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98B1 - 인식력 향상제로서 d-시클로세린 및 그의 프로드럭 - Google Patents

인식력 향상제로서 d-시클로세린 및 그의 프로드럭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98B1
KR0134198B1 KR1019880015895A KR880015895A KR0134198B1 KR 0134198 B1 KR0134198 B1 KR 0134198B1 KR 1019880015895 A KR1019880015895 A KR 1019880015895A KR 880015895 A KR880015895 A KR 880015895A KR 0134198 B1 KR0134198 B1 KR 013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serine
memory
compounds
glycine
sal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392A (ko
Inventor
에이. 코르디 알렉스
이. 한델만 게일
비. 모나한 조세프
Original Assignee
폴 디. 마튜카이티스
지.디.씰 앤드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디. 마튜카이티스, 지.디.씰 앤드 컴파니 filed Critical 폴 디. 마튜카이티스
Publication of KR89000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인식력 향상제로서 D-시클로세린 및 그의 프로드럭
본 발명은 임상신경학의 분야로서 인식력 장애의 치료 및 기억력 향상용 화합물, 처방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억력장애를 치료하거나 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같은 치료.처치법에 관한 많은 기억력-관련 조건이 연구되었다. 예컨대 기억력 장애는 노화과정과, 알쯔하이머 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과 연관되어 있다. 뇌 손상 또는 다경색 치매후에 또한 기억력 손상이 올 수 있다. 인식과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즉 기억을 향상시키고 보유할 수 있는 많은 화합물과 치료법이 연구되었다.
기억력 향상.치료용 화합물 피라세탐(piracetam)이 기술되었다[Giurgea et al, Arch. Int. Pharmacodyn. Ther., 166, 238(1967)]. 론쿠시 등의 미국특허 제4,639,468호는 기억장애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 밀라세미드(Milacemide)를 기술하고 있다. 사람에 있어 밀라세미드의 기억력 향상효과에 관한 심도있는 연구가 발표되었다[B. Saletuet al, Arch. Gerontol. Geriatr., 5, 165-181(1986)].
중추신경제(CNS)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화합물이 연구되었다. 예컨대 D-시클로세린의 D- 및 L-이성체 형태가 CNS의 상부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되었다[O. Mayer et al, Arzenin. Forsch., 21(2), 298-303(1971)]. 이들 시클로 세린 이성체의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심리적.생리적 영향이 조사되었다[M. Vojtecho vsky, Act. Nerv. Super., 7(3), 269(1965); V. Vitek et al, Psychopharmaccologi a, 7(3), 203-219(1965)].
인식기능의 향상은 식(I)의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유효량의 화합물로 동물(사람)을 치료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히드리도(hydrido),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르알킬 및 아릴에서 선택되고; R2는 히드리도, 알킬, 아르알킬, 아릴,
Figure kpo00002
,
Figure kpo00003
,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에서 선택되고; R1및 R2는 알데히드 및 케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시프-염기 유도기를 형성하도록 취해지며; R3는 히드리도, 알킬, 할로알킬, 알콕시, 알콕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르알킬 및 아릴에서 선택되고; 또는 그의 약학적 허용염이다. 인식기능의 향상이란 용어는 기억력의 향상 또는 개선과 신경장애와 연관된 인식력 결핍에 대한 치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R1이 히드리도, 저급알킬, 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시알킬, 페닐알킬 및 페닐에서 선택되고; R2는 히드리도, 저급알킬, 페닐알킬, 페닐,
Figure kpo00006
,
Figure kpo00007
,
Figure kpo00008
에서 선택되고; 시프-염기 유도기는 아세틸아세톤,살리실알데히드, 벤조페논 유도체 및 아세틸아세트산 에스테를에서 선택되며; R3는 히드리도, 저급알킬 및 벤질에서 선택된 화합물로 구성된 화합물군이 바람직하다.
R1이 히드리도; R2
Figure kpo00009
,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이고; 시프-염기 유도기는
Figure kpo00012
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X 및 Y는 히드리도, 저급알킬 및 할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이고; R3는 히드리도, 저급알킬 및 페닐에서 선택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식(I) 범위내의 화합물 군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I) 범위내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의 군은, R1은 히드리도 및 시프-염기 유도기
Figure kpo00013
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X와 Y는 플루오로, 클로로 및 브로모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2및 R3가 각각 히드리도인 화합물이다.
식(I)의 가장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의 구조식
Figure kpo00014
을 가지는 4-아미노-3-이속사졸리돈(isoxazolidone)이다. 이 화합물에는 L- 및 D-이성체 형태가 있는데 그중 D-시클로세린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식(II)로 표시되는 이들 화합물의 토토머(tautomer)형태도 또한 식(I)에 포함된다:
Figure kpo00015
상기 식에서 R1,R2및 R3는 식(I)의 화합물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
히드리도란 용어는 예컨대 탄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부착되어 히드록실기를 형성할 수 있는 단일 수소원자(H)를 지칭한다. 알킬이란 용어가 할로알킬과 같은 다른 용어내에서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 알킬이란 용어는 탄소원자 수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약 10인 선형 또는 측쇄의 라디칼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알킬 라디칼은 탄소원자 수 1 내지 약 5인 저급알킬 라디칼이다. 시클로알킬이란 용어는 탄소원자 수 3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프로필 및 시클로부틸과 같은 탄소원자 수 3 내지 약 5의 환형 라디칼을 포함한다. 할로알킬이란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킬의 탄소원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기, 바람직하게는 브로모, 클로로 및 플루오로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된 라디칼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할로알킬이란 용어에는 모노할로알킬, 디할로알킬 및폴리할로알킬 기가 포함된다. 모노할로알킬 기는 예컨대 기안에 브로모, 클로로 또는 플루오로를 가진다. 디할로알킬 및 폴리할로알킬 기는 2 또는 그 이상의 같은 할로 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상이한 할로기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디할로알킬기는 디브로모 메틸기와 같이 2개의 브롬원자를 가지거나 디클로로메틸기와 같은 2개의 클로로원자,또는 브로모클로로메틸기와 같은 1개의 브롬원자 및 1개의 클로로원자를 가질 수 있다. 폴리할로알킬의 예에는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퍼플루오로에틸 및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기가 있다. 알콕시 및 알콕시알킬이란 용어는 메독시기와 같이 1내지 약 10의 탄소원자 수의 알킬부분을 가지는 선형 또는 측쇄의 옥시-함 라디칼을 포함한다. 알콕시 또는 알콕시알킬 라디칼은 플루오로, 클로로 또는 브로모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할로원자로 더 치환되어 할로알콕시 또는 할로알콕시알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르알킬이란 용어는 페닐알킬에 의해 구체화되는데 벤질이 특정예이다.
알킬기의 구체예에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메틸부틸, 디메틸부틸 및 네오펜틸이 있다.
식(I) 및 (II)의 화합물의 군에는 기술한 화합물의 이성체, 부분입체이성체 및 그의 약학적 허용염이 포함된다. 약학적 허용염이란 용어는 알칼리 금속염을 형성하고 유리산 또는 유기염기의 부가염을 형성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식(I) 및 (II)의 화합물이 염기 질소원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그러한 염은 일반적으로 산부가염 또는 4차염이다. 그러한 염의 성질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한 중요한 것은 아니고 그러한 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은 이 분야의 전문가에는 공지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부가염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의 예에는 염산, 황산 및 인산과 같은 무기산과 말레산, 숙신산 및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산이 있다. 다른 약학적 허용염은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알칼리 금 속의 염 또는 디시클로헥실아민과 같은 유기염기의 염이 있다. 모든 이들 염은 식(I) 및 (II)의 대응 화합물과 적절한 산 또는 염기를 반응시키는 통상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식(I) 및 (II)의 화합물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예컨대 N-아실 유도체 및 D-시클로세린의 시프-염기 유도체의 합성은 문헌(N.P. Jensen et al, J. Med. Chem., 23 6-8(1980)에 기재되어 있다. 시클로세린의 N.N'-디아실 유도체의 합성은 문헌(J. C. Howard, J. Org. Chem., 46, 1720-1723(1981)에 기재되어 있다. 시클로세린의 알킬유도체의 합성은 문헌(C. H. Stammer, J. Med. Chem., 13(6), 1013(1970)에 기재되어 있다. 시클로세린의 L- 및 D-이성체 및 그의 유사체의 합성은 문헌(P1. A. Plattner et al, Aelv. Chim. Acta.., 40, 1531(1957)에 기재되어 있다.
생물학적 평가
글리신 결합분석방법
시냅스 플라즈마 막(SPM)을 쥐의 전뇌로부터 제조하여 상기 기재대로 저장하였다(J. B. Monahan and J. Michel, J. Neurochem., 48, 1699-1708(1987)]. 동결된 막을 녹이고 50mM의 트리스/아세테이트(pH 7.4)에서 0.04% 트리톤 X-100으로 1:20 희석하였다. 37oC 에서 30분간 배양(항온반응)한후 95,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에 의해 SPM을 수집하였다. 펠렛을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pH 7.4 트리톤 없음)에 재현탁시키고 손으로 5회 균질화하였다. 상기대로 막을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펠렛을 2회 더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균질화 없음)로 시척하고 원심분리하였다. 최종 펠렛을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에서 균질화시켜 재현탁하였다.
일반적인 수용체 결합분석방법에서 10nM[3H] 글리신을 시험 화합물의 적절한 농도에 첨가하고 0.2-0.4mg의 얼음냉각 SPM을 첨가하여 분석이 시작된다. 1.5㎖ 원심분리튜브에서 행해진 분석법을 조절하여 pH 7.4, 온도 4oC, 50mM 트리스/아세테이트에서 만들어진 모든 첨가물의 전체부피를 1.0㎖로 하였다. 2oC에서 10분간 배양한 후 샘플을 Beckman Microfuge 12에서 12,000g(4oC)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징액을 배출하고 펠렛막을 포함하는 튜브끝을 자르고 베크만 BTS-450 조직 용해제 0.5㎖에서 실온으로 최소 6시간동안 교반하였다. 7㎕/리터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베크만 MP 신틸레이션 칵테일(5㎖)을 첨가하고 퀀칭 및 계수효율에 대한 자동수정이 되는 베크만 LS 5800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로 샘플을 계수하였다. 0.1mM 글리신의 존재하에 비특이적 결합이 잔여결합으로 규정되었고 보통 총결합의 25-35%가 되었다. SPM에 대한 [3H]글리신의 결합을 Scatchard and Hill 변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다른 화합물에 대한 K1를 로지트-로그분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Lotus 123에 대해 개발된 주형을 이용하여 계산과 복귀 분석을 하였다.
Figure kpo00016
방법
검사체: 체중 약 200g의 수컷 Long-Evans 쥐(Sasco)를 사용하였다. 이들을 케이지 당 2마리씩 넣고 시험기간 동안 애드 리브(ad lib) 음식 및 물을 제공하였다.
장치: 장치는 1.8cm씩 이격된 금속봉으로 마루와 지붕을 한 플렉시글라스(plexiglass) 박스(32×26×20cm)로 구성되어 있다. 박스를 2체임버로 나누고 하나는 검은색 다른 하나는 회색으로 페인트하였다. 각 체임버로 접근할 수 있도록 박스의 앞에 2개의 문(높이 12cm)을 내었다.
Y형 플렉시글라스 탈주로를 박스의 전면에 부착하였다. Y형 부재의 줄기는 길이 16cm이고 색칠이 없다. Y형 부재의 팔(각각 길이 14cm)은 두 문으로 안내되어 있고 그것이 안내하는 체임버는 색깔로 페인트하였다. Y형 부재의 줄기는 장치가 배치되는 테이블의 가장자리 위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마루 위로 약 75cm가 된다. 박스의 금속마루를 Lafsyette 충격 발전기에 연결시켜 0.5mAmp 충격이 전달되게 하였다.
방법: 실험 첫날 각 쥐들을 탈주로 위에 배치하여 체임버의 하나에 들어가게 하였다. 이어서 이 체임버의 문을 닫고 쥐들을 다른 체임버에 들어가게 하였다. 실험 둘째날 쥐의 일부에 0.9% 생리적 식염수에 용해시킨 D-시클로세린 또는 생리적 식염수만을 주사하였다. 60분후 한 체임버에 들어가게 하고 2초간 발에 충격을 주었다. 사전에 주사를 맞지 않은 쥐에 대해서는 발 충격 10초후 D-시클로세린 또는 생리적 식염수를 주사하였다.
실험 셋째날 쥐들을 다시 탈주로에 배치하고 체임버로 들어가게 하였다. 둘째 및 셋째날 각 쥐들의 체임버에 들어가려는 잠재성과 쥐가 어느 체임버에 들어가는가를 기록하였다.
충격 24시간 후 박스에 들어가려는 수동회피 학습 잠재성(초)에 대한 D-시클로세린(10mg/kg i.p.)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Figure kpo00017
뇌가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으로 저장하는데는 완전한 해마구조가 필요하다. 장기 잠세력(long term potentiation:LTP)의 현상은 이 처리가 발생하는 메카니즘인 것으로 보인다. LTP에 있어서, N-메틸-D-아스파르테이트(NMDA) 수용체, 흥분성 아미노산 수용체의 서브-타입의 안내역할은 전기생리학적 연구에 의하여 확고히 확립되었다. 2-아미노-7-포스포노헵타노산(APH)와 같은 NMDA 길항제는 LTP의 확립 또는 증식을 저해한다.
최근에 신경생리학의 연구에서 글리신이 배양된 뇌 뉴우론의 NMDA 수용체의 활성화 반응에 상승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것은 스트릭키닌(strychnine)-비감수성 작용이며, NMDA 활성에 의해 개시되는 Na+-ca++채널의 개방을 완화하는 척추 위의 글리신 수용체의 활성화로 인해 완화된다. 예컨대 글리신 프로드럭(prodrug)으로서 밀라세미드는 뇌전체의 글리신 함량을 30%까지 높인다. 상기 설명한 메카니즘에 의해서 이 글리신의 증가로 인해 NMDA 이동이 용이해지고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킨다.
대부분의 글리신 리간드는 매우 극성인 분자로서 혈액수액관문(blood brain barrier)을 거의 지나지 않는다. 혈액수액관문을 지나기 어렵기 때문에 그러한 리간드는 치료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효농도로 생리적으로 얻어지기 어렵다.
D-시클로세린은 혈액수액관문을 용이하게 통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oodman and Gilman, The Pharmacologic Basis of Therapeutics, Ch., 53, 1210-1211(1980)].
상기 결합 데이타에 표시된 바와 같이 D-시클로세린이 스트리키닌-비감수성 글리신 수용체에 대해 그렇게 좋은 친화성을 가지는 것은 놀랍고 예기치 않은 것이다. 글리신 길항제는 NMDA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LTP에 대해 정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믿어진다. LTP의 향상은 기억향상과 연결되는 것은 자명하다.
기억력 향상을 나타내는 이 동물 모델에 있어서, 체임버에 들어가는 쥐에 대한 시간의 지체(잠재기간)는 발 충격을 받은 이전의 경험의 쥐의 기억의 측정이다. 잠재기간이 길수록 시험한 화합물의 기억력 향상효과가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은 동물실험은 글리신 리간드로 작용하는 D-시클로세린이 간막이에 들어가는 동물의 향상된 잠재기에 의해 이 모델에서 특징지워진 기억력 향상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람에 대한 식(I) 및 (II) 범위내의 화합물의 투여는 환자의 혈류내로 화합물을 도입할 수 있는 어떠한 기술로도 가능한데 경구투여, 정맥내, 근육내, 피하주사 등이 있다.
치료용으로 지시된 화합물은 하루에 체중 1kg 당 약0.1mg 내지 10mg 범위내로 매일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하루에 체중 kg당 약 0.2 내지 5mg이다.
가장 바람직한 투여량은 하루에 체중 1kg 당 약 0.3 내지 2.5mg의 범위이다. 하루에 수회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다. 이들 분할투여는 단위투여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량 또는 분할투여량은 단위투여형태 당 약 1mg 내지 100mg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단위투여형태 당 약 2mg 내지 50mg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투여량은 단위투여 당 약 3mg 내지 25mg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활성 화합물은 통상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처방으로 투여된다. 그러한 처방에는 1 또는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는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치료제도 또한 처방으로 있을 수 있다. 약학적 허용담체 또는 희석제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을 일으킴이 없이 활성 화합물을 전달하는 적절한 비히클을 제공한다. 그러한 처방의 활성 화합물의 전달은 여러 가지 경로가 있을 수 있는데 입, 코, 외용, 구강 및 설하경로 또는 피하, 근육내, 정맥내 및 피부내 경로와 같은 비경구적 투여 등이 있다.
경구투여의 처방은 1 또는 그 이상의 윤활제, 지효제, 계면활성제 또는 분산제와 함께 젤라틴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결합제에 분산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캡슐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한 캡슐 또는 정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중의 활성화합물의 배치로 제공되는 것과 같이, 서방-처방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투여의 처방은 수성 또는 비수성의 등장 살균주사용액 또는 현탄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 용액 또는 현탄액은 경구투여용 처방에서의 사용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1 또는 그 이상의 담체 또는 희석제를 가지는 살균분말 도는 과립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대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이들 구체예의 상세한 것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여러 가지 등가물, 변화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가해질 수 있고 그러한 등가의 구체예는 본 발명의 부분인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D-4-아미노-3-이속사졸리돈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력 개선 또는 향상에 사용되는 조성물.
KR1019880015895A 1987-12-01 1988-11-30 인식력 향상제로서 d-시클로세린 및 그의 프로드럭 KR013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121 1987-12-01
US07/127,121 US4904681A (en) 1987-12-01 1987-12-01 D-cycloserine and its prodrugs as cognitive enhancers
US127.121 198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392A KR890009392A (ko) 1989-08-01
KR0134198B1 true KR0134198B1 (ko) 1998-04-21

Family

ID=2242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895A KR0134198B1 (ko) 1987-12-01 1988-11-30 인식력 향상제로서 d-시클로세린 및 그의 프로드럭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4904681A (ko)
EP (2) EP0319824B1 (ko)
JP (2) JPH0621065B2 (ko)
KR (1) KR0134198B1 (ko)
AT (1) ATE68698T1 (ko)
AU (4) AU622630B2 (ko)
CA (1) CA1328617C (ko)
DE (1) DE3865817D1 (ko)
DK (1) DK173589B1 (ko)
ES (1) ES2040314T3 (ko)
FI (1) FI885559A0 (ko)
GR (1) GR3003571T3 (ko)
IE (1) IE61825B1 (ko)
IL (1) IL88531A (ko)
NO (1) NO885337D0 (ko)
NZ (1) NZ227131A (ko)
PH (1) PH26467A (ko)
PT (1) PT89109B (ko)
WO (1) WO1989005144A1 (ko)
ZA (1) ZA888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7171A (en) * 1989-01-09 1993-02-16 G. D. Searle & Co. Use of a glycine b partial agonist as an antipsychotic
US5061721A (en) * 1989-03-15 1991-10-29 G. D. Searle & Co. Composition containing d-cycloserine and d-alanine for memory and learning enhancement or treatment of a cognitive or psychotic disorder
US5260324A (en) * 1990-02-06 1993-11-09 G. D. Searle & Company Composition containing D-cycloserine and D-alanine for memory and learning enhancement or treatment of a cognitive or psychotic disorder
US5066665A (en) * 1990-05-21 1991-11-19 Warner-Lambert Co. Substituted isoxazolidin-3-ones and derivatives thereof acting at muscarinic receptors
JPH07505908A (ja) * 1992-09-28 1995-06-29 マックセチーニ、マリア ルイザ Nmda受容体のアロステリックモジュレーター
US5428069A (en) * 1993-01-11 1995-06-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Treating cognition with, aminocyclopropanecarboxylic derivatives
US5523323A (en) * 1993-09-14 1996-06-04 Maccecchini; Maria-Luisa Use of partial agonists of the NMDA receptor to reduce opiate induced tolerance and dependence
NZ260302A (en) * 1994-04-13 1996-05-28 New Zealand Meat Ind Res Inst Treating bait aversion by including substances which disrupt the associative learning process into bait compositions
AU4128896A (en) * 1994-11-23 1996-06-17 G.D. Searle & Co. Use of amino-isoxazolidone compounds for treatment of memory impairment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AU4019395A (en) * 1994-11-23 1996-06-17 G.D. Searle & Co. Use of amino-isoxazolidone compounds for improvement of implicit memory
US5731348A (en) * 1995-02-15 1998-03-24 Bearsden Bio, Inc. Alkylcarboxy amino acids-modulators of the kainate receptor
DK0871440T3 (da) * 1995-12-07 2006-07-10 Daniel C Javitt Behandling af negative og kognitive symptomer på skizofreni med glycinoptagelsesantagonister
US6361957B1 (en) * 1999-08-03 2002-03-26 Glytech, Inc. Assay for D-serine transport antagonist and use for treating psychosis
US6355681B2 (en) * 1995-12-07 2002-03-12 Glytech, Inc. Glycine substitutes and precursors for treating a psychosis
FR2742748B1 (fr) * 1995-12-21 1998-01-30 Adir Nouveau derive de 4-imidazolidinon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 contiennent
KR100396114B1 (ko) * 1996-10-31 2003-11-20 동아제약 주식회사 D-시클로세린의 제조방법
ATE369848T1 (de) 1998-04-14 2007-09-15 Gen Hospital Corp Verwendung von d-serine oder d-alanine zur behandlung von schizophrenie
ES2262322T3 (es) 1998-06-10 2006-11-16 Meiji Seika Kaisha, Ltd. Tratamiento de la degenaracion espinocereberal y comoposiciones utiles para el tratamiento de degeneracion espinocerebelar.
US20040122090A1 (en) * 2001-12-07 2004-06-24 Lipton Stuart A. Methods for treating neuropsychiatric disorders with nmda receptor antagonists
US7750030B2 (en) * 2001-03-29 2010-07-06 Michael Davis Acute pharmacologic augmentation of psychotherapy with enhancers of learning or conditioning
US20060252761A1 (en) * 2001-03-29 2006-11-09 Michael Davis Augmentation of extinction via administration of sub-antimicrobial doses of D-cycloserine
WO2002078615A2 (en) 2001-04-02 2002-10-10 Panorama Research, Inc. Antioxidant nitroxides and nitrones as therapeutic agents
US7160913B2 (en) * 2002-09-13 2007-01-09 Thomas Jefferson University Methods and kit for treating Parkinson's disease
CA2528622C (en) * 2003-05-27 2010-08-03 Forest Laboratories, Inc. Combination of an nmda receptor antagonist and a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other mood disorders
US7544478B2 (en) * 2003-08-08 2009-06-09 The Burnham Institute Method for screening for compounds that modulate P16 mediated regulation of NMDA receptors
US7619007B2 (en) 2004-11-23 2009-11-17 Adamas Pharmaceuticals,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administering an NMDA receptor antagonist to a subject
JP5666087B2 (ja) 2005-04-06 2015-02-12 アダマス・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ns関連疾患の治療の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CN102186883B (zh) 2008-09-18 2016-08-03 西北大学 Nmda受体调节剂和其用途
US20100216805A1 (en) 2009-02-25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ing d-cycloserine combinations
US8951968B2 (en) 2009-10-05 2015-02-10 Northwestern University Methods of treating depression and other related diseases
KR101692275B1 (ko) 2010-02-11 2017-01-04 노오쓰웨스턴 유니버시티 2차 구조 안정화된 nmda 수용체 조절제 및 그의 용도
CN102933226A (zh) 2010-02-11 2013-02-13 西北大学 二级结构稳定化的nmda受体调节剂及其用途
CN105408336B (zh) 2013-01-29 2018-06-26 阿普廷伊克斯股份有限公司 螺-内酰胺nmda受体调节剂及其用途
SG11201505934XA (en) 2013-01-29 2015-09-29 Naure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2951186B1 (en) 2013-01-29 2018-07-25 Aptiny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CA2898861C (en) 2013-01-29 2021-07-20 Naure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AU2014212501A1 (en) 2013-01-29 2015-07-30 Aptiny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CA3024606C (en) 2016-05-19 2019-09-03 Aptiny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WO2017201285A1 (en) 2016-05-19 2017-11-23 Aptiny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CA3031539C (en) 2016-08-01 2023-11-28 Aptiny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3490990B1 (en) 2016-08-01 2023-12-06 Tenacia Biotechnology (Hong Kong) Co., Limited Spiro-lactam nmda modulators and methods of using same
PE20190503A1 (es) 2016-08-01 2019-04-10 Aptinyx Inc Moduladores del receptor nmda espiro-lactam y uso de los mismos
BR112019001926A2 (pt) 2016-08-01 2019-08-06 Aptinyx Inc moduladores do receptor nmda espiro-lactama e bis-espiro-lactama e usos destes
WO2018026763A1 (en) 2016-08-01 2018-02-08 Aptinyx Inc. Spiro-lactam nmda recep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3427729A1 (en) 2017-07-13 2019-01-16 Paris Sciences et Lettres - Quartier Latin Probenecid for use in treating epileptic diseases, disorders or conditions
PE20210455A1 (es) 2018-01-31 2021-03-08 Aptinyx Inc Moduladores del receptor nmda espiro-lactama y usos de los mismo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50800C2 (ko) * 1979-03-22 1989-06-22 Continental Pharma Inc., Bruessel/Bruxelles, 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21065B2 (ja) 1994-03-23
EP0319824A1 (en) 1989-06-14
DE3865817D1 (ko) 1991-11-28
CA1328617C (en) 1994-04-19
EP0421997A1 (en) 1991-04-17
JPH05201859A (ja) 1993-08-10
KR890009392A (ko) 1989-08-01
AU2631988A (en) 1989-06-01
PT89109B (pt) 1993-07-30
WO1989005144A1 (en) 1989-06-15
US4904681A (en) 1990-02-27
IE883567L (en) 1989-06-01
PH26467A (en) 1992-07-27
ATE68698T1 (de) 1991-11-15
DK173589B1 (da) 2001-04-02
AU622630B2 (en) 1992-04-16
NZ227131A (en) 1991-09-25
JPH01193220A (ja) 1989-08-03
IL88531A (en) 1993-02-21
GR3003571T3 (ko) 1993-03-16
AU1083992A (en) 1992-05-07
DK669088A (da) 1989-06-02
AU2813089A (en) 1989-07-05
NO885337D0 (no) 1988-11-30
IL88531A0 (en) 1989-06-30
PT89109A (pt) 1989-12-29
EP0319824B1 (en) 1991-10-23
FI885559A0 (fi) 1988-11-30
AU7746794A (en) 1995-01-05
ZA888981B (en) 1990-01-31
ES2040314T3 (es) 1995-04-01
IE61825B1 (en) 1994-11-30
DK669088D0 (da)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198B1 (ko) 인식력 향상제로서 d-시클로세린 및 그의 프로드럭
US11142529B2 (en) Benzodiazepi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EP0387867B1 (en) Composition containing d-cycloserine and d-alanine for memory and learning enhancement or treatment of a cognitive or psychotic disorder
RU2665021C2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лучшения когнитивных функций
US11312721B2 (en) Benzodiazepine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gnitive impairment
US20140206667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schizophrenia
EA030333B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стройств настроения
US9783515B2 (en) Radiomitigat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US5187171A (en) Use of a glycine b partial agonist as an antipsychotic
JP6606298B2 (ja) 純粋な5−ht6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のnmda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との組合せ
JP6629464B2 (ja) 純粋な5−ht6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阻害剤及びnmda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の3種類の組合せ
US5087633A (en) Use of a glycine B partial agonist for memory and learning enhancement or treatment of a cognitive disorder
US5468763A (en) Use of a glycine B partial agonist for memory and learning enhancement or treatment of a cognitive disorder
UA44838C2 (uk)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мігрені
US20020183372A1 (en) Use of amino-isoxazolidone compounds for facilitation of perceptual learning
US20210332042A1 (en) A GABAA Receptor Ligand
CN115385914B (zh) 靶向pdcd4的配体小分子在制备抗抑郁药物中的应用
EA042675B1 (ru) Лиганд рецептора гамк-а
WO2007002885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e of a sodium channel blo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