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225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225B1
KR0135225B1 KR1019940022226A KR19940022226A KR0135225B1 KR 0135225 B1 KR0135225 B1 KR 0135225B1 KR 1019940022226 A KR1019940022226 A KR 1019940022226A KR 19940022226 A KR19940022226 A KR 19940022226A KR 0135225 B1 KR0135225 B1 KR 013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product
belt
outlet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505A (ko
Inventor
데쓰오 마쓰다
Original Assignee
다까노 야스아끼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 야스아끼,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 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5000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7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8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endless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articles being supported on or by endless belts or like convey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상품수납컬럼에 수납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설치된 상품 판매구에 반출하도록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상품을 반송벨트를 사용해서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 설치된 상품판매구로 반출할 수가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품수납컬럼(3)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전면문(4)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5)에 대응해서 상품수납실(1a)의 전면부에 설치된 집중반출구(7)까지 뻗어있는 주반송벨트(8)을 구동장치(10)으로 구동시킨다.
또 주반송벨트(8)과 동일면에 배치됨과동시에 집중반출구(7)을 벗어나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반송벨트(9)를 주반송벨트(8)과 연동해서 회전동작시킨다.
그리고 주반송벨트(8) 및 반송벨트(9)로서 집중반출구(7)까지 반송된 상품(2)를 주반송벨트(8)의 집중반출구부분(8A)에 수수해서 상품판매구(5)로 반출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반송벨트를 집중반출구에 위치시켜서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반송벨트를 주반송벨트와 연동해서 회전동작하도록 했기 때문에 반송벨트를 사용해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설치된 상품판매구로 반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측면단면도.
제2도는 자동판매기의 편면단면도.
제3도는 자동판매기에 배치된 연동기어장치의 부분확대도.
제4도는 연동기어장치를 구성하는 스플라인의 정면단면도.
제5도는 스플라인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측면단면도.
제7도는 자동판매기의 평면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평면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a.상품수납실
2.상품
3.상품수납컬럼
4.전면문
5.상품판매구
7.집중반출구
8.주반송벨트
9,19,26.반송벨트
10.기어전동기(구동장치)
24.경사부
25.안내부
27.리브
본 발명은 상품수납컬럼에 수납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설치된 상품판매구에 반출하도록한 자동판매기에 관한것이다.
종래에 본체내에 형성된 상품수납실에 복수의 상품수납컬럼을 병설하는 한편 이들 상품수납컬럼의 아래쪽에 상품슈트를 경사지게 배치하고 상품판매시에는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 낙하하는 상품을 상품슈트에 따라서 활강낙하시켜서 전면문에 설치된 상품판매구에 반출시키도록한 자동판매기가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자동판매기에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실공소 62-105574호 공보나 일본국실공소 63-147781호 공보등에 나타내고 있는바와 같이 상품판매구를 전면문의 1개소 통상은 중앙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품슈트의 측면판을 상품판매구에 향해 경사시키고 어떤 상품수납컬럼에 수납된 상품이라도 중앙부의 상품판매구에 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슈트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품수납컬럼의 아래쪽에 상품슈트배치용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효율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134786호 공보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각 상품수납컬럼의 아래쪽에 각각 반송벨트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의 상품을 반송벨트로서 상품판매구로 반출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반송벨트로서 상품을 반출하도록한 경우 상품판매구를 전면문의 전체폭에 걸쳐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반송벨트를 사용해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설치된 상품판매구에 반출할 수가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은 상품수납실에 병설된 복수의 상품수납컬럼에 수납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로 반출하도록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상품판매구에 대응해서 상기한 상품수납실의 전면부에 설치된 집중반출구와 상기한 상품수납컬럼의 아래쪽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집중반출구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반송벨트를 구비하고 상기한 복수의 반송벨트의 적어도 하나를 주반송벨트로하고 나머지의 상기한 반송벨트에 상기한 주반송벨트의 동력을 전달해서 상기한 주반송벨트 및 상기한 반송벨트로서 상기한 상품은 상기한 상품판매구로 반출되는 것이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은 상품수납실에 병설된 복수의 상품수납컬럼에 수납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로 반출시키도록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상품수납실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상품수납실의 안쪽방향으로 뻗어있는 한편 상기한 각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 낙하해오는 상품을 받아서 전방으로 반송하도록 대략 평행으로 나란히해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한 상품판매구에 가까운것일수록 고속으로 회전동작하는 복수의 반송벨트와 상기한 반송벨트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한 상품판매구로 향해서 경사부가 형성되어있는 안내부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반송벨트로서 반송된 상기한 상품은 반송벨트의 회전속도차이에 의해 상기한 경사부에 따라서 상기한 상품판매구까지 이동해서 반출되는 것이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본 발명은 상품수납실에 병설된 복수의 상품수납컬럼에 수납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로 반출시키도록 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모든 상기한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의 상품을 받을수가 잇도록 상기한 상품수납실의 하부 전역에 걸쳐서 뻗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상품판매구측으로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리브가 간격을 두고 복수설치되어있는 1매의 반송벨트와 상기한 반송벨트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한 상품판매구로 향해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반송벨트로서 반송된 상품은 반송벨트의 리브에 의해 상기한 경사부에 따라 상기한 상품판매구까지 이동해서 반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은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에 대응해서 상품수납실의 전면부에 설치된 집중반출구로 위치시켜서 복수의 반송벨트를 상품수납컬럼의 아래쪽에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반송벨트의 적어도 하나를 주 반송벨트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나머지의 반송벨트에 주반송벨트의 동력을 전달하고 주 반송벨트 및 반송벨트로서 상품을 상품판매구로 반출할 수가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본 발명은 상품수납실의 하부에 상품수납실의 안쪽방향으로 뻗어있도록 설치되고 상품판매구에 가까운것일수록 고속으로 회전동작하는 대략 평행으로 나란히해서 배치된 복수의 반송벨트에 의해 각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 낙하해오는 상품을 받아서 전방으로 반송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반송벨트로서 반송되는 상품을 반송벨트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안내부로서 받게 한후 반송벨트의 회전속도차이에 의해 상품판매구로 향해서 형성된 안내부의 경사부에 따라서 상품판매구까지 이동시켜서 반출시킬 수가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본 발명은 상품수납실의 하부 전역에 걸쳐서 1매의 반송벨트를 뻗어있게 하므로서 모든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의 상품을 받을 수가 있다.
또 이 반송벨트에 상품판매구축으로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리브를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하므로서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 낙하해오는 상품을 반송벨트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안내부로서 받은후 상품판매구로 향해서 형성된 안내부의 경사부에 따라서 상품판매구로 향하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측면단면도, 제2도는 그 평면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자동판매기본체(이하 본체라한다.)이며 이 본체(1)내부에 형성된 상품수납실인 냉각저장실(1a)에는 냉동상품(이하 상품이라한다.)(2)를 수납시키기위한 상품수납컬럼(3)이 전후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다수 병설되어 있다.
또 본체(1)의 전면에는 전면문(4)가 설치되어있고 이 전면문(4)의 중앙의 1개소에는 상품판매구(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5a)는 상품판매구문, (6a)는 증발기 (6b)로부터의 냉기를 냉각저장실(1a)내로 순환시키는 냉기순환팬, (6c)는 압축기, (6d)는 압축기냉각용팬이다.
또 상품수납실(1a)의 저면부에 배치된 기초부(7a)의 전면부에는 상품판매구(5)에 대응해서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반원형상의 집중반출구(7)이 설치되어 있고 또 상품수납컬럼(1)의 아래쪽에는 상기 집중반출구(7)에 위치시켜서 복수의 반송벨트(8),(9)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반송벨트(8),(9)중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의 반송벨트(8)을 주 반송벨트(8)로하고 또 이 주 반송벨트(8)은 집중반출구(7)까지 뻗어있는 것으로 하고 잇다.
여기서 이 주반송벨트(8)은 동도면 및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집중반출구(7)의 전면부에 배치된 피구동축(8a)와 상품수납실(1a)의 후부에 배치된 구동기어(8b)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기어(8b)는 구동장치인 기어전동기(10)에 연동벨트(10a)를 거쳐서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기어전동기(10)이 회전하면 구동기어(8b)가 회전하고 이에 수반해서 주반송벨트(8)이 회전동작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어전동기(10)의 구동제어는 본체(1)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도시하지않은 판매제어장치에 의해 행해지게 되어있고 이 판매제어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선택버튼이 눌려지면 기어전동기(10)에 대해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주반송벨트(8)을 제1도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집중반출구(7)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집중반출구(7)의 가장자리부에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복수의 스플라인(spline) (11)(11a)를 원호상으로 연결한 구성의 연동기어장치(12)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스플라인(11)(11a)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양측에 끼워맞춤오목한홈(13a)가 형성된 본체부(13)과 이본체부(13)의 끼워맞춤오목한홈(13a)에 끼워맞추어져서 요동이 자유롭게 유지되는 반구상의 연결부(1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결부(14)에 인접하는 스플라인(11)에 면하는 측면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기어부(14a)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스플라인(11),(11a)는 연결부(14)의 기어부(14a)와 인접하는 스플라인(11)의 연결부(14)의 기어부(14a)와 맞물리므로서 스플라인(11),(11a)의 회전을 인접하는 다른 스플라인(11)에 전달할 수가 있게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같은 스플라인(11),(11a)를 원호상으로 연결한 연동기어장치(12)는 하나의 스플라인(11)이 회전하면 이 회전을 다른 모든 스플라인(11)에 전달할 수가 있게 되어있다.
그런데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이 연동기어장치(12)의 중앙의 스플라인(11a)에는 주반송벨트(8)이 맞닿게 되어있고 이것에 의해 주반송벨트(8)의 회전동작에 여동해서 중앙의 스플라인(11a)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도면에 있어서 (15)는 스플라인(11a)가 주반송벨트(8)의 회전동작에 연동해서 확실히 회전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11a)를 주반송벨트(8)에 밀어붙이기 위한 안내로울러이다.
한편 반송벨트(9)는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연동기어장치(12)의 다른 스플라인(11)과 상품수납실(1a)의 후부 및 측면부에 배치된 피구동축(9a)와의 사이에 걸어설치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연동기어장치(12)를 거쳐서 주반송벨트(8)의 회전동작이 반송벨트(9)에 전달되고 반송벨트(9)가 주반송벨트(8)과 연동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집중반출구(7)로 향해서 회전동작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선택버튼이 눌려지면 판매제어장치는 상품수납컬럼(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상품반출장치를 구동시켜서 상품(2)를 낙하시켜서 주반송벨트(8) 및 반송벨트(9)에 탑재시킨후 기어전동기(10)을 회전시키도록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상품(2)를 탑재시킨 상태로 주반송벨트(8) 및 복수의 반송벨트(9)가 연동해서 회전동작하게 되고 어떤 상품컬럼(1)로부터 낙하한 상품(2)이라도 집중반출구(5)로 향해서 반출되도록 되어있다.
또 이와같이해서 반출된 상품(2)중 주반송벨트(8)에 탑재된 상품(2)는 주반송벨트(8)에 탑재된 상태로 집중반출구(7)을 경유해서 상품판매구(5)까지 반출되도록 되어있으나 반송벨트(9)에 탑재된 상품(2)는 집중반출구(7)에서 주반송벨트(8)의 집중반출구(7)의 부분 (8A)에 수수되어서 상품판매구(5)로 반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반출된 상품(2)를 주반송벨트(8)의 집중반출구(7)의 부분 (8A)에 수수해서 상품판매구(5)로 반출하도록 하므로서 집중반출구(7)의 구조가 간단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버튼이 눌려지면 판매제어장치는 우선 상품수납컬럼(3)의 상품반출장치를 구동시켜서 상품(2)를 주반송벨트(8) 및 반송벨트(9)에 낙하 탑재시키고 다음에 기어전동기(10)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반송벨트(8)이 회전동작함과 동시에 이회전동작이 연동기어장치(12)를 거쳐서 반송벨트(9)에 전달되고 상품(2)를 탑재시킨 상태로 주반송벨트(8)과 반송벨트(9)가 연동해서 회전동작하고 상품(2)가 집중반출구(5)로 향해서 반송되게 된다.
그후 반송된 상품(2)중 주반송벨트(8)에 탑재된 상품(2)는 주반송벨트(8)에 탑재된 상태로 집중반출구(7)을 거쳐서 상품판매구(5)까지 반출되고 반송벨트(9)에 탑재된 상품(2)는 집중반출구로서 주반송벨트(8)의 집중반출구(7)의 부분(8A)에 수수된후 상품판매구(5)에 반출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주반송벨트(8)을 집중반출구(7)까지 뻗어있게 함과 동시에 주반송벨트(8)과 연동해서 회전동작하는 복수의 반송벨트(9)를 집중반출구(7)을 벗어나서 방사상으로 배치하므로서 상품수납컬럼(3)으로부터 낙하하는 상품(2)를 주반송벨트(8) 및 반송벨트(9)로 받아서 집중반출구(7)까지 반송할수가 있다.
또 집중반출구(7)까지 반송한 상품(2)를 주반송벨트(8)의 집중반출구(5)의 부분(8A)에 수수해서 상품판매구(5)로 반출할수가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주반송벨트(8)과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반송벨트(9)를 연동시켜서 상품(2)를 상품판매구(5)에 반출하도록한 자동판매기에 대해 기술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반송벨트를 상품수납실의 하부에 설치하고 이 반송벨트를 다른 속도로 회전시키므로서 상품을 상품판매구로 향하도록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같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6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측면단면도, 제7도는 그 평면단면도이다.
또한 제6도 제7도에 있어서 제1도 제2도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6도 제7도에 있어서 (16)은 기어전동기(10)에 연결부(17)을 거쳐서 접속되고 기어전동기(10)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동축이며 이 구동축(16)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동기어(18)이 부착되어 있다.
또 (19)는 상품수납실(1a)의 하부에 상품수납실(1a)의 안쪽방향으로 대략 평행으로 나란하게 뻗어있는 복수의 반송벨트이다.
그리고 이들 반송벨트(19)는 상품수납실(1a)의 후부에 본체(1)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후부축(20a)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구동풀리(21)과 상품수납실(1a)의 전단부에 후부축(20a)와 평행으로 배치된 전부축(20b)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피구동풀리(22)와의 사이에 걸어설치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 후부축 (20a), 전부축(20b)는 베이스(7a)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71)에 고정유지되고 구동축(16)은 플랜지(71)에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구동풀리(21)의 한쪽 측며눕에는 기어부(21a)가 동축상으로 형성되어있고 이 구동풀리(21)의 기어부(21a)와 구동기어(18)과는 연동벨트(23)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기어전동기(10)의 회전에 연동해서 구동축(16)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8)로서 구동풀리(21)이 회전하고 이에 수반해서 반송벨트(19)가 회전동작하게 되어있다.
또한 구동풀리(21)의 기어부(21a)의 기어비는 측면부의 반송벨트(19)의 것보다도 중앙부의 반송벨트(19)의 쪽이 적게 되어있고 이것에 의해 상품판매구(5)에 가까운 중앙부의 반송벨트(19)쪽이 측면부의 것보다도 고속으로 회전동작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반송벨트(19)의 회전속도에 차이를 두므로서 반송벨트(19)에 탑재된 상품(2)를 제7도에 나타내는 화살표와같이 회전속도차이에 의해 중앙부의 반송벨트(19)쪽으로 끌어당기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상품(2)를 상품판매구(5)로 반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품수납실(1a)의 전면부에는 반송벨트(19)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함과 동시에 이 대향하는 면에는 상품판매구(5)로 향해서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설치되어있다.
여기서 이 안내부(25)는 상품수납컬럼(3)으로부터 낙하하여 반송벨트(19)에 의해 반송되어오는 상품(2)를 받아서 상품판매구(5)에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같은 안내부(25)를 설치하므로서 상품수납컬럼(3)의 위치나 낙하시의 상태로 상품판매구(5)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품(2)를 이 안내부(25)에서 일단 받은후 반송벨트(19)의 회전속도차이에 의해 경사부(24)를 따라 상품판매구(5)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선택버튼이 눌려지면 판매제어장치는 우선 상품수납컬럼(3)의 상품반출장치를 구동시켜서 상품(2)를 반송벨트(19)에 낙하 탑재시키고 다음에 기어전동기(1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기어전동기(10)이 회전하면 구동축(16)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기어(18)에 연동해서 구동풀리(21)이 회전하고 이에 수반해서 반송벨트(19)가 중앙부의 반송벨트(19)쪽의 측면부의 것보다도 고속으로 회전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벨트(19)에 탑재된 상품(2)가 반송벨트(19)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중앙부의 반송벨트(19)쪽으로 끌어당겨져서 상품판매구(5)로 반출된다.
또 상품판매구(5)까지 도달되지 못한 상품(2)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안내부(25)로 일단 받아진후 반송벨트(19)의 회전속도차이에 의해 안내부(25)의 경사면(24)을 따라서 상품판매구(5)까지 이동하고 상품판매구(5)로 반출된다.
이와같이 상품수납실(1a)의 하부에 복수의 반송벨트를 설치하여 이들 반송벨트(19)를 상품판매구(5)에 가까운 것일수록 고속으로 회전동작시키므로서 상품(2)를 반송벨트(19)의 상품반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안내부(25)의 경사면(24)을 따라 상품판매구(5)로 향하게 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품수납실의 전역에 걸쳐 1매의 반송벨트를 뻗어있게 하고 다시 또 이 1매의 반송벨트에 상품판매구측으로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리브를 형성하므로서 상품을 상품판매구로 향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8도는 제3항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평면단면도이다.
또한 동도면에 있어서 제7도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동도면에 있어서 (26)은 모든 상품수납컬럼(1)로부터의 상품을 받을수가 있도록 상품수납실(1a)의 하부전역에 걸쳐서 뻗어있는 1매의 반송벨트이며 이 반송벨트(26)에는 상품(2)를 안내부(25)에 따라 상품판매구(5)로 향하게 하도록 상품판매구(5)측에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리브(27)이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있다.
또한 이 반송벨트(26)은 구동축(16)에 고정된 원주상의 피구동풀리(29)와의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선택버튼이 눌려지면 판매제어장치는 우선 상품수납컬럼(3)의 상품반출장치를 구동시켜서 상품(2)를 반송벨트(26)에 낙하탑재시키고 다음에 기어전동기(1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에 수반해서 반송벨트(26)이 회전동작하게 되어있다.
이것에 의해 상품(2)는 반송벨트(26)의 리브(27)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반송되어서 상품수납실(1a)의 전면부에 설치된 안내부(25)로서 일단 받아진후 동도면에 나타내는 화살표와 같이 리브(27)에 의해 안내부(25)의 경사면(24)에 따라 상품판매구(5)로 향하고 이윽고 상품판매구(5)로 반출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상품수납실(1a)의 하부전역에 걸쳐서 1매의 반송벨트(26)을 뻗어있게 함과 동시에 이 반송벨트(26)에 상품판매구(5)측으로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리브(27)을 형성하므로서 상품수납컬럼으로부터 낙하해오는 상품(2)를 반송벨트(26)의 회전동작으로 상품수납실(1a)에 설치된 안내부(25)의 경사면(24)에 따라 상품판매구(5)로 향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지금까지 기술한 3가지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판매제어장치는 선택버튼이 눌려지면 상품(2)를 확실히 반출할 수 있는 시간만큼 기어전동기(10)을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냉동상품을 반출하는 경우에는 판매제어장치는 상품판매시이외에도 소정의 타이밍으로 일정시간 기어전동기(10)을 구동시켜서 반송벨트(8),(9),(19),(26)을 회전동작시키고 이것에 의해 반송벨트(8),(9),(19),(26)의 동결을 방지하도록 하고있다.
이상과같이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반송벨트를 집중반출구에 위치시켜서 방사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반송벨트를 주반송벨트와 연동해서 회전동작하도록 했기 때문에 반송벨트를 사용해서 상품을 전면문의 소정의 1개소에 설치된 상품판매구로 반출할 수가 있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수납실의 하부에 대략 평행으로 나란히 한 복수의 반송벨트를 상품판매구에 가까운 것일수록 고속으로 회전동작하도록 했기 때문에 상품을 반송벨트의 상품반출단말에 대향하도록 설치된 안내부에 따라서 상품판매구로 향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수납실의 하부전역에 걸쳐서 설치됨과 동시에 상품판매구측으로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리브가 형성된 1매의 반송벨트를 회전동작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상품을 안내부에 따라 상품판매구로 향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상품수납실(1a)에 병설된 복수의 상품수납컬럼(3)에 수납된 상품을, 전면문(4)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5)로 반출하도록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상품판매구(5)에 대응해서 상기한 상품수납실(1a)의 전면부에 설치된 집중반출구(7)와, 상기한 상품수납컬럼(3)의 아래쪽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집중반출구(7)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반송벨트(8)(9)를 구비하고, 상기한 복수의 반송벨트(8)(9)의 적어도 하나를 주반송벨트(8)로 하고, 나머지의 상기한 반송벨트(9)에 상기한 주반송벨트(8)의 동력을 전달해서 상기한 주반송벨트(8) 및 상기한 반송벨트(9)로서 상기한 상품은 상기한 상품판매구(5)로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상품수납실(1a)에 병설된 복수의 상품수납컬럼(3)에 수납된 상품(2)을 전면문(4)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5)로 반출시키도록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한 상품수납실(1a)의 하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상품수납실(1a)의 안쪽방향으로 뻗어있는 한편, 상기한 각 상품수납컬럼(3)으로부터 낙하해오는 상품(2)을 받아서 전방으로 반송하도록 대략 평행으로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한 상품판매구(5)에 가까운 것일수록 고속으로 회전동작하는 복수의 반송벨트(19)와, 상기한 반송벨트(19)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한 상품판매구(5)를 향해서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25)를 구비하고, 상기한 반송벨트(19)로서 반송된 상기한 상품(2)은 반송벨트(19)의 회전속도차이에 의해 상기한 경사부(24)를 따라서 상기한 상품판매구(5)까지 이동해서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상품수납실(1a)에 병설된 복수의 상품수납컬럼(3)에 수납된 상품(2)을 전면문(4)의 소정의 1개소에 형성된 상품판매구(5)로 반출시키도록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모든 상기한 상품수납컬럼(3)으로부터의 상품(2)을 받을 수가 있도록 상기한 상품수납실(1a)의 하부 전역에 걸쳐서 뻗어있음과 동시에, 상기한 상품판매구(5)측으로 개방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리브(27)가 간격을 두고 복수설치되어 있는 1매의 반송벨트(26)와, 상기한 반송벨트(26)의 상품송출말단에 대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그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한 상품판매구(5)를 향해서 경사부(24)가 형성되어있는 안내부(25)를 구비하고 상기한 반송벨트(26)로서 반송된 상품(2)은 반송벨트(26)의 리브(27)에 의해 상기한 경사부(24)를 따라 상기한 상품판매구(5)까지 이동해서 반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40022226A 1993-09-06 1994-09-05 자동판매기 KR01352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21249 1993-09-06
JP5221249A JPH0773365A (ja) 1993-09-06 1993-09-06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505A KR950009505A (ko) 1995-04-24
KR0135225B1 true KR0135225B1 (ko) 1998-05-15

Family

ID=1676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226A KR0135225B1 (ko) 1993-09-06 1994-09-05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3365A (ko)
KR (1) KR01352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73365A (ja) 1995-03-17
KR950009505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8451A (en) Apparatus for storing hollow ice bodies
WO2019208131A1 (ja) 商品収納ラック及び商品収納装置
KR900000323Y1 (ko) 다양한 품목을 자동판매 할수있는 기구를 가진 자동 판매기
KR0135225B1 (ko) 자동판매기
JP352478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02150396A (ja) 自動販売機
JP352477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47509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0133817B1 (ko) 자동판매기
JP200012324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960011506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JP356163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284828B2 (ja) 自動販売機の水平コンベヤ式商品ラック
JP2676316B2 (ja) 氷の垂直搬送装置
JP271414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0154553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JP200014912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出装置
KR0143395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JP2003085637A (ja) 自動販売機
WO2020100795A1 (ja) 物品販売機の物品検知装置
JPH0620147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024062766A (ja) 自動販売機
JPH08138140A (ja) 自動販売機
JP2007133690A (ja) 商品搬出装置
JPH07152959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