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090B1 - 전자 클러치 - Google Patents

전자 클러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090B1
KR0136090B1 KR1019900009508A KR900009508A KR0136090B1 KR 0136090 B1 KR0136090 B1 KR 0136090B1 KR 1019900009508 A KR1019900009508 A KR 1019900009508A KR 900009508 A KR900009508 A KR 900009508A KR 0136090 B1 KR0136090 B1 KR 013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magnetic clutch
rotating member
axial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77A (ko
Inventor
게이이치 시무라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산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910001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8Detail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 or to the shape of the clutch parts to achieve a certain magnetic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자 클러치
제1도는 종래의 전자 클러치의 수직 횡단면도.
제2도는 구동원과, 이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피동 장치와 각각 결합되는 풀리 또는 회전자의 개략적인 배치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회전자의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수직 횡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회전자의 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회전자의 수직 횡단면도.
제7도는 제5도와 유사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회전자의 횡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9도는 제8도와 유사하고,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회전자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하우징 11 : 관형 연장부
12 : 베어링 20 : 구동축
21 : 니이들 베어링 22 : 축방향 밀봉 조립체
23 : 공동 30 : 회전자
31 : 외측의 원통부 32 : 내측의 원통부
33 : 축방향 환형 단부판 40 : 허브
41 : 스톱퍼판 42 : 너트
50 : 아마츄어 판 51 : 리벳
60 : 판 스프링 70 : 전자석
71 : 코일 72 : 환형 부재
101 : 개구부 200 : 구동 벨트
210 : 평벨트 211 : U자형 홈
300, 400, 500 : 풀리 330 : 직육면체형 부재
331, 332 : 쐐기형 부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전자 클러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벨트의 높은 장력에 대항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강화된 회전자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전자 클러치는 자동차 엔진으로부터 자동차 공조 시스템의 냉매 압축기로의 동력 전달을 제어하는 데에 종종 사용된다. 그러한 전자 클러치중 하나는 미합중국 특허 제4,892,176호에 대응하는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고 제88-42936호의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 공고 제88-42936호의 공보에 개시된 전자 클러치의 구조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클러치 조립체는 관형 연장부(11)의 외주부에 배치되는데, 그 관형 연장부는 압축기 하우징(10)의 단부로부터 돌출하여 구동축(20)을 둘러싼다. 이 구동축(20)은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압축기 하우징(10) 속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 조립체는 베어링(12)에 의해 관형 연장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자(30)를 포함한다.
회전자(30)는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자동차 엔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회전자(30)는 그 단면이 U자 형상이며, 외측의 원통부(31)와, 내측의 원통부(32)와,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을 포함한다. 이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은 축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외측의 원통부(31) 및 내측의 원통부(32)와 결합된다.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에는 외측 및 내측 동심원 상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동심의 원호형 슬릿(301, 302)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슬릿(301, 302)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상으로 일치되어 같은 각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형태는 자극면(303)을 형성한다.
허브(40)는 관형 연장부(11)를 지나 연장한 구동축(20)의 외측 말단부에 고정된다. 그 허브(40)에는 복수의 판 스프링(60)에 의해 아마츄어 판(50)이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60)은 자극면(303)을 향하여 아마츄어 판(50)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판 스프링(60)은 리벳(51)에 의해 아마츄어 판(50)의 외측면에 고정된다. 아마츄어 판(50)의 축방향 단부면은 회전자(30)의 자극면(303)을 향하며, 그 단부면과 자극면 사이에는 축방향 공극 G를 형성한다. 아마츄어 판(50)의 축방향 단부면에는 동심의 원호형 슬릿(501)이 마련되어 자극면(502)을 형성한다. 슬릿(501)은 자극면(303) 상의 슬릿(301, 302)사이의 중간 지점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자석(70)은 구동축(20)과 동심으로 압축기 하우징(10) 상에 장착된다. 전자석 코일(71)을 내장한 전자석(70)은 공극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회전자(30)의 환상 중공부(304) 내에 배치된다. 전자석(70)의 코일(71)이 여자되는 경우, 자극면(502)은 자극면(303)으로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엔진이 회전자(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구동축(20)이 회전된다. 전자석(70)의 코일(71)이 여자되지 않는 경우, 아마츄어 판(50)의 자극면(502)은 판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자(30)의 자극면(303)으로부터 분리된다. 회전자(30)는 여전히 엔진 출력에 의해 회전되지만, 구동축(20)은 회전되지 않는다.
상술한 전자 클러치의 구조에 있어서, 전자석 코일(71)의 작동에 의해 전자석(70) 둘레에 발생되는 자석 M은 제1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자석(70), 회전자(30) 및 아마츄어 판(50)으로 형성된 자기 통로를 통과한다.
최근, 자동차 엔진 실내의 제한된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자동차 엔진과, 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인출하는 장치들(가령, 자동차 발전기, 동력 보조 조향 휠용의 유압 펌프, 그리고 냉매 압축기)과 연결된 각각의 풀리 또는 회전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1개의 구동 벨트만을 수납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풀리(300, 400, 500)는 자동차 엔진, 자동차 발전기 및 유압 펌프에 각각 연결된다. 회전자(30)는 냉매 압축기와 연결되는 전자 클러치의 회전 가능한 부재중 하나이다. 풀리(600)는 소위 공전 풀리로서, 구동 벨트(200)의 장력을 조절하는 데에 사용되다. 구동 벨트(200)는 풀리(300, 400), 회전자(30), 풀리(500, 600)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구동 벨트가 풀리(300, 400, 500, 600) 및 회전자(300)에 의해 수납되는 경우, 구동 벨트(200)의 장력은 높은 수준으로 조정되어, 자동차 엔진으로부터 자동차 발전기, 유압 펌프, 그리고 냉매 압축기로의 구동력 전달 용량의 감소를 회피한다.
특히, 구동 벨트의 장력이 상승하면, 회전자(30)를 심하게 장동(章動)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이 발생된다. 회전자의 U자형 구조로 인해, 회저자(30)의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의 원주부 F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금속 피로 현상이 발생한다. 원주부 F는 내측 동심원 상에 배치된 슬릿(302)의 내측 원호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러한 피로 현상은 회전자(30)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이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자(30)는 기계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의 두께를 증가시켜 회전자(30)를 기계적으로 강화시키는 경우, 회전자(30)의 증가된 중량을 무시할 수 없는 정도이다.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슬릿(301, 302)을 성형하는 블랭킹 공정이 더욱 어렵게 된다. 또한, 인접하는 원호형 슬릿(301, 302)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나머지 영역(301a, 302a)의 원호 거리를 증가시켜 회전자(30)를 기계적으로 강화시키는 경우, 자극면(303, 502)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 흡인력이 감소되는 결과도 무시할 수 없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의 중량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구동 벨트의 장력 증가에 대항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강화된 회전자를 구비한 전자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마츄어 판과 회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 흡인력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고 구동 벨트의 장력 증가에 대항할 수 있는 기계적으로 강화된 회전자를 구비한 전자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클러치는 회전 가능한 제1회전 부재, 회전 가능한 제2회전 부재 및 환상의 아마츄어 판을 포함한다. 이 아마츄어 판은 자성 재료로 구성되고, 환상의 아마츄어 판은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2회전 부재에 연결된다. 제1회전 부재는 외측의 원통부, 이 외측의 원통부 내에 동심으로 배치된 내측의 원통부, 그리고 이들 각각의 내외측의 원통부의 축방향 일단부에 결합하는 자성 재료로 구성된 축방향 환형 단부판으로 구성된다. 내외측의 원통부와 축방향 환형 단부판은 합쳐져서 환상의 공동을 형성한다. 또한, 축방향 환형 단부판은 상기 내외측의 원통부와 동심으로 위치하는 제1 및 제2원 상에 배치된 복수의 원호형 슬릿을 추가로 형성한다. 복수의 나머지 영역은 각각의 원상에 배치된 인접하는 각각의 원호형 슬릿의 단부쌍들 사이에 위치한다. 아마츄어 판은, 제1회전 부재의 축방향 환형 단부판과 마주보며, 그 결과 축방향 공극이 이들 구성 요소 사이에 형성된다. 환상의 공동속에 전자석이 배치되어, 전자석이 작동할 때 아마츄어 판을 끌어 당겨 축방향 환형 단부판과 접촉시키며, 그 결과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은 아마츄어 판을 통하여 제2회전 부재로 전달된다. 나머지 영역중 적어도 일부분은 축방향 환형 단부판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의 구조를 제4도에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는 제1도의 부재와 대응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4도에 도시된 추가의 부재를 이하 설명한다.
압축기 하우징(10)의 단부면 중앙에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개구부(101)의 환상의 주위벽에는 구동축(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니이들 베어링(21)이 배치된다. 관형 연장부(11) 둘레에 환형 부재(72)가 배치되는데, 그 환형 부재는 전자석(70)을 압축기 하우징(10)의 단부면에 확실하게 부착하는데에 사용된다. 관형 연장부(11)에 의해 형성된 공동(23) 내에 구동축의 밀봉 조립체(22)가 설치된다. 너트(42)에 의해 구동축(20)의 외측 단부에 고정된 스톱퍼판(41)이 복수의 판 스프링(60)을 통하여 아마츄어 판(50)을 지지한다. 회전자(30)의 외측 원통부(31)의 외주면은 자동차 엔진의 구동축(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구동원의 회전 가능한 부재에 회전자(30)를 연결하는 평벨트(210)를 수납한다. 평벨트(210)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U자형 홈(211)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자(30)의 외측의 원통부(31)는 또한 평벨트(21)의 U자형 홈(211)을 확실하게 수납하도록 그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U자형 홈(311)이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평벨트는 복수의 풀리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경우, V자형 벨트보다 더욱 유용하고 내구성이 있다.
제5도를 추가로 참조하면, 회전자(30)에는 기계적인 강화를 위해 복수의 직육면체형 부재(330)가 마련되어 있다. 직육면체형 부재(330)는 회전자(30)와 합체되고, 나머지 영역(302a 301a)을 따라 내측의 원통부(32)로부터 외측의 원통부(31)까지 방사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직육면체형 부재(330)의 단부는 전자석(70)과 이격되어 있어서, 이들 요소 사이에 축방향 공극이 생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로서, 평벨트가 고장력 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회전자(30)의 바람직하지 않은 금속 피로 상황이 충분하게 방지된다. 더욱이, 회전자(30)의 향상된 저항은 실질적으로 자극면(502, 303)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 흡인력의 감소 없이 또는 회전자의 중량이 증가 없이 달성된다.
제6도는 본 발명 제1변형예를 예시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회전자(30)에는 복수의 쐐기형 부재(331)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쐐기형 부재(331)는 내측의 원통부로부터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을 가로지르는 통로의 대략 2/3까지 나머지 영역(302a)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이외에도, 각각의 쐐기형 부재는 외측의 원통부(31)를 향해서 테이퍼진다. 각각의 쐐기형 부재(331)의 테이퍼진 단부는 슬릿(301)의 내측 원호에 인접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를 예시한다.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 나머지 영역(301a, 302a)은 서로에 대해 각도상 이동되어 있다. 회전자(30)에는 복수의 쐐기형 부재(332)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쐐기형 부재(332)는 내측의 원통부(32)로부터 축방향 환형 단부판(33)를 가로지르는 통로의 대략 2/3까지 나머지 영역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이외에도, 각각의 쐐기형 부재(332)는 외측의 원통부(31)를 향해서 테이퍼진다. 각각의 쐐기형 부재(332)의 테이퍼진 단부는 슬릿(301)의 내측 원호에 인접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변형예를 예시한다. 제9도를 참조하면, 회전자(90)에는 복수의 직육면체형 부재(333)가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직육면체형 부재(333)는 내측의 원통부(32)로부터 축방향 환형 단부판(33)을 가로지르는 통로의 대략 2/3까지 나머지 영역(302a)을 따라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직육면체형 부재(333)의 외측의 반경 방향 단부는 슬릿(301)의 내측 원호에 인접한다.
상기 3개의 실시예들의 효과는 제1실시예의 효과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상기 3개의 실시예의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 및 수정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3)

  1. 회전 가능한 제1회전 부재와, 회전 가능한 제2회전 부재와,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 부재에 연결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환상의 아마츄어 판과, 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로서, 상기 제1회전 부재는 외측의 원통부와, 이 외측의 원통부 속에 동심으로 배치된 내측의 원통부와, 이들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의 축방향 일단부를 연결하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축방향 환형 단부판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와 축방향 환형 단부판은 환상의 공동을 형성하고,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에는 상기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와 동심인 적어도 하나의 원에 배치된 복수의 원호형 슬릿 및 인접하는 원호형 슬릿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나머지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은 상기 제1회전 부재의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과의 사이에 축방향 공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그 축방향 환형 단부판을 향하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환상의 공동 내에 배치되어,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이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을 통하여 상기 제2회전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을 끌어 당겨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과 접촉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자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의 상기 복수의 나머지 영역은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2. 회전 가능한 제1회전 부재와 회전 가능한 제2회전 부재와, 제한된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 부재에 연결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환상의 아마츄어 판과, 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로서, 상기 제1회전 부재는 외측의 원통부와, 이 외측의 원통부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가진 내측의 원통부와, 이들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의 축방향 일단부를 연결하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축방향 환형 단부판을 구비하며, 상기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와 축방향 환형 단부판은 환상의 공동을 형성하며,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에는 상기 외측 및 내측의 원통부와 동심인 제1 및 제2원에 배치된 복수의 원호형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원의 직경은 제2원의 직경보다 더 크며, 상기 제1원에 배치된 상기 인접하는 원호형 슬릿의 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제1 나머지 영역이 위치하며, 상기 제2원에 배치된 상기 인접하는 원호형 슬릿의 단부 사이에는 복수의 제2 나머지 영역이 위치하며,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은 상기 제1회전 부재의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과의 사이에 축방향 공극이 존재하는 상태로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환상의 공동 내에 배치되어,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회전이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을 통하여 상기 제2회전 부재로 전달되도록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을 끌어 당겨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과 접촉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자 클러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2 나머지 영역은 상기 축방향 환형 단부판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부재에는 각각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2 나머지 영역의 일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내측의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원에 배치된 상기 슬릿중 하나의 내측 원호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외측의 원통부를 향하여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내측의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원에 배치된 상기 슬릿중 하나의 내측 원호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슬릿은 같은 각도 간격으로 상기 제1 및 제2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에 배치된 상기 원호형 슬릿은 상기 제2원상에 배치된 상기 원호형 슬릿과 각도상으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부재에는 상기 환상의 아마츄어 판에 대향하는 상기 제1 및 제2 나머지 영역을 따라 일단부면에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직육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내측의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측의 원통부의 내주면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외측의 원통부를 향하여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내측의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원에 배치된 상기 원호형 슬릿중 하나의 내측 원호에 인접하는 부분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에 배치된 상기 원호형 슬릿은 상기 제2원에 배치된 상기 원호형 슬릿에 대해 각도적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8. 회전 가능한 제1회전 부재와, 회전 가능한 제2회전 부재와, 아마츄어 판과, 상기 제2회전 부재에 장착된 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 클러치로서, 상기 아마츄어 판은 상기 제2회전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 부재는 복수의 원호형 슬릿을 형성하는 판 부분과 각 쌍의 인접한 슬릿 사이에 있는 복수의 나머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판 부분은 상기 아마츄어 판과 대향하여 그것들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그 아마츄어 판을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자석은,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아마츄어 판과 상기 제2회전 부재가 상기 제1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판 부분을 향하여 상기 아마츄어 판을 끌어당기도록 작동할 수 있는 전자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판 부분에 부착된 복수의 강화 요소를 구비하며, 이 강화 요소는 상기 나머지 영역이 상기 판 부분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꺼운 치수를 가지도록 상기 나머지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부재의 판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상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강화 요소는 상기 판 부분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부재는 내측 및 외측의 원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판 부분의 상기 슬릿은 상기 내측 및 외측의 원통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 요소 각각은 상기 내측 및 외측의 원통부 사이의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분에는 복수의 동심원 상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강화 요소는 상기 내측의 원통부로부터 상기 동심원 중의 적어도 하나를 넘어선 지점까지 연장하지만, 상기 동심원 중의 다른 하나에는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강화 요소는 상기 외측의 원통부를 향하여 데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
KR1019900009508A 1989-06-22 1990-06-22 전자 클러치 KR0136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72450U JPH0312624U (ko) 1989-06-22 1989-06-22
JP1-72450 1989-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77A KR910001277A (ko) 1991-01-30
KR0136090B1 true KR0136090B1 (ko) 1998-05-01

Family

ID=13489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508A KR0136090B1 (ko) 1989-06-22 1990-06-22 전자 클러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72817A (ko)
EP (1) EP0404139B1 (ko)
JP (1) JPH0312624U (ko)
KR (1) KR0136090B1 (ko)
AU (1) AU622814B2 (ko)
CA (1) CA2019682C (ko)
DE (1) DE6900279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362A (ko) * 2009-12-22 2011-06-29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용 풀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3682B2 (ja) * 1997-08-26 2007-03-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
JP2001200861A (ja) * 2000-01-14 2001-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電磁クラッチ
JP2007279822A (ja) * 2006-04-03 2007-10-25 Hitachi Maxell Ltd 手書き入力システム
JP2010014149A (ja) * 2008-07-01 2010-01-21 Denso Corp 電磁クラッチ
DE102013222408B4 (de) * 2012-11-06 2021-10-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ktromagnetische einweg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7177A (en) * 1962-05-14 1964-06-16 James M Barnett Sheav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S5584238A (en) * 1978-12-21 1980-06-25 Sanden Corp Production of magnetic circuit part of solenoid clutch
DE2965787D1 (en) * 1978-12-25 1983-07-28 Sanden Corp Electromagnetic clutch
JPS5910429A (ja) * 1982-07-09 1984-01-19 Sanden Corp 電磁クラツチロ−タの成形方法
JPS5924542A (ja) * 1982-07-30 1984-02-08 Sanden Corp 電磁クラツチロ−タの成形方法
JPS5926629A (ja) * 1982-08-06 1984-02-10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ロ−タの成形方法
US4567975A (en) * 1984-02-17 1986-02-04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Co.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of a gap-type electromagnetic coupling and for alleviating engagement noise
MY102354A (en) * 1986-09-05 1992-06-17 Sanden Corp Electromagnetic clutch having high torque transfer
US4891619A (en) * 1987-12-14 1990-01-02 Dana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upling disc
JPS63243534A (ja) * 1988-03-08 1988-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連結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362A (ko) * 2009-12-22 2011-06-29 한라공조주식회사 전자클러치용 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9682A1 (en) 1990-12-22
KR910001277A (ko) 1991-01-30
CA2019682C (en) 1995-05-16
AU5780790A (en) 1991-01-03
US5072817A (en) 1991-12-17
DE69002798T2 (de) 1994-01-27
EP0404139A1 (en) 1990-12-27
AU622814B2 (en) 1992-04-16
DE69002798D1 (de) 1993-09-23
JPH0312624U (ko) 1991-02-08
EP0404139B1 (en) 199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3748A (en) Motor with cup-shaped rotor having cylindrical portions of different diameter
US4718526A (en) Electromagnetic spring wound clutch for a refrigerant compressor
CA1125196A (en) Devices with an electromagnetic clutch
US5551546A (en) Electromagnetic clutch
US4808870A (en) Electromagnetic clutch with impact absorbing connector
US6581743B2 (en) Electromagnetic spring clutches
KR0136090B1 (ko) 전자 클러치
KR0156931B1 (ko) 전자기 클러치
US4973870A (en) Electromagnetic clutch with flux-equalized rotating member
US4616742A (en) Spring coupling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EP1657803B1 (en) Automotive alternator with magnetic fluctuation suppressor for suppressing fluctuations in rotational movement
CA1294229C (en) Electromagnetic clutch
US7213695B2 (en) Electromagnetic clutch
US5390774A (en) Electromagnetic clutch with improved guidance and retention
US5242040A (en) Structure of rotor of electromagnetic clutch
EP0339431B1 (en) Electromagnetic clutch
JPS59226721A (ja) 電磁クラツチ
CN87106217A (zh) 转矩传递能力高的电磁离合器
KR970005071B1 (ko) 금속간의 충돌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갖춘 전자 클러치
GB2156013A (en) Electromagnetic clutch
JPS61228162A (ja) エンジンの補機駆動装置
JPH0650347A (ja) 外部駆動型圧縮機
JPS624568B2 (ko)
JPH06173974A (ja) 動力伝達装置
JPS62333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