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18Y1 -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18Y1
KR0135718Y1 KR2019950034445U KR19950034445U KR0135718Y1 KR 0135718 Y1 KR0135718 Y1 KR 0135718Y1 KR 2019950034445 U KR2019950034445 U KR 2019950034445U KR 19950034445 U KR19950034445 U KR 19950034445U KR 0135718 Y1 KR0135718 Y1 KR 0135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ft
buffer
ro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067U (ko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지경택; 안드레스 위거트
주식회사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경택; 안드레스 위거트, 주식회사캄코 filed Critical 지경택; 안드레스 위거트
Priority to KR2019950034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18Y1/ko
Publication of KR970026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목적]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완충링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한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를 제공함.
[구성] 하우징(2)의 내주면에 고정자(4)가 장착되고, 그 중심에 회전자(6)를 배치하여 자력으로 회전 작동되게 한 통상의 모터로서, 상기한 회전자(6)의 축(10)에 삽입 설치되는 슬립링(12)과 완충링(14) 각각에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20)(140)를 형성하고, 상기한 완충링(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스틸링(16)의 외주로 축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돌기(160)(162)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상기한 슬립링(12)과 완충링(14) 및 E형 링(18)이 축(10) 상에서 일체로 조립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부품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모터 회전축에 관련된 축수부 지지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주요부에 관련된 부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하우징 10 : 축
12 : 슬립링 14 : 완충링
16 : 스틸링 18 : E형 링
120, 140 : 돌출부 160, 162 : 돌기
본 고안은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위치를 결정하여 주는 지지 구조에 있어서, 소음이 저감되게 개량한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스타터, 알터네이터, 윈드시일드 와이퍼 모터, 그리고 라디에이터 방열 모터 등의 여러 가지 모터가 장착된다.
이들 모터는 대부분 직류 모터로서, 제3도의 도시와 같이 하우징(2)의 내주면에는 고정자(4)가 장착되어 있고, 그 중심으로 회전자(6)가 설치되어서 상기한 하우징(2)의 소정 부위로 설치된 축수부(8)에 의해 상기한 회전자(6)의 축(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회전자(6)의 축(10)을 지지하는 축수부(8)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가 하우징(2)과의 사이로 갭(G)을 두게 배치된다.
상기한 갭(G)은 그대로 방치하였을 경우에 회전자(6)의 축(10)이 흔들리게 되는 원인이 되고, 차량의 경우에는 비포장 도로 주행 시나 급정거 시에 상기한 회전자(6)의 축(10)이 심하게 흔들려 불쾌한 소음을 일으킴은 물론 더 나아가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일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갭(G)에 의한 영향을 해소시켜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갭(G)을 없애는 방법은 축(10)이 하우징(2)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멈치 수단을 끼워서 상기한 축(10)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방법과, 하우징(2)의 외부로 돌출된 축(10)의 외주면으로 멈치 수단을 끼워 고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조립 수공이 간편한 이유로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제4도의 도시와 같이 축(10)에 슬립링(12), 완충링(14), 스틸링(16)을 순차 끼워서 상기한 갭(G)이 조정되게 하고 마지막으로 E형 링(18)을 끼워 축(10)의 외주에 형성된 키이 홈(20)으로 삽입 고정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축(10)의 갭(G)을 조절함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슬립링(12)과 스틸링(16)은 축(10)에 유동적으로 설치되는 데 반해 상기한 E형 링(18)은 축(10)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다수 배열된 링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렇게 발생되는 마찰은 소음을 일으킴은 물론 고무로 된 완충링(14)의 파손까지 유발하여 고장의 원인으로 발전하게 되는 수가 있다.
따라서 차량용 모터에 갖추어진 축수부 지지 구조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완충링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한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자가 장착되고, 그 중심에 회전자를 배치하여 자력으로 회전 작동되게 한 통상의 모터로서, 상기한 회전자의 축에 삽입 설치되는 슬림링과 완충링 각각에 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한 완충링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스틸링의 외주로 축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돌기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상기한 한쪽 돌기에 의해 상기한 슬립링과 완충링이 간섭 연동되고, 다른쪽 돌기는 E형 링의 개구 사이로 끼워져서 이들이 축 상에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회전자의 축에 배치되는 슬립링과 완충링, 그리고 스틸링 및 E형 링이 모두 일체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호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되고, 이와 동시에 완충링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품의 분해 사시도로서, 부호 12는 슬립링, 14는 완충링, 16은 스틸링을 나타내고 다른 부호 18은 E형 링을 표시한다.
상기한 슬립링(12)과 완충링(14)은 외주 일측으로 각각 돌출부(120)(140)를 일체로 연장시키고 있으며, 그 연장 방향은 축방향에 교차하는 방사방향이다.
그리고 스틸링(16)은 외주변에 두개의 돌기(160)(162)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돌기(160)(162)는 축방향에 따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틸링(16)의 돌기(160)는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축(10)에 설치되었을 때 한쪽 돌기(160)가 슬립링(12)과 완충링(14)의 돌기(120)(140)를 간섭하여 괘지되고, 또 다른쪽 돌기(162)는 E형 링(18)의 개구 사이로 끼워져서 함께 일체로 된다.
이와 같이 스틸링(14)에 의해 축(10)의 주위에서 슬립링(12)과 완충링(14), 그리고 E형 링(18)이 일체로 됨에 따라 이들 모두는 축(10)과 함께 모두 회전되거나 또는 모두 비회전되기 때문에 상호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완충링도 마모 손상되는 일도 없게 되므로 모터의 사용 수명이 연장됨은 물론 차량의 정숙 주행을 보장하여 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의 회전축에 배치되는 다수의 링이 상호 일체로 조립되게 함으로써 축과 함께 상기한 모든 부품이 하나로 되어 회전 비회전되게 한 것이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고무로 만들어져 물성이 취약한 완충링의 마모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자가 장착되고, 그 중심에 회전자를 배치하여 자력으로 회전 작동되게 한 통상의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자(6)의 축에 삽입 설치되는 슬립링(12)과 완충링(14)이 각각 외주 방향으로 돌출부(120)(140)를 연장시키고 있고, 상기한 완충링(14)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스틸링(16)은 외주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돌기(160)(162)를 대칭되게 형성하여 상기한 한쪽 돌기(160)에 의해 상기한 슬립링(12)과 완충링(14)의 돌출부(120)(140)가 간섭 연동되고, 다른쪽 돌기(162)는 E형 링(18)의 개구 사이로 끼워져서 이들이 축(10) 상에서 일체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KR2019950034445U 1995-11-20 1995-11-20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KR0135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445U KR0135718Y1 (ko) 1995-11-20 1995-11-20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4445U KR0135718Y1 (ko) 1995-11-20 1995-11-20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67U KR970026067U (ko) 1997-06-20
KR0135718Y1 true KR0135718Y1 (ko) 1999-05-15

Family

ID=1942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445U KR0135718Y1 (ko) 1995-11-20 1995-11-20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562A (ko) * 2000-08-31 2002-03-07 에릭 발리베 발전기의 슬립링 압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67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2726B2 (en) Electric machine comprising an axial spring-loaded element
JP2752297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3983690B2 (ja) 回転電機
KR0135718Y1 (ko)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JP2003172458A (ja) 車両用主電動機の軸受装置
JP2002039196A (ja) ころがり接触軸受
KR0136862Y1 (ko)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US6252321B1 (en) Endshield assembly with alignable bearing for an electric motor
JPH0819229A (ja) モータ
KR0135719Y1 (ko) 모터 회전축의 축수부 지지 구조
US6357309B1 (en) Starter
KR200159760Y1 (ko) 차량용 모터
JP3785248B2 (ja) プーリユニット
JP4412830B2 (ja)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522897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970006937Y1 (ko) 모터 브레이크장치
JPH0549207A (ja) 耐衝撃性を備えるラジアル玉軸受装置
KR200265834Y1 (ko) 자동차용 모터의 회전자 유동방지 구조
GB2268634A (en) Electrical machine with carbon dust slinger
KR19980041306U (ko) 모터의 베어링 지지장치
JPH03285545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350566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0170119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H0746051Y2 (ja) ウォームギャ付電動機
JPH08223852A (ja) 回転電機の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