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483B1 -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483B1
KR0137483B1 KR1019950003816A KR19950003816A KR0137483B1 KR 0137483 B1 KR0137483 B1 KR 0137483B1 KR 1019950003816 A KR1019950003816 A KR 1019950003816A KR 19950003816 A KR19950003816 A KR 19950003816A KR 0137483 B1 KR0137483 B1 KR 0137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ime
stored
ice mak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380A (ko
Inventor
도시유키 시부타니
야스시 다카기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5002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그 고장의 원인규명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기억하도록 구성한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가 고장났을 때에 그 고장의 원인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고장원인을 명확하게 찾아내며, 본 발명의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는 제어회로장치(18)에 의해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며, 또는 그 동작상태가 계속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그리고 상기 판단한 동작상태 및 그 계속시간을 단위동작기억 데이타의 동작데이타부 및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시키며, 또한 동작상태가 변화시마다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전원 오프시에도 기억유지할 수 있는 기억수단에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타를 기억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의 이력이 기억유지되게 되며, 고장발생시에 상기 운전동작의 이력을 출력함으로써 고장의 원인규명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 2 도는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종단측면도,
제 3 도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 5(a) 도, 제 5(b) 도, 제 5(c) 도는 EEPROM에 단위동작기억 데이타를 순차 기억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4 : 제빙실
5 : 냉각기7 : 제빙장치
8 : 급수장치9 : 자동제빙기
11 : 제빙접시13 : 얼음저장용기
18 : 제어회로장치(동작판단수단, 카운트수단, 동작재현수단)
21 : 제빙완료검치센서29 : 콤프레서
33 : EEPROM(기억수단)34 : 단위동작기억 데이타
34a : 동작 데이타부34b : 시간 데이타부
35 : 기억 영역
본 발명은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에 있어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에 그 고장의 원인규명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기억하도록 구성한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에서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아서 콤프레서나 냉기공급용의 팬장치나 냉기공급용의 댐퍼(damper)장치나 성애제거 히터 등을 구동제어함으로써 냉각운전을 실행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자동제빙기를 설치하고, 이 자동제빙기에 의해 얼음저장용기내에 얼음이 가득 되기 까지 자동적으로 얼음을 생성하여 얼음을 저장하도록 한 구성도 있다. 이 자동제빙기의 제빙운전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구성의 냉장고에서는 고장이 생성된 경우에 구비하여 자기점검(self check)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 자기점검 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불량부품이나 불량개소(예를 들면 센서나 성애제거 히터 등)를 특정하며, 또한 제어기판에 설치한 이상검지용 LED를 점등시킴으로써 상기 특정한 불량부품이나 불량개소를 서비스맨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었다. 이것에 의해 서비스맨은 불량부품이나 불량개소가 용이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수리가 쉬운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자기점검 기능에서 특정할 수 없는 불량품이나 불량개소가 있거나, 완전하게는 파괴되어 있지 않지만 저하한 부품이 있거나, 사용자의 사용방법이 매우 나쁘거나, 메이커측에서 상정하고 있지 않은 사용방법이거나 하면 고장원인을 잘 알 수 없는 것이었다. 특히 자동제빙기 부착의 냉장고에서는 자동제빙기에 의해 얼음이 제조되지 않거나 냉장실이나 냉동실내의 냉각이 불충분하다는 클레임(고장)이 발생하는 일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서비스맨이 사용자측에서 원인을 조사해도 잘 알수 없는 것이 많았다. 이 때문에 상기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이 발생한 냉장고를 회수해 와서 메이커의 원인 규명용의 실험실에서 고장의 원인 규명을 실시하는 것이지만 회수하여 온 냉장고는 상기 실혐실에서는 정상으로 동작하며, 고장을 재현할 수 없으며, 결국 원인불명인 채로 되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가 고장났을 때에 그 고장의 원인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원인을 아주 명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자동제빙기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는 제빙실에 설치한 제빙접시에 급수하여 제빙하고, 제빙종료후에 제빙접시에서 이빙시켜 이빙된 얼음을 저빙용기에 저장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제어회로장치를 구비한 자동제빙기부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자옹제빙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판단수단과 상기 동작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트수단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전원오프시에도 기억유지할 수 있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기억수단을 상기 동작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동작상태를 기억하는 동작데이터부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계시된 동작시간을 기억하는 시간데이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데이터와 시간데이터에서 단위동작 기억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가 변화할 때마다 상기 단위동작 기억데이터를 기억하고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의 이력을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의 경위 동일의 동작상태가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타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타의 시간 데이타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고, 그리고 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타의 동작 데이타부에 계속을 시간 데이타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초과한 초과시간을 기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초과한 초과시간을 기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의 동작상태가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의 2배의 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동작데이터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시간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고, 다음의 계속용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동작데이터부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계속용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시간데이터부의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형태가 반복된다.
또한 동일의 동작상태가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데이타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며, 그리고 다음의 단위동작기억데이타의 동작 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초과한 게속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한층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제빙기의 동작을 재현하는 동작재현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 의하면 냉장고의 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중에 있어서는 동작판단수단에 의해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가 판단되며 또한 카운트 수단에 의해 상기 동작상태의 계속시간이 측정되며, 이들 동작상태 및 동작시간은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 및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되고, 그리고 각 데이터를 기억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는 기억수단에 순차 기억되어 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기억수단이 전원 오프시에도 데이터를 기억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독출함으로써 자동제빙기의 실제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새로운 (전원 오프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서 과거에 차례로 거슬러 올라가 필요로 하는 시기 (예를 들면 10시간전 또는 1일전) 까지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독출시키면 10시간전 또는 1일전부터 현재 즉 고장발생시 (전원 오프시) 까지의 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운전동작의 이력을 조사함으로써 자기점검기능으로 특정할 수 없는 불량품이나 불량개소, 또는 완전하게는 파괴되어 있지 않지만 기능이 저하한 부품을 발견하거나, 또한 사용자의 사용방법이 메이커측에서 상정하고 있지 않을 만큼 힘든 사용방법이거나 하는 것을 발견하거나 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게 되며, 고장원인을 용이하고 또한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동일의 동작상태가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며, 또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타부에 최장시간을 기억하고, 그리고 다음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타부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며, 또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타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을 기억하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해 동일의 동작상태가 시간데이타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되어도 그 계속시간을 정확하게 기억가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 동일한 동작상태의 계속시간이 시간데이타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의 2배의 시간보다도 길어지면 상기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계속시간을 표현가능한 갯수만큼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계속시간이 최장시간의 2배의 시간보다도 길어도 상기 계속시간을 기억시킬수 있다.
한편 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데이타부에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계속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시키도록 구성하면 동일의 동작상태가 매우 길게 계속된 경우에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만이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 즉 기억수단의 기억영역이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만으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억수단의 기억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억수단에 기억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제빙기의 동작을 재현하는 동작재현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고장이 발생한 냉장고를 회수하여 온 후, 원인규명용의 실험실에 있어서, 상기 동작재현수단에 의해 냉장고(자동제빙기)의 운전동작의 재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생된 고장을 거의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장이 재현한 상태에서 원인을 조사하면 고장원인을 한층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제 2 도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의 내부에는 냉동실(2), 냉장실(3) 및 제빙실(4)이 형성되어 있으며, 냉각기(5)에 의해 생성된 냉기가 팬장치(6)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각 실내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실(4)내에 제빙장치(7)가 설치되고, 냉장실(3)내에는 급수장치(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빙장치(7) 및 급수장치(8)에 의해 자동제빙기(9)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빙장치(7)의 기구부(10)는 제빙실(40내의 상부 앞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기구부(10)의 뒤쪽에는 제빙접시(11)가 지지틀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구부(10)내에는 제빙접시(11)를 비틀도록 반전동작시켜서 얼음분리동작을 실시하게 하기 위한 얼음분리 모터(12) (제 1 도 참조) 및 감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빙실(4)내의 바닥부에는 분리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저장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빙장치(7)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8)는 냉장실(3)내에 설치된 급수 탱크(14)와, 이 급수 탱크(14)로부터의 물을 받는 물받이 접시(15)와, 이 물받이 접시(15) 내의 물을 흡인하여 급수 파이프(16)를 통하여 제빙접시(11)내로 송출하는 급수 펌프(17)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냉장고의 전기적 구성을 기능 블럭의 조합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 1 도에 있어서, 제어회로장치(18)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냉장고 전체의 냉각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제어회로장치(18)가 동작판단수단 및 카운트수단으로서의 각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회로장치(18)는 냉장고 본체(1)의 냉동실(2)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F실 온도 센서(19), 냉장실(3)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R실 온도센서(20), 자동제빙기(9)의 제빙접시(11)내의 제빙완료를 검지하는 제빙완료검지 센서(21), 자동제빙기(9)의 얼음저장 용기(13)내에 얼음이 가득하게 된 것을 검지하는 얼음저장량 검지센서(22) 및 냉장고 본체(1)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실온 센서(23)로부터의 각 검지신호를 받으며, 또한 냉동실(2)의 온도를 설정하는 냉동실 온도조절기(24), 냉장실(3)의 온도를 설정하는 냉장실 온도조절기(25)로부터의 각 온도설정신호 및 급속냉동 스위치(26)로부터의 스위치 신호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장치(18)는 상기 각 신호 및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자동제빙기(9)의 급수펌프(17), 얼음분리 모터(12), 급수램프(27)를 구동제어하며, 또한 급속냉동표시램프(28), 콤프레서(29), 냉기공급용의 팬장치(6) (C팬장치라도록 한다), 냉기공급용의 덤퍼장치(30), 성애제거모터(31), 기계실내의 콤프레서(29)나 콘덴서 등을 냉각하는 냉각팬(32)을 구동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회로장치(18)는 냉장고본체(1)의 냉각운전을 실행하며, 또한 자동제빙기(9)의 제빙운전을 실행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장치(18)는 기억수단인 예를 들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33)에 데이터를 입력가능하게 되며, 또한 EEPROM(33)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EEPROM(33)은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바꿔 쓰기 가능한 메모리이며, 또한 전원 오프시에도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여기서 제어회로장치(18)는 EEPROM(33)에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표현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제 3 도참조)를 입력하고 기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는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1바이트(8비트)의 정보량(길이)의 데이터이고, 그 상위 4비트를 동작 데이터부(34a)로 하고, 하위 4비트를 시간 데이터부(34b)로 하고 있다. 상기 동작데이타부(34a)에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제빙상태」인 경우 동작데이타부(34a)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3개의 비트를「001」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물끊김상태」인 경우 동작데이타부(34a)의 오른쪽에서 3개의 비트를 「010」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얼음가득한 상태」인 경우 동작 데이터부(34a)의 오른쪽에서 3개의 비트를 011」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동작데이타부(34a)의 오른쪽에서 3개의 비트가「101」인 경우는「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기억설정된 경우이고, 동작데이타부(34a)의 오른쪽에서 3개의 비트가「110」인 경우는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게속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기억설정된 경우이고, 이들 각 식별자에 대해서는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동작데이타부(34a)의 가장 왼쪽끝의 1비트는 급수탱크(14)의 유무의 상태를 기억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1비트가 「1」일 때 급수탱크(14)가 없는 것으로, 「0」인 경우 급수 탱크(14)가 있는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한편 상기 시간데이타부(34b)에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을 측정한 계속시간을 기억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속시간을 예를 들면 30분 단위의 시간수로 표현한 수치가 2진수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간데이타부(34b)의 4비트가 「0000」일 때 계속시간이 30분인 것을 나타내도록 설정하고 있으며, 상기 4비트가 「0001」일 때 계속시간이 1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4비트가「1111」(즉 16진수표시에서는 「F」일 때 계속시간이 8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설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시간 데이터부(34b)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은 본 실시예의 경우 8시간이다. 또한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계속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트 수단은 예를 들면 제어회로장치(18)에 내장된 타이머(마이크로 컴퓨터의 내장 타이머)이다.
또한 EEPROM(33)내에는 상기 단위 동작기억 데이터(34)를 복수개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억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억 영역의 크기는 미리 일정 크기로 결정해 두면 좋고, 또한 수 천 바이트 정도(수 천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기억가능한 크기)여도 좋고,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값이다. 그리고 제어회로장치(18)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변화시 마다에 변화하기 전의 동작상태 및 그 계속시간을 기억시킨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EEPROM(33)의 상기 기억 영역에 차례로 입력하여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변화하는 시점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입력 타이밍이다. 또한 이 경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는 상기 기억 영역에 그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차례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며, 기억 영역의 가장 후미의 어드레스까지 입력된 후에는 다시 한 번 선두 어드레스로부터 반복하여 입력되도록 입력제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최후에 입력된 어드레스 또는 이 때부터 입력하는 어드레스는 EEPROM(33)내의 관리 데이터 영역에 입력하여 기억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영역의 데이터 내용을 출력함으로써 최후에 입력한 어드레스 또는 이 때부터 입력하는 어드레스를 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이 때부터 입력하는 어드레스에 특수 데이터(예를 들면「00」 등)를 입력하여 둠으로써 이때부터 입력하는 어드레스일 것, 또한 그 전의 어드레스가 최후에 입력한 어드레스인 것을 알 수 있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회로장치(18)와 EEPROM(33) 사이는 예를 들면 시리얼 데이터 전송에 의해 데이터를 통신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회로장치(18) (마이크로컴퓨터)의 포트수를 극력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위 마이크로 컴퓨터의 포트수에 여유가 있으면 병렬데이타 전송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제어함으로써 EEPROM(33)의 기억 영역의 크기에 따라서 현재부터 과거에 걸쳐 예를 들면 1주간 분량정도 또는 1년 분량 정도에 상당하는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가 기억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제 4 도 및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4 도는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을 제빙완료검지 센서(21)의 의한 검지온도와 함께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제 4 도에 있어서 시각t1에서 급수펌프(17)를 구동함으로써 제빙접시(11)내에 급수를 실시했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이 이후 통상은 약 2시간으로 제빙이 완료한다. 이 제빙진행중에 있어서는 제어회로장치(18)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로서 「제빙상태 」가 계속되는 시간을 내장 타이머에 의해 측정하고 있다. 그리고 시각t2에서 제빙완료를 검지하면 얼음분리 모터(12)를 구동함으로써 얼음분리 동작이 실시된다. 이 얼음분리동작이 완료되면 계속해서 급수 펌프(17)를 구동함으로써 제빙접시(11)내에 다시 한 번 급수가 실시되고, 이하 제빙동작(제빙 사이클)이 다시한번 반복된다.
여기서 시각t2에 있어서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제어회로장치(18)는 시각(t2)이전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으로서 「제빙상태」가 2시간 계속된 것을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에 기억시키고, 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EEPROM(33)의 기억 영역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빙상태」가 2시간 계속된 것을 표현하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내용은 제 5(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EPROM(33)의 기억영역(35)의 선두 어드레스에 입력한다.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5a)(「13」) 중 왼쪽의 숫자「1」은 「제빙상태」인 것을, 또한 오른쪽의 숫자「3」은「2시간」인 것을 각각 16진수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시각t2후 제빙동작이 진행하고 있을 때는 제어회로장치(18)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로서「제빙상태가」가 계속되는 시간을 내장 타이머에 의해 측정하고 있다. 그리고 약 2시간이 경과하여 시각t3에서 제빙완료를 검지하면 얼음분리동작이 실시되며, 이것에 계속하여 제빙접시(11)내에 급수가 실시되고, 이하 제빙동작(제빙 사이클)이 다시한번 반복된다. 그리고 시각t3에 있어서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제어회로장치(18)는 시각t3이전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으로서 「제빙상태」가 2시간 계속된 것을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에 기억시키고, 이 단위 동작기억 데이터(34)(「13」)를 EEPROM(33)의 기억 영역(35)의 2번째의 어드레스에 제 5(a) 도에 나타낸 것처럼 입력한다.
그런데 시각t3에서 약 2시간이 경과하여 시각t4에 있어서 재빙완료를 검지한 경우에 얼음저장용기(13)가 얼음으로 가득 찼다고 하면 이 경우는 얼음 분리 동작이 실시되지 않는다. 즉 시각t4에서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는 「제빙상태」에서 「얼음이 가득찬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t4에 있어서 제어회로장치(18)는 시각t4이전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으로서「제빙상태」가 2시간 게속된 것을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에 기억시키고, 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13」)를 EEPROM(33)의 기억 영역(35)의 3번째의 어드레스에 제 5(a) 도에 나타내도록 입력된다. 그리고 동시에 제어회로장치(18)는 시각t4이후 「얼음이 가득찬 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후 예를 들면 약 5시간이 경과한 시각t5에 있어서 얼음저장용기(13)에서 얼음이 꺼내어 가득찬 상태가 되지 않게 하면 얼음분리동작이 실시되고, 이에 계속하여 제빙접시(11)내에 급수가 실시되며, 이하 제빙동작(제빙사이클)이 실시된다. 이 경우 시각t5에 있어서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제어회로장치(18)는 시각t5이전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으로「얼음이 가득찬 상태」가 5시간 계속된 것을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에 기억시키고, 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39」)를 EEPROM(33)의 기억 영역(35)의 4번째의 어드레스에 제5(a)도에 나타낸 것처럼 입력한다.
이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이 진행되고, 그 동작상태가 변화시 마다 즉시각 t6,t7, …에 있어서 각 시각 이전의 동작상태 및 그 계속시간을 나타내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EEPROM(33)의 기억 영역(35)에 차례로 입력하여 기억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제 5(a)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EPROM(33)의 기억 영역(35)에 차례로 입력해 둔다.
다음에 제빙완료하기까지에 필요한 시간, 즉 제빙상태의 계속시간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 데이터부(34b)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인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 4 도에 있어서 왼쪽에서 3번째의 제빙동작(제빙 사이클)이 어떤 원인으로 예를 들면 18시간 걸렸다고 한다. 이 경우 시각(t4)에 있어서 제어회로장치(18)는 시각t4이전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으로서 「제빙상태」가 18시간 계속된 것을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에 기억시키는 것이지만,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 데이터부(34b)에 기억 가능한 최장시간이 8시간이기 때문에 1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로는 상기 제빙상태를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우선 1개째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동작 데이터부(34a)에 「제빙상태」(16진수로 「1」로 표시)를 기억시키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 데이터부(34b)에 8시간(16진수로「F」로 표시)을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1개째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데이터내용은 「1F」가 된다. 계속하여 2개째(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동작데이타부(34a)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 즉 16진수 표시로「5」를 기억시키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데이타부(34b)에 초과시간, 이 경우 초과시간이 아직 10시간이기 때문에 그 중 8시간(16진수로「F」로 표시)을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2개째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데이터내용은「5F」가 된다. 그리고 3개째(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동작데이타부(34a)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 즉 16진수 표시로「5」를 기억시키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 데이터부(34b)에 나머지의 초과시간, 이 경우 2시간을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3개째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데이타 내용은「53」이 된다.
이렇게 하여 제어회로장치(18)는 상기 3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16진법 표시로「1F」,「5F」「53」)를 EEPROM(33)의 기억 영역(35)의 3번째, 4번째, 5번째의 어드레스에 제 5(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하여 기억시킨다. 또한 계속시간이 더 긴 경우에는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필요한 만큼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사익 실시예에서는 「제빙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는데 다른 동작상태가 계속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필요한 만큼 게속하여 실시하도록 하면 좋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작상태가 8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필요한 만큼 계속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것을 대신하여 2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이용하여 동작상태가 8시간 이상 게속된 것을 표현하는 것만으로 하고, 계속시간(8시간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의 구체값을 기억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빙상태가 8시간 이상 계속된 경우, 예를 들면 1개째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동작 데이터부(34a)에 「제빙상태」를 기억시키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 데이터부(34b)에 최장시간인 8시간을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1개째의 단위동작기억 에이타(34)의 데이터 내용은 16진수 표시로「1F」가 된다. 계속해서 2개째(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동작 데이터부(34a)에 「최장시간(8시간)을 초과하는 계속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 즉 16진수 표시로「6」을 기억시키며, 또한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시간 데이터부(34b)에 예를 들면「0」을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2개째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의 데이터내용은「60」이 된다. 그리고 제어회로장치(18)는 상기 2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 (「1F」,「60」)을 EEPROM(33)의 기억 영역(35)의 3번째, 4번째의 어드레스에 제 5(c)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하여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입력하여 기억시킴으로써 계속시간이 매우 긴 경우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만이 계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EEPROM(33)의 기억 영역(35)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제빙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 대해서 서술했는데 다른 동작상태가 계속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2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이용하여 동작상태가 8시간 이상 계속된 것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자동제빙기(9)의 동작상태로서 3가지 상태(모드)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ㅎ는데, 필요에 따라서 4가지 이상의 상태를 적절하게 설정하며, 각 상태에 대해서 각각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각 동작상태 및 계속시간을 기억하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34)를 EEPROM(19)에 입력하여 기억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의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가 고장난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맨을 부르면 서비스맨은 자기점검기능을 동작시킴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불량부품이나 불량개소(예를 들면 센서나 성애제거 모터 등)를 찾아낼 수 있으며, 또한 제어기판에 설치한 이상알림용(LED)을 점등시켜 상기 찾아낸 불량부품이나 불량개소를 인식할 수 있으며, 불량부품 등을 교환함으로써 고장을 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점검 기능에서 찾아낼 수 없는 불량부품이나 불량개소가 있거나 완전하게는 파괴되고 있지 않지만 기능이 저하한 부품이 있거나, 사용자의 사용방법이 매우 어렵거나, 메이커측에서 상정하고 있지 않은 사용방법이거나 하면 자기점검 기능을 동작시켜도 아무런 이상도 발견할 수 없으며, 또한 냉각운전도 언뜻 보기에는 정상으로 실시해 버리기 때문에 서비스맨은 고장원인을 거의 알 수 없고, 수리할 수도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또 그 냉장고를 계속 사용하면, 역시 자동제빙기(9)에서 얼음이 제조되지 않는다든가, 냉장실(3)이나 냉동실(2)내의 냉각이 불충분하다는 고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난 냉장고를 회수해 와서 원인규명용의 실험실에서 고장의 원인규명을 실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EEPROM(33)의 기억 영역(350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특별하게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자동제빙기(9)의 실제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알 수 있다. 즉 가장 새로운 (전원 오프시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서 과거로 차례로 올라가 필요로 하는 시기(예를 들면 10시간전 또는 1일전)까지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출력하면 10시간전 또는 1일전부터 현재 즉 고장발생시(전원 오프시)까지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운전동작의 이력을 조사함으로써 자기 점검 기능으로 찾아낼 수 없는 불량품이나 불량개소, 또는 완전하게 파괴되어 있지 않은 기능이 저하한 부품을 발견하거나, 또한 사용자의 사용방법이 메이커측에서 상정하고 있지 않을 만큼 어려운 사용방법이거나 하는 것을 발견하거나 하는 것이 불충분하게 되고, 고장원인을 용이하고도 또한 명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EEPROM(33)에 기억된 데이터(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장고(자동제빙기(9))의 각종 부하를 구동제어함으로써 10시간전 또는 1일전부터 현재 즉 고장발생시(전원 오프시)까지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을 재현시키는 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의 제어기판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회로장치(18)에 의해 상기 재현운전을 실행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기판에 재현운전개시용의 파라미터를 지정입력하기 위한 입력 스위치 등을 설치하고, 또한 재현운전을 위해서 필요한 제어프로그램을 제어회로장치(18)에 미리 기억시켜 두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입력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제어회로장치(18)는 EEPROM(33)에 기억된 데이터(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현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회로장치(18)가 동작재현수단의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결과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이 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측에서 발생한 고장을 거의 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장이 재현된 상태에서 그 원인을 조사하면 고장원인을 명확하게 찾아낼 수 있고, 그 대책 및 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본체(1)의 제어회로장치(18)에 의해 재현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것을 대신하여 장치 예를 들면 퍼스날 컴퓨터에 의해 EEPROM(33)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재현운전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회수하여 온 냉장고에서 제어기판을 떼어내어 상기 제어기판에 장착되어 있는 EEPROM(33)을, 외부의 퍼스날 컴퓨터에서 EEPROM(33)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 즉 기억 영역(35)내에 기억되어 있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거나 프린터에 의해 인쇄하거나 하여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10시간전 또는 1일전에서 현재 즉 고장발생시(전원 오프시)까지의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의 이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퍼스날 컴퓨터는 냉장고의 제어기판이 갖는 기능을 모두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기판을 떼어낸 냉장고의 각종 센서나 각종부하를 모두 상기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각종 센서로 부터의 각검지신호를 입력하며, 또한 각종 부하를 구동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퍼스널 컴퓨터가 동작재현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회수된 냉장고의 냉각운전동작을 재현하는 경우 원인규명하는 사람의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10시간전 또는 1일전인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재현운전개새의 파라미터)를 지정하여 냉각운전동작의 재현운전을 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지정된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시간(또는 날짜)만큼 2전부터 냉장고(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이 재현된다.
이 경우 퍼스날 컴퓨터는 EEPROM(33)에 기억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 출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장고(자동제빙기(9))의 각종부하를 강제적으로 구동제어함으로써 재현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동제빙기(9)의 운전동작을 재현시킴으로써 발생한 고장을 거의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이 재현된 상태에서 그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장원인을 명확하게 찾아낼 수 있으며 그 대책 및 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운전 데이터를 EEPROM(33)에 입력하여 기억유지시킨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원 오프시에 기억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는 기억수단 예를 들면 IC 메모리나 플로피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나 전원 백업 부착 RAM 등에 입력하여 기억유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한 바와 같이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판단수단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동작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카운트수단을 구비하며,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전원 오프시에도 기억유지할 수 있는 기억수단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동작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동작상태를 기억하는 동작 데이터부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측정된 동작시간을 기억하는 시간 데이터부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가 고장났을 때에 그 고장의 원인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고장원인을 극력 명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동일의 동작상태를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최장시간을 기억하고, 그리고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며, 또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을 기억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동이ㄹ 동작상태가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 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되어도 그 계속 시간을 정확하고도 또한 확실하게 기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동작상태의 계속시간이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의 2배의 시간보다도 길어지면 상기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를 계속시간을 표현가능한 갯수만큼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계속시간이 최장시간의 2배의 시간보다도 길어도 상기 계속시간을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계속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동일한 동작상태가 매우 길게 계속된 경우에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만이 연속되어 설치되는 것, 즉 기억수단의 기억영역이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로만 기록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억수단의 기억영역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억수단에 기억된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제빙기의 동작을 재현하는 동작재현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한 냉장고를 회수하여 온 후 상기 동작재현수단에 의해 냉장고(자동제빙기)의 운전조작의 재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발생한 고장을 거의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장이 재현한 상태에서 원인을 조사하면 고장원인을 한층 명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Claims (5)

  1. 제조실에 설치한 제빙접시에 급수하여 제빙하고, 제빙종료 후에 제빙접시에서 이빙시켜 이빙된 얼음을 저빙용기에 저장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제어회로장치를 구비한 자동제빙기부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동작판단수단과, 상기 동작상태가 계속되는 시간을 계시하는 카운트수단과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를 전원오프시에도 기억유지할 수 있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동작판단수단에 의해 판단된 동작상태를 기억하는 동작데이터부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계시된 동작시간을 기억하는 시간데이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작데이터와 시간데이터에서 단위동작 기억데이터를 기억하고 자동제빙기의 동작상태의 이력을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동작상태가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타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며,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데이타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고, 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며, 상기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타의 시간 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초과시간을 기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동일한 동작상태가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의 2배 이상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동작데이터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시간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고, 다음의 계속용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동작데이터부에 계속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계속용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의 시간데이터부의 상기 최장기간을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형태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동작상태가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터부에 기억가능한 최장시간보다도 길게 계속된 경우에는,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데이타부에 상기 동작상태를 기억하며, 상기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시간 데이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기억하며, 다음의 계속용의 단위동작기억 데이터의 동작 데이터부에 상기 최장시간을 초과하는 계속시간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기억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장치는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단위동작 기억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제빙기의 동작을 재현하는 동작재현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기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KR1019950003816A 1994-02-28 1995-02-27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KR0137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0576A JP3017915B2 (ja) 1994-02-28 1994-02-28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の動作記憶装置
JP94-030576 1994-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380A KR950025380A (ko) 1995-09-15
KR0137483B1 true KR0137483B1 (ko) 1998-07-01

Family

ID=1230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816A KR0137483B1 (ko) 1994-02-28 1995-02-27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17915B2 (ko)
KR (1) KR0137483B1 (ko)
CN (1) CN1079529C (ko)
TW (1) TW39216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89B1 (ko) * 2000-11-01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02881A (ko) * 2010-07-01 2012-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8966B2 (ja) * 2001-03-06 2011-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停電時及び復電時のデータ処理方法
DE102010049856B4 (de) 2010-10-27 2016-08-18 Fujitsu Technology Solutions Intellectual Property Gmbh Regelschaltung und Verfahren zur Drehzahlregelung,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und Programmco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289B1 (ko) * 2000-11-01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02881A (ko) * 2010-07-01 2012-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용 절전 장치 및 제빙기의 절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529C (zh) 2002-02-20
TW392162B (en) 2000-06-01
JPH07239165A (ja) 1995-09-12
JP3017915B2 (ja) 2000-03-13
CN1114739A (zh) 1996-01-10
KR950025380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028B1 (ko) 냉장고의 운전 제어방법
US4909039A (en) Ice maker of refrigerators and method of detecting water unsupplied condition of an ice tray of the ice maker
US20130098083A1 (en) Refrigerator
US5163300A (en) Temperature-responsive controller for regulating ice production in a refrigerator unit
KR0137483B1 (ko) 자동제빙기 부착 냉장고의 동작기억장치
KR20170109844A (ko) 냉장고 정상 작동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H08271110A (ja) 冷蔵庫の動作記憶装置
KR101253144B1 (ko) 건조기 및 그 건조시간 제어방법
US20110219796A1 (en) Refrigerating appliance
JP2008304155A (ja)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H07104840A (ja) 冷蔵庫の動作再現装置
JP2000158665A5 (ko)
JP2013024445A (ja) 冷蔵庫
KR19980030889A (ko)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급수기 제어장치
KR100215073B1 (ko) 제빙기의 초기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1101492A (ja) 自動販売機制御装置
KR10057741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11664625A (zh) 冰箱
KR101622728B1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JP2001033130A (ja) 製氷機における管理装置
JPH10246674A (ja) 温度記録装置
KR20000008061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냉장고의 자기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930003989B1 (ko) 차량용 냉동실내 온도의 저장 및 출력장치
JP3226016B2 (ja) 冷凍車両の庫内温度収集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庫内温度履歴収集装置
KR0130054B1 (ko) 식품의 장기보관 경보기능이 구비된 냉장고 구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