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378Y1 -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378Y1
KR0137378Y1 KR2019950055101U KR19950055101U KR0137378Y1 KR 0137378 Y1 KR0137378 Y1 KR 0137378Y1 KR 2019950055101 U KR2019950055101 U KR 2019950055101U KR 19950055101 U KR19950055101 U KR 19950055101U KR 0137378 Y1 KR0137378 Y1 KR 0137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failure
microprocessor
power supply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5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258U (ko
Inventor
김범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55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378Y1/ko
Publication of KR970046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15Redundant power suppl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5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ersistent mass storage functionality or persistent mass storage control functionality is redundant
    • G06F11/2094Redundant storage or storage sp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1Resetting or repow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을 입력받아 전압강하 및 점류를 하여 동작전원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의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이 단자 보호용 저항을 거쳐서는 정전감지 단자로 입력받으면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를 거쳐서는 전원단자로 동작전원을 입력받아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충전시켰다가 정전시 방전하는 백업용 전원발생기들로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고, 정전이 되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백업용 전원발생기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입력받으면서 마지막 동작에 따른 정보를 EEPROM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EEPROM의 정보에 따라 정전 직전의 상태로 환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키이 입력부 17 : 전원공급부
19 : 다이오드 20 : 저항
21 : 백업용 전원발생기
본 고안은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LDP(Laser Disc Player)나 CDP(Compact Disc Player)와 같은 광기기 제품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받은 상태에서 동작하는 중에 정전 등의 이유로 전원의 공급이 갑자기 차단될 때 정정되기 직전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기억하여 정전의 복구후에 정전 직전의 상태의 복귀하도록 한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DP나 CDP는 컴팩트 디스크에 디지탈의 형태로 노래의 가사에 해당하는 문자정보와, 영상에 해당하는 화상정보 등을 기록한 상태에서 광픽업장치에 의해 미세하게 기록된 디지탈의 정보를 정확히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컴팩트 디스크에 형성된 미세한 유,무에 따라 0과 '1의 디지탈 형태인 정보를 정확하게 읽어내기 위하여서는 컴팩트 디스크에 빛을 발산하고, 발산되어 입사되는 상태를 인식하는 광픽업장치가 정확하게 동작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LDP나 CDP의 키이 입력부에 열기/닫기키이, 셔치(Search)키이, 반복키이, 일시정지키이, 스킵(Skip)키이, 메모리키이, 재생키이 및 트랙인덱스 키이들을 구비하여 컴팩트 디스크의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선택 사양을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하고, 이들 선택사양을 입력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저장된 선택사양의 우선순위 및/또는 입력순서에 따라 광픽업장치를 비롯한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필요한 내부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사용하여 데이타의 기록 및 득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LDP나 CDP의 메모리장치에 의하여서는 RAM이 전원에 공급되는 중에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저장된 정보가 모두 소멸되는 상태가 되므로 LDP나 CDP를 사용하는 중에 정전 등의 이유로 전원의 공급이 얼마동안 차단되었다가 금방 다시 공급되어도 사용자가 입력시킨 선택사양이 소멸된 상태이므로 초기의 모드에서 다시 입력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라스트 메모리 선택키이를 키이입력부에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자에 의해 라스트 메모리 선택키이가 온되면 현재 작동중인 마지막 상태와 이에 따른 데이타를 EEPROM 등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읽어들이도록 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스트 메모리 장치에 의하여서는 사용자가 라스트 메모리 선택키이를 온시켜야만 라스트 메모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므로, 순간적인 정전등으로 인해 갑자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라스트 메모리 선택키이가 온되지 않은 상태가 되어 라스트 메모리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LDP나 CDP를 사용하는 중에 순간적인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가 입력시킨 선택사양과 마지막 동작상태를 인지하였다가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정전 바로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한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을 입력받아 전압강하 및 점류를 하여 동작전원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의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이 단자 보호용 저항을 거쳐서는 정전감지 단자로 입력받으면서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를 거쳐서는 전원단자로 동작전원을 입력받아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충전시켰다가 정전시 방전하는 백업용 전원발생기들로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고, 정전이 되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백업용 전원발생기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입력받으면서 마지막 동작에 따른 정보를 EEPROM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EEPROM의 정보에 따라 정전 직전의 상태로 환원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전원키이, 열기/닫기키이, 셔치(Search)키이, 반복키이, 일시정지키이, 스킵(Skip)키이, 메모리키이, 재생키이, 트렉 인덱스(Track Index)키이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선택사양을 입력받는 키이 입력부(1)와, 상기 키이 입력부(1)를 통한 정보와 내부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으면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를 받으면서 모터(4)를 가동시키면서 턴테이블(5)을 회전시켜 그 위에 얹혀진 컴팩트 디스크(6)도 같이 회전하도록 하는 모터 구동기(3)와, 상기 컴팩트 디스크(6)의 회전에 따라 이의 트랙이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광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상태로 인식하면서 읽어내는 픽업유니트(7)와, 상기 픽업유니트(7)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를 증폭시켜 정확한 0이나 1의 값을 갖는 디지탈 신호로 출력하는 증폭기(8)와, 상기의 증폭기(8)에서 증폭된 디지탈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 전달하여 픽업유니트(7)의 포커스 및/또는 트랙킹 상태에 따라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포커스/트랙킹 제어기(9)와, 상기 포커스/트랙킹 제어기(9)를 통한 포커스 제어신호 및 트랙킹 제어신호에 의해 컴팩트 디스크(6)의 면을 따라 이송되는 픽업유니트(7)의 포커스 및 트랙킹을 제어하는 액츄레이터(10)와, 상기의 포커스/트랙킹 제어기(9)에 의해 정확한 포커스 및 트랙킹이 행하여진 상태에서 읽혀진 신호를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부터 입력받아 신호처리하여 음성의 디지탈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탈신호 처리기(11)와, 상기 디지탈 신호처리기(11)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디지탈 신호를 음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와, 상기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4),(15)를 통해 외부에서 음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증폭기(1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제어를 받으면서 사용자의 선택사양과 내부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트론(16)과, 외부로부터 AC코오드(18)를 통해 입력되는 AC전원을 전압강하 및 정류를 하여 정격의 동작전원으로 변환시켜 역류방지용 다이오드(19)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전원단자(VDD)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와, 상기의 전원공급부(17)에서 단자 보호용 저항(20)을 거쳐 정전감지단자(IN)가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 다이오드(19)를 거친 동작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백업용 전원 발생기(21)들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는 사용자가 LDP 또는 CDP를 이용하기 위해 키이 입력부(1)의 전원키이, 열기/닫기키이, 셔치키이, 스킵키이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시키면서 컴팩트 디스크를 턴테이블(5)에 얹혀지도록 하면, 전원공급부(17)를 통하여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라 재생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는 모터구동기(3)를 통해 모터(4)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턴테이블(5)을 회전시키도록 구동시키고, 턴테이블(5)이 회전함에 따라 픽업유니트(7)는 턴테이블(5)의 상면에 얹혀진 채 같이 회전하는 컴팩트 디스크(6)에 기록된 디지탈 신호를 읽어내어 증폭기(8)에 증폭되도록 한다.
상기의 증폭기(8)에서 증폭된 신호는 포커스/트랙킹 제어기(9)를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 전달되어 액츄레이터(10)를 제어하면서 포커스 및 트랙킹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정확한 포커스 및 트랙킹이 수행된 상태에서 읽혀진 디지탈 신호는 디지탈 신호처리기(11)에서 신호처리되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증폭기(13)에서 증폭되어 스피커(14),(15)를 통해 음으로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라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전원공급부(17)를 통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H상태의 신호가 입력되던 정전감지단자(IN)로 L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2)에서 순간적인 정전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정전 상태임을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로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19)로 인해 다른 부품으로는 공급되지 않는 백업용 전원발생기(21)의 충전전원을 계속 공급받으면서 동작과정과 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른 정보를 내부의 EEPROM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읽어내어 정전전의 동작상태로 환원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는 LDP 또는 CDP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공급되는 전원이 정전 감지 단자로도 인가되도록 하여 정전의 여부를 인식하도록 하고, 정전시 백업용 전원발생기(21)로부터의 충전전압으로 정전시의 동작과정과 선택사양에 따른 정보를 EEPROM에 저장하였다가 정상적인 전원공급시 정전 당시의 상태로 환원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외부로부터의 AC전원을 입력받아 전압강하 및 정류를 하여 역류방지용 다이오드(19)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2)의 전원단자(VDD)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와, 상기 전원공급부(17)에 단자 보호용 저항(20)을 거쳐 정전 감지 단자(IN)에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2)와, 상기의 역류방지용 다이오드(19)를 거쳐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정전시 방전시켜 공급하는 백업용 전원발생기(21)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KR2019950055101U 1995-12-30 1995-12-30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KR0137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101U KR0137378Y1 (ko) 1995-12-30 1995-12-30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101U KR0137378Y1 (ko) 1995-12-30 1995-12-30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58U KR970046258U (ko) 1997-07-31
KR0137378Y1 true KR0137378Y1 (ko) 1999-04-01

Family

ID=1944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5101U KR0137378Y1 (ko) 1995-12-30 1995-12-30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3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25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092B1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0137378Y1 (ko) 정전 보상용 라스트 메모리 장치
JP3378826B2 (ja) 信号記録装置
JPH05266645A (ja) 再生装置
US6925341B1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30001366B1 (ko) 콤팩트 디스크플레이어에서의 마지막곡 인식방법 및 그 장치
JPS6122399A (ja) 録音再生方式
JP3932727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並びに電源装置
KR0177724B1 (ko) 시디피의 이에스피 자동전환장치 및 그 방법
JP3473747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09408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포커스 서치 장치
JPS5992482A (ja) 音声記録カ−ド
JPS6089836A (ja) デイスクレコ−ド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制御回路
JPH0762950B2 (ja) コンパクトデイスクプレイヤ
KR20010051505A (ko) 광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레이저 출력 제어
JPH0981524A (ja) 携帯型電子機器
KR960006338B1 (ko) 컴팩트디스크 플레이어의 제어장치
JP2007129857A (ja) 判別装置、充電装置、充電システム、電子機器、判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63092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970071508A (ko)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컴팩트디스크 에러트랙 점프방법 및 그 장치
JP2594201B2 (ja) ポータブル型電子機器の動作制御回路
JP406135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131803A (ja) 音響再生装置
JPS6289238A (ja) フオ−カスサ−ボ回路
JPH07282484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の信号記録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