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21Y1 -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21Y1
KR0133421Y1 KR2019940035818U KR19940035818U KR0133421Y1 KR 0133421 Y1 KR0133421 Y1 KR 0133421Y1 KR 2019940035818 U KR2019940035818 U KR 2019940035818U KR 19940035818 U KR19940035818 U KR 19940035818U KR 0133421 Y1 KR0133421 Y1 KR 0133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irbag
tray
present
conj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5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928U (ko
Inventor
한승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5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21Y1/ko
Publication of KR9600219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9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18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a lock unlocked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 하부에 락 스프링이 락 노브(LOCK KNOB)와 연동하여 로킹될 수 있는 락 장치가 설치된 커버가, 가이드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힌지를 축으로 회전하는 개폐스프링과, 서로 연동하여 작용하는 랙과 피니언에 의해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락 구조를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박스 하우징이 마운팅 너트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트레이 본체에 설치하여 구성되므로서 보다 부드럽게 오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글러브 박스로 개조하여 에어백 장착부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에어백 장착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설치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차량의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락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의 개폐스프링의 설치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커버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제5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락 장치를 나타낸 B-B선 확대단면도.
제8도는 락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커버가 열린상태를 나타낸 제5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락 스프링 2 : 락 노브
3 : 락 장치 4 : 커버
5 : 가이드 6 : 힌지
7 : 개폐스프링 8 : 랙
9 : 피니언 10 : 에어백 하우징
11 : 박스 하우징 12 : 마운팅 너트
13 : 트레이 본체
본 고안은 자동차 에어백(AIR BAG)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TRAY)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신져(PASSENGER) 에어백을 장착하지 않을 경우 어퍼 글러브박스(UPPER GLOVE BOX)로 사용하여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차 패신져 에어백 장착부의 구조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HOUSING)(21) 내부에 에어백(22)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21)의 일측에 데크 크로스 멤버(DECK CROSS MEMBER)(23)가 마운팅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패신져 에어백 장착부 구조는 에어백(22)을 장착하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공간으로 남게 되어 비활용되는 문제점이 남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간편화된 락 구조를 이용하여 보다 부드럽게 오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글러브박스로 개조하여 에어백 장착부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 하부에 락 스프링(1)이 락 노브(LOCK KNOB)(2)와 연동하여 로킹될 수 있는 락 장치(3)가 설치된 커버(4)가, 가이드(5)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힌지(6)를 축으로 회전하는 개폐스프링(7)과, 서로 연동하여 작용하는 랙(LACK)(8)과 피니언(PINION)(9)에 의해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락 구조를 에어백 하우징(10) 내부에 박스 하우징(11)이 마운팅 너트(12)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트레이 본체(13)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본 트레이 구조는 제2도에서와 같이, 커버(4)를 에어백 장착부로 사용했던 트레이 본체(13)의 입구에 설치하고 제4도에서 보여지는 락 구조를 내부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트레이의 커버(4)의 중앙 하부에 설치된 락 노브(2)를 위쪽으로 당기면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 스프리에(1)에 의해 로킹되어 있던 커버(4)의 락이 해제되며, 개폐스프링(6)이 힌지(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반동으로 열리되, 랙(8)과 피니언(9)의 작용에 의해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다.
반대로 트레이의 커버(4)를 닫을 때에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개폐스프링(6)의 회전력에 역행하여 회전하며, 락 장치(3)를 사용하여 락 스프링(1)의 압력으로 로킹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에어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에어백 장착을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에어백 하우징은 그대로 둔 채로 박스 하우징만을 가설하고 상술한 락 구조를 설치하여 트레이로 활용하므로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패신져 에어백을 사용하지 않아 활용되지 못하는 공간을 별도의 락장치와 개폐장치 등도 포함시켜 트레이로 개조하므로서 자동차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중앙 하부에 락 스프링(1)이 락 노브(LOCK KNOB)(2)와 연동하여 로킹될 수 있는 락 장치(3)가 설치된 커버(4)가, 가이드(5)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힌지(6)를 축으로 회전하는 개폐스프링(7)과, 서로 연동하여 작용하는 랙(8)과 피니언(9)에 의해 개폐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락 구조를 에어백 하우징(10) 내부에 박스 하우징(11)이 마운팅 너트(12)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 트레이 본체(13)에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KR2019940035818U 1994-12-26 1994-12-26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KR0133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818U KR0133421Y1 (ko) 1994-12-26 1994-12-26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5818U KR0133421Y1 (ko) 1994-12-26 1994-12-26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928U KR960021928U (ko) 1996-07-20
KR0133421Y1 true KR0133421Y1 (ko) 1999-01-15

Family

ID=19402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5818U KR0133421Y1 (ko) 1994-12-26 1994-12-26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4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058B1 (ko) * 2002-08-05 2004-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박스의 체결구조
KR100465203B1 (ko) * 2002-08-30 2005-01-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어퍼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928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225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 구조
KR0133421Y1 (ko) 에어백 장착부를 개조한 트레이 구조
KR20020046081A (ko) 차량의 도어 유리 수납 고정장치
JP4751768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構造
KR100470784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200141827Y1 (ko) 글로브박스 개폐속도 조절장치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0145676B1 (ko) 자동차의 도어 그립 핸들
KR0183245B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장치
KR200147023Y1 (ko) 자동차의 푸트 도어 오픈장치
KR970001478Y1 (ko) 컵 홀더
KR0155656B1 (ko) 차량의 후드링크장치
KR200149389Y1 (ko) 글로브 박스 구조
KR200177750Y1 (ko) 자동차용 일체형 버튼
KR200146405Y1 (ko) 자동차 도어의 보조 개폐장치
KR0132965Y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KR200158168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 도어 록킹장치
JPS6129901Y2 (ko)
KR100251839B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핸들
KR19980041846U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개폐구조
KR200146850Y1 (ko) 도어핸들 일체형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9980052918U (ko) 글로브 박스의 램프 온/오프 구조
KR20020074628A (ko)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자동차 후드
KR840002700A (ko) 캐브 오우버형 자동차의 시이트구조
KR19980064139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