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692Y1 - 시동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시동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692Y1
KR0137692Y1 KR2019940032671U KR19940032671U KR0137692Y1 KR 0137692 Y1 KR0137692 Y1 KR 0137692Y1 KR 2019940032671 U KR2019940032671 U KR 2019940032671U KR 19940032671 U KR19940032671 U KR 19940032671U KR 0137692 Y1 KR0137692 Y1 KR 0137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assembly
protrusion
ignition key
cylinder plug
lock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308U (ko
Inventor
유응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2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692Y1/ko
Publication of KR960023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4Casings of cylinder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동키 어셈블리의 용이한 조작을 방해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수개의 핀 텀블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측면 바아가 삽탈될 수 있는 복수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록킹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시동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동키 어셈블리
제1도는 복수개의 핀 텀블리를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시동키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서 도시한 종래의 시동키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측면 바아가 장차되어 있는 실린더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시동키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핀 텀블리에 형성되어 있는 벽감부에 측면 바아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시동키 어셈블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동키 어셈블리 112, 114 : 제2벽감부
140 : 측면 바아 141 :제1돌출부
142 : 제2돌출부 133 : 제1벽감부
본 고안은 복수개의 핀 텀블리를 구비하고 있는 실린더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적절한 열쇠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 플러그가 용이하게 작동되지 않도록 측면 바아를 구비한 시동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동키 어셈블리는 적절한 열쇠의 작동에 의해서 작동되는 시건 장치로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록킹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는 록킹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는 실린더 플러그(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플러그(12)는 복수개의 핀 텀블러(13)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1도에 표시된 선 A-A를 따라서 취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0)는 상기 핀 텀블러(13)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핀 텀블러(13)의 돌출부(15)가 상기 록킹 하우징(11)의 요홈(1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핀 텀블러(13)의 돌출부(15)와 상기 록킹 하우징(11)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잠금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동키 어셈블리(1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핀 텀블러(13)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비트(2)가 형성되어 있는 적절한 열쇠(1)를 상기 실린더 플러그(12)에 형성되어 있는 열쇠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0)에 삽입시키면 사기 복수개의 비트(2)는 상기 스프링(1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핀 텀블러(13)의 내부 형상과 상호 작용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실린더 플러그(12)가 회전되어서,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이 시동키 어셈블리(10)는 핀 텀블러(13)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비트(2)가 형성되어 있는 적절한 열쇠(1)의 작동에 의해서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만 만능 열쇠등 부적절한 열쇠의 작동에 의해서도 상기 핀 텀블러(13)가 작동되어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만능 열쇠등 부적절한 열쇠의 작동에 의해서 용이하게 작동될 수 없는 시동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핀 텀블러의 일측면에 제1벽감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 텀블러와 상기 제1벽감부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 및 이와 마주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면 바아를 구비하는 실린더 플러그와 상기 측면 바아의 제2돌출부에 대응하는 제2벽감부가 형성되어 있는 록킹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키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록팅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 텀블러(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플러그(120)에 내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 텀블리(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플러그(12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측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제1돌출부(141) 및 제2돌출부(142)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면 바아(14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1돌출부(141)에 대응하는 제1벽감부(133)가 상기 핀 텀블러(13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2돌출부(142)에 대응하는 제2벽감부(112)가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핀 텀블러(130)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핀 텀블러(130)의 상돌출부(132)가 상기 록킹 하우징(110)의 상부요홈(111)에 삽입되어서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잠금상태에 유지될 수 있지만 또한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2돌출부(142)가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벽감부(112)에 삽입되어 상호 작용함으로서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00)의 잠금 상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에 있는 시동키 어셈블리(100)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핀텀블리(130)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비트가 형성되어 있는 적절한 열쇠를 삽입시키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핀 텀블리(130)의 상돌출부(131)가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요홈(11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때, 이와 연동하여서 상기 핀 텀블러(13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벽감부(133)는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1돌출부(141)에 일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2돌출부(142)는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벽감부(112)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 플러그(120)는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는 복수개의 제2벽감부(112 및 1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실린더 플러그(120)가 자동차의 시동에 필요하도록 완전히 회전되기 위해서는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2돌출부(142)는 상기 복수개의 벽감부(112 및 114)에 삽입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적절한 열쇠가 삽입되는 경우에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된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시동에 필요한 완전 회전이 가능하지만 부적절한 열쇠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일단 본 고안에 따른 시동키 어셈블리(100)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서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도시되어 있지 않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1돌출부(141)는 상기 핀 텀블러(13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1벽감부(133)로부터 이탈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2돌출부(142)는 상기 상부요홈(111)에 삽입되어서 상호 작용하여 상기 실린더 플러그(120)의 계속적인 회전을 방해한다 즉 상기 시동키 어셈블리(100)는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이 재차 잠금 상태에 유지되어 있는 시동키 어셈블리(100)를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만능 열쇠를 다시 조작하여야 하므로 상기 만능 열쇠를 조작하여서 자동차를 시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시동키 어셈블리는 만능 열쇠등 부적절한 열쇠의 조작에 의해서 용이하게 작동되지 못하도록 측면 바아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에 고정되어 있는 록킹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있는 실린더 플러그(120)와 상기 실린더 플러그(120)에 내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핀 텀블러(130)로 구성되어 있는 시동키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린더 플러그(120)에는 압축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측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고 제1돌출부(141) 및 제2돌출부(142)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측면 바아(14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1돌출부(141)에 대응하는 제1벽감부(133)가 상기 핀 텀블러(13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바아(140)의 제2돌출부(142)에 대응하는 제2벽감부(112)가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키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제2벽감부(112)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키 어셈블리.
KR2019940032671U 1994-12-02 1994-12-02 시동키 어셈블리 KR0137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671U KR0137692Y1 (ko) 1994-12-02 1994-12-02 시동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671U KR0137692Y1 (ko) 1994-12-02 1994-12-02 시동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308U KR960023308U (ko) 1996-07-20
KR0137692Y1 true KR0137692Y1 (ko) 1999-03-20

Family

ID=1940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671U KR0137692Y1 (ko) 1994-12-02 1994-12-02 시동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6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308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46354A (en) Steering column lock
KR0137692Y1 (ko) 시동키 어셈블리
US3866445A (en) Auto ignition lock
KR100974547B1 (ko) 이모빌라이저 시스템의 키 로킹장치
KR100901626B1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장치
JP2881103B2 (ja) シリンダ錠装置
US3806675A (en) Key indicating switch
KR100558621B1 (ko) 차량용 시동키 장치
KR100769702B1 (ko) 모터 싸이클 도난방지용 시건장치
KR100692271B1 (ko) 조향축 잠금장치의 부정 해제 방지장치
KR100452216B1 (ko) 차량의 이그니션록
KR100329067B1 (ko) 자동차용 잠금 장치
KR100890130B1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장치
KR100310455B1 (ko) 자동차의 핸들 잠금 장치
JP2894943B2 (ja) シリンダ錠装置
JPH086513B2 (ja) サイドバーロック装置
KR0160379B1 (ko) 자동차 로크 실린더 열림방지장치
KR200403833Y1 (ko) 모터 싸이클 도난방지용 시건장치
JP3373564B2 (ja) シリンダ錠
KR200272537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열쇠
JPH0321581Y2 (ko)
JPH0332220Y2 (ko)
RU2281867C1 (ru) Выключатель зажиг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противоуго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JPH04231567A (ja) ロック装置
CN101258295A (zh) 防绞防撬锁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