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70Y1 -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70Y1
KR0135770Y1 KR2019960022312U KR19960022312U KR0135770Y1 KR 0135770 Y1 KR0135770 Y1 KR 0135770Y1 KR 2019960022312 U KR2019960022312 U KR 2019960022312U KR 19960022312 U KR19960022312 U KR 19960022312U KR 0135770 Y1 KR0135770 Y1 KR 0135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rim
bracket
support
doo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248U (ko
Inventor
안봉준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2019960022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70Y1/ko
Publication of KR980007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도어트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bracket)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1) 및 지지부(12)의 각각의 코너부분이 라운딩(rounding)처리되며, 상기 절곡부(15)에 보강리브(16)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11)의 외측변(11a) 및 지지부(12)의 외측변(12a)의 크기는 상기 절곡부(15)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며, 브래킷의 성형재료가 절감되어 차량이 경량화되고 주변부품에 대한 간섭을 방지할 뿐 아니라 보강 리브의 추가로 인해 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랫킷
본 고안은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bracket)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내측패널에 취부되는 도어 트림의 암레스트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의 구조를 변경시키고 또한 강성을 증대시킨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크게 외측패널, 내측패널 및 도어트림으로 구성된다. 즉, 도어의 최 외측에는 외측패널이 제공되고, 상기 외측패널의 내측에는 그 외측패널 형상에 상응한 내측패널이 취부되며, 최종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측에는 도어 트림이 내측패널에 취부되어 도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트림을 내측패널에 취부할 때는, 암레스트부분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트림 지지용 브래킷이 사용된다.
이와같은 일반적인 도어의 내측 사시도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2도에는 종래의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따르면, 도어(1)는 전술된 바와같이 전방 또는 후방 도어(1)는 외측패널(2), 내측패널(3) 및 도어트림(4)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 트림(4)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암레스트(5)가 제공되어 있다.
특히, 도어트림(4)을 내측패널(3)에 장착하는데는 도어트림(4)의 암레스트(5)부분을 별도로 지지하기 위해서 또한 암레스트(5)에 팔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하중을 견디기 위해서 별도의 지지브래킷(6)을 이용해야 한다.
상기 지지브래킷(6)은 내측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6a) 및 암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부(6b)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6a) 및 지지부(6b)는 일체로 형성되며 절곡부(6c)를 중심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6a) 및 지지부(6b)에는 볼트구멍(B) 및 클립구멍(C)이 임의로 천공되어 있어 볼트 또는 클립에 의해 지지브래킷(6)이 도어의 내측패널(3) 및 도어트림(4)의 암레스트(5)부분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브래킷(6)은 그 크기가 크므로 성형재료가 과도하게 소모될 뿐 아니라, 같은 크기로 인해 주변부품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잇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곡부(6c)의 강성이 매우 취약하여 과도한 하중이 암레스트(5)에 가해지거나 도어 트림자체가 무거운 경우에는 고정부(6a) 및 지지부(6b)가 상호 벌어져 자체적으로 견고한 지지를 수행하지 못하므로써 도어 트림의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성형재료를 감소시키고 주변부품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강성이 증대된 절골부를 지닌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도어의 내측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을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을 보여주는 개략적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도어트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지지부의 각각의 코너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며, 상기 절곡부에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의 외측변 및 지지부의 외측변의 크기는 상기 절곡부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절곡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상세히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10)은 도어(1)의 내측패널(3)에 고정되는 고정부(11)와 도어 트림(4)에 고정되는 지지부(12)를 포함한다. 물론, 전술된 바와같이 고정부(11) 및 지지부(12)에는 볼트 또는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볼트구멍(13) 및 클립구멍(14)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10)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방법과 같다.
즉,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10)의 고정부(11)는 도어(1)의 내측패널(3)에 볼트와 클립으로 고정되고, 지지부(12)는 도어트림(4)의 암레스트(5)에 클립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10)의 고정부(11) 및 지지부(12)의 각각의 모서리는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주변부품에 방해를 주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실제로 고정부(11) 및 지지부(12)의 각각의 외측변(11a,12a)은 절곡부(15)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5)에는 강성보강용 리브(rib)(1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리브(16)의 성형방식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플레이트로 고정부(11)와 지지부(12)를 형성한 후 절곡부(15)에서 절곡하여 완전 형상을 형성한 후, 상기 절곡부(15)전체에 용접심(shim)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10)에 의하면, 브래킷(10) 자체의 성형재료가 감소되어 제료비가 절감되며, 이에 따라 차량전체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서리 또는 코너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므로써, 장착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 부품들에 간섭이 회피될 수 있다.
특히, 절곡부(15)에 보강리브(16)가 추가되므로써, 브래킷(10)의 장착 작업시 변형 되지 않아 도어(1) 특히 도어트림(4)의 정확한 조립이 달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어 트림(4)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브래킷(10) 또는 도어 트림(4)의 변형을 완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10)을 채용하면, 원가가 절감되고, 차량이 경량화 될 수 있고, 주변부품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강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에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 도어의 내측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도어트림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절곡부를 중심으로 절곡 형성된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bracket)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 및 지지부(12)의 각각의 코너부분이 장착작업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라운딩(rounding) 처리되고, 상기 절곡부(15)에 강성을 증대 시키기 위해 보강리브(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의 외측변(11a) 및 지지부(12)의 외측변(12a)의 크기는 상기 절곡부(15)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KR2019960022312U 1996-07-26 1996-07-26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KR0135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12U KR0135770Y1 (ko) 1996-07-26 1996-07-26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12U KR0135770Y1 (ko) 1996-07-26 1996-07-26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248U KR980007248U (ko) 1998-04-30
KR0135770Y1 true KR0135770Y1 (ko) 1999-03-30

Family

ID=1946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312U KR0135770Y1 (ko) 1996-07-26 1996-07-26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248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770Y1 (ko)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KR10047078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JPH10305787A (ja) リヤスポイラの取付け構造
JPS6344284Y2 (ko)
KR200181788Y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캐리어의 힌지부 취부구조
KR200155528Y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회전방지용 브라켓트 구조
JPH0717248A (ja) ドアキーステーの取付構造
KR0118294Y1 (ko) 자동차의 룸램프 취부구조
JP3237389B2 (ja) トランクフロアトリムの取付け方法
KR0127072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1998006105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KR012707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19980038947A (ko) 자동차의 백 도어 아웃 패널 보강구조
KR0135386Y1 (ko) 차량의 바디 프레임
KR100331084B1 (ko) 자동차 도어 하단부의 취부구조
KR200152937Y1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의 강성보강구조
KR19980031330A (ko) 1박스 밴 차량의 백패널 취부구조
KR100262163B1 (ko) 자동차의 전면부 취부구조
KR100320846B1 (ko) 자동차용 쿼드런트패널부의 보강구조
KR20020058856A (ko) 차량용 통합 빔 구조
KR19980035507U (ko) 화물차량의 백패널 보강대
JPH0476829B2 (ko)
JP2018039404A (ja) 車両用バックドア構造
JP2001163258A (ja) 車両のサイドパネル構造
KR19980037224A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