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780B1 -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780B1
KR100470780B1 KR10-2002-0024133A KR20020024133A KR100470780B1 KR 100470780 B1 KR100470780 B1 KR 100470780B1 KR 20020024133 A KR20020024133 A KR 20020024133A KR 100470780 B1 KR100470780 B1 KR 10047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panel
inner panel
hinge
door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848A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7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A47B96/028Cantilever 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75Lighting
    • A47B2220/0077Lighting for furniture, e.g. cupboards and rack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글라스가 장착되는 글라스프레임(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구멍(14)이 뚫린 힌지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측면에는 설치홈(14)이 형성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과, 아웃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글라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쿼터 패널(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쿼터 패널(20)은 하단부가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힌지부(12)에 용착되는 연장부(22)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의 일측단에는 힌지부(12)에 겹쳐져 공체되는 도어힌지마운팅부(23)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쿼드런트 패널(20)의 연장부(22)는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용접되고, 상기 도어힌지마운팅부(23)는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을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시키는 것에의해 힌지부(12)에 공체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강성을 보강하여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전반부 변형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에 별도의 보강판넬을 장착하여 프론트 도어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경우에 비하여 중량증대와 제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가 고정되는 쿼터 패널(20)을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에 더욱 견고히 고정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공기저항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의 차체를 경량화 하여 상품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주행중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Vehicle Front Door Fram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에 설치되는 쿼터 패널의 하단부를 연장형성하여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힌지부에 공체시키므로서, 도어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쿼터 패널부는 프런트 도어와 프런트 필러 및 프론트 사이드 도어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프런트 필러를 지지하면서 아웃사이드미러가 장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론트 도어 프레임은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웃터 패널, 상기 도어 인너패널에 설치되어 아웃사이드 미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쿼터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은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자체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별도의 보강패널을 장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별도의 보강패널을 장착하므로서, 차체 중량이 증가하여 차체 중량의 한도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에 설치되는 쿼드런트 패널은 아웃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국한되어 설치되도록 형성되어 차체를 경량화 하였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던 것이다.
또, 자동차가 주행중 공기저항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그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쿼터 패널의 하단부를 연장형성하여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힌지부에 공체시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강성을 보강하므로서, 프론트 도어 프레임의 강성을 보강할 경우 발생되는 중량증대와 제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중 공기저항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에는 글라스가 장착되는 글라스프레임(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구멍(14)이 뚫린 힌지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측면에는 설치홈(14)이 형성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과;
아웃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글라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쿼터 패널(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쿼터 패널(20)은 하단부가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힌지부(12)에 용착되는 연장부(22)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의 일측단에는 힌지부(12)에 겹쳐져 공체되는 도어힌지마운팅부(23)가 절곡 형성되는것에 의해 달성된다.
즉, 상기 쿼드런트 패널(20)의 연장부(22)는 프론트 도어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힌지마운팅부(23)는 프론트 도어 프레임(10)을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시킬 경우 힌지부(12)에 공체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론트 도어 프레임(10)의 강성을 보강하여 프론트 도어 프레임(10)의 전반부 변형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글라스프레임에 쿼터 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A를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의 A부분에 본 발명의 쿼터 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쿼터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연장부에는 용접고정부가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용접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은 상부에 글라스가 장착되는 글라스프레임(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구멍(14)이 뚫린 힌지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측면에는 설치홈(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도어 프레임(10)의 글라스프레임(11)에는 상부에 아웃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결합구멍(21)이 형성된 쿼터 패널(20)이 설치되며, 이 쿼터 패널(20)의 하단부는 도 2 ∼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힌지부(12)까지 연장형성되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용접고정되는 연장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는 일측부가 소정의 폭으로 절곡형성되어 프론트도어 인너패널의 힌지부(12)에 겹쳐지는 도어힌지마운팅부(23)가 형성되며, 이 도어힌지마운팅부(23)에는 상기 힌지부(12)의 힌지구멍(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멍(24)이 형성된다.
즉, 종래에 단순히 아웃사이드가 장착되도록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글라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쿼터 패널(20)의 하단부를 연장하여 연장부(22)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 연장부(22)를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용접시켜 고정하고, 이 연장부(22)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도어힌지마운팅부(23)가 힌지부(12)에 겹쳐져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을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시킬 경우 힌지부(12)와 공체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도어의 개폐가 반복될 경우 변형량이 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전반부의 강성을 상기 쿼터 패널(20)에 의해 보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에는 내측면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용접고정부(25)를 형성하여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가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가 용접고정되는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은 다수의 설치홈(14)이 파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를 평편하게 형성하여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용접시킬 경우에 연장부(22)의 보강력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는 용접고정부(25)를 형성하여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홈(14)에 맞닿아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가 용접고정되는 중에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하여 보강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더욱 견고하게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글라스프레임(11) 전방 끝단은 상기 쿼터 패널(20)의 도어힌지마운팅부(23)까지 연장형성하여 연장부(22)에 용접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힌지마운팅부(23)는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의 일측단이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절곡된 부위에 힘이 집중되므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글라스프레임(11) 끝단을 연장형성하여 강성을 보강시켜 이 부분에서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도어 프레임(10)의 글라스프레임(11)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상기 쿼터 패널(20)의 타측단에는 글라스가 끼워져 결합하는 글라스찬넬(30)이 장착고정되므로, 상기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는 상기 글라스 채널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쿼터 패널(20)에 의해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강성이 보강됨과 더불어 쿼터 패널(20)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자동차의 주행중 공기저항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에 설치되는 쿼너 패널의 하단부를 연장형성하여 변형량이 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전반부를 보강하므로서, 종래에 별도의 보강판넬을 장착하여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의 강성을 보강할 경우에 비하여 중량증대와 제조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웃사이드 미러가 고정되는 쿼터 패널을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에 더욱 견고히 고정하여 자동차의 주행중 공기저항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차체를 경량화 하여 상품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주행중 실내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프론트 도어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를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프론트 도어 프레임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 11 - 글라스프레임
12 - 힌지부 13 - 힌지구멍
14 - 설치홈 20 - 쿼터 패널
21 - 결합구멍 22 - 연장부
23 - 도어힌지마운팅부 24 - 체결구멍
25 - 용접고정부 30 - 글라스채널

Claims (3)

  1. 상부에는 글라스가 장착되는 글라스프레임(1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구멍(14)이 뚫린 힌지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측면에는 설치홈(14)이 형성된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과;
    아웃사이드 미러가 장착되는 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글라스프레임(11)에 설치되는 쿼터 패널(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쿼터 패널(20)은 하단부가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힌지부(12)에 용착되는 연장부(22)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2)의 일측단에는 힌지부(12)에 겹쳐져 공체되는 도어힌지마운팅부(23)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쿼터 패널(20)의 연장부(22)에는 내측면 상부로 돌출되는 용접고정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도어 인너패널(10)의 글라스프레임(11) 전방 끝단은 연장부(22)에 용착되도록 쿼터 패널(20)의 도어힌지마운팅부(23)까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KR10-2002-0024133A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KR100470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33A KR100470780B1 (ko)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133A KR100470780B1 (ko)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48A KR20030085848A (ko) 2003-11-07
KR100470780B1 true KR100470780B1 (ko) 2005-03-08

Family

ID=3238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133A KR100470780B1 (ko) 2002-05-02 2002-05-02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238B1 (ko) 2005-11-25 200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레임형 도어의 도어 프레임 결합구조
KR101388474B1 (ko) * 2012-12-14 2014-04-2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프레임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810A (ja) * 1988-06-20 1990-02-13 Soc Gen Tech Nouv (Sgn) 照射燃料要素を切断するためのボックス
JPH0264424U (ko) * 1988-11-04 1990-05-15
KR19980039620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도아 구조
KR0173666B1 (ko) * 1996-04-27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전방도어 강성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810A (ja) * 1988-06-20 1990-02-13 Soc Gen Tech Nouv (Sgn) 照射燃料要素を切断するためのボックス
JPH0264424U (ko) * 1988-11-04 1990-05-15
KR0173666B1 (ko) * 1996-04-27 1999-02-18 양재신 자동차의 전방도어 강성구조
KR19980039620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도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848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267B2 (en) Hatchback door structure for vehicles
JP4355958B2 (ja) 車両のドア構造
US7591501B2 (en) Hatchback door structure for vehicles
JP4306505B2 (ja) ドアサッシュ補強構造
US8109558B2 (en) Door structure
KR100470780B1 (ko) 자동차용 프론트 도어 프레임 보강구조
KR20030092629A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 어셈블리
KR100828616B1 (ko) 자동차의 선루프 링 레인프 결합 구조
JP4363910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2005153820A (ja) 自動車のセンタピラー構造
JP2002331959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3691422B2 (ja) バン型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0534273B1 (ko) 원 박스 차량의 서스펜션 고정용 타워 구조
JPH10244959A (ja) 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JP6855933B2 (ja) サイドアンダーミラーの取付け構造
JP4300515B2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KR200160318Y1 (ko) 차량의도어힌지부보강구조
KR0135770Y1 (ko) 도어 트림 지지용 브래킷
JP4026490B2 (ja) 自動車の側部ドア構造
JP312599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01701039B1 (ko) 바디판넬 보강구조
JP4665518B2 (ja) レギュレータプーリの取付構造
KR20020093234A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러
JP4670381B2 (ja)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JP2002219999A (ja) 自動車用ドアミラの車体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