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39Y1 -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39Y1
KR0136539Y1 KR2019960047323U KR19960047323U KR0136539Y1 KR 0136539 Y1 KR0136539 Y1 KR 0136539Y1 KR 2019960047323 U KR2019960047323 U KR 2019960047323U KR 19960047323 U KR19960047323 U KR 19960047323U KR 0136539 Y1 KR0136539 Y1 KR 0136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bag
panel
lever bracket
brake
das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381U (ko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7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53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4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엔진의 대쉬패널상에 설치되는 하이드로백과 대쉬패널에 체결되며 레그 룸에 설치되어 브레이크를 지지하는 레버 브라켓의 조립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시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드럼에 형성된 라이닝에 유압을 압송하는 하이드로백과, 상기 하이드로백을 고정 지지하는 소정너비를 가지며 그 양단에 볼트체결구가 형성된 패널과, 브레이크 패달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브라켓을 상기 패널을 사이에 두고 하이드로백과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게 하여 대쉬패널 상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어 작업공수를 줄이며, 하이드로백의 작동을 및 체결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조립한후 불량이 확인이 되어 재조립에 의한 작업로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레그 룸(leg room)에 설치되는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대쉬패널상에 설치되는 하이드로백과 대쉬패널에 체결되며 레그 룸에 설치되어 브레이크를 지지하는 레버 브라켓의 조립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시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는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움직임을 저지하도록 브레이크가 채용되며 이러한 브레이크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실내의 레그 룸(leg room)에 위치한 브레이크 패달(12)이 대쉬패널(10)상에 형성된 레버 브라켓(20)에 힌진 연결되어 회동되면서 브레이크 패달(12)의 회전축 단부에 형성된 압입링크(14)에 의해 하이드로백(30)을 가압함으로 하이드로백이(30) 유압을 마스터실린더(32)의 브레이크 유압을 증가시켜 브레이크 드럼내에 형성된 브레이크 라이닝을 밀어 브레이크 드럼과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자동차의 구동을 저지한다.
한편,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의 조립구성은 대쉬패널(10)상에 형성된 조립홀(11)에 하이드로백(30)의 조립볼트(31)를 대쉬패널(10) 조립홀(11)에 삽입한후 레그 룸으로 돌출된 조립볼트(31)에 레버 브라켓(20)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한 후에 너트(23)로 조여 하이드로백(30)과 레버 브라켓(20)을 결합시키고, 레버 브라켓(20)에 형성된 힌지축에 브레이크 패달(12)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그 단부에 압입링크(14)를 하이드로백(30)에 연결시켜 브레이크 패달(12)을 밟으면 레버 브라켓(20)에 형성된 힌지축을 축으로 하이드로백에서 유압을 일으키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립공정은 대쉬패널상에 하이드로백 및 레버 브라켓과 브레이크 패달을 순차적으로 조립해야 함으로 작업자 한사람이 마스터실린더를 엔진룸으로부터 잡고 또 다른 작업자가 레버 브라켓을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많으며 일일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라인중에 작업로스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만에 하나 오조립이 발생할 경우 자동차의 구성중 가장 중요한 브레이크가 듣지 않게 됨으로 자동차의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요지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A/S 교환 때에도 일일이 분리해야 함으로 작업소요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브레이크를 이루는 구성요소중 하이드로백, 데쉬패널, 레버 브라켓을 일체로 구성하여 오조립에 의한 결함이 발생할 경우 전체적으로 그 교환을 한번에 교환 가능하도록 하며, 조립공정시 여러번의 공정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크 드럼에 형성된 라이닝에 유압을 압송하는 하이드로백과, 상기 하이드로백을 고정 지지하는 소정 너비의 그 양단에는 볼트체결구가 형성된 패널과, 브레이크 패달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브라켓을 상기 패널을 사이에 두고 하이드로백과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레이크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쉬패널, 12 : 브레이크 패달
20 : 레버 브라켓, 30 : 하이드로백
32 : 마스터실린더, 40 : 패널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서, 동 도면에서 도 1 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호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에 형성된 라이닝에 유압을 압송하는 하이드로백(30)과, 상기 하이드로백(30)을 고정 지지하는 소정 너비를 가지며 그 양단에 볼트체결구(42)가 형성된 패널(40)과, 브레이크 패달(1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브라켓(20)을 상기 패널(40)을 사이에 두고 하이드로백(30)과 연결되게 일체로 구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체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대쉬패널을 종래와는 달리 소정 크기를 갖는 홀(8)을 형성해야 하며, 그 크기는 하이드로백(30)이 통과 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르면, 레버 브라켓(20)과 하이드로백(30)이 일체로 구성되여진 조립체를 대쉬패널상(14)에 형성된 홀(8)에 정립시키고 대쉬패널(10)상에 형성된 볼트 조립홀(11)과 조립체의 패널(40)에 형성된 볼트체결구(42)을 맞추어 볼트로 체결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의 하이드로백과 레버 브라켓을 일체로 구성하여 데쉬패널에 장착하기 때문에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하이드로백의 작동을 및
체결상태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종래에 조립한후 불량이 확인이 되어 재조립에 의한 작업로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브레이크 드럼에 형성된 라이닝에 유압을 압송하는 하이드로백(30)과, 상기 하이드로백(30)을 고정 지지하는 소정 너비를 가지며 그 양단에 볼트체결구(42)가 형성된 패널(40)과, 브레이크 패달(1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브라켓(20)을 상기 패널(40)을 사이에 두고 하이드로백(30)과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KR2019960047323U 1996-12-10 1996-12-10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KR0136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323U KR0136539Y1 (ko) 1996-12-10 1996-12-10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323U KR0136539Y1 (ko) 1996-12-10 1996-12-10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381U KR19980034381U (ko) 1998-09-15
KR0136539Y1 true KR0136539Y1 (ko) 1999-03-20

Family

ID=1947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323U KR0136539Y1 (ko) 1996-12-10 1996-12-10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5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381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16708A (en) Keyhole slot attachment
JP4023185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ブラケットとステアリングギヤとの組み付け
JP3942682B2 (ja) テンショナレバーの枢支構造
US4835428A (en) Setting device for vehicle generator
KR0136539Y1 (ko) 레버브라켓과 하이드로백의 일체형 조립구조
US5865067A (en) Pedal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a pedal in an automotive vehicle
JP3321623B2 (ja) 自動車用ブレーキブースタ及び隔壁を包含する組立体
JP3244190B2 (ja) ペダル装置
JP2511988Y2 (ja) 油圧クラッチマスタ―シリンダの取付構造
JP3211076B2 (ja) ペダルブラケットの仮保持構造
JPH0332815Y2 (ko)
KR0120837Y1 (ko) 자동차용 토션바가 장착되는 콘트롤 암의 체결구조
JPS6116235Y2 (ko)
JP2010236559A (ja) 配管の車体への取付構造
JP2650531B2 (ja) 筒状ゴム部品の組付け方法
JPH08491Y2 (ja) 機械駆動式過給機の設置構造
KR200143805Y1 (ko) 차량용 리어 브레이크 어셈블리 고정구
KR20030013820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및 키셋의 내구력 시험 장치
JPH0137959Y2 (ko)
KR0136852Y1 (ko) 자동차의 일체형 클러치
JPH0345461A (ja) マスターバックとペダルブラケットの組付構造
JPH071711Y2 (ja) レバー操作形スイッチ
JPH08268295A (ja) 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アジャストストッパー
KR200156717Y1 (ko) 자동차용 인스트로먼트판넬의 체결구조
JPH0716868Y2 (ja) 車両用パワ−ウインドモ−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