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721B1 - 난방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난방기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21B1
KR0137721B1 KR1019940011830A KR19940011830A KR0137721B1 KR 0137721 B1 KR0137721 B1 KR 0137721B1 KR 1019940011830 A KR1019940011830 A KR 1019940011830A KR 19940011830 A KR19940011830 A KR 19940011830A KR 0137721 B1 KR0137721 B1 KR 013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rol microcomputer
sub
heat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189A (ko
Inventor
도시오 가사다
아끼히꼬 가사하라
가쯔라 이께도
겐지 세끼도
히로시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따오까 다까시,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따오까 다까시
Publication of KR95000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with a time programme acting through electrical means, e.g. using time-delay re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ower Sources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시각정보 등의 메모리 백업 기능을 갖는 난방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코스트 상승을 극력 억제하면서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사용하기 편리한 시계정보 등의 백업기능을 갖게하기 위해서, 난방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제어용 마이컴, 시계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상용전원이 없을 때는 전지 등의 백업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서브 마이컴, 상용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용 마이컴을 초기 리세트하는 리세트 수단, 리세트 직후에 서브 마이컴에 기억된 데이터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드하는 데이터 리드수단을 구분한다.
이것에 의해, 마이컴이 각각 오동작 하더라도 사용자는 상용전원을 다시 꼽는 것만으로 제어용 마이컴을 다시 동작시켜 최저한의 1차 기능인 난방기능을 얻을 수 있고, 난방기능 불능이라는 고장확률이 상당히 낮으며 백업기능이라는 고기능을 실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치의 신뢰성이 높으며, 소형의 전지로 장수명화가 가능하고 제품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전지교환의 필요성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제어장치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난방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난방기의 제어장치의 회로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난방기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전체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시각 보정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일치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전송이상 판정수단과 전송이상 통지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지수명 판정수단과 전지수명 통지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동작개시 통지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메모리 리세트 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입력부 및 표시부의 회로 블록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표시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슬립 모드로의 이행 및 해제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슬립 모드로의 이행 및 해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상용 전원전압을 저하시켰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운전 록 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운전 록 플래그 조작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16도는 종래의 난방기의 제어장치의 회로 블록도.
본 발명은 시각정보 등의 메모리 백업 기능을 갖는 난방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6도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성3-870551호에 개시된 종래의 시계정보의 백업 기능을 가진 난방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상용전원, (2)는 상용전원(1)에 접속된 마이컴 전원부, (3)은 마이컴 전원부(2)로부터의 전원에 의해서 동작하는 제어용 마이컴으로서, 출력부(4), 입력부(5), 시각 표시부(6)이 접속되어 있다.
또 시계용 IC(7)은 전용의 전원인 전지(8)에 접속되고, 제어용 마이컴(3)에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항상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용전원(1)이 마이컴 전원부(2)에 인가되면, 제어용 마이컴(3)이 동작을 개시하고, 시계용 IC(7)에서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리드하여 시각 표시부(6)으로 출력해서 표시한다.
또, 제어용 마이컴(3)은 입력부(5)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서 출력부(4)에 명령을 부여하고, 예를 들면 연소기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해 난방기로서의 동작을 실행한다.
상용전원(1)이 정지하면, 제어용 마이컴(3), 출력부(4), 입력부(5), 시각 표시부(6)의 동작이 정지하지만, 시계용 IC(7)은 항상 전지(8)에 의해서 계속 작동한다.
그리고, 사용전원(1)이 복귀하면, 제어용 마이컴(3)은 다시 시계용 IC(7)에서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리드해서 시각 표시부(6)에 표시를 실행한다.
종래의 난방기의 제어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가) 시계용 IC(7)은 상용전원(1)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도 항상 전지(8)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전지(8)의 수명이 짧아 장기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량이 큰 전지가 필요하게 되어 코스트 상승으로 이어진다.
(나) 전지(8)이 소모하거나 시계용 IC(7)이 고장나면, 현재 시각의 데이터가 없어져버려 타이머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 사용상 불편하다.
(다) 시계용 IC(7)은 통상 수정 진동자를 사용해서 기준시간을 작성하지만, 발진 주파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 있으면, 시간의 어긋남이 누적되고(예를 들면, 20ppm 어긋나 있으면, 월차 약 1분으로 된다), 또 주위 온도에 따라서도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시계 정밀도가 그다지 좋지 않다. 또,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코스트 상승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코스트 상승을 극력 억제하면서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사용하기 편리한 시계정보 등의 백업 기능을 가진 난방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난방기의 제어장치는 난방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제어용 마이컴, 시계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상용전원이 없을 때는 전지 등의 백업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서브 마이컴, 상용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용 마이컴을 초기 리세트하는 리세트 수단, 리세트 직후에 서브 마이컴에 기억된 데이터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드하는 데이터 리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 제2의 발명에 관한 난방기의 제어장치는 난방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제어용 마이컴, 시계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상용전원이 없을 때는 전지 등의 백업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서브 마이컴, 상용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용 마이컴을 초기 리세트하느 수단, 리세트 직후에 서브 마이컴에 기억된 데이터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드하는 데이터 리드수단, 운전중에 적절하게 제어용 마이컴에서 서브 마이컴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서 기억시키는 데이터 라이트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3의 발명은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상용전원 인가중 상기 데이터 리드수단에 의해 리드한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시각의 카운트를 실행하는 시계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4의 발명은 상기 시계처리 수단에, 상용전원의 주파수에 동기한 전원 펄스를 기준으로 시각을 카운트하고 상기 데이터 라이트 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서브 마이컴으로 전송해서 서브 마이컴측의 현재시각을 보정하는 시각보정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5의 발명은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상기 데이터 리드 수단에 의해 리드한 데아터를 메모리내에 유지하고 이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는 동시에 데이터를 라이트 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일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6의 발명은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서브 마이컴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전송이상 판정수단과 전송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적어도 단시간 이상을 통지하는 전송 이상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7의 발명은 제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이 상기 전송이상 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제어용 마이컴내의 초기 세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어처리를 개시하도록 한 것이다.
제8의 발명은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상기 서브 마이컴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으로부터 상기 백업 전원의 전지가 수명이 다했는지 다하지 않았는지를 판정하는 전지수명 판정수단과 이 판정수단이 수명이 다했다고 판정하였을 때 작동하는 전지수명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9의 발명은 상기 서브 마이컴내의 현재시각 이외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세트하는 메모리 리세트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10의 발명은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와 시계표시가 가능한 표시부가 접속되고 상기 조작부에 소정의 조작을 실행했을 때 상기 서브 마이컴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11의 발명은 상기 서브 마이컴의 메모리에 제조일자를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표시수단에 의해 제조일자를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제12의 발명은 상기 서브 마이컴에 상용전원의 주파수에 동기한 전원 펄스가 입력되고, 이 전원펄스가 없어졌을 때는 즉시 저소비 전류의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슬립 모드 이행수단, 슬립 모드중에 상기 전원펄스가 발생했을 때는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슬립 모드 해제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13의 발명은 상기 서브 마이컴에 상기 전원펄스와 제어용 마이컴측의 전압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슬립 모드 해제수단을 상기 전원펄스와 상기 제어용 마이컴측의 전압신호의 양쪽이 발생하였을 때에 동작시키도록 한 것이다.
제14의 발명은 상기 전원펄스를 형성해서 제어용 마이컴과 서브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전원펄스 발생회로, 제어용 마이컴에 공급되는 전압이 소정값 이하일 때 제어용 마이컴에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 회로A를 구비하고, 이 리세트회로 A와 상기 전원펄스 발생회로의 출력을 다이오드를 거쳐서 접속한 것이다.
제15의 발명은 난방기의 운전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 이 이상검출수단이 소정 회수 동작하였을 때에 운전 록 플래그를 세트해서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운전 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 록 플래그는 데이터 리드수단 또는 데이터 라이트 수단에 의해서 전송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제16의 발명은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였을 때, 상기 운전 록 플래그의 세트 또는 해제를 가능하게 한 운전 록 플래그 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용 마이컴은 상용전원이 인가되면 초기 리세트하고나서 서브 마이컴의 데이터를 리드하고, 이 데이터를 기본으로 난방기의 제어를 개시한다.
또, 서브 마이컴은 상용전원 인가중은 이 전원에 의해서 동작하고 상용전원이 없을 때는 백업 전원에 의해서 시계처리와 상기 데이터의 기억유지를 실행한다.
또, 제2의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 라이트 수단은 기억해 두고자 하는 필요한 데이터를 제어용 마이컴에서 서브 마이컴으로 전송해서 라이트하고, 상용전원이 없을 때에도 백업 전원에 의해서 기억한다.
제3의 발명에 있어서의 시계처리 수단은 제어용 마이컴의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서 시계처리를 실행하고, 서브 마이컴측의 시계처리와는 분리해서 동작한다.
제4의 발명에 있어서의 시각정보 수단은 제어용 마이컴에 적절하게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전송해서 보정하므로, 2개의 시각은 항상 일치한다.
제5의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 일치수단은 제어용 마이컴에서 입력한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는 그 즉시 서브 마이컴으로 전송해서 라이트하도록 하였으므로, 양쪽의 데이터는 즉시 일치한다.
제6의 발명에 있어서의 전송이상 판정수단은 서브 마이컴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거나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지 않았을 때에 동작하고, 전송이상 통지수단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이상을 통지한다.
제7의 발명에 있어서의 제어용 마이컴은 전송이상이 발생하였을 때는 제어용 마이컴내에 사전에 세트되어 있는 초기 세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어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난방기의 운전을 아무런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다.
제8의 발명에 있어서의 전지수명 판정수단은 서브 마이컴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에서 전지수명을 판정하고, 전지수명 통지수단을 동작시켜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제9의 발명에 있어서의 메모리 리세트 수단은 서브 마이컴내의 현재시각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를 리세트해서 소거한다.
제10의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 표시수단은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였을 때, 서브 마이컴에서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드한 데이터의 내용을 표시부에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서브 마이컴에 기억되어 있는 필요한 데이터를 볼 수가 있다.
제11의 발명에 있어서는 제조일자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제어 기판상에 날인 등으로 표시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가 있다.
제12의 발명에 있어서는 슬립 모드 이행수단에 의해 슬립 모드로 이행할 때는 즉시 실행하고 슬립모드 해제수단에 의해 해제할 때는 소정 시간 지연시키고나서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노이즈에 대해 강하게 되어 수명이 거의 다한 전압이 낮은 전지에서도 안정하게 동작한다.
제13의 발명에 있어서는 슬립 모드를 해제할 때는 전원펄스와 제어용 마이컴측의 전압신호의 양쪽이 발생하였을 때에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발명보다 더욱 신뢰성이 높고 안정하게 동작한다.
제14의 발명에 있어서는 리세트 회로가 리세트 신호를 출력했을 때, 전원펄스 발생회로로부터의 펄스출력이 즉시 없어지게 되어 서브 마이컴이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제15의 발명에 있어서는 운전 록 플래그는 서브 마이컴에도 기억되어 있으므로, 상용전원을 오프하더라도 운전 록 상태를 해제할 수 없어 사용자가 콘센트를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리세트할 수 없고 운전 록 상태를 유지한다.
제16의 발명에 있어서는 운전 록 플래그 조작 수단이 통상의 조작에서는 실행하지 않는 특정의 조작을 실행하였을 때 난방기의 운전을 록 또는 해제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상용전원(1), 제어용 마이컴(3), 출력부(4), 입력부(5)에 대해서는 종래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6)은 제어용 마이컴(3)으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운전정보, 온도, 시간,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9)는 제어용 마이컴(3)으로의 공급전압 Va가 저하하였을 때에 제어용 마이컴(3)으로 리세트 출력을 출력하는 리세트 회로 A, (10)은 제어용 마이컴(3)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클럭을 형성하는 클럭발진회로, (13)은 상용전원(1)이 없을 때 전지(8)에 의해서 동작하고 제어용 마이컴(3)과 데이터 전송 가능한 상태로 접속된 서브 마이컴(12)는 서브 마이컴(11)로의 공급전압 Vb가 저하하였을 때에 서브 마이컴(11)로 리세트 출력을 출력하는 리세트 회로 B, (13)은 서브 마이컴(11)의 동작의 기준으로 되는 클럭을 형성하는 클럭 발진회로로서, 시각 카운트의 기준 펄스를 형성하기 위한 수정 진동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 (14)는 전류 제한용의 저항, (15), (16)은 전류의 역류 방지용의 다이오드로서, 서브 마이컴(11)에 인가되는 전압 Vb는 상용전원(1)이 인가되어 있을 때는 마이컴 전원부(2)에서 다이오드(16)을 거쳐서 공급되고, 상용전원(1)이 없을 때는 전지(8)세서 저항(14), 다이오드(15)를 거쳐서 공급된다.
또, (17)은 마이컴 전원부(2)에 접속되고, 상용전원(1)의 주파수에 동기한 전원펄스를 형성해서 제어용 마이컴(3)과 서브 마이컴(11)로 출력하는 전원펄스 발생회로, (18)은 리세트 회로 A(9)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고 제어용 마이컴(3)이 리세트 상태에 있을 때, 전원펄수 발생회로(17)의 출력을 없애기 위해서 접속된 다이오드이다.
또, (19)는 서브 마이컴(11)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중 현재시각 이외의 데이터를 리세트하는 스위치인 소프트 리세트 스위치, (20)은 그 풀업 저항, (21)은 제어용 마이컴(3)측의 전원 Va를 전압신호 Vc로 해서 서브 마이컴(11)에 입력하기 위한 저항이다.
다음에,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제어용 마이컴(3)의 동작을 좌측에, 서브 마이컴(11)의 동작을 우측에 도시해서 각각의 동작이 대응하도록 기술할 것이다.
먼저, 전지(8)을 장착하면 전압 Vb가 서브 마이컴(11)에 인가되고, 이 순간 리세트 회로 B(12)가 동작해서 서브 마이컴(11)이 초기 리세트된다(스텝 30). 이 상태에서는 상용전원(1)이 없으므로, 서브 마이컴(11)은 저소비 전류의 슬립 모드로 이행해서(스텝 31), 전지(8)로부터의 전류소비를 극력 억제한다.
이 슬립 모드에서도 수정 진동자로 구성된 클럭 발진 회로(13)에서 형성된 클럭펄스를 분주해서 시각 카운트의 기준펄스로 하고 시계처리를 실행한다(스텝 32).
다음에, 상용전원(1)을 인가하면, 마이컴 전원부(2)에서 전압 Va가 형성되어 제어용 마이컴(3)으로 인가되고, 이 순간 제어용 마이컴(3)의 리세트 수단인 리세트 회로 A(9)를 동작해서 제어용 마이컴(3)이 초기 리세트된다(스텝 33). 동시에, 다이오드(16)을 통해서 서브 마이컴(11)에 전압이 공급되고, 이 전압은 전지(8)의 전압보다 높으므로 전지(8)로부터의 전류소비는 없어지고, 서브 마이컴(11)은 마이컴 전원부(2)에 의해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서 작동하가 된다.
또, 마이컴 전원부(2)에 접속된 전원 펄스 발생회로(17)은 상용전원(1)에서 제로 크로스 펄스를 형성하고, 이것을 전원펄스로서 제어용 마이컴(3)과 서브 마이컴(11)에 공급한다.
서브 마이컴(11)은 이 전원펄스를 검출하면, 상용전원(1)이 온 되었다고 판정하고(스텝 34), 슬립 모드를 해제한다(스텝 35). 슬립 모드를 해제하면, 서브 마이컴(11)은 데이터 전송의 처리등이 가능하게 되어 소비전류가 많아지지만, 전류는 마이컴 전원부(2)에서 공급되므로 문제는 없다.
제어용 마이컴(3)은 리세트후 데이터 리드수단이 동작하고, 서브 마이컴(1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나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메모리내로 입력하며, 이것을 초기 데이터로 해서 제어를 개시한다.
데이터 리드수단의 동작은 먼저 제어용 마이컴(3)에서 서브 마이컴(11)로 데이터 리드의 요구출력을 출력한다(스텝 36).
서브 마이컴(11)은 제어용 마이컴(3)으로부터 데이터 리드의 요구가 있으면(스텝 37) 데이터를 출력하고(스텝 38), 제어용 마이컴(3)은 이 데이터를 리드한다(스텝 39).
다음에, 제어용 마이컴(3)은 난방기로서의 제어처리를 실행한다(스텝 40).
예를 들면, 입력부(5)에서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설정온도의 정보를 부여해 주면, 출력부(4)에 접속된 전자펌프, 연소용 모터(도시하지 않음) 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연소기의 연소량을 조절해서 목표의 온도로 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난방기 제어중에 서브 마이컴(11)에 기억해 두고자 하는 데이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나 운전패턴 또는 고장장소 등의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는(스텝 41) 데이터 라이트수단이 동작해서 서브 마이컴(11)에 상기 데이터를 라이트한다.
데이터 라이트수단의 동작은 먼저 제어용 마이컴(3)에서 서브 마이컴(11)로 라이트의 요구출력을 출력한다(스텝 42). 서브 마이컴(11)은 이 데이터 라이트의 요구가 있으면(스텝 43) 데이터를 라이트할 준비를 한다.
다음에, 제어용 마이컴(3)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면(스텝 44), 서브 마이컴(11)은 이 데이터를 입력해서 메모리내에 라이트한다(스텝 45). 서브 마이컴(11)의 메모리에 라이트된 데이터는 상용전원(1)이 꺼지더라도 없어지는 일이 없으므로, 다음에 사용할 때는 이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어할 수 있다.
서브 마이컴(11)은 상용전원(1)이 온되어 있을 때도 스텝 32와 마찬가지로 시계처리를 실행한다(스텝 46). 또, 제어용 마이컴(3)도 데이터 리드수단에 의해 리드한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상기 전원펄스 발생회로(17)에서 출력된 전원펄스를 카운트해서 시계처리를 실행한다(스텝 47). 이 현재기각은 표시부(6)으로 출력되어 시계표시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마이컴(3), (11)에 시계처리기능을 갖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전지(8)이 소모해서 서브 마이컴(11)측의 시계처리 기능이 동작할 수 없게 되더라도 제어용 마이컴(3)측의 시계처리 기능이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최초에 시각을 세트만 하면 사용전원(1) 인가중에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서브 마이컴(11)측의 시각의 기준은 수정 전동자이고, 클럭 발진회로(13)의 발진 주파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그 어긋남이 누적되어 시계가 맞지않게 된다. 예를 들면, 50ppm 어긋나면, 월차 약 2분으로 된다.
한편, 제어용 마이컴(3)측의 시각은 상용전원(1)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고, 이 주파수는 전력 회사에서 끊임없이 보정하고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거의 어긋남이 없다.
이와 같이, 상용전원(1)이 없을 때는 서브 마이컴(11)측의 시계기능으로 시각을 카운트하지만, 상용전원(1)의 인가중에는 전원펄스를 기준으로 한 제어용 마이컴(3)측의 시계기능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시계 정밀도를 높여 장시간에 걸쳐 시간의 어긋남을 적게 할 수가 있다.
또, 난방기의 제어처리는 제어용 마이컴(3)에서 실행하고 또한 현재시각과 데이터의 백업은 서브 마이컴(11)에서 실행하며, 상용전원(1)을 인가했을 때 제어용 마이컴(3)을 리세트하고나서 제어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제어용 마이컴(3)이 폭주 또는 오동작하더라도 사용자가 콘센트를 다시 꼽으면 클리어 상태로 복귀하고, 서브 마이컴(11)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백업기능이 없어질 뿐이므로 난방기의 제어처리에 큰 지장은 없다.
따라서, 마이컴이 각각 오동작하더라도 사용자는 최저한의 1차 기능인 난방기능을 얻을 수가 없으므로, 현재시각이나 각종 데이터의 백업이라는 고기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성이 높다.
[실시예 2]
제3도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제어용 마이컴(3)측의 현재시각 데이터를 데이터 라이트 수단을 사용해서 정기적으로 서브 마이컴(11)로 라이트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용 마이컴(3)은 시계처리를 실행한 후, 시각이 「0 : 00」으로 되면(스텝 48), 시각 보정수단이 동작하여 상기 제2도에서 설며한 데이터 라이트수단의 동작에 의해 현재시각을 전송하고 서브 마이컴(11)의 현재시각 데이터에 오버라이트한다. 서브 마이컴(11)은 이 데이터를 기본으로 시계처리를 실행한다.
기준이 다른 펄스에 의해 시계처리를 실행하고 있으면, 장기간 경과하면 2개의 어긋남이 생기지만 이와 같이 소정시간마다 시각의 어긋남이 적은 제어용 마이컴(3)측의 현재시각을 서브 마이컴(11)측으로 전송해서 보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어긋남이 없어짐과 동시에 서브 마이컴(11)측의 시각보다 정확하게 된다.
[실시예 3]
제4도에 도시한 흐름도는 실시예 1에 있어서 데이터 리드 수단에 의해 리드한 데이터가 제어용 마이컴(3)측에서 갱신된 경우, 즉시 데이터 라이트 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11)에 라이트해서 2개의 마이컴에 메모리된 데이터의 통일화를 도모한 것이다.
예를 들면, 난방기의 제어처리중 입력부(5)에서 접속된 실온설정 스위치에 의해 설정온도 20℃∼22℃로 변경하면(스텝 41), 즉시 제어용 마이컴(3)으로부터 설정온도를 변경한다고 하는 취지의 데이터 라이트 요구출력을 출력한다(스텝 42).
다음에, 22℃의 데이터를 출력한다(스텝 44). 서브 마이컴(11)은 요구출력의 내용에서 다음에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의 내용을 인지하고, 22℃의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면 설정온도의 메모리에 라이트한다.
마찬가지로, 입력부(5)에 접속된 시각설정 스위치에 의해 시각의 데이터를 변경할 때도 제어용 마이컴(3)측의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는 즉시 서브 마이컴(11)측의 데이터도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실온설정 또는 시각의 데이터를 변경한 순간에 정전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상용전원(1)이 복귀하면 데이터가 제어용 마이컴(3)에 리드되고, 이 데이터에 따라서 제어를 개시하기 때문에, 재차 데이터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4]
제5도는 서브 마이컴(11)로부터의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전송이상을 통지하는 전송이상 통지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용 마이컴(3)은 초기 리세트된 후, 메모리에 초기 데이터를 세트한다(스텝 50). 예를 들면, 설정온도가 20℃, 시계의 프리세트값이 12 : 00라는 값을 세트한다. 다음에, 데이터 라이트 수단에 의해 입력한 데이터를 스텝 51에서 전송이상 판정수단에 의해 정확한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전송이상 판정수단의 동작은 예를 들면 리드한 데이터가 설정온도라면 15℃∼25℃라는 사전에 정해진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정하거나 데이터의 패리티 검사를 실행한다.
전송 데이터가 정확한 경우는 소정의 메모리에 라이트하지만(스텝 52), 이상이 있는 경우는 전송이상 통지수단으로서의 표시부(6)이 동작하여 3초간 에러표시를 한다(스텝 53). 그리고, 데이터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사전에 스텝 50에서 세트한 초기 세트 데이터를 사용해서(스텝 54)제어를 개시한다.
초기 세트 데이터로서는 만일 전송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난방기의 제어처리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값을 입력해 두면 좋다.
이와 같이 전송 데이터에 이상이 있었을 때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고 단시간 에러를 표시한 후 초기세트 데이터에 의해 제어를 개시하도록 하면, 난방기의 제어처리는 아무런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다.
또, 에러는 콘센트를 꼽은 타이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에러표시는 예를 들면 시계의 표시부를 겸용해서 단시간 (EEEE)를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것을 인지해서 다시 한 번 콘센트를 꼽아 정확한 전송을 실행할 수 있고 에러 표시부를 단독으로 마련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5]
제6도는 전지수명 판정수단과 통지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브 마이컴(11)은 전지(8)을 장착한 순간에 초기 세트되고 상용전원(1)이 없을 때는 슬립 모드로 들어간다. 이 때, 스텝 55에서 전지없음 플래그를 세트하고, 스텝 56에서 이 플래그를 리세트한다. 상용전원(1)이 인가되면, 제어용 마이컴(3)이 데이터를 리드수단에 의해 전지없음 플래그도 리드하고, 스텝 57에서 이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통상은 전지없음 플래그가 리세트되어 있으므로 난방기의 제어처리로 들어간다.
다음에, 전지(8)이 소모해서 전압 Vb가 낮은 경우는 리세트 회로 B(12)가 동작해서 서브 마이컴(11)은 동작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용전원(1)이 인가되며, 마이컴 전원부(2)에서 전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전압 Vb가 상승해서 서브 마이컴(11)은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스텝 55에서 전지없음 플래그를 세트하고, 스텝 34의 판정에서 상용전원(1)이 온 되어 있으므로, 스텝 56을 한번도 거치지 않고 제어용 마이컴(3)측에 데이터가 전송되고, 전지없음 플래그가 세트된 채로 리드된다.
따라서, 스텝 57의 플래그 판정에 의해 전지없음이라 판정되고, 스텝 58에서 표시부(6)의 LED 등으로 전지없음 표시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에서 전지수명을 판정판독 하면 하드웨어를 추가하는 일없이 전지수명을 판정해서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6]
제7도는 제어 마이컴(3)측의 동작개시 통지수단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제어용 마이컴(3)은 상용전원(1)이 인가되고 초기 리세트되어 통상적으로 동작을 개시하면, 출력부(4)에서 접속된 경보를 단시간(예를 들면 0.5초) 울리게 해서(스텝 59), 정상적으로 동작을 개시한 것을 알리고, 그 후 데이터 리드수단의 동작으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경보음을 데이터 리드수단이 동작하기 전에 울리도록 한 것은 리드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은 경우나 첫 번째의 전송에서 노이즈 등에 의해 전송 미스가 발생하여 리트라이하는 경우는 시간이 걸리므로, 그 후에 경보를 울리게 한 것에서는 사용자가 콘센트를 꼽고나서 정상적으로 동작한 것을 알리는 경보가 울릴 때까지 시간이 걸려 사용자에게 불신감을 갖게 하게 되기 때문이다.
[실시예 7]
제8도는 메모리 리세트 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예를 들면, 상용전원(1)이 없을 때라도 서브 마이컴(11)측에 기억해 두는 내용으로서는 현재시각 등의 시각정보, 설정온도 등의 온도정보, 난방기의 이상운전시간, 고장이나 에러의 발생정보 등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공장에서 제품을 조립하고 사전에 현재 시각을 세트해서 출발하는 경우, 예를 들면 공장의 제조라인에서 운전시키거나 에러가 발생하면 누적 운전시간이나 에러의 발생정보가 데이터라이트 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11)에 라이트된다.
이 제품을 사용자가 구입해서 사용하였을 때, 과거의 운전정보가 기입되어 있으면 불신감을 안고 크레임을 제기하게 된다. 하드웨어적으로 리세트 회로 B(12)를 동작시켜서 전체 메모리를 리세트하여도 좋지만, 현재시각도 없어져 버리므로 또다시 세트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메모리 리세트 수단은 데이터 라이트 수단의 동작 후, 소프트 리세트 스위치(19)가 눌러졌는지 눌러지지 않았는지를 판정하고(스텝 60), 눌러진 경우에는 서브 마이컴(11)내의 메모리 중 현재시각을 제외한 전체 데이터를 리세트한다(스텝 61). 이 때, 현재시각 이외중 리세트하고 싶지 않은 데이터가 있으면, 그것도 남겨놓도록 하여도 좋다. 이 방법에 의하면 공장의 제조라인에서 여러 가지 정보가 라이트 되었다고 하더라도, 공장을 출하하기 직전에 소프트 리세트 스위치(19)를 누르면 지워없앨 수가 있다.
[실시예 8]
제9도는 제어용 마이컴(3)의 입력부(5)에 운전 스위치나 실온설정 스위치 등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부를 접속하고, 표시부(6)에 시계표시가 가능한 4자리수 표시의 7세그먼트 LED를 접속한 것이다.
제10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제어용 마이컴(3)이 데이터 리드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11)에서 리드한 데이터에는 누적 운전시간, 고장이나 에러의 발생정보등 통상의 운전에서는 표시하지 않아도 좋은 것이 있다. 이들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는 스텝 62와 같이 스위치 a와 스위치 b라는 단독으로 의미를 갖고 있는 2개의 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것에 의해, 표시부(6)의 7세그먼트 LED에 상기 데이터, 예를 들면 누적 연소시간을 표시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특별히 스위치나 표시기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많은 데이터를 표시할 수가 있다.
또, 전지(8)을 장착한 후 제조단계에서 제조일자를 서브 마이컴(11)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스텝(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a와 스위치 d를 동시에 온하면, 표시부(6)의 7세그먼트 LED에 제조년월일을 표시하게 해 둔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제어 기판상에 제조일자를 날인할 필요가 없고, 난방기 본체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스위치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제어기판의 제조일자를 알 수 있으므로 서비스성이 향상한다.
[실시예 9]
제11도, 제12도에는 슬립 모드 이행수단과 슬립 모드 해제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타이밍도와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상용전원(1) 인가중에 서브 마이컴(11)에는 전원펄스가 입력되고, Vb 전압은 마이컴 전원부(2)로부터의 전압 5V가 인가되고, Vc의 전압신호도 H레벨이고, 슬립 해제 모드에서 동작한다.
상용전원(1)이 없어지면, 전원펄스가 없어져 Vb 전압은 급격하게 저하한다. 스텝 34a에서는 전원펄스를 소정 시간마다 관찰하고 있어, 예를 들면 전원펄스가 없어져서 다음의 펄스가 올 예정시간이 되더라도 입력이 없을 때(a점)는 즉시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서브 마이컴(11)의 해제 모드는 전류를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상용전원(1)이 없어지더라도 해제모드로 해 두면, 전지(8)의 용량이 적은 경우나 거의 다한 전압이 낮은 전지는 Vb 전압이 도면중의 점선과 같이 저하하고, 리세트 회로 B(12)가 동작해서 서브 마이컴(11)이 리세트되어 메모리가 소거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원펄스가 한발이라도 없어지면, 즉시 슬립 모드로 들어가도록 한다.
다음에, 상용전원(1)이 재차 인가되어 전원펄스가 발생하더라도 서브 마이컴(11)은 즉시 슬립 모드를 해제하지 않는다. 전원펄스가 6발 입력되고(스텝 34b), 상용전원(1)이 인가되어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나서 슬립모드를 해제한다(b점).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슬립 모드중에 상용전원(1)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노이즈에 의해 전원펄스가 2∼3발 발생했을 경우에도 슬립 모드 그대로이므로, 전류를 많이 소비해서 전지전압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 스텝 34c와 같이 전압신호 Vc를 확인해서 H레벨일 때 슬립 모드를 해제하도록 하면, 노이즈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증가하여 보다 완전한 대책으로 된다.
[실시예 10]
제13도는 상용전원(1)이 없어졌을 때, 서브 마이컴(11)의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신속하게 실행하기 때문에, 리세트 회로 A(9)와 전원펄스 발생회로(17)의 출력을 다이오드(18)을 거쳐서 접속한 경우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용전원(1) 인가 중에 리세트 회로 A(9)의 출력은 H레벨에서 전원펄스가 있으므로, 서브 마이컴(11)은 해제 모드에서 운전되고 있다.
다음에, 상용전원(1)의 전압을 서서히 저하시켜 가면, d점에서 리세트 회로 A(9)의 출력이 L레벨로 되고 제어용 마이컴(3)이 리세트되어 동작을 정지한다.
동시에, 전원펄스 발생회로(17)의 출력을 싱크(sink)해서 L레벨로 하기 때문에, 서브 마이컴은 e점에서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다이오드(18)을 사용해서 접속한 것은 리세트 회로 A(9)의 출력이 H레벨일 때 전원펄스 발생회로(17)측으로 전류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제13도에 있어서 전원펄스의 출력이 점선으로 라이트되어 있는 부분은 만약 다이오드(18)의 접속이 없는 경우의 전원펄스의 출력상황이며, 이 경우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지연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출력을 다이오드(18)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상용전원(1)이 서서히 저하해 간 경우라도 신속하게 슬립 모드로 이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11]
제14도는 난방기의 운전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이 작동하였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상 검출수단이라 함은, 예를 들면 입력부(5)에 접속된 난방기의 온풍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가 본체 내부로의 먼지부착 등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소정의 온도이상으로 되었을 때 제어용 마이컴(3)으로 신호를 보내도록 한 것이고, 제어용 마이컴(3)은 이 신호를 받아서 안전을 위해서 운전을 정지시킨다.
도면에 있어서, 먼저 스텝 66에서 운전 록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67로 진행하고, 운전 스위치를 조작하더라도 운전할 수 없다. 즉, 스위치의 조작을 받지 않는 운전 록의 상태로 한다.
통상은 운전 록의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므로, 난방기의 제어처리를 실행한다(스텝 40). 다음에, 난방기의 운전중에 상기 이상 검출수단에 의해 이상을 검출하고,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는(스텝 68) 운전을 정지한다(스텝 69).
에러가 발생한 회수는 메모리내에 기억되어 있고, 3회째가 되면(스텝 70) 운전 록 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 71). 이들의 데이터, 예를 들면 에러의 종류를 나타내는 에러 NO, 에러의 발생 회수, 운전 록 플래그는 데이터 라이트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11)에 라이트되어 상용전원(1)이 없어지더라도 유지된다.
운전 록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콘센트를 꼽았을 때 데이터 리드수단에 의해 이 데이터도 리드되고, 스텝 66, 67로 진행하여 운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 록 플래그를 서브 마이컴(11)에 기억시키고, 데이터 전송가능하게 해 두는 것에 의해, 에러가 발생해서 운전 록의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콘센트를 다시 꼽더라도 운전할 수 없으므로 위험한 상태에서 운전을 계속하는 일은 없다. 또, 운전 록의 상태로 되었을 때는 서비스맨이 본체 내부의 이상장소를 수리한 후 제어 기판상에 장착된 전지(8)을 다시 넣거나 리세트 회로 B(12)의 출력을 잠깐 L레벨로 하는 것에 의해, 서브 마이컴(11)에 리세트가 걸려 메모리가 전부 클리어되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2]
제15도는 상기 운전 록 플래그의 세트 또는 해제를 가능하게 한 운전 록 플래그 조작수단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스텝 72에서 조작부(5a)의 스위치 a와 d를 동시에 온하면, 스텝 73에서 운전 록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지를 판정하고, 세트되어 있는 경우 스텝 75에서 리세트하고,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74에서 세트한다. 그리고, 이 플래그는 데이터 라이트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11)의 메모리에 라이트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운전 록의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일일이 본체 내부를 개방해서 제어 기판의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조작부의 스위치로 가능하여 수리시 번거로움을 덜 수가 있다.
스위치의 조작방법은 통상의 운전에서는 실행하지 않는 스위치 조작으로 해 두면 좋다. 또, 상기 조작에서 운전 록 플래그를 세트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예를 들면 다른 사람에게 난방기를 사용하게 하고 싶지 않을 때 등에 사용할 수가 있고, 아이들의 장난을 방지하는 챠일드 록 (Child-lock)으로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난방기의 제어처리는 제어용 마이컴에서 실행하고, 상용전원이 없을 때의 현재 시각과 데이터의 백업은 서브 마이컴에서 실행하며, 상용전원을 인가했을 때 제어용 마이컴을 초기 리세트하고나서 제어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으므로, 마이컴이 각각 오동작하더라도 사용자는 상용전원을 다시꼽는 것만으로 제어용 마이컴을 다시 동작시켜 최저한의 1차기능인 난방기능을 얻을 수 있고, 난방기능 불능이라는 고장확률이 상당히 낮으며, 백업기능이라는 고기능을 실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치의 신뢰성이 높다.
또, 서브 마이컴은 상용전원이 없을 때만 전지의 전원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므로, 소형의 전지로 장수명화가 가능하고, 제품의 수명이 다할때까지 전지교환의 필요성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제어장치가 얻어진다.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운전중 적절하게 제어용 마이컴에서 서브 마이컴으로 기억시키는 데이터 라이트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설정온도나 타이머 운전시각 등의 운전정보나 현재까지의 누적운전 시간, 고장이력과 같은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까지 백업전원에 의해서 기억해 둘 수가 있으므로, 다음에 사용할 때 일일이 세트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한 서비스성도 좋다.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마이컴측에도 시계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지가 소모하거나 서브 마이컴이 고장나더라도 시계나 타이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추운 아침에도 타이머를 운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하고 신뢰성도 좋다.
제4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마이컴측의 시계수단은 전원펄스를 기준으로 시각의 카운트를 하고, 적절하게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서브 마이컴으로 전송해서 보정하도록 하였으므로 시계의 정밀도가 좋고, 타이머 운전하였을 때에 시각의 어긋남이 적으며, 또한 2개의 마이컴의 시각이 항상 일치하고 있으므로 시각을 수정하는 등의 수고를 덜 수가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서브 마이컴측으로부터 리드한 데이터가 제어용 마이컴측에서 갱신되었을 때, 즉시 그 갱신데이터를 데이터 라이트 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측으로 라이트하도록 하였으므로, 2개의 마이컴 데이터는 즉시 일치해서 운전중 정전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최신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으므로 설정온도나 타이머 운전시각 등을 다시 세트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제6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마이컴측에 서브 마이컴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전송이상 판정수단과 전송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상을 통지하는 전송이상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신뢰성이 높고 또 사용자에게 전송이상을 통지하여 정확한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하기 위해 콘센트를 다시 한번 꼽는 것을 재촉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제7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마이컴은 전송이상 판정수단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가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제어용 마이컴내의 초기 세트 데이터를 (예를 들면, 설정온도 20℃) 사용해서 제어처리를 개시하므로, 만일 전송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난방기의 제어처리에는 큰 지장없이 동작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신뢰성이 높다.
제8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용 마이컴은 서브 마이컴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에서 백업전원의 전지가 수명이 다했는지 다하지 않았는지를 판정하는 전지수명 판정수단과 이 판정에 의해 작동하는 전지수명 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코스트 상승하는 일없이 전지수명을 판정해서 표시할 수가 있다.
제9의 발명에 의하면, 서브 마이컴내의 현재시각 이외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세트하는 메모리 리세트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테스트를 위해 공장의 제조라인에서 여러 가지가 라이트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불필요한 정보를 순식간에 지워없앨 수가 있으므로 제조시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제조코스트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제10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에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였을 때 서브 마이컴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데이터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코스트 상승하는 일없이 서브 마이컴에 기억된 누적연소시간 등의 서비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제11의 발명에 의하면, 서브 마이컴의 메모리에 제조일자를 기억시키고 이것을 데이터 표시수단에 의해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제어기판상에 제조일자를 날인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음과 동시에 난방기 본체내부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제어기판의 제조일자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성이 좋다.
제12의 발명에 의하면, 전원펄스가 없어졌을 때 즉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슬립 모드 이행수단과 슬립 모드중에 전원펄스가 발생하였을 때는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슬립 모드 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노이즈에 대해서 강하게 됨과 동시에 전압이 낮은 전지에서도 안정하게 동작하기 때문에, 전지를 장기간 사용할 수 있고 또 제어장치의 신뢰성도 높다.
제13의 발명에 의하면, 슬립 모드를 전원펄스와 제어용 마이컴측의 전압신호의 양쪽이 발생하였을 때 해제하도록 하였으므로, 신뢰성이 더욱 향상하게 된다.
제14의 발명에 의하면, 전원펄스 발생회로와 리세트회로 A의 출력을 다이오드를 거쳐서 접속하였으므로, 상용 전원전압이 서서히 지하해 간 경우라도 신속하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여 제어장치의 신뢰성이 높다.
제 15의 발명에 의하면, 이상검출수단이 소정 회수 동작하였을 때 운전 록 플래그를 세트해서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운전 록 수단을 구비하고, 운전 록 플래그를 데이터 리드수단 또는 데이터 라이트수단에 의해서 전송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운전상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는 콘센트를 다시 꼽더라도 운전할 수 없으므로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16의 발명에 의하면, 특정의 조작을 실행하였을 때 운전 록 플래그의 세트 또는 해제를 가능하게한 운전 록 플래그 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운전 록 및 해제가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사용하게 하고 싶지 않을 때 록을 걸거나 아이들의 장난을 방지할 수도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Claims (16)

  1. 난방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제어용 마이컴, 시계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없을 때는 전지 등의 백업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서브 마이컴, 상용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용 마이컴을 초기 리세트 수단 및 리세트 직후에 서브 마이컴에 기억된 데이터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드하는 데이터 리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2. 난방기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인가되어 있을 때에만 작동하는 제어용 마이컴, 시계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상용전원이 없을 때는 전지 등의 백업 전원에 의해서 작동하는 서브 마이컴, 상용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제어용 마이컴을 초기 세트하는 리세트 수단, 리세트 직후에 서브 마이컴에 기억된 데이터를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드하는 데이터 리드수단 및 운전중 적절하게 제어용 마이컴에서 서브 마이컴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서 기억시키는 데이터 라이트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는 상용전원 인가중 상기 데이터 리드수단에 의해 리드한 현재시각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시각의 카운트를 실행하는 시계처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처리 수단은 상용전원의 주파수에 동기한 전원펄스를 기준으로 시각을 카운트하고, 상기 데이터 라이트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현재시각을 서브 마이컴으로 전송해서 서브 마이컴측의 현재시각을 보정하는 시각보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데이터 리드수단에 의해 리드한 데이터를 메모리내에 유지하고, 이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는 동시에 데이터 라이트수단에 의해 서브 마이컴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일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서브 마이컴으로부터의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전송이상 판정수단과 전송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적어도 단시간 이상을 통지하는 전송이상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전송이상 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제어용 마이컴의 초기 세트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어처리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은 상기 서브 마이컴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의 내용에서 상기 백업전원의 전지가 수명이 다했는지 다하지 않았는지를 판정하는 전지수명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이 수명이 다했다고 판정하였을 때 작동하는 전지수명 통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이컴내의 현재시각 이외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리세트하는 메모리 리세트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마이컴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조작부와 시계표시가 가능한 표시부가 접속되고, 상기 조작부에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였을 때 상기 서브 마이컴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이컴의 메모리에 제조일자를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표시수단에 의해 제조일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이컴은 상용전원의 주파수에 동기한 전원펄스가 입력되고 상기 전원펄스가 없어졌을 때는 즉시 저소비 전류의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슬립 모드 이행수단과 슬립 모드중에 상기 전원펄스가 발생하였을 때는 소정시간 지연시킨 후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슬립 모드 해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마이컴에는 상기 전원펄스와 제어용 마이컴측의 전압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슬립 모드 해제수단은 상기 전원펄스와 상기 제어용 마이컴측의 전압신호의 양쪽이 발생하였을 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펄스를 형성해서 제어용 마이컴과 서브 마이컴으로 출력하는 전원펄스 발생회로, 제어용 마이컴에 공급되는 전압이 소정값 이하일 때 제어용 마이컴으로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세트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트 회로와 상기 전원펄스 발생회로의 출력을 다이오드를 거쳐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난방기의 운전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과 상기 이상검출수단의 소정 회수 동작하였을 때에 운전 록 플래그를 세트하여 운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운전 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운전 록 플래그는 데이터 리드수단 또는 데이터 라이트 수단에 의해서 전송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록 플래그의 세트 또는 해제를 가능하게 한 운전 록 플래그 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의 제어장치.
KR1019940011830A 1993-06-01 1994-05-30 난방기의 제어장치 KR0137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72893A JP2720756B2 (ja) 1993-06-01 1993-06-01 暖房機の制御装置
JP93-130728 1993-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189A KR950001189A (ko) 1995-01-03
KR0137721B1 true KR0137721B1 (ko) 1998-05-01

Family

ID=1504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830A KR0137721B1 (ko) 1993-06-01 1994-05-30 난방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720756B2 (ko)
KR (1) KR0137721B1 (ko)
CN (1) CN10995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2049B2 (ja) * 2013-05-27 2016-02-03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制御システム
CN110873359B (zh) * 2018-08-31 2022-03-11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控制电路、方法及温控设备
JP7169927B2 (ja) * 2019-03-29 2022-11-11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2347831B1 (ko) * 2020-05-29 2022-01-0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기용 점화기 구동전원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115A (zh) 1995-04-05
CN1099552C (zh) 2003-01-22
JP2720756B2 (ja) 1998-03-04
KR950001189A (ko) 1995-01-03
JPH06341638A (ja) 199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901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measuring and using electric power-off period
US20040063473A1 (en) Power dow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s
KR0137721B1 (ko) 난방기의 제어장치
US7593292B2 (en)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analogue display means and the time counter of a watch
JP3381835B2 (ja) 電子式ガス計量装置
US20080061816A1 (en) Production of Limited Lifetime Devices Achieved Through E-Fuses
JPH08297317A (ja) バッテリーチェック機能付きカメラ
KR100382747B1 (ko) 전자장치
JP2003269848A (ja) 冷蔵庫
US6830371B2 (en) High accuracy timepiece
JP2005283532A (ja) 時計機能付き制御装置
JP2001311786A (ja) Rtc装置
JPH10282265A (ja) 発電機能付電子時計
KR0142657B1 (ko) 공조기기의 시각설정제어장치
JP3888910B2 (ja) ガス温風暖房機
JP3706415B2 (ja) 発電機構付き電子時計
JP2003016568A (ja) メータ制御器
JP2001028085A (ja) ガス漏れ警報器
JP7011545B2 (ja) ガスメータ
JPS5814077A (ja) アナログ電子時計
JP2002181595A (ja) 流量計測装置および流量計測装置用表示ユニット
JPH03260576A (ja) 冷蔵庫の制御装置
JPH0990066A (ja) 発電機構付き電子時計
JP2023057827A (ja) 電子時計
JPH09146140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