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37B1 -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37B1
KR0137537B1 KR1019940039456A KR19940039456A KR0137537B1 KR 0137537 B1 KR0137537 B1 KR 0137537B1 KR 1019940039456 A KR1019940039456 A KR 1019940039456A KR 19940039456 A KR19940039456 A KR 19940039456A KR 0137537 B1 KR0137537 B1 KR 013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video signal
video
lim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516A (ko
Inventor
김대성
강태익
Original Assignee
정장호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금성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4003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537B1/ko
Publication of KR960028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입력 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할시 시간지연의 발생을 방지하고 클럭의 동기화에 정확성이 제공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변화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배제하고, 클럭신호에 동기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영상재현에 신뢰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구성 불럭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콤보필터부의 상세 구성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차등 루프 필터부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먹스부20 : 콤보필터부
21 : DC 바이어스 회로부22 : 기준전압 공급부
23 : 필터30 : 디코더
40 : 앨리어싱 제거 필터부(Antialiasing filter)
50 : A/D 변환기60 : 전압 평형기
70 : 제1 플립플롭80 : 동기 분리기
90 : NMM(Non Retriggerable Monostable Multivibrator)
100 : 제 2 플립플롭110 : 위상 감지기
120 : 차등루프 필터부130 : 전압 제어발진기
140 : 클럭 분주기150 : 주파수 분배기
본 발명은 영상회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입력 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할시 시간지연의 발생을 방지하고 클럭의 동기화에 정확성이 제공되도록 한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회의 시스템에서는 카메라등으로 부터 인가되는 비디오 영사 인호가 시스템 선택 신호와 함께 멀터플렉싱 된후 콤보회로에 인가되면 콤보회로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후 명암신호와 색신호를 분리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복합하여 비디오 동기 분리기로 입력한다.
이때,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시간지연이 발생하므로 전압제어발진기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과 동기화 시킬때 정확하게 동기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수평동기 및 수직동기등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영상입력 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비디오 신호로 변환할시 발생되는 시간지연을 방지하여 시스템 클럭과의 정확한 동기를 일치시켜 잔상등이 발생하지 않는 선명한 영상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입력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시스템 선택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하나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먹스와, 상기 선택된 비디오 신호에서 명암신호와 색차신호를 분리하는 콤보회로부와, 상기 분리된 명암신호와 색차신호에서 휘도성분과 칼라성분을 분리하는 디코더와, 상기 분리된 휘동성분과 칼라성분에서 필요한 대역의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는 앨리어싱 제거필터부와, 상기 필터링된 휘도성분과 칼라성분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측에 디지탈신호의 변환폭을 조정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압평형기와, 상기 먹스를 통해 선택된 비디오 신호에서 FS 신호와 VS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분리기와, 상기 동기분리기로부터 인가되는 CHS 신호에서 순수한 HS 신호를 추출하는 NMM과, 동기 조정을 위한 소정의 내부클럭을 발생하는 전압제어발진기와, 상기 발생된 내부클럭을 소정의 주기로 분주하는 클럭분주기와, 상기 NMM과 클럭 분주기로 인가되는 신호를 반주기로 형성하는 제 2 플립플롭과, 상기 제 2 플립플롭의 클럭신호에서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 감지기 및 상기 검출되는 클럭신호의 위상에 따라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클럭발생을 제어하는 차등루프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구성 블럭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콤보필터부의 상세 구성도이며,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차등루프 필터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제 1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먹스부(10)와, 콤보필터부(20), 디코더(30), 앨리어싱 제거 필터부(40), A/D 변환기(50), 전압 평형기(60), 제 1 플립플롭(70), 동기 분리기(80), NMM(90), 제 2 플립플롭(100), 위상 감지기(110), 차등루프 필터부(120), 전압 제어발진기(130), 클럭 분주기(140) 및 주파수 배수기(150)로 구성되는데, 믹스부(100는 영상 입력 수단인 카메라등으로 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시스템의 선택신호를 멀터플렉싱하여 하나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한다. 콤보필터부(20)는 먹스부(10)를 통해 선택되어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에서 명암신호와 색차신호를 분리하며, 제 2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트랜지스터(Q1∼Q4)와 저항(R1∼R9)및 콘덴서(C1∼C2)로 이루어지는 DC 바이어스 회로부(21)와, 증폭기(22a)(22b) 및 트랜지스터(Q5)(Q6)로 이루어지는 기준전압 공급부(22) 및, 필터부(23)로 구성된다.
이때, 기준전압 공급부(22)는 선택되어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의 상한값과 하단값을 지정한다. DC 바이어스 회로부(21) 및 주파수 분배기(150)는 선택된 비디오 신호가 기준전압 공급부(22)에서 인가되는 상한값과 하한값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디코더(30)는 콤보필터부(20)로 부터 명암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휘도성분(Y)과 칼라 성분(CB,CR)으로 분리한다. 앨리어싱 제거 필터부(40)는 디코더(30)로 부터 분리되어 인가되는 신호에서 필요한 대역의 주파수 성분만을 필터링한다. 이때, 휘도성분(Y)과 칼라성분(CB),(CR)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각각 구성된다. A/D 변환기(50)는 소정대역의 주파수 성분만으로 추출되어 인가되는 휘도성분(4)과 칼라성분(CB)(CR)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전압 평형기(60)는 A/D 변환기(50)를 통해 변환되는 디지탈 신호의 크기를 결정한다. 동기분리기(80)는 먹스부(10)를 통해 선택된 콤포지트(Composit) 비디오 신호에서 FS 신호(Frams Sync)와 VS 신호(Vertical Sync)를 생성한다. NMM(Non Retriggerable Monostable Multivibrator)는 동기분리기(80)로부터 CHS 신호(Composite Horizontal Sync)를 받아 HS 신호(Horizontal Sync)를 생성한다. 전압제어발진기(130)는 소정의 내부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클럭 분주기(140)는 인가되는 내부클럭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분주한다. 제 2 플립플롭(100)은 NMM(90)으로 인가되는 HS 신호를 분주된 클럭신호에 따라 반주기로 형성하여 출력한다. 위상감지기(110)는 제 2 플립플롭(100)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검출한다. 차등루프 필터부(120)는 첨부된 도면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저항(R11∼R14)과 콘덴서(C11∼R14) 및 비교기(121)로 이루어지며 분주되어 인가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130)의 발진클럭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같은 기능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입력수단으로 부터 먹스부(10)로 인가되는 아나로그 비디오 신호는 시스템 클럭신호와 멀티플렉싱 된후 하나의 비디오 신호가 선택되어 콤보 필터부(20)에 인가되면 콤보필터부(20)는 제 2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기준전압 공급부(22)를 통해 선택된 비디오 신호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설정하며, 주파수 배수기(150)는 3,5795MHz의 fsc(Sub Carrier) 신호를 받아서 4배 체배를 해준 14,318MHz를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선택된 비디오 신호는 DC 바이어스 회로부(21) 통해 기준전압 공급부(22)로 설정된 상한값과 하한값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조정된후 명암신호와 색차신호로 분리되어 디코더(30)에 인가된다. 디코더(30)는 인가되는 명암신호와 색차신호에서 휘도성분(Y)과 칼라성분(Cb)(Cr)으로 분리하여 앨리어싱 제거 피터부(40)에 인가한다. 앨리어싱 제거 필터부(40)의 각각의 필터(41)(42)(43)는 인가되는 휘도성분(Y)과 칼라성분(Cb)(Cr)의 신호에서 앨리어싱을 제거하여 A/D 변환기(50)에 인가한다.
이때, A/D 변환기(50)에는 전압 평형기(60)에서 일정한 상한값과 하한값을 정해주고 휘도성분(Y)과 칼라성분(Cr)(Cb)의 신호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주므로 A/D 변환기(50)의 제 1 변환기(51)는 선택된 비디오 신호에 동기된 클럭으로 6,75MHz로 샘플링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며, 제 2 변환기(52)와 제 3 변환기(53)는 3,375MHz로 샘플링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먹스부(10)로 선택된 비디오 신호는 동기분리부(80)에 인가되어 FS(Frams Sync) 신호 VS(Vertical Sync) 신호 및 CHS(Composite Horizontal Sync) 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된다.
이때, CHS 신호는 NMM(90)에 인가되어 일정한 주기의 클럭신호로 생성하여 제 1 플립플롭(100)에 인가하며, 전압제어발진기(130)는 13.5MHz의 클럭을 생성하여 클럭 분주기(140)를 통해 858배로 분주하여 15,73426KHz의 클럭을 생성하여 제 1 플립플롭(100)에 인가한다. 제 1 플립플롭(100)은 인가되는 두개의 신호를 2분주된 클럭으로 형성하여 위상 감지기(110)에 입력한다.
이때, 차등루프 필터부(120)는 첨부된 도면 제 3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선택된 비디오 신호에서 추출되어 형성된 HS 클럭을 기준으로 전압제어 발진기(130)의 출력신호가 크면 클럭신호가 1.5V를 기준으로 전압이 낮아지고, 낮아진 전압이 전압제어 발진기(130)에 재 입력되면 전압제어 발진기(130)의 출력클럭은 작아진다.
반대로, 전압 제어발진기(130)의 출력클럭이 HS 클럭보다 낮으면 전압이 높아지고 높아진 전압이 전압제어 발진기(130)에 입력되면 출력클럭은 커진다.
이와같이 들어온 비디오 신호에 동기된 클럭은 제 1 플립플롭(70)를 통하여 A/D 변환부(50)의 제 1 변환기(51)에는 6.75MHz가 공급되고 제 2, 제 3 변환기(52)(53)는 3,375MHz가 공급된다.
또한, 동기가 된 클럭과 FS, VS, HS를 시스템으로 공급하며 이 신호를 기준으로 필요한 영상신호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변화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배재하고, 클럭신호에 동기를 정확하게 일치시켜 영상재현에 신뢰성이 제공된다.

Claims (3)

  1. 영상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입력수단으로 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시스템 선택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하나의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는 먹스와, 상기 선택된 비디오 신호에서 명암신호와 색차신호를 분리하는 콤보회로부와, 상기 분리된 명암신호와 색차신호에서 휘도성분과 칼라성분을 분리하는 디코더와, 상기 분리된 휘도성분과 칼라성분에서 필요한 대역의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하는 앨리어싱 제거필터부와, 상기 필터링된 휘도성분과 칼라성분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와, 상기 A/D 변환기측에 디지탈 신호의 변환폭을 조정하는 신호를 공급하는 전압평형기와, 상기 먹스를 통해 선택된 비디오 신호에서 FS 신호와 VS 신호를 추출하는 동기분리기와, 상기 동기분리기로부터 인가되는 CHS 신호에서 순수한 HS 신호를 추출하는 NMM과, 동기 조정을 위한 소정의 내부클럭을 발생하는 전압제어발진기와, 상기 발생된 내부클럭을 소정의 주기로 분주하는 클럭분주기와, 상기 NMM과 클럭 분주기로 인가되는 신호를 반주기로 형성하는 제 2 플립플롭과, 상기 제 2 플립플롭의 클럭신호에서 위상을 검출하는 위상 감지기 및 상기 검출되는 클럭신호의 위상에 따라 상기 전압제어 발진기의 클럭발생을 제어하는 차등루프 필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콤보회로부는 증폭기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선택된 비디오 신호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지정하는 기준전압 공급부와, 상기 선택된 비디오 신호가 상기 기준전압 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상한값과 하한값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DC 바이어스 회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루프 감지부는 상기 NMM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클럭 분지기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KR1019940039456A 1994-12-30 1994-12-30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KR013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456A KR0137537B1 (ko) 1994-12-30 1994-12-30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456A KR0137537B1 (ko) 1994-12-30 1994-12-30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516A KR960028516A (ko) 1996-07-22
KR0137537B1 true KR0137537B1 (ko) 1998-05-15

Family

ID=1940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456A KR0137537B1 (ko) 1994-12-30 1994-12-30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5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516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6206A (en)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analog to digital converter
JPH0591522A (ja) デイジタル発振器及びこれを用いた色副搬送波再生回路
JPH03238973A (ja) 映像重合せ制御回路
US5815212A (en) Video overlay circuit for synchronizing and combining analog and digital signals
JP3304036B2 (ja) ディジタル映像処理装置のクロック発生回路
KR100717236B1 (ko) 영상 신호 처리 회로
KR0137537B1 (ko) 영상회의 시스템의 비디오 신호 변환장치
KR960001759B1 (ko) 반복적인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비데오 장치용 동기회로
JPH11196431A (ja) 2重ループpll回路及びこのpll回路を用いた色復調回路
JP2528948B2 (ja) 映像信号クランプ回路
KR0167997B1 (ko) 시간축 보정을 위한 전처리회로
KR100555455B1 (ko) 동기신호 분리장치 및 방법
KR930004637B1 (ko) 동기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인출하는 장치
JP3118407B2 (ja) ディジタル映像処理装置
KR920001108B1 (ko) 디지탈 텔리비젼에 있어서 주사선 적응형 자동색 조절방식
JPH01175480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589126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色信号処理回路
KR890003767B1 (ko) 동기신호분리 집적회로
KR930002110B1 (ko) 디지탈 영상처리 시스템의 클램프회로
JPH01175481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468871A (ja) Ntsc映像信号の直流再生回路
JPH03158092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1181212A (ja) くし形フイルタ
JPH01175482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9233367A (ja) フィルタ自動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