근접식 스위치 요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는 프레임(25)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25)은 상기 입구 축(9)으로 향하는 입구(29)를 둘러싸고 상기 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5. 변위가능한 견인 롤(8)을 구비하며, 상기 견인 롤(8)은 상기 견인 롤(8)의 평행 변위를 허용하는 변위를 허용하는 변위 베어링(17)에 의해 지지되는 과립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위 베어링(17)은 예비하중에 의해 정지부(20)에 압착되고, 상기 예비하중은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가 작동될 때 예비하중이 제거되어 반대되는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고, 상기 반대되는 힘은 변위 베어링(17)을 정지부(20)에서 들어올림으로 변위 가능한 견인 롤(8)이 대응 롤(7)에서 분리되는 특징으로 하는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베어링이 록커(17) 형상을 취하고,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14,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피스톤-실린더 유니트(10)가 상시 록커(17) 각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반대되는 힘은 상기 정지부(20)에 인접 배치된 스프링(12)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스프링(12) 의 힘은 예비 하중에 의해 극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가 쐐기형 요소(26,27) 에 연결되고, 상기 쐐기형 요소(26,27)는 상기 롤(7,8) 쪽으로 테이펴 경사져서,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25)가 견인장치 쪽으로 변위할 때 상기 롤(7,8) 또는 그 축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가닥 재료(13)와 적어도 하나의 롤(7,8)의 접촉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과립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요소(26,27)가 상기 롤(7,8)과 연결되어 있을 때, 상기 구동되는 롤(7)이 정지부(35)까지 상기 쐐기형 요소(26,27)를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과립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요소(26,27)에는, 상기 구동되는 롤(7)을 향하는 측부에서, 정 또는 마찰 결합으로 상기 구동되는 롤(7)의 표면과 부합되는 표면구조(32)가 제공되고, 상기 정지부(35)에 이르렀을 때에, 상기 표면 구조(32)와 상기 구돌 롤(7)의 관련 표면간의 정 또는 마찰 연결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42)가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9)에 의해 상기 구동 롤(7)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근접식 스위치 요소(9)가 레버(41)와 소통하고, 상기 레버 단부(42)는 구부러져 있고, 상기 구동 롤(7)에 의해 롤간 갭(16)을 향해 상기 구동 롤(7)과 접촉할 때, 레버(41)와 비구동 롤(8)의 베어링과의 결합을 통해 상기 비구동롤(8)이 구동 롤(7)로부터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정 또는 마찰 결합으로 상기 레버 단부(42)가 상기 구동 롤(7)과 결합할 때 상기 구동 롤(7)이 정지부(44)까지 레버단부(42)를 선회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 단부(42)에는 상기 구동 롤(7)의 표면과 부합되는 표면 구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화 장치.
KR1019950007022A 1994-03-30 1995-03-30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KR0137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11165.7 1994-03-30
DE4411165A DE4411165C1 (de) 1994-03-30 1994-03-30 Granuliervorrichtung für Strangmaterialien
DE4446989A DE4446989A1 (de) 1994-03-30 1994-12-28 Granuliervorrichtung für Strangmaterialien
DEP4446989.6 199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642A KR950026642A (ko) 1995-10-16
KR0137799B1 true KR0137799B1 (ko) 1998-04-27

Family

ID=651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022A KR0137799B1 (ko) 1994-03-30 1995-03-30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37799B1 (ko)
DE (2) DE4411165C1 (ko)
TW (1) TW2755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1165C1 (de) * 1994-03-30 1994-12-15 Rieter Automatik Gmbh Granuliervorrichtung für Strangmaterialien
DE4446991C1 (de) * 1994-12-28 1996-05-02 Rieter Automatik Gmbh Granuliervorrichtung für Strangmaterialien
DE202014003409U1 (de) * 2014-04-22 2014-04-30 Automatik Plastics Machinery Gmbh Führungswalze eines Einzugswalzenpaares einer Granuliervorrichtung
DE102016107525B4 (de) * 2016-04-22 2019-04-11 Vecoplan Ag Zerkleinerungsvorrichtung zur Zerkleinerung von plattenförmigem Zerkleinerungsgut
CN108295975B (zh) * 2018-01-31 2019-01-25 上海霏润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机械装置
CN108160300B (zh) * 2018-01-31 2018-11-30 江苏万瑞达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饲料加工设备
EP3689571B1 (de) * 2019-01-29 2023-04-05 Coperion GmbH Stranggranulator,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des schneidspalts eines derartigen granulators
CN112588202A (zh) * 2020-11-06 2021-04-02 福建慧科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质颗粒机用自动断料的挤压成型装置
CN117816324B (zh) * 2024-03-06 2024-04-26 河北云山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膨化硝铵炸药生产用粉碎装置及粉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7985A1 (de) * 1993-03-13 1994-09-15 Sanpack Lagerte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tsorgung von ausgedienten Umreifungsbändern aus Kunststoff
DE4411165C1 (de) * 1994-03-30 1994-12-15 Rieter Automatik Gmbh Granuliervorrichtung für Strangmaterial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11165C1 (de) 1994-12-15
KR950026642A (ko) 1995-10-16
DE4446989A1 (de) 1995-10-05
TW275592B (ko) 199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799B1 (ko) 가닥 재료의 과립화 장치
CA1128893A (en) Conveyor roller
US4124341A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granulating strands of thermoplastic material
DE69317391T2 (de) Notstoppsystem für ein Fahrtreppehandlauf
US5628465A (en) Granulating device for strand materials
US3858857A (en) Feed control mechanism
US4057934A (en) Protec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door
US4858747A (en) Drive motor controlling device for a material transporting conveyor
US4079608A (en) Multi-stand rolling mill with an overload protection device
US3991952A (en) Shim strip inserter for slitting and re-rolling machine
US3952864A (en) Conveyor safety device
AU638240B2 (en) Mobile bale collector
JP3649012B2 (ja) ベルト式動く歩道の蛇行検出装置
KR200179918Y1 (ko) 코일의 정위치 제어장치
US5191686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stretching rollers in synthetic film stretchers
JPH0788922A (ja) 射出成形機の竪型締め機構部における安全装置
US2472914A (en) Safety apparatus
CA255886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ansport of web-like material
JPH074162A (ja) シャッタ、主にローラシャッタのための駆動装置
GB2213524A (en) Sliding door operating mechanism
KR20000012624U (ko) 사이드 트리머 칩 안내장치
DE10010571C2 (de) Sicherheitseinrichtung zur Erfassung von Wickelbildungen um obere Druckrollen und/oder untere Zylinder einer Reißeinheit
KR200250003Y1 (ko) 스크랩걸림방지수단을갖춘절단강판스크랩처리장치
DE102007022236A1 (de) Prallmühle
KR200218393Y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