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66B1 -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 Google Patents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66B1
KR0134666B1 KR1019950024066A KR19950024066A KR0134666B1 KR 0134666 B1 KR0134666 B1 KR 0134666B1 KR 1019950024066 A KR1019950024066 A KR 1019950024066A KR 19950024066 A KR19950024066 A KR 19950024066A KR 0134666 B1 KR0134666 B1 KR 0134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fiber
guide
open en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851A (ko
Inventor
마사시 카네코
노리아키 미야모토
야스코키 카와이
히사아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497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49123A/ja
Priority claimed from JP9558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13832A/ja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지도우쇼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6000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04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imparting twist by contact of fibres with a running surface
    • D01H4/08Rotor spinning, i.e. the running surface being provided by a rotor
    • D01H4/10Roto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04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imparting twist by contact of fibres with a running surface
    • D01H4/08Rotor spinning, i.e. the running surface being provided by a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에 관한다.
2. 발명이 해결하려하는 기술적 과제
꼬이면서 인출되는 섬유다발을 구성하는 섬유를 비교적 곱게 뻗은 상태로 꼬을 수 있고 또한 고속으로 감촉이 좋은 실을 제조하려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려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① 개방단 및 폐쇄단과 주벽을 구비하고 회전가능한 외부회전자(6)과 그 주벽은 그 내면에 섬유집속부(6a)를 구비하고 그 섬유집속부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선과 교차한 평면상에 위치한다.
② 상기 외부회전자내에는 외부회전자(6)와 독립해서 구동하며 실인출통로(23)의 끝부와 마주대는 내부 회전자(11)를 구비한다.
③ 상기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면 상기 섬유집속부(6a)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살인출통로(23)까지 섬유다발을 안내하는 실통로(30)를 구비한다.
④ 상기 내부회전자(11)에 설치되며 실통로(30)을 통해서 실인출통로(23)으로 인도되는 섬유다발에 대해서 내부회전자의 회전방향 앞쪽으로부터 접속되는 제1가이드(31)을 구비한다.
⑤ 상기 제1가이드(31)와 외부회전자(6)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가이드보다도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31)과의 협동에 의해 실을 인출통로를 향해 안내하는 제2가이드(33)을 구비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접촉압을 크게 하지 않아 제1가이드의 마모를 현저히 줄이며 고속으로 감촉이 좋은 실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외부회전자의 개방측으로부터 보여진 외부회전자와 내부회전자 및 지지원판과 회전자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제2도는 외부회전자와 내부회전자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3도는 오픈엔드정방기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5도는 제3실시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4실시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7a,b,c도는 실통로가 섬유집속도와 동일 평면상이 아닌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5실시예의 외부회전자와 내부회전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9도는 동일한 오픈엔드정방기의 부분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의 10-10선 단면도이다.
제11도는 제6실시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12-12선 단면도이다.
제13도는 제7실시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의 14-14선 단면도이다.
제15도는 제8실시예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제16도는 제15도의 16-16선 단면도이다.
제17a도는 제9실시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b도는 기체통과구멍의 확대도면이다.
제18도는 동일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19a도는 변형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b도는 기체통과구멍의 확대도면이다.
제20도는 동일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21a도는 다른변형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b도는 기체통과구멍의 확대도면이다.
제22도는 동일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23a도는 다른 변형예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b도는 기체통과구멍의 확대도면이다.
제24도는 동일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제25도는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제26도는 종래예의 인출섬유다발과 섬유집속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7도는 종래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28도는 동일 다른 종래예를 나타내고 a도는 일부 파단평면도이다.
b도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회전축 3 : 축받이
4 : 지지원판 6 : 외부회전자
6a : 섬유집속부 7 : 회전자축
8 : 구동벨트 9 : 베어링
10 : 축 11 : 내부회전자
14 : 케이스 18 : 보스부
21 : 코밍롤러 22 : 섬유수송채널
23 : 실인출통로 25 : 실파이프
26 : 케이싱 30 : 실통로
31,131 : 제1가이드 32,132 : 벽
33,133 : 제2가이드 134 : 부압원
135 : 기체통과구멍 136 : 부압실
137 : 배기구멍 138 : 플랜지
본 발명은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rotor type poen-end spinming machinde)에 관한다. 특히 섬유가 풀어진 상태로 공급되는 섬유가 집속(集束)하는 섬유집속부를 가지는 외부회전자를 비치하고 또한 그 외부회전자내에 외부회전자와는 독립해서 구동됨과 더불어 일부가 실인출통로의 끝부와 대응하는 내부회전자를 설치한 정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에 있어서는 공급슬라이버(sliver)가 코밍롤라(Combing roller)에 의해 섬유를 흐트러트려 풀고 불순물이 슬라이버로부터 분리된다. 풀어진 섬유는 고속회전하는 회전자내의 부압(負壓)에 기초해서 수송채널내에 생기는 기류에 의해 로터내로 수송된다. 그리고 그 섬유는 로터의 최대내경부, 즉 섬유집속부에 집속한다.
집속한 섬유는 네이블의 중심에 설치된 가이드구멍(guide 孔), 즉 실인출 통로로부터 인출하고 회전자에 의해 인출되며 동시에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꼬아져 실로되면 보빈에 패키지로서 감기도록 되어 있다.
오픈엔드정방기는 링정방기에 비해서 생산성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오픈엔드정방기에서 제작된 실(이하 오픈엔드실로 호칭)은 링정방기에서 제작된 실(이하 링실로 호칭)과 비교해서 포목을 제작한 때에 촉감이 떨어진다.
또 꼬임 영역에 날라들어온 섬유가 형성되면서 있는 실에 감겨붙으면 실의 외관상의 불량도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오픈엔드실은 링실에 비해서 강도가 떨어진다.
본 발명자는 제작된 포목의 촉감이 떨어지는 원인은 링실과 오픈엔드실과의 구조상의 상이점에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종래의 오픈엔드실은 리본 혹은 테이프가 비틀리는 바와 같은 형상의 오목부, 블록부가 그 외주면에 현저히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 링실은 외주면에 오목부, 볼록부가 거의 없다. 이 원인은 종래의 오픈엔드정방기에서는 제2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자(71)의 섬유 집속부(72)로부터 가이드구멍(표면에 표시안함)으로 향해서 인출되는 섬유 다발 F가 떼어내는 점 P로부터 회전자의 내벽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인출되는 점에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떼어내는 점 P에 있어서의 섬유 다발 F(실 Y)와 회전자 내벽면에 대해서 각도 θ, 즉 섬유다발 F에 대한 꼬임각도 θ가 거의 90˚로 있기 때문에 섬유다발 F는 거의 90˚로 굴곡하고 그 섬유다발 F에서는 굴곡부 외측의 섬유에 항시 장력이 가해지는 한편, 내측의 섬유는 느슨한 상태로 된다. 이 생태에서는 꼬여지기 때문에 중심에 위치하는 장력이 강한 섬유의 주위에 장력이 약한 섬유가 감긴 상태로 실이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실이 꾸불꾸불되도록 되어서 그 외주부에 오목부, 볼록부가 현저히 나타난다.
종래의 오픈엔드실의 결정을 해소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소 51-64034호 공보에는 별도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섬유집속부를 가지는 회전자, 즉 외부회전자를 구비하여 그 외부회전자의 안쪽에 섬유 집속부로 집속한 섬유다발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멍을 가지고 또한 상기 회전자에 대해서 차동회전을 행하는 드래프트회전자, 즉 내부회전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제2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회전자(73)의 안쪽에 내부회전자(74)가 동심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회전자(74)가 외부회전자(73)보다 약간 빠르게 회전하고 내부회전(74)의 인출구멍(75)를 경유해서 섬유다발 F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섬유다발 F에 드래프트(draft)가 주어지면서 방사된다.
또 상기 공보는 제2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집속부에 집속된 섬유다발 F에 눌러접하면서 공전하고 또한 자전하는 소원반(76)을 내부회전자(74)에 부착하여 섬유다발 F의 뜬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 상태로 드래프트하면서 방사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27도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양회전자(73)의 회전속도가, 예로는 30,000rpm정도로 비교적 낮을 경우에는 제27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집속부로부터 떼어내진 섬유다발 F는, 떼어내는 점 P로부터 인출구멍(75)까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방사된다. 그러나 회전자의 회전속도가 90,000rpm정도의 고속으로 되면 원심력의 증가에 의해 쇄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섬유집속부로부터 인출구멍(75)로 향해서 섬유다발 F는 섬유집속부의 가까이까지 곧바로 뻗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꼬임각도가 거의 90℃로 되며 내부회전자(74)가 없는 종래의 오픈엔드정방기와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또 소원반(76)을 구비한 제28(a)도의 장치 경우, 회전자의 회전속도가 고속으로 된때의 인출속도(감김속도)를 빠르게해서 드레프트배율을 높게 하면 제2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원반(76)이 섬유다발 F를 섬유집속부에 누르는 위치의 바로 하류에 떼어내는 점 P를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드레프트율을 높게 하면 제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다발 F가 인출구멍(75)의 끝부 D점에 접촉하는 압력이 올라가며 꼬임이 D점에서 상류에 대부분 전달되지 않아 섬유접속부의 섬유를 인출할 수가 없다.
또 꼬임을 증가시켜 떼어내는 점 P까지 꼬임을 전달한 경우는 인출구멍(75)의 입구와 P점과의 사이에서 브리지(bridge)섬유 Fb가 생겨서 섬유다발 F에 코일형상으로 감아부쳐, 즉 뭉침섬유가 생긴다. 이것은 실의 외관을 저하시켜 그 실로서 포목을 형성할시, 포목의 감촉을 떨어트린다.
또 소원반(76)과 외부회전자(73)과의 접촉압이 크면 내부회전자(74)가 외부회전자(73)을 회전시키고 말아서 내부회전자(74)와 외부회전자(73)을 소정의 속도차로 회전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 소원반(76)이 외부회전자(73)과 접촉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소원반(76) 또는 외부회전자(73)이 마모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꼬이면서 인출되는 섬유다발을 구성하는 섬유를 비교적 곧게 뻗은 상태로 실을 꼬을 수가 있고 그 실로부터 포목을 제조한때의 포목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며 게다가 그와 같은 실을 고속으로 제조할 수가 있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에서는 풀어진 섬유가 섬유집속부에 공급되며 또한 그 섬유집속부에서 집속해서 섬유다발이 형성되고 그 섬유다발에 꼬임을 가하면서 실인출통로로부터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실이 방출된다.
회전가능한 외부회전자와 개방단, 폐쇄단 및 주벽을 비치하고 그 주벽은 그 내면에 섬유집속부를 가지고 있다. 그 섬유집속부는 외부회전자의 회전축선과 엇갈리는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회전자는 외부회전자내에 설치되며 외부회전자와는 독립해서 구동된다. 그 내부회전자는 실인출통로와 끝부와 마주대하고 있다.
실통로는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며 섬유집속부의 근방으로부터 실인출통로까지 섬유다발을 안내한다. 제1가이드는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며 실통로를 통해서 실인출통로로 인도되는 섬유다발에 대해서 내부회전자의 회전방향의 앞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제2가이드는 제1가이드와 외부회전자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제1가이드보다 내부회전자의 회전방향 전방측에 설치되며 제1가이드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실인출통로로 향해서 안내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제3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틀(도면에 표시않함)에 고정된 베이스(1)에 한쌍의 회전축(2)가 축받이(3)를 개입해서 서로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의 양쪽끝에는 지지원판(3)가 각각 일체회전가능하게 끼워부착되며 인접하는 각 한쌍의 지지원판(4)에 의해 제1도에 표시된 쐐기형상의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내에는 중공이 회전자축(7)이 그 외주면을 각 지지원판(4)에 접속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7)의 선단에는 바깥회전자(6)이 끼워 부착고정되어 있다.
2쌍의 지지원판(4) 사이에는 복수추공통의 구동벨트(8)이 설치되며 그 벨트(8)은 회전축(7)을 지지원판(4)에 눌러접하도록 회전축(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구동전동기에 의해 구동벨트(8)이 구동되며 구동벨트(8)의 주행에 의해 회전축(7)이 회전구동된다.
회전축(7)의 양쪽끝에 형성된 큰지름부(7A)내에는 베어링(축받이)(9)가 고정되며 회전축(7)을 관통하는 축(10)이 베어링(9)를 개입해서 회전축(7)과 같은 축선상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축(10)의 선단에는 내부회전자(11)이 일체회전가능하게 끼워부착되며 기단이 쓰러스트축받이(12)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동벨트(8)과 같게 복수추공통으로 설치된 구동벨트(13)은 축(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행가능하게 있으며 또한 그 축(10)에 눌러 접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벨트(13)의 주행에 의해 축(10)이 회전구동된다.
쓰러스트축받이(12)는 윤활유 O가 수용된 케이스(14), 펠트제의 오일공급부재(15), 그 공급부재(15)에 지지된 보울(16), 보올(16)에 축(10)의 반대측으로부터 맞닿는 조정나사(15A)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지지원판(4)는 회전축(7)의 회전에 따라서 지지원판(4)가 회전할때 회전축(7)에 대해서 쓰러스트축받이(12)쪽으로 향해 쓰러스트하중이 걸리도록 약간 경사한 형태로 회전축(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7)에 작용하는 쓰러스트하중이 베어링(9)를 통해서 축(10)에 전달되며 쓰러스트축받이(12)로 지지된다.
외부회전자(6)의 개구와 대향해서 설치된 하우징(17)에는 외부회전자(6)내에 돌출하는 보스부(18)이 형성되어 있다. 섬유수송통로(22)의 한쪽끝은 보스부(18)로 개방되어 있다. 섬유의 바깥회전자(6)으로의 공급은 공급롤러(19) 및 압착기(20)에 의해 이행되며 그 섬유는 코밍롤러(21)에 의해 흐트러진 섬유를 외부회전자(6)내로 안내하는 섬유수송채널(22)의 한쪽끝이 개방되어 있다.
보스부(18)의 중앙에는 실인출통로(23)의 한쪽끝이 개방된 네이블(24)가 설치되어 있다. 실인출통로(23)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파이프(25)는 네이블(24)의 중심선과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실파이프(25)의 네이블(24)에 근접하는 단부(25a)가 실(섬유다발 F)의 꼬는 개시점으로 되어 있다.
외부회전자(6)을 덮는 케이싱(26)은 하우징(17)의 끝면에 O링(27)을 통해서 접합되며 그 케이싱(26)은 부압원(제3도에는 표시안함)에 파이프(28)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주위면의 일부는 외부회전자(6)의 섬유집속부(6a) 근방까지 뻗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중앙부에는 네이블(24)가 끼워져 있음과 더불어 실통로(30)의 일부를 구성하는 오목한 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최대외경부의 반경은 외부회전자(6)의 개방단의 내면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최대외경부에는 방사방향으로 뻗은 통로(30a)가 형성되어 있다. 그 통로(30a)의 한쪽끝은 외부회전자(6)의 섬유집속부(6a)근방으로 개방되고 다른쪽 끝은 오목한 부(29)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오목한 부(29)와 통로(30a)에 의해 실통로(30)이 구성되어 있다. 실통로(30)은 섬유집속부(6a)에 의해 실통로(30)이 구성되어 있다.
실통로(30)은 섬유집속부(6a)의 존재하는 평면상에 설치되며 섬유집속부(6a) 근방으로부터 실인출통로(23)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섬유다발(F)를 안내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회전자(11)의 선단에 있어서 실통로(30)의 입구근방에는 제1가이드(31)이 설치되며 그 제1가이드(31)은 실통로(30)에 대해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가이드(31)은 거의 반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31)은 실통로(30)을 통해서 실인출통로(23)으로 인도되는 섬유다발(F)에 대해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전방측으로부터 접촉가능하게 있다.
제1가이드(31)과 반대측르로는 제1가이드(31)의 원호면에 따라 뻗은 벽면(32a)를 가지는 벽(32)가 형성되어 있다. 벽(32)의 선단은 제1가이드(31)의 원호면보다도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쪽에 위치하고 그 벽(32)의 선단이 제2가이드(33)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벽(32)는 제2가이드(33)보다도 하류의 실통로(30)에 외부회전자(6)내의 섬유가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후방측으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저지한다.
내부회전자(11)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합금등의 금속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양가이드(31)(33) 및 벽(32)의 표면에는 도금, 이온플레이팅등의 표면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도금층, 질화티탄층등의 경질층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방출운동시에는 구동벨트(8),(13)이 같은 방향으로 주행되며 회전자축(7) 및 축(10)을 통해서 외부회전자(6) 및 내부회전자(11)이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내부회전자(11)은 외부회전자의 회전속도와는 다르며 섬유집속부(6a)로부터의 섬유다발(f)의 떼어내짐 속도로 회전한다.
떼어내짐 속도는 외부회전자(6)의 회전속도보다 약간 빠르다.
이 상태에서 코밍롤러(21)의 작용에 의해 섬유가 풀어진 후 섬유수송채널(22)로부터 외부회전자(6)내로 보내어진 섬유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에 따라서 미끄러짐운동하고 섬유집속부(6a)에 접속된다.
집속한 섬유다발(F)는 인출하여 롤러(도면에 표시않함)에 의해 실파이프(25)를 경유해서 인출되는 실(Y)와 연결된다. 따라서 실(Y)의 인출에 따라 섬유 다발 F가 섬유집속부(6a)로부터 떼어내어져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에 의해 꼬여지면서 인출되며 실 Y가 연장된다. 실 Y 및 섬유다발 F에 가해지는 꼬임은 실파이프(25)의 단말부(25a)를 시점으로 해서 외부회전자(6)의 섬유 집속부(6a)까지 전달된다.
섬유다발 F는 떼어내는 점 P가 제2가이드(33)보다도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전방측에 설정되도록한 속도로 인출된다. 그리고 섬유집속부(6a)로부터 떼어내진 섬유다발 F는 제2가이드(33) 및 제1가이드(31)에 접속하면서 실통로(30)내로 인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다발 F는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측에서 제1가이드(31)의 원호면에 접속하는 상태로 인출된다.
따라서 떼어내는 점(꼬여걸리는 점) P부근에 있어서의 섬유다발 F의 인출방향과 섬유집속부(6a)에 집속하고 있는 섬유다발 F와의 이루는 각도, 즉 꼬여 걸리는 각도 θ가 둔각으로 된다. 그리고 섬유집속부(6a)로부터는 떼어지면서 꼬여걸림을 받는 섬유다발 F는 그 안축과 바깥측에 있어서, 경로차가 적지 않고 섬유가 거의 곧바로 뻗은 상태에서 거의 균등한 힘으로 섬유다발 F전체에 꼬여짐이 가해진다.
그 결과 인출된 실의 외주부에는 오목, 블록부등의 생김이 없이 그 실로부터 제조한 포목의 감촉이 양호하게 된다.
양 회전자(6)(11)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떼어내는 점 P로부터 제1가이드(31)로 향해서 이동하는 섬유다발 F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강하게 되며 섬유다발 F를 외부회전자(6)의 벽면측으로 밀어부치도록 작용하는 힘이 크게 된다.
그러나 떼어내는 점 P와 제1가이드(31)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제2가이드(33)이 실통로(30)을 끼워서 바깥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섬유다발 F의 외부회전자(6)의 벽면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또 섬유다발 F의 강성에 의해 제2가이드(33)을 통과한 후에 섬유 다발 F가 굴곡해서 외부회전자(6)의 벽면에 접촉하는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양회전자(6)(11)이 90,000rpm정도의 속도로 회전되어도 종래의 장치와는 달리 섬유집속부(6a)로부터 떼어내진 섬유다발 F는 항시 걸림속도 θ가 둔각의 상태로 유지된다.
또 제2가이드(33)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실통로(30)에는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에 대향하도록 제1가이드(31)의 원호면에 따른 벽면(32a)를 가지는 벽(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떼어내는 점 P에서 떼어내진 섬유다발 F가 확실하게 원호면에 따라서 실통로(30)내를 이동한다.
또 벽(32)의 존재에 의해 제2가이드(33)에 관해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뒤쪽으로부터 섬유가 꼬여 걸림중의 섬유다발 F로 뛰어드는 것이 확실하게 저지되어 섬유뭉침의 발생이 방지된다.
다음, 제2실시예를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부회전자(11)의 선단에 설치된 제1가이드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고 그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게 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선단에는 실통로(30)을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쪽 및 외부회전자(6)의 개방된 쪽으로 향해서 개방하는 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34)에는 제1가이드를 구성하는 원주형상의 핀(35)가 그 외주면의 일부를 벽면(32a)에 대향시킨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벽면(32a)와 대향하는 핀(35)의 외주가 제1가이드(31)을 구성한다. 핀(35)는 내마모성에 우수한 알루미나, 질화알루미늄(AIN), 탄화계소, 질화붕소등의 세라믹재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양가이드(31)(33) 및 벽(32)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가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회전자(11)의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32a) 및 제1가이드(31)의 가공에 비해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내부회전자(11)의 선단에 수용부(34)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수용부(34)를 형성한 후에 벽면(32a)의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1가이드(31)은 핀(35)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핀(35)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만큼 소망의 위치에 제1가이드(31)을 설치한다.
또 섬유다발 F가 항시 미끄러짐운동하면서 통과하는 제1가이드(31)이 세라믹제의 핀(35)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오랜기간의 사용에 의해 교환이 불필요한 외에 마모한 경우에도 핀(35)만의 교환으로 되며 내부회전자(11)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 제3실시예를 제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의 가이드(33) 및 벽(32)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으며 그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게 되어 있다.
벽(32)의 벽면(32a)는 평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선단에는 외부회전자(6)의 개구로 향해서 개방하는 개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33)은 세라믹제의 핀으로 구성되며 개방부(11a)내의 벽(32)의 선단부와 접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도 양가이드(31),(33) 및 벽(32)는 제1실시예와 거의 같게 작용을 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섬유다발 F가 항시 미끄러짐운동을 하면서 통과하는 제2가이드(33)이 세라믹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구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교환이 불필요한 이외 마모한 경우에도 핀만의 교환으로 끝나며 내부회전자(11)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 제4실시예를 제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의 구성이 제2실시예와 다르며 그 외의 구성은 제2실시에와 같다. 수용부(34)에 세라믹제의 롤러(3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롤러(36)의 벽면(32a)와 대응하는 주면이 제1가이드(31)을 구성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이외 섬유다발(F)의 이동에 따라 롤러(36)이 회전하기 때문에 인출저항이 작게 되는 것에 의해 마모하기 어렵게 된다.
제7도(a)∼(c)에 나타내는 다른예에서는 실통로(30)이 섬유집속부(6a)가 존재하는 평면보다도 외부회전자(6)의 밑부측으로 편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제7도(a)∼(c)에서는 도면의 윗측이 외부회전자(6)의 개방측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실시에에서는 어느 것이나 실통로(30)이 섬유집속부(6a)의 존재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다발 F의 섬유집속부(6a)의 존재하는 평면내에서 실통로내로 향해 곧바로 인출된다. 섬유수송채널(22)로부터 외부회전자(6)내로 공급된 섬유는 섬유집속부(6a)에서 외부회전자(6)의 개구근방에 위치하는 내벽면(sliding wall : 미끄러짐벽)을 섬유집속부(6a)로 향해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따라서 섬유집속부(6a)로부터 섬유다발 F를 실통로(30)으로 향해서 곧바로 인출하면 미끄러짐벽을 섬유집속부(6a)로 향해서 미끄러지는 섬유가 인출되고 있는 섬유다발 F에 간섭한 경우에는 인출되고 있는 섬유다발 F(실 Y)에 미끄러짐벽을 미끄러지는 섬유가 말려서 실외관을 저하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 다른예와 같이 실통로(30)을 섬유집속부(6a)의 존재하는 평면보다 외부회전자(6)의 밑쪽에 설치하면 섬유다발 F는 실통로(30)의 존재하는 평면과 대응하는 위치까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상을 미끄러져서 미끄러짐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해서 떼어낸다. 따라서 떼어내는 점 P로부터 실통로(30)의 입구에 이르는 사이의 섬유다발 F와 미끄러짐벽을 미끄러져서 오는 섬유와의 간섭이 생기기 어렵다.
제7도(a)에 나타낸 다른예는 섬유다발 F의 미끄러짐운동부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6b)로 향해서 단순히 경사지게 뻗어 있다.
제7도(b)에 나타낸 다른예는 섬유다발 F의 미끄러짐운동부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6b)와 거의 직교하는 형태를 하고 있다.
제7도(c)로 나타낸 다른예는 섬유다발 F의 미끄러짐운동부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6b)와 거의 직교하도록 뻗은 후 내벽면(6b)로 향해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5실시예를 제8도∼제10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단, 상기 각 실시예와 공통부재에 대해서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사용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싱(26)은 파이프(28)을 통해서 부압원(134)에 접속되어 있다.
부압원(134)는 케이싱(26)에 작용하는 부압의 강도를 조정가능하게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중앙부는 보스부(18)과 대향하고 그 중앙부에는 네이블(24)가 끼워맞춰지는 오목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의 최대외경부는 외부회전자(6)의 섬유집속부(6a) 근방에 위치하는 통로(130a)를 비치하고 있다.
이 통로(130a)의 개구는 섬유집속부(6a)가 존재하는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집속부(6a) 근방으로부터 실인출통로(23)까지 섬유다발 F를 안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오목한 부(129)와 통로(130a)에 의해 실통로(130)이 형성되어 있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회전자(11)의 통로(130a)근방에는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1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가이드(131)은 제1도의 제1가이드(32)와 같게 거의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131)은 실인출통로(23)으로 인도되는 섬유다발 F(실 Y)에 대해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앞측에서 접촉가능하게 있다.
제1가이드(131)의 원호면과 대향하도록 내부회전자(11)에는 제1가이드(131)의 원호면에 따라서 뻗은 벽면(132a)를 구비한 벽(132)가 형성되어 있다.
벽(132)의 선단에는 제1가이드(131)의 원호면보다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측으로 위치하고 벽(132)의 선단이 제2가이드(133)을 구성하고 있다. 외부회전자(6)에는 섬유집속부(6a)를 외부회전자(6)의 외면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다수의 배기구멍(135)가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기구멍(135)는 축(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와 같게 외부회전자(6) 및 내부회전자(11)이 회전되면 풀어진 섬유가 섬유집속부(6a)에 집속해서 섬유다발 F가 형성된다.
그 섬유다발 F는 실 Y와 연결되며 실 Y의 인출에 따라서 섬유집속부(6a)로부터 떼어내지며 꼬여지면서 방사된다. 실 Y 및 섬유다발 F에 가해지는 꼬임은 실파이프(25)의 단말부(25a)를 시점으로 해서 외부회전자(6)의 섬유집속부(6a)까지 전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부회전자(6)의 섬유집속부(6a) 밑부에 연이어 통하도록 배기구멍(1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회전자(6)의 고속회전에 따라서 기체통과구멍(135)에는 자신의 배기작용에 의해 섬유집속부(6a)측으로부터 외부회전자(6)의 바깥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또 케이싱(26)내가 감압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작용에 의해서도 기체통과구멍(135)에는 외부회전자(6)의 바깥측으로 향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의 작용에 의해 섬유집속부(6a)에 집속한 섬유다발 F는 섬유집속부(6a)로 눌려진다.
따라서 섬유다발 F는 떼어내는 점 P에 있어서, 강하게 섬유집속부(6a)로 늘려진 상태로 꼬임을 받는 떼어내는 점 P보다 상류의 섬유다발 F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외관이 우수한 실이 방사되며 그 실로부터 제조된 포목의 감촉도 양호하게 유지될 수가 있다.
또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을 섬유집속부(6a)로 향해 미끄러져 오는 섬유가 섬유집속부(6a)에 도달하면 해당 섬유는 상기 기류에 의해 섬유집속부(6a)에 눌려서 구속된다. 따라서 떼어내는 점 P보다 상류의 섬유다발 F에 다소 꼬임이 전달되어도 종래와 달리 섬유다발로 되는 이전의 섬유가 구속력이 없는 상태로 섬유다발 F의 주위에 헐겁게 감겨지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실 외관의 흐트러짐이나 그 실로부터 제조한 포목의 감촉의 악화가 방지된다. 또 섬유다발 F를 섬유집속부(6a)로 누르는 누름작용이 공기류의 작용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롤러등의 부품을 사용해서 기계적 누름하는 장치와는 달리 마모손상하는 부품이 없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양가이드(131)(133) 및 벽(132)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가진다
또 부압원(134)의 부압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배기구멍(135)로부터의 배기유량이 조정되어 섬유다발 F를 섬유집속부(6a)로 누르는 힘이 변경된다.
따라서 방사조건에 따라 부압의 강도를 조정할 수가 있는 것에 의해 보다 적정한 누름압력을 섬유다발 F에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제6실시예를 제11도 및 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부회전자(6) 및 내부회전자(11)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와 다르게 되어 있으면 그외의 구성은 같다.
제11도 및 제12도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회전자(6)에는 섬유집속부(6a)의 바깥측에 환상(고리모양)의 부압으로서의 부압실(1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압실(136)과 외부회전자(6)외부를 연이어 통하도록, 예로는 밑부에 다수의 배기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회전자(6)은 본체(6A)와 환상부품(고리모양부품)(6B)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6A)는 밑부에 배기구멍(137)을 구비함과 더불어 회전자축(7)에 끼워 부착되어 있다. 환상부품(6B)에는 섬유집속부(6a)의 밑부와 대향하도록 다수의 기체통과구멍(135)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회전자(11)은 원반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외경은 섬유집속부(6a)의 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외부회전자(6)의 배기구멍(137)을 덮고 있다.
내부회전자(11)에는 통로(130a)에 대향하는 커버(cover)부(119)가 돌출설치되며 상기 기체통로구멍(135)을 부압실(136)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1a)는 동시에 3개의 기체통로구멍(135)를 덮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정방기의 운전중, 케이싱(26)내의 부압에 기초해서 배기구멍(137)로부터 외부회전자(6)내의 공기가 배기되며 부압실(136)이 부압으로 된다.
그에 의해 섬유집속부(6a)측으로부터 기체통과구멍(135)를 통과하는 기류가 발생하고 섬유집속부(6a)의 섬유다발 F는 섬유집속부(6a)로 누름압력을 받는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떼어내는 점 P근처의 기체통과구멍(135)가 커버부(11a)로 덮어지기 때문에 섬유집속부(6a)로부터 떼어내진 섬유다발 F를 섬유집속부(6a)로의 누름압력이 약하게 되며 섬유다발 F의 인출저항이 작게 된다. 그 결과 방사가 용이하게 되며 특히 무르게 꼬을 경우(꼬임을 적게 설정할 경우)에 적당하다.
다음으로 제7실시예를 제13도 및 제1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부회전자(11)형상이 제6실시에와 다르며 그외의 구성은 6실시예와 같다. 내부회전자(11)에는 외부회전자(6)의 밑부와 대응하도록 배기구멍(37)의 일부를 덮는 플랜지(138)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38)은 기체통과구멍(135)를 가지는 환상부와 섬유집속부(6a) 사이의 틈을 작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회전자(6)의 부압실(136)에는 배기구멍(137)로부터의 배기유량에 대응해서 주로 기체통과구멍(135)로 부어 기류가 진입한다.
배기구멍(137)로부터의 배기유량플랜지(138)이 배기구멍(137)을 덮는 비율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변경되기 때문에 플랜지(138)의 외경이 다른 내부회전자(11)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섬유집속부(6a)에 있어서의 섬유다발 F에 대한 누름압력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방사조건에 대응해서 각각 외경이 다른 내부회전자(11)을 준비하고 있으면 부압원(134)의 압력을 항시 일정하게 설정해서 정방기를 운전해서도 방사조건에 대응한 누름압력을 확보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제8실시예를 제15도 및 제16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부회전자(11)의 형태와 기체통과구멍(135)의 형상등의 제6실시예와 다르며 그외의 구성은 같다. 내부회전자(11)의 형상에 대해서는 최대외경부 주위방향의 길이가 기체통과구멍(135)를 덮는 커버부(11a)의 길이와 거의 같고 커버부(11a)의 중앙과 내부회전자(11)의 회전운동중심을 통하는 직선에 대해서 대칭형을 이룬다.
또 내부회전자(11)의 중심은 회전운동중심에 일치하고 있다. 커버부(11a)는 통로(130a)의 개구보다도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뒷쪽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통과구멍(135)는 전길이에 걸쳐서 원형이 단면을 가지고 그 지름은 섬유집속부(6a)측이 최소로 되어 있고 반대측으로 향해서 차차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기체통과구멍(135)의 최소지름의 크기는, 실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부적당한 짧은 섬유, 찌꺼기 등의 통과를 허용하고 실을 구성하는 유효한 섬유의 통과를 억제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운전조건에 따라서 다르지만 기체통과구멍(135)의 최소지름부의 직경은 거의 1mm이하, 적당하게는 0.5mm정도가 좋다.
1mm보다도 크면 유효한 섬유의 배출이 많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지름이 0.5mm보다 적으면 먼지나 찌꺼기등이 배출되지 않고 막힘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6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이외 섬유와 더불어 외부회전자내로 보내는 실을 구성하는 섬유로서 부적당한 짧은 섬유등의 찌꺼기가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 배출될 때 막힘이 생기기 어렵다.
기체통과구멍(135)의 지름이 일정하게 있으면 기체통과구멍(135)내로 들어간 찌꺼기의 크기가 기체통과 구멍의 크기에 가까운 경우 찌꺼기가 기체 통과구멍(135)의 도중에 막힐 염려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기체통과구멍(135)의 크기가 입구측, 즉 섬유집속부(6a)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향해서 차츰 커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통과구멍(135)내에 진입한 찌꺼기는 원활하게 출구측으로 이동해서 막힘이 없다.
다음으로 제9실시예를 제17도 및 제1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기체통과구멍(135)의 형상이 제7실시예와 다르게 있으며 그외의 구성은 같다.
제17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통과구멍(135)는 작은 지름부(135a)와 이에 연결된 넓은 지름부(135b)등으로 되며 작은 지름부(135a)가 섬유집속부(6a)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작은 지름부(135a)는 균일한 내경을 가지고 그 지름은 제9실시예의 기체통과구멍(135)의 최소지름부와 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넓은 지름부(135b)의 내경은 출구측으로 향해서 점차 확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7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발휘하는 이외의 섬유와 더불어 외부회전자내로 들여보내지는 먼지나 찌꺼기가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 배출될 때 막힘이 생김이 어렵다.
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부회전자(11)전체를 세라믹으로 형성해도 좋고 이 경우 제1가이드(31) 및 제2가이드(33)의 마모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내부회전자(11) 전체를 세라믹으로 구성할 경우 그 세라믹으로서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알루미나, 질화알루미늄(AIN), 탄화규소, 질화붕소등이 바람직하다.
제2∼제4실시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31) 및 제2가이드(33)의 양자를 세라믹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내구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양 가이드(31)(33)의 교환이 용이하게 된다. 제5∼제9실시예에 있어서 제1가이드(131) 및 제2가이드(131)만을 세라믹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제1가이드(131) 및 제2가이드(133)의 마모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한 교환이 필요한만큼 마모한 경우에도 양가이드(131)(133)만의 교환으로 끝나고 내부회전자(11)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좋다.
제2가이드(33)(133)의 하류측에 벽(32)(132)를 설치하고 제2가이드(33)(133)을 고립시킨 상태로 돌출시킨 구성, 예로는 제5도에 있어서는 벽(32)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도 떼어내는 점 P로부터 떼어내진 섬유다발 F는 원심력이 작용해서도 재차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에 접촉하는 일없이 꼬임이 걸리는 각도가 둔각으로 유지되는 그대로 제1가이드까지 안내된다.
내부회전자(11)의 실통로의 반대측에 그 실통로의 형성부분과 거의 같은 형상의 뻗어나온 부를 설치해서 이를 섬유집속부(6a) 근방까지, 뻗어있게 하는 것에 비해 내부회전자(11) 전체를 회전대칭의 형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체화도 가능하다.
강제배기의 강도, 즉 부압원(134)의 강도와 섬유집속부(6a)의 섬유다발 F에 작용하는 누름압력의 관계를 미리 시험방사를 해서 구해두고 방사조건에 대응해서 강제배기의 강도를 설정해도 좋다.
기체통과구멍(135)의 수, 크기 및 간격을 적절히 선택해서 변경해도 좋다.
또 배기구멍(37)의 수, 크기 및 간격도 적절히 선택해서 변경해도 좋다. 부압원(134)의 강도를 일정하게 한 경우는 배기구멍(137)의 수, 크기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부압실(136)의 부압강도를 조정한다.
제6실시예의 내부회전자(11)에 형성시킨 커버부(11a)를 섬유다발도입용의 개구근방에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앞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위치하는 기체통과구멍(135)를 덮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주로 떼어내는 점 P 부근의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 기류가 부압실(136)측으로 유입하기 때문에 부압원(134)의 강도 및 회전수가 같게 있어도 떼어내는 점 P부근의 섬유다발 F에 대한 누름압력이 강하게 된다.
제9실시예에 있어서 내부회전자(11)의 통로(130a)의 개구를 형성한 부분은 반대측의 부분을 섬유집속부(6a)근방까지 연장해서 내부회전자(11)전체를 회전대칭형상으로 형성한 후 원반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즉 내부회전자(11)의 형상은 회전시의 운동밸런스가 유지되는 형상으로 있으면 좋다.
제19도(a),(b) 및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체통과구멍(135)를 넓힘지름부(132 5b)와 그에 이어진 큰 지름부(135c)로부터 형성하고 넓힘지름부(135b)를 섬유집속부(6a)측에 설치한다.
넓힘지름부(135b)의 최소직경은 제8실시예의 기체통과구멍(135)의 최소지름과 같은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도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의 먼지나 찌꺼기 등의 배출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제21도(a),(b) 및 제2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9실시예에 있어서 기체통과구멍(135)를 작은 지름부(135a), 넓힘지름부(136) 및 큰지름부(135c)로서 구성하고 작은 지름부(135a)를 섬유집속부(6a)측에 설치한다.
이 경우도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의 먼지나 찌꺼기등의 배출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기체통과구멍(135)의 단면형상을 원형이외의 형상으로 한 후 원형단면부와 다른 형상의 부분으로 구성해도 좋다. 예로는, 제23도(a),(b) 및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통과구멍(135)를 섬유집속부(6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단면장방형의 길고 가느다란 홈(135d)와 그 폭, 즉 섬유집속부(6a)의 뻗어있는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지름이 큰 큰지름부(135c)로서 형성하고 홈(135d)를 섬유집속부(6a)에 설치한다. 이 경우도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의 먼지등의 배출이 완료하게 행해진다. 또 제24도는 외부회전자(6)의 섬유집속부(6a) 부근의 확대도면이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변경예에 있어서, 기체통과구멍(135)를 방사방향으로는 않고 섬유집속부(6a)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체통과구멍출구가 그 입구에 대해서 외부회전자(6)의 회전방향으로는 반대측으로 뻗도록 형성해도 좋다.
섬유집속부(6a)에 집속한 섬유다발 F를 실인출통로(23)으로 인도하여 섬유다발도입용의 개구(131)은 실인출통로(23)까지 연속하는 통로에 한하지 않고 섬유집속부(6a)근방에 섬유다발 F를 안내하는 부분이 있으면 좋다. 예로는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회전자(11)에 제1가이드(131)과 제2가이드(133) 설치하여 제1가이드(131)로부터 실인출통로(23)까지는 개방된 공간 S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기체통과구멍(135)로부터 부압실(136)으로 향해 기류의 용량이 많게 된다.
또 기체통과구멍(135)를 축(10)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않고, 외부회전자(6)의 개방측 혹은 밑부측으로 향해서 뻗도록 형성해도 좋다.

Claims (26)

  1. 풀어진 상태의 섬유를 섬유집속부에 공급, 또한 접속해서 섬유다발을 형성하고 그 섬유다발이 꼬임을 가하면서 실인출통로로부터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실을 방사하도록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에 있어서, 개방단, 파쇄단 및 주벽을 구비하고 회전가능한 외부회전자(6)과 그 주벽은 그 내면에서 상기 섬유집속부(6a)를 비치하고 그 섬유집속부는 상기 외부회전자(6)의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과, 상기 외부회전자(6)내에 설치되며 외부회전자와는 독립해서 구동되는 내부회전자(11)와 그 내부회전자는 상기 실인출통로의 끝부와 마주대하고 있는 것과, 상기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며 상기 섬유집속부(6a)의 근방으로 상기 실인출통로(23)까지 섬유다발을 안내하는 실통로(30)과, 상기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며 상기 실통로(30)을 통해서 상기 실인출통로(23)으로 인도되는 섬유다발에 대해서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쪽으로부터 접촉하는 제1가이드(31)과, 상기 제1가이드(31)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제1가이드(31)보다도 내부회전자(11)의 회전방향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인출통로로 향해서 안내하는 제2가이드(33)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집속부(6a)내에 공급된 섬유가 상기 제2가이드(33)보다 하류로부터 상기 실통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벽을 상기 제2가이드보다 하류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통로(30)는 상기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통로(30)는 상기 평면상의 섬유집속부(6a)보다도 외부회전자(6)의 폐쇄단쪽으로 편위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자(11)는 세라믹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31)은 섬유다발과 접촉하는 면에 비치하고 그 면은 활처럼 굽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31)은 원주형상을 이루는 세라믹제의 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33)은 원주형상을 이루는 세라믹제의 핀으로 되어 있고 그 바깥지름은 상기 제1가이드의 바깥지름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31)은 섬유다발과 접촉함과 더불어 활처럼 굽은 면을 갖추고 또한 상기 벽은 상기 제1가이드의 접촉면에 대향해서 활처럼 굽은 안내면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자(6)은 상기 섬유집속부(6a)를 외부회전자(6)의 외부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다수의 기체통과구멍(135)을 구비하고 외부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섬유집속부(6a)에서 집속된 섬유다발이 섬유집속부(6a)로 행해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자(6)은 상기 섬유집속부(6a)보다도 바깥쪽에서 환상(고리모양)으로 형성된 부압실(136)과, 그 부압실과 외부회전자의 외부를 통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부회전자의 폐쇄단에 형성시킨 배기구멍(137)을 갖추며, 상기 기체통과구멍은 상기 섬유집속부를 상기 부압실(136)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상기 내부회전자(11) 실통로의 섬유집속부(6a)쪽 끝부근방에는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을 상기 부압실(136)측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자(6)은 상기 섬유집속부(6a)보다 바깥측에서 환상으로 형성된 부압실(136)과 그 부압실과 외부회전자의 외부와를 연이어 통하기 위해 상기 외부회전자의 폐쇄단에 형성시킨 배기구멍(137)을 비치하고, 상기 내부회전자에는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13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은 그 단면에 있어서 섬유집속부의 뻗은 방향에 따라서 최대길이가 적어도 기체통과구멍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2단계로 변화하고 또한 섬유집속부(6a)측 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은 전길이에 걸쳐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자를 덮은 케이싱(26)은, 그 케이싱내를 부압하기 위한 부압원(134), 그 부압원은 부압의 크기를 변경가능하게 있는 것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6. 풀어진 상태의 섬유를 섬유집속부(6a)에 공급, 또한 집속해서 섬유다발을 형성하고 그 섬유다발에 꼬임을 가하면서 실인출통로로부터 인출하는 것에 의해 실을 방사하도록 한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에 있어서, 개방단, 폐쇄단 및 주벽을 비치하고 회전가능한 외부회전자(6)과 그 주벽은 그 내면에 상기 섬유집속부(6a)를 비치하고 그 섬유집속부는 상기 외부회전자의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과, 상기 외부회전자(6)내에 설치되며 외부회전자와는 독립해서 구동되는 내부회전자(11)과 그 내부회전자는 상기 실인출통로의 끝부와 마주대하고 있는 것과, 상기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며 상기 섬유집속부의 근방으로 상기 실인출통로(23)까지 섬유다발을 안내하는 실통로(30)과 상기 실통로는 상기 평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내부회전자에 설치되며 상기 실통로(30)을 통해서 상기 실인출통로(23)으로 인도되는 섬유다발에 대해서 내부회전자의 회전방향 앞쪽으로부터 접촉하는 제1가이드(131), 상기 제1가이드는 섬유다발과 접촉하는 면을 구비하고 그 면은 활처럼 구부러져 있는 것과, 상기 제1가이드(131)와 외부회전자(6)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보다도 내부회전자의 회전방향 앞측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와의 협동에 의해 실을 상기 실인출통로로 향해서 안내하는 제2가이드(133)과, 상기 제2가이드보다도 하류측에 설치되며 상기 섬유집속부(6a)내에 공급된 섬유가 상기 제2가이드보다도 하류로부터 상기 실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는 벽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자(11)은 세라믹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131)은 원주형상을 이루는 세라믹제의 핀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133)은 원주형상을 이루는 세라믹제의 핀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경은 상기 제1가이드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벽(132)은 상기 제1가이드의 접촉면에 대향해서 활처럼 구부러져 있는 안내면을 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자(6)은 상기 섬유집속부를 외부회전자의 외부로 통하게 하는 다수의 기체통과구멍을 구비하고 외부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섬유집속부(6a)에서 집속된 섬유다발의 섬유집속부로 향해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6)은 상기 섬유집속부보다도 바깥측에 있어서, 환상으로 형성된 부압실(136)과, 그 부압실과 외부회전자의 외부와를 통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부회전자의 폐쇄단에 형성된 배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은 상기 섬유집속부를 상기 부압실에 연이어 통하게 해서 상기 내부회전자(11) 실통로의 섬유집속부측 끝부분근방에는 상기 기체통과구멍(135)를 상기 부압실(136)측으로부터 덮는 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6)은 상기 섬유집속부보다도 바깥측에 있어서, 환상으로 형성된 부압실(136)과 그 부압실과 외부회전자의 외부와를 연이어 통하게 하기 위해 회전자의 폐쇄단에 형성된 배기구멍(137)등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회전자(11)에는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13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은 그 단면에 있어서의 섬유집속부(6a)에 따른 최대폭이 적어도 기체통과구멍(135)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2단계로 변화하고 또한 섬유집속부(6a)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통과구멍(135)은 전길이에 걸쳐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자를 덮는 케이싱(26), 그 케이싱내를 부압하기 위한 부압원(134)과 그 부압원은 부압의 크기를 변경가능한 것으로 있는 것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KR1019950024066A 1994-08-05 1995-08-04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KR0134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84976 1994-08-05
JP18497694A JPH0849123A (ja) 1994-08-05 1994-08-05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JP19667794 1994-08-22
JP94-196677 1994-08-22
JP95-095585 1995-04-20
JP9558595A JPH08113832A (ja) 1994-08-22 1995-04-20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51A KR960007851A (ko) 1996-03-22
KR0134666B1 true KR0134666B1 (ko) 1998-04-18

Family

ID=2730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066A KR0134666B1 (ko) 1994-08-05 1995-08-04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98695A (ko)
KR (1) KR0134666B1 (ko)
CH (1) CH689896A5 (ko)
DE (1) DE19528727C2 (ko)
TW (1) TW32790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4271A1 (de) 2002-11-21 2004-06-03 Saurer Gmbh & Co. Kg Offenend-Spinnvorrichtung
DE10254272A1 (de) 2002-11-21 2004-06-03 Saurer Gmbh & Co. Kg Offenend-Spinnvorrichtung
DE102015115912A1 (de) * 2015-09-21 2017-03-23 Maschinenfabrik Rieter Ag Kanalplattenadapter und Offenendspinnvorrichtung mit einem Kanalplatten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20390A (en) * 1967-06-05 1971-01-27 Daiwa Spinn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of fibrous materials utilizing a rotary spinning chamber
GB1434629A (en) * 1973-09-21 1976-05-05 Noguera J M Yarn spinning apparatus
DE2421415B2 (de) * 1974-05-03 1977-07-28 Fried. Krupp GmbH, 4300 Essen - Offen-end-spinneinheit mit faserleitscheibe
JPS5164034A (en) * 1974-11-29 1976-06-03 Negishi Kogyo Kenkyusho Kk Shinboshihoho oyobi sochi
JPS58214536A (ja) * 1982-06-03 1983-12-13 Toray Ind Inc 実撚紡績糸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BE894649A (fr) * 1982-10-08 1983-04-08 Houget Duesberg Bosson Procede et appareillage de filature open-end
CH692584A5 (fr) * 1991-07-29 2002-08-15 Toyoda Automatic Loom Works Unité de filage à extrémité ouverte du type à rotor et procédé de mise en action de cette unité.
JPH05164034A (ja) * 1991-12-13 1993-06-29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3163752B2 (ja) * 1992-06-11 2001-05-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JP3355704B2 (ja) * 1992-08-27 2002-12-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及びその糸継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51A (ko) 1996-03-22
TW327900U (en) 1998-03-01
DE19528727A1 (de) 1996-02-08
DE19528727C2 (de) 1998-06-04
US5598695A (en) 1997-02-04
CH689896A5 (de) 200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192A (en) Process and an arrangement for false-twist spinning
JPH11315429A (ja) サクションロ―ラを備えている練条機を有する精紡機
US6032451A (en) Spinning machine with condensing suction rotor for a drafting frame
US3122794A (en) Drafting and scavenging apparatus
US475306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yarn
KR0134666B1 (ko) 회전자식 오픈엔드정방기
US5890356A (en) Open-end fiber veil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235250A (ja) 紡績装置
US456506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paring fasciated spun yarns
GB2054671A (en) Open-end spinning apparatus
JP4163480B2 (ja) コアヤーンを製造するための精紡機
US3457716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spinning of fibers
US3295307A (en) Method and machine for making yarn from staple fiber
JP2000136445A (ja) スライバを開繊分離する装置
US4479348A (en) Apparatus for spinning fasciated yarn
JPH11315423A (ja) 糸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ための精紡機
JPH01139826A (ja) オ−プンエンド精紡機の紡糸ユニット
JP3355704B2 (ja)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及びその糸継ぎ方法
US45935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pun yarn
KR0182218B1 (ko) 회전자식 오픈엔드 정방기
US6055801A (en) Process for modernizing an open-end spinning machine
US5768878A (en) Open-end spinn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JPH0533226A (ja)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JPH0849123A (ja) ロータ式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KR940011463B1 (ko) 로터식 오픈엔드 정방기(rotor type open-end spinn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