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296B1 -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296B1
KR0133296B1 KR1019880011024A KR880011024A KR0133296B1 KR 0133296 B1 KR0133296 B1 KR 0133296B1 KR 1019880011024 A KR1019880011024 A KR 1019880011024A KR 880011024 A KR880011024 A KR 880011024A KR 0133296 B1 KR0133296 B1 KR 013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oading
magnetic tape
arm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297A (ko
Inventor
다쯔야 모또다께
다쯔유끼 오오또
요시노리 야마모또
겐지 가와까미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89000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11B15/6658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with two loading rings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0Moving record carrier backwards or forwards by finite amounts, i.e. backspacing, forward spa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Unwinding Web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Magnetic Hea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제1도는 리버스 주행 모드에서의 요부 평면도.
제2도는 비로딩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3도는 스톱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4도는 포워드 주행 모드에서의 요부 평면도.
제5도는 고속 주행 모드에서의 요부 평면도.
제6도는 메카 샤시를 제2도의 Ⅵ-Ⅵ 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7도는 제2도의 Ⅶ-Ⅶ 선을 절단하는 단면도.
제8도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타임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플레이어 5 : 헤드 드럼
9 : 회전 자기 헤드 10 : 공급측 리일대
11 : 권리측 리일대 45 : 캡스턴
49 : 핀치 롤러
52, 54 :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과 핀(텐션 레귤레이터 수단)
71 : 자기 테이프 72 : 공급측 테이프 리일
73 : 권취측 테이프 리일 75, 76 : 브레이크 아암(제동 수단)
80 : 브레이크 해제 레버(제동 해제 수단)
82, 85 : 전자 플런져와 회동 링크 88 : 백 텐션 아암(백 텐션 수단)
96 :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 제어 레버(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새로운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예를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함)나 디지탈 오디오 플레이어(이하 DAT라 함)등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가 리버스(Reverse)주행시에 권취측 테이프 리일에서 도출된 자기 테이프에 백 텐션(Back Tension)을 가해야 되는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백 텐션을 가하기 위한 부재를 이러한 종류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필요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동 수단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동작시킬 수가 있도록 한 새로운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와, 포워드 주행시 및 리버스 주행시에 캡스턴과의 사이에 자기 테이프를 끼워서 주행시키는 핀치 롤러와, 정지시에 상기 2개의 리일대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 수단과, FF 주행 및 REW 주행시에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 기구와, 포워드 주행시 및 리버스 주행시에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과, 포워드 주행시에 자기 테이프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과, 리버스 주행시에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하여 백 텐션을 가하는 백 텐션 수단과,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을 규제 제어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 제어 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포워드시에 리일대로의 제동이 상기 제동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전자 기구를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 제어 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을 자기 테이프에 접촉하도록 동작시킴과 동시에, 리버스시에 상기 전자 기구를 비동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백 텐션 수단을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을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떨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자 기구가 제동의 해제와 백 텐션 수단 및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의 제어라는 2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행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백 텐션의 부여와 그 해제를 특별한 구동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VTR 혹은 DAT에 있어서 신호의 기록은, 소위 헬리칼(Helical)기록, 즉 회전 자기 헤드가 설치된 헤드 드럼의 외주면에 자기 테이프를 소정의 감김 각도(대략 나선형)로 감은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 자기 헤드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자기 테이프상에 그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기록 트랙을 형성하면서 행해지고, 또 기록된 신호를 읽어내는 것(재생)은 회전 자기 헤드가 상기 기록 트랙을 주사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는, 상기 헤드 드럼과 자기 테이프의 양단이 고정된 공급측 테이프 리일 및 권취측 테이프 리일이 각기 별도로 결합되는 공급측, 권취측 2개의 리일대 및 그 2개의 리일대의 한쪽을 소정의 동작 모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리일대 구동 수단과,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에서 자기 테이프를 끌어내어 그 일부를 헤드 드럼에 감아주는 테이프 로딩(Tape Roading)을 행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 기구와, 자기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리일대의 회전을 저지하는 리일대 제동 수단과, 자기 테이프가 주행될때 상기 제동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과, 비교적 느린 일정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캡스턴 및 캡스턴에 자기 테이프를 끼워서 압착시키므로써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핀치 롤러와,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에 측면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가하므로써 자기 테이프에 백 텐션을 가하는 백 텐션 부여 수단, 예를들면 소위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지지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등을 구비하고 있고, 적어도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할때 캡스턴과 핀치 롤러에 의해 자기 테이프를 포워드 방향, 즉 공급측 테이프 리일에서 인출되어 권취측 테이프 리일에 감겨가는 방향으로 안정한 속도로 주행됨과 동시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에 의해 백 텐션을 가하여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에 불균일이 생기지 않도록 제어하고, 또 소위 FF나 REW등 자기 테이프를 고속으로 주행시키는 모드에서는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자기 테이프로부터 떨어지게 함과 동시에 권취측 리일대 또는 공급측 리일대를 테이프 감는 방향으로 고속으로 주행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 기록, 재생, FF 및 REW 등의 이른바 기본적인 기능 외에 다른 어떤 기능을 갖도록 하여, 자기 테이프를 리버스 방향, 즉 권취측 테이프 리일에서 인출되어 공급측 테이프 리일로 감겨지는 방향으로 주행시킬때, 자기 테이프의 적어도 헤드 드럼에서 권취측 테이프 리일측의 부분에 백 텐션을 가할 것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예를들면, DAT에 소위 자동선곡(이하 AMS라 함)기능을 갖춘 경우는, 자기 테이프를 적어도 재생시의 주행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시킬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그 주행을 자기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곡의 처음 위치(시작 부분)를 표시하는 신호(이하 ID 신호라 함)의 검출과 동시에 정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고속으로 자기 테이프를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ID신호를 검출하고, 이와 동시에 자기 테이프의 정지를 해도 관성에 의해 소망하는 위치에서 자기 테이프를 정지하는 것은 되지 않는다. 그래서 고속으로 자기 테이프의 ID신호를 검출한 때는, 그 주행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중속으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켜 다시 ID 신호를 검출하고 자기 테이프의 주행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도 관성에 의해 정지 위치에 차이가 생기는 일이 있으며, 그래서 고속 주행시와 동일 방향으로 저속으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켜 ID신호의 검출을 행하고 검출한 곳에서 자기 테이프를 정지시켜 재생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DAT에 AMS 기능을 갖춘 경우, 자기 테이프를 중속, 저속 스피드(여기서 말하는 고속 스피드는 리일대의 회전에 의해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것이고, 중속, 저속 스피드는 핀치 롤러와 캡스턴과의 협지 상태에 의해 재생 모드보다는 빠른 스피드로 자기 테이프를 주행 시키는 것이다)로 주행시킬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그 주행 방향을 포워드시의 주행 방향과 리버스시의 주행 방향으로 교대로 절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핀치 롤러와 캡스턴에 의한 자기 테이프의 주행에 있어서는 핀치롤러와 캡스턴에 의한 자기 테이프의 협지 부분보다 후방의 부분에서 자기 테이프에 텐션을 가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 테이프를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있는 경우는 상술한 텐션 레귤레이터 핀에 의해 당해 자기 테이프의 당해 부분에 텐션을 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런 종류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통상 자기 테이프가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그러한 백 텐션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새로 어떤 백 텐션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상술한 백 텐션 수단, 즉 자기 테이프가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할 때 그 자기 테이프에 주행의 부하를 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명가지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공급측 리일대와 헤드 드럼과의 사이에 핀치 롤러 및 캡스턴을 설치하고, 또 헤드 드럼과 권취측 리일대와의 사이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설치하여, 이들을 리버스 주행시에 동작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캡스턴을 별개로 설치하는 것은 구동계를 신설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텐션 레귤레이터 핀의 동작에 필요한 링크계(Link Part)를 늘리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테이프 플레이어가 고가로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예를들면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분리가 자유롭게 접촉하는 마찰 접촉 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마찰 접촉 부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기구를 설치 하며, 자기 테이프가 리버스 방향 주행시에 마찰 접촉 부재를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시키고 그것 이외의 모드에서는 마찰 접촉 부재를 권취측 리일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기구를 사용한 경우는 그것 단독으로 마찰 접촉 부재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의 수가 필요 최소한의 수로 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일반적으로 전자 기구는 그 자체가 대단히 코스트가 높은 기구이며 또한 그 전자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특별한 회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역시 테이프 플레이어를 고가의 것으로 만들어 버리며, 또 소비 전력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수단]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테이프 플레이어에서는, 상기 리일대 제동 수단에 의한 리일대에의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으로서 전자 기구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래서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는 이점을 감안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하여, 공급측 테이프 리일 및 권취측 테이프 리일이 각기 결합되는 공급측 이리대 및 권취측 리일대와, 회전 자기 헤드가 설치된 헤드 드럼과, 포워드 주행시 및 리버스 주행시에 캡스턴과의 사이에 자기 테이프를 협지하여 주행시키는 핀치 롤러와, 정지시에 상기 2개의 리일대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 수단과, FF 주행시 및 REW 주행시에 그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 기구와, 포워드 주행시에 공급측 리일에서 도출된 자기 테이프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FF 주행시 및 REW 주행시에는 제동 수단에 의한 리일대에 대한 제동의 해제는 상기 전자 기구에 의해 행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외의 테이프 주행시에서 리일대에 대한 제동의 해제를 행하기 위한 제동 해제수단과, 리버스 주행시에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하여 백 텐션을 가하는 백 텐션 수단과, 상기 제동 해제 수단에 의한 리일대의 제동 해제를 핀치 롤러의 캡스턴측으로 이동과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리일대에 대한 제동이 상기 제동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전자 기구가 리일대에 대해 제동을 행하도록 작동할때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자기 테이프로부터 떨어지도록 동작 시킴과 동시에 상기 백 텐션 수단을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시키는 제어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에 의하면, 핀치 롤러가 캡스턴에 접촉한 테이프 주행시에는 리일대에 대한 제동의 해제가 전자 기구와는 별도의 제동 해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전자 기구를 제동 수단의 리일대에 대한 제동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한 때는 백 텐션 수단이 제어 수단에 의해 권취측 리일대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텐션 레귤레이터 핀이 자기 테이프에서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에 백 텐션이 가해지게 되며, 따라서 리버스 주행시에 자기 테이프에 대한 백 텐션의 부여를 특별한 구동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행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의 상세한 내용을 첨부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자기 테이프를 헤드 드럼에 감은 상태 그대로 포워드 방향 또는 리버스 방향으로 고속 주행시키면서 ID 신호를 판독하고, 그것에 의해 지정된 곡의 처음 부분을 찾아내는 AMS 기능을 갖춘 DAT 1에 적용한 것이다.
제1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2는 메카 샤시(Mecha Chassis)이다. 그 메카 샤시(2)는 전후 방향(제1도에서 아랫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앞쪽이라 하고, 윗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뒷쪽이라 한다. 또 상기 도면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측이라 하고,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측이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을 표시할 때는 이 방향에 의한 것으로 한다)으로 긴 장방형의 판 모양을 하고, 그 앞 가장자리 가까운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길고 비교적 큰 리일대 배치용의 개구부(2a)가 형성됨과 동시에, 왼쪽 가장자리 중앙부로부터 약간 앞쪽의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된 장방형의 개구부(2b)가 형성되고, 또 그 일부가 그 개구부(2b)의 후단부 상방에 위치한 지지편(3)(제6도 등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4는 메카 샤시(2)의 앞부분 아랫쪽에 배치된 서브 샤시이며, 그 서브 샤시(4)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지주에 의해 메카 샤시(2)에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상태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5는 메카 샤시(2)의 상면 후단쪽 부분중 약간 좌측 가장자리쪽에 위치하여 배치된 회전 헤드 드럼이다. 헤드 드럼(5)은 제7도에서 잘 알수 있듯이 아랫쪽드럼(6)과 윗쪽 드럼(7)으로 이루어지고, 아랫쪽드럼(6)은 메카 샤시(2)의 상면에 고정된 드럼 지지대(8)에 고정되어 있으며, 윗쪽 드럼(7)은 아랫쪽드럼(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윗쪽 드럼(7)의 하단면에는 그 선단이 헤드 드럼(5)의 외주면상에 위치한 신호 도출용 회전 자기 헤드(9,9)(제2도 참조)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 자기 헤드(9,9)는 윗쪽 드럼(7)이 회전함에 따라 원형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 드럼(5)은 그 전체가 메카 샤시(2)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약간 좌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우러져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드럼 모터에 의해 제1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10 및 11은 후술하는 테이프 카세트 내부에 설치된 테이프 리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리일대이며, 그 리일대(10 및 11)는 서로 좌우 방향으로 떨어져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 샤시 4에서 입설된 지지축(12,12)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리일대(10 및 11)는 브레이크 드럼(10a,11a), 기어부(10b,11b), 리일 재치부(10c,11c) 및 리일 결합축(10d,11d) 등을 구비하고, 상기 리일 재치부(10c,11c)의 상단부에서 윗부분의 메카 샤시(2)에 형성된 상기 리일대 배치용 개구부(2a)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리일 결합축(10d,11d)에 후술하는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 리일이 자유롭게 끼워지고 빠지도록 결합되어 그 테이프 리일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리일대(10 및 11)는 그 기어부(10b,11b)에 자유롭게 끼워지고 빠지도록 맞물리는 도시되지 않은 요동 기어에 의해, 소정의 테이프 주행 모드에 따른 어떤 한쪽의 것이 테이프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리일대(10 및 11)중 왼쪽의 것인 10이 공급측 테이프 리일(이하 S리일이라 함)이 결합되는 공급측 리일대(이하 S측 리일대라 함)이고, 오른쪽의 것인 11이 권취측 테이프 리일(이하 T리일이라 함)이 결합되는 권취측 리일대(이하 T측 리일대라 함)이며, 자기 테이프가 포워드 방향, 즉 S리일에서 풀려서 T리일에 감기는 방향으로 주행할 때는 T측 리일대(11)가 테이프 권취 방향(제2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되고, 또 자기 탱·프가 리버스 방향, 즉 T리일에서 풀려서 S리일에 감기는 방향으로 주행할 때는 S측 리일대(10)가 테이프 권취 방향(제2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13은 테이프 로딩 기구이고, 그 테이프 로딩 기구(13)는 메카 샤시(2)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그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테이프 로딩 블럭과, 그 테이프 로딩 블럭을 이동시키는 로딩 링 및 그 회전수단과, 핀치 롤러 압출 아암 등으로 이루어진다.
14 및 15는 메카 샤시(2)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며 이들 가이드 홈(14 및 15)은 후술하는 테이프 로딩 블럭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가이드 홈(14 및 15)은 헤드 드럼(5)을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위치하며, 또한 대체로 八의 형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직선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이드 홈(14 및 15)의 각 전단은 상기 리일대 배치용 개구부(2a)에서 헤드 드럼(5)쪽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고, 또 왼쪽 가이드 홈(14)의 후단은 헤드 드럼(5)의 중심부 좌측 위치에서 약간 앞쪽으로 붙은 위치까지 연장되며, 오른쪽 가이드 홈(15)의 후단은 헤드 드럼(5)의 중심부 우측 위치에서 약간 후방으로 붙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16 및 17은 후술하는 테이프로딩 블럭의 헤드 드럼(5)에 대한 위치 결정을 위한 캐처(Catcher)이며, 전후 양면이 뚫려진 뿔 모양을 하고 있고, 또한 그 상단벽의 전단부에는 윗쪽에서 보아 전방을 향해 대체로 V모양으로 벌어진 절결부(16a,17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절결부(16a,17a)가 가이드 홈(14,15)의 후단부에 윗쪽에서 보아 겹쳐지도록 위치한 상태로 메카 샤시(2)에 고정되어 있다.
18 및 19는 테이프 로딩 블럭이다. 이 테이프 로딩 블럭(18 및 19)은 약간의 두께를 가지는 블럭 베이스(20,20')와, 그 블럭 베이스(20,20')의 후단부에 입설된 테이프 로딩 포스트(21,21')와, 블럭 베이스(20,20')의 마주보는 가장 자리부분에 입설된 경사 가이드 포스트(22,22')와, 블럭 베이스(20,20')의 전단부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설되는 상기 가이드 홈(14,15)의 폭과 거의 같은 지름을 가지는 연결축(23,23')으로 구성되며, 그 연결축(23,23')은 가이드 홈(14,15)에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축(23,23')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로딩 링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테이프 로딩 블럭(18 및 19)은 그 연결축(23,23')이 가이드 홈(14,15)에 안내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이들 가이드 홈(14,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24 및 25는 로딩 링이다. 이들 로딩 링(24 및 25)은 대략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메카 샤시(2)의 하면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설된 3개의 지지롤러(26,26…)(도면에서는 제7도에 2개만 표시되어 있다)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즉, 지지 롤러(26,26…)는 둥근 고리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 두개의 고리 모양의 홈(26a,26a…)이 형성되어 있고, 메카 샤시(2)의 하면중 상면에 설치된 상기 드럼 지지대(9)를 둘러싸는 원주상의 3개의 위치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설된 롤러 지지축(27,27…)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로딩 링(24)은 그 내주연이 상기 지지 롤러(26,26…)에 형성된 상측의 고리 모양의 홈(26a,26a…)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쪽 로딩링(25)은 그 내주연이 아랫쪽의 고리 모양 홈(26a,26a…)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서 각각 메카 샤시(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메카 샤시(2)의 하방에서 서로 동축상에 상하로 간격이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의 로딩 링(24)은 그 외주연의 둘레의 약 반정도 부부네 기어톱니(24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기어 톱니(24a)와 대응한 부분중 둘레 방향에서 대략 중앙부와 시계 회전 방향쪽의 끝부분에 각각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결합홈(28 및 29)이 형성되고, 그 결합홈(28)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스프링 걸림핀(30)이 입설되어 있다. 또, 기어 톱니(24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24b)은 바깥 가장자리쪽 부분이 절결되어 있다. 다른 부분에 비해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 하측 로딩 링(25)은 그 외주연 전체에 기어 톱니(25a)가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홈(31)이 형성되고, 그 결합홈(31)에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스프링 걸림핀(32)이 입설되어 있다.
33은 하측 로딩 링(25)의 하면중 상기 결합홈(31)으로부터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설된 누름 핀이며, 그 누름핀(33)은 후술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를 소정의 모드에서의 소정의 위치에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34는 상기 로딩 링(24 및 25)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딩 모터이다.
또, 도시를 생략했으나 메카 샤시(2)의 하면에는 로딩 링(24 및 25)의 기어 톱니(24a 및 25a)와 각기 맞물린 로딩 링 구동 기어 및 이들 로딩 링 구동 기어에 상기 로딩 모터(34)의 회전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로딩 모터(34)가 회전하면 2개의 로딩 링 구동 기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딩 모터(34)는 테이프 로딩을 행할때 정전(正轉)되고, 테이프 언 로딩을 행할때 역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로딩 모터(34)가 정전된 때는 하측의 로딩 링(25)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측의 로딩 링(24)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35, 36은 상기 로딩 링(24,25)과 상기 테이프 로딩 블럭(18,19)을 각기 연결시키고 있는 블럭 연결편이다.
이들 블럭 연결편(35,36)은 가늘고 긴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한쪽 단부가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고, 그 굴곡저 위치에서 아랫쪽을 향해 결합핀(37,37')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블럭 연결편(35)은 그 결합핀(37)의 하단부가 하측의 로딩링(25)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31)에 자유롭게 미끌어지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그 한쪽 단부와 하측 로딩핀(25)에 입설된 상기 스프링 걸림핀(32)사이에 인장 스프링(38)이 끼워지므로써 하측의 로딩 링(25)에 지지되어 있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좌측의 테이프 로딩 블럭(18)의 연결축(23)과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 우측의 블럭 연결편(36)은 그 결합핀(37')이 로딩 링(24)에 형성된 한쪽의 결합홈(28)에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그 일단부와 상측 로딩링(24)에 입설된 상기 스프링 걸림핀(30)과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38')이 끼워지므로써 상측의 로딩 링(24)에 지지되어 있고, 타단부가 상기 우측의 테이프 로딩블럭(19)의 연결축(23')과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블럭 연결편(35,36)은 인장 스프링(38,38')의 인장력에 의해 결합핀(37,37')이 로딩 링(24,25)의 결합홈(31,28)의 스프링 걸림핀(32,30)쪽의 끝 가장자리에 접속됨과 동시에, 결합홈(31,28)을 따라 스프링 걸림핀(32,30)의 반대쪽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로딩 링(24,25)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이들의 이동을 저지하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은 로딩 링(24,25)과 일체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로딩 링(24,25)은 테이프 로딩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하 비로딩 모드라 함)에서 제2도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비로딩 위치라 함)에 와 있고, 이 상태에서 테이프 로딩 블럭(18,19)은 상기 가이드 홈(14,15)의 전단부와 대략 대응하는 위치(이하 비로딩 위치라 함)에 와 있다. 그리고, 이 비로딩 모드에서 블럭 연결편(35,36)은 그 결합핀(37,37')이 로딩 링(25,2)에 형성된 결합홈(31,28)의 스프링 걸림핀(32,30) 쪽의 끝 가장자리에 접속된 상태로 되어 있고, 또 하측의 로딩 링(25)에 설치된 상기 누름핀(33)은 헤드 드럼(5)에 정면에서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39는 상측의 로딩 링(24)에 지지된 핀치 롤러 압출 아암이다.
이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은 역 L자 모양을 하고 있는 것으로, 그 짧은쪽 아암(39a)의 길이 방향에 서로 떨어진 2개의 위치에 결합핀(40,40)이 윗쪽을 향해 돌설되어 있고, 그 결합핀(40,40)이 상측의 로딩 링(24)에 형성된 다른쪽 결합홈(29)에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41은 상측의 로딩 링(24)의 하면 안쪽에 상기 결합홈(29)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ㅇ된 스프링 걸림핀이며, 그 스프링 걸림핀(41)과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사이에 인장 스프링(42)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은 결합홈(29)의 범위내에서 로딩 링(2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로딩 링(24)에 지지됨과 동시에, 로딩 링(24)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는 동안은 한쪽의 결합핀(40)이 결합홈(29)의 스프링 걸림핀 (41)쪽의 끝 가장자리에 탄력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그 상태에서 상측 로딩 링(24)과 일체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는 비로딩 모드에서 헤드 드럼(5)에 앞쪽 약간 좌측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와 있다.
그리고 상기한 테이프 로딩 기구(13)에 의한 테이프 로딩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할 것이다.
43 및 44는 메카 샤시(2)의 상면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 포스트이며, 앞쪽의 고정 가이드 포스트(43)는 메카 샤시(2)의 좌측 가장자리 부근에 전후 방향으로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고, 뒷쪽의 가이드 포스트(44)는 앞쪽 고정 가이드 포스트(43)와 상기 좌측 캐처(16)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45는 캡스턴이다. 이 캡스턴(45)은 메카 샤시(2)의 아랫쪽에 배치된 도시되지 않은 플라이 휠에 입설됨과 동시에 그 상부는 메카 샤시(2)의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헤드 드럼(5)에서 약간 오른쪽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스턴(45)은 재생 동작이 행해질때 소정의 회전 속도(이하, 이 재생시에서의 회전 속도를 기준 회전 속도라 함)로 회전되고, 또 자동 선곡이 행해질때인 후술하는 저속 써치(search) 또는 중속 써치에서는 수시로 상기 기준 회전속도의 3배의 회전 속도(이하 3배 회전 속도라 함)또는 약 16배의 회전 속도(이하 16배 회전 속도라 함)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46은 핀치 롤러 아암이다. 이 핀치 롤러 아암(46)은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된 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기단부가 메카 샤시(2)의 상면 우측 가장자리에 근접한 부분에서 전후 방향으로 중간부에서 약간 앞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입설된 지지축(47)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회동 단부에 롤러 지지축(48)이 핀치 롤러 아암(46)을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 지지축(48)의 아암(46)에서 윗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핀치 롤러(49)가 자유롭게 회전 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또 롤러 지지축(48)의 핀치 롤러 아암(46)에서 아랫쪽으로 돌출된 부분은 메카 샤시(2)에 지지축(48)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모양을 그리도록 형성된 호 모양의 홈(50)을 통하여 메카 샤시(2)의 아랫쪽으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는 적어도 상기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과 같은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51은 프리 대쉬 가이드(Free Dash Guide)이며, 이 프리 대쉬 가이드(51)은 메카 샤시(2)의 하면쪽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지지 아암의 회동 단부에 입설된 지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프리 대쉬 가이드(51)를 지지하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지지 아암과 핀치 롤러 아암(46)에는, 도시하지 않은 탄발 수단에 의해 항상 제2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가되고 있고, 이들 아암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압압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핀치 롤러(49) 및 프리 대쉬 가이드(51)는 제2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비로딩 위치에 와 있는 우측의 테이프 로딩블럭(19)의 우측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고, 또 이 상태에서 상측의 로딩 링(24)이 테이프 로딩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핀치 롤러 아암(46)이 상기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에 의해 눌려져서 제2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고, 또한 이것과 거의 동시에 프리 대쉬 가이드(5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아암도 회동되며, 이에 따라 핀치 롤러(49) 및 프리 대쉬 가이드(51)가 후방 우측으로 향해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의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제8도도 함께 참조하면, 52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으로, 자기 테이프가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할 때 그 자기 테이프에 적당한 백 텐션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은 그 기단부가 메카 샤시(2)의 상면에, 상기 S측 리일대(10)의 오른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입설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지지축(53)에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그 회동 단부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입설되어 있고, 그 기단부에서 회동단 반대측으로 향해 스프링 걸림편(55)이 돌설되어 있다.
56은 메카 샤시(2)의 상면중 상기 리일대 배치용 개구부(2a)와 좌측 가장자리와의 사이 중간 부분에 입설된 스프링 걸림핀이며, 이 스프링 걸림핀(56)과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스프링 걸림편(55)과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57)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은 인장 스프링(57)의 인장력에 의해 항상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력이 부가되어 있고, 비로딩 모드에서는 좌측의 테이프 로딩 블럭(18)에 의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시키므로써 인장 스프링(57)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제2도에 나타낸 위치, 즉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비로딩 위치에 와 있는 2개의 테이프 로딩 블럭(18과 19)사이에 위치하는 위치(이하 초기 위치라 함)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한쪽 가장 자리, 즉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대략 좌측 후방을 향한 쪽 가장자리의 기단측 약 반정도가 캠(cam)테두리(58)로 되어 있다. 이 캠 테두리(58)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지지축(53)과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이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을 연결하는 직선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이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쪽의 약 반정도 부분에 부분(58a)이 마치 받침대 모양으로 절결된 절결부로 되어 있다.
59는 텐션 레귤레이터 밴드이며, 그 일단부가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지지축(53)에 지지된 위치에서 회동단쪽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연결되고, 또한 타단부가 메카 샤시(2)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중간 부분이 상기 S측 리일대(10)의 리일 재치부(10c)상단부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은 테이프 로딩이 행해지면 인장 스프링(57)의 인장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각 모드에서의 우치는 후술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에 설치된 제어핀 및 후술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제어 레버의 규제핀과 상기 캠 테두리(58)의 절결부(58a) 및 그 절결부(58a)에서 기단측 부분(58b)(이하 당접부라 함)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 규제되도록 되어 있고,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에 탄발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자기 테이프 백텐션을 가하며, 또한 자기 테이프의 장력 변화에 따라서 요동되고, 요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밴드(59)에 의해 S측 리일대(10)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조절되어 자기 테이프의 장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60은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이다.
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 윗쪽 가장자리에서 우측으로 향해 수평으로 돌출한 피압압편(61)이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전후 방향에서 중앙보다 약간 앞쪽으로 치우친 위치의 윗쪽 가장자리에서 우측을 향해 수평으로 돌출한 돌편(6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편(62)에 제어핀(63)이 입설됨과 동시에 전단 부근의 윗쪽 가장자리에 절결부(64)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64)의 전단 가장자리(64a)가 후술하는 브레이크 해제레버를 누르는 압압연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는 메카 샤시(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출된 측벽(65)(제6도등 참조)의 우측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또한 그 피압압편(61)이 상기 하측의 로딩 링(25)의 하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형성된 결합홈(66,66)(제8도 참조)에 상기 측벽(65)에서 오른쪽을 향해 돌설된 도시되지 않은 지지핀이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되므로써, 측벽(65)에 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메카 샤시(2)와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도시되지 않은 인장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의 이동을 부세시키고 있다.
따라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는 측벽(65)을 통하여 메카 샤시(2)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후방으로 향해 눌러져 있지 않을때는 그 결함홈(66,66)의 후단 가장자리가 도시되지 않은 지지핀에 맞닿은 위치, 즉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표시한 위치(이하 제1의 위치라 함)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에 입설된 제어핀(63)은 메카 샤시(2)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b)내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는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캠 테두리(58)와 같은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는 그 피압압편(61)이 하측의 로딩 링(25)에 설치된 누름핀(33)의 이동궤적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며, 그 누름핀(33)에 의해 눌러져 이동된다. 이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할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67은 테이프 카세트이다.
68은 비교적 얇은 상자 모양을 한 카세트 케이스이며, 그 전면, 즉 DAT 1에 장착된 상태에서 헤드(5)를 향하는 면의 좌우 양 단부에 테이프 출구(69,69')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 테이프 출구(69와 69') 사이 부분에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70)가 형성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71)의 양단이 고정되어 소정량 감겨진 2개의 테이프 리일, 즉S리일(72)과 T리일(72)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수납되어 있으며, 자기 테이프(71)의 일부는 테이프 출구(69,69')에서 카세트 케이스(68)밖으로 풀려 나옴과 동시에 일부는 테이프 로딩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2도에서와 같이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70)의 전면을 지나고 있다.
그래서, 테이프 카세트(67)가 DAT 1에 장착되면, 카세트 케이스(68)가 메카 샤시(2)에 입설되어 있는 4개의 카세트 위치 결정핀(74,74…)(도면에서는 2개만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그중 1개(74)는 상기 지지편(3)에 입설되어 있다)의 상단면에 얹혀져서 DAT 1에서의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테이프 리일(72,73)에 상기 리일대(10,11)의 리일 결합축(10d,11d)이 상대적으로 삽입 결합되고, 그것에 의해 S리일(72)이 S측 리일대(10)와, 또 T리일(73)이 T측 리일대(11)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67)를 DAT 1에 장착하는 것은 DAT 1이 비로딩 모드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67)가 DAT 1에 장착되면, 상기한 테이프 로딩 블럭(18,19)의 테이프 로딩 포스트(21,21') 및 경사 가이드 포스트(22,22')와 핀치 롤러(49)와 프리 대쉬 가이드(51)와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상대적으로 카세트 케이스(68)의 테이프 인출용 오목부(70)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테이프 로딩을 행하는 지령이 있게 되면 상기 로딩 모터 (34)가 정전되게 된다.
그러면 상측의 로딩 링(24)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또 하측의 로딩 링(25)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즉 로딩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기 때문에, 상측의 로딩 링(24)에 지지되어 있는 블럭 연결편(36)이 약간 뒷쪽으로 우측을 향해 이동하고, 하측의 로딩 링(25)에 지지되어 있는 블럭 연결편(35)이 약간 뒷쪽으로 좌측을 향해 이동 하며, 그것에 따라 좌측 테이프 로딩 블럭(18)이 가이드 홈(14)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어 감과 동시에 우측 테이프 로딩 블럭(19)이 가이드 홈(1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어 가게 된다.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은 좌측 테이프 로딩 블럭(18)이 후방으로 밀려가기 때문에 인장 스프링(57)에 의해 부세되어 있는 회동력에 의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또, 이와함께 상측의 로딩 링(24)이 소정량 회전한 곳에서, 그 로딩 링(24)에 지지되어 있는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의 긴쪽 아암(39b)의 선단부가 핀치 롤러 아암(46)의 롤러 지지축(48) 하단부에 앞쪽에서 맞닿게 되어 그 롤러 지지축(48)을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핀치 롤러 아암(46)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어가며, 그것과 거의 동시에 프리 대쉬 가이드(51)를 지지하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지지 아암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로딩 링(24 및 25)이 제3도에 나타낸 위치(이하 로딩 완료 위치라 함)까지 오면, 테이프 로딩 블럭(18,19)에 입설된 테이프 로딩 포스트(21,21')의 하단부가 캐처(16,17)에 형성된 V자 모양의 절결부(16a,17a)에 맞닿아 테이프 로딩 블럭(18,19)보다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저지됨과 동시에, 프리 대쉬 가이드(51)의 지지 아암이 도시되지 않은 스토퍼에 맞닿게 되어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캡스턴(45)에서 오른쪽 전방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핀치 롤러(49)가 캡스턴(45)에서 왼쪽 전방으로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한 위치(이하 대기 위치라 함)에 오게 되며,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이 캠 테두리(58)의 당접부(58b)가 제1의 위치에 멈춰져 있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의 제어핀(63)에 우측으로부터 맞닿게 되어 그 이상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시킨 위치(이하 대기 위치라 함)에 오게 된다.
그래서, 테이프 로딩 블럭(18 및 19)과 핀치 롤러(49)와 프리 대쉬 가이드(51)가 이와같이 이동함에 따라, 자기 테이프(71)의 일부가 카세트 케이스(68)에서 인출됨과 동시에 그 인출된 부분의 일부가 헤드 드럼(5)에 소정의 각도로 감겨진 경로를 지나도록 로딩되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시에는, 후술하는 전자 플런져가 여자되어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 리일(72,73)에서 자기 테이프(71)가 저항없이 풀려 나가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이 완료되면 전자 플런져가 소자되어 리일대(10,11)에 대해 제동을 행하게 되어 있다.
이 상태가 제3도에 나타낸 상태, 즉 테이프 로딩이 완료된 스톱 모드이다.
이 스톱 모드에서 자기 테이프(71)는 S리일(72)에서 인출된 후 좌측의 테이프 출구(69)에서 카세트 테이프(68)밖으로 풀려나가고, 또한 고정 가이드 포스트(43,44)에 감겨짐과 동시에, 좌측 테이프 로딩 블럭(18)의 테이프 로딩 포스트(21)에 감겨진 곳에서 방향을 우측으로 바꾸어 좌측 경사 가이드 포스트(22)-헤드 드럼(5) 외주연의 전방을 향해 있는 부분-우측 테이프 로딩 블럭(19)의 경사 가이드 포스트(22') 및 테이프 로딩 포스트(21')에 이 순서로 감겨지고, 여기서 전방으로 향해 다시 꺽여져서 캡스턴(45)이 핀치 롤러(49)와 대향하고 있는 부분-프리 대쉬가이드(51)의 우측을 향해 있는 부분에 차례로 감겨진 후 우측 테이프 출구(69')에서 카세트 케이스(68)내로 들어가서 T리일(73)에 감기는 경로를 지나게 된다.
그리고, 스톱 모드에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은,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자기 테이프(71)에서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 있다.
75 및 76은 리일대(10 및 11)에 제동을 걸기 위한 브레이크 아암이다. 이들 브레이크 아암(75,76)중 좌측의 것(75)이 S측 리일대(10)를 제동하는 S측 브레이크 아암, 우측의 것(76)이 T측 리일대(11)를 제동하는 T측 브레이크 아암이다.
브레이크 아암(75 및 76)은 위쪽에서 보아 대략 3각형 모양인 주부(75a,76a)를 가지고, 그 주부(75a,76a)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방향에서 각각의 한쪽이 전방을 보고 배치되어 있다. 또, 주부(75a,76a)중 서로 V자 모양을 한 쪽으로 대향한 측면의 각 전단부에서 서로 상대방쪽을 향하여 돌설된 피압압편(75b,76b)과, 주부(75a,76a)중 서로 대략 八자 모양을 한 측면 후단부에 입설된 돌편(75c,76c)과, 위에서 보아 주부(75a,76a)중 대략 좌우 방향으로 뻗어있는 각 측면의 서로 가까운쪽 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스프링 걸림편(75d,76d)이 주부(75a,76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스프링 걸림편(75d,76d)은 주부(75a,76a)의 상면보다 약간 높은 곳에 위치되며, 돌편(75c,76c)의 후방 경사진 쪽면에 고무로된 브레이크 슈우(77,77')가 고정되어 있다.
또 주부(75a와 76a)는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S측 브레이크 아암(75)이 피압압편(75b)은 T측 브레이크 아암(76)의 피압압편(76b)보다 높은 곳에 위치 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S측 브레이크 아암(75)의 피압압편(75b)에는 윗쪽에서 보다 오른쪽으로 가로누운 U모양을 한 절결부(75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샤시(4)의 상면중 2개의 리일대(10 및 11)에 정면에서 각각 대향한 위치에 지지축(78,78')이 입설되어 있고, S측 브레이크 아암(75)은 그 브레이크 슈우(77)가 S측 리일대(10)의 브레이크 드럼(10a)와 대향하는 상태로 주부(75a)의 좌단부가 좌측 지지축(78)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T측 브레이크 아암(76)은 그 브레이크 슈우(77')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와 대향하는 상태로 주부(76a)의 우단부가 우측 지지축(78')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각각 스프링 걸림편(75d와 76d)사이에 인장 스프링(79)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S측 브레이크 아암(75)의 피압압편(75b)에 형성된 U자형 절결부(75e)의 앞쪽 부분과 T측 브레이크 아암(76)의 피압압편(76b)은 서로 상하로 겹쳐 지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인장 스프링(79)의 인장력에 의해, S측 브레이크 아암(75)에는 항상 제2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T측 브레이크 아암(76)에는 항상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어 있으며, 이들을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압압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때는 S측 브레이크 아암(75)의 브레이크 슈우(77)가 S측 리일대(10)의 브레이크 드럼(10a)에 탄력있게 접촉되고, 또 T측 브레이크 아암(76)의 브레이크 슈우(77')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 탄력있게 접촉되게 되며, 이에 따라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들 브레이크(75,76)에 의한 리일대(10, 11)의 제동은 스톱 모드에서만 이루어지고, 상기 테이프 로딩이 될때 및 자기 테이프(71)가 주행할 때는 후술하는 제동 해제 수단이나 전자 기구 가운데 어떤 것에 의해 해제되게 된다.
브레이크 아암(75 및 76)에 의한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에는 두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자기 테이프(71)을 캡스턴(45)와 핀치 롤러(49)에 의해 주행시키는 포워드 주행 모드 및 리버스 주행 모드에 있어서 쓰이는 제동 해제 수단으로, 이 제동 해제 수단은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브레이크 해제 레버를 갖추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테이프 로딩을 행할때 혹은 리일대(10 또는 11)를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켜 자기 테이프 (71)를 고속 주행시킬 때, 예를들면 후술하는 고속 써치를 행할 때에 쓰이는 전자 기구이며, 이 전자 기구는 전자 플런져와 그 전자 플런져에 의해 이동되는 회전 링크를 갖춘 것이다.
80은 브레이크 해제 레버이다.
브레이크 해제 레버(80)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모양을 한 주부(80a)와, 그 주부(80a)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서 약간 좌측으로 붙은 부분에 우측에서 보아 대략 한자 팔(八)자 모양을 하도록 형성된 피지지부(80b)와, 주부(80a)의 우측에서 아래쪽을 향해 돌설된 결합핀(80c)을 가진다.
그리고, 서브 샤시(4)의 안쪽 좌단과 상기 S측 브레이크 아암(75)이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78)과의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레버 지지축(81)이 입설되어 있고, 브레이크 해제 레버(80)는 그 좌단부가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에 형성된 절결부(64)에 전후 방향으로 약간 여유를 가지고 위치함과 동시에 결합핀(80c)의 하단부가 S측 브레이크 아암(75)의 피압압편(75b)에 형성된 절결부(75e)에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되고, 또한 T측 브레이크 아암(76)의 피압압편(76b)의 선단부에 후방에서 맞닿은 상태로 피지지부(80b)에 입설된 상기 레버 지지축(81)에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와 있고, 또한 브레이크 아암(75 및 76)이 브레이크 슈우(77,77')가 리일대(10,11)의 브레이크 드럼(10a,11a)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이하, 제동 위치라 함)에 와 있는 상태, 즉 제2도에 나타낸 상태에서,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의 주부(80a) 좌단부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의 절결부(64)의 후단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하, 이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의 위치를 비해제 위치라 한다.
그래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제1의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후방으로 치우친 제1도에 나타내는 위치(이하 제2의 위치라 함)로 이동하면, 절결부(64)의 압압연(64a)이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의 주부(80a)의 좌단부에 맞닿아서 이것을 후방으로 향해 누르게 되고, 브레이크 해제 레버(80)가 제1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도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며, 결합핀(80c)이 S측 브레이크 아암(75)의 절결부(75e)의 가장자리 및 T측 브레이크 아암(76)의 피압압편(76b)을 전방으로 향해 누르게 된다.
이 때문에 S측 브레이크 아암(75)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T측 브레이크 아암(76)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브레이크 슈우(77,77')가 리일대(10,11)의 브레이크 드럼(10a,11a)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이하 비제동 위치라 함)로 이동되며, 또한 이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즉,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제2의 위치로 이동하면 브레이크 해제 레버(80)가 해제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브레이크 아암(75 및 76)이 비제동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서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되게 된다.
82는 전자 플런져이다. 83은 전자 플런져(82)의 케이싱, 84는 그 케이싱(83)에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가 케이싱(83)에서 돌출된 로드이고, 이 로드(84)는 케이싱(83)에서 돌출된 부분의 선단쪽의 위치에 고리 모양의 결합구(84a)가 형성됨과 동시에 이것을 항상 케이싱(83)으로부터 돌출시키도록 하는 탄발력이 부세되어 있고,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도에 표시하는 위치에 와 있고,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면 제5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싱(83)으로 부터의 돌출량이 적어지는 위치로 끌려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플런져(82)는 로드(84)가 케이싱(83)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방향에서 서브 샤시(4)의 상면 우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85는 회동 링크이며, 좌우 방향으로 긴 판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좌단부에 누름핀(86)이 아래쪽을 향해 돌설되고, 또한 우단부에는 전방에서 보아 대략 한자 팔(八)형을 한 연결부(8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샤시(4)의 상면 안쪽에 T측 리일대(11)에 우측 전방으로 근접한 위치에 링크 지지축(87)이 입설되어 있고, 회동 링크(85)는 그 누름핀(86)의 하단부가 브레이크 아암(75,76)의 피압압편(75b,76b)의 후면에 맞닿으며, 또한 연결부(85a)가 전자 플런져(82)의 로드(84)에 형성된 결합구(84a)에 결합한 상태로, 그 길이 방향에서 대략 중간부가 상기 링크 지지축(87)에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아암(75,76)이 상기한 제동 위치에 와 있고, 또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제2도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회동 링크(85)의 누름핀(86)은 브레이크 아암(75,76)의 피압압편(75b,76b)에 후방에서 가볍게 접촉하던가 혹은 근접한 위치에 와 있다.
그래서, 상기한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2)가 여자 되면 로드(84)가 후방으로 끌려 들어가기 때문에, 회동 링크(85)는 연결부(85a)가 로드(84)에 의해 후방으로 눌려지게 되어 제2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따라서 그 누름핀(86)이 브레이크 아암(75,76)의 피압압편(75b,76b)를 전방으로 향해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아암(75,76)이 상기한 제동 해제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즉, 브레이크 아암(75,76)이 제동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었을 때는 브레이크 아암(75,76)에 의한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회동 링크(85)에 의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의 결합핀(80c)은 S측 브레이크 아암(75)의 절결부(75e)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전자 플런져(82) 및 회동 링크(85)에 의해 해제될때 브레이크 해제 레버(80)는 S측 브레이크 아암(75)에 의해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또,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전자 플런져(82) 및 회동 링크(85)에 의해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2)에 대한 여자가 해제되면, 로드(84)가 그것에 부세되어 있는 탄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회동 링크(85)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그에 따라 브레이크 아암(75,76)이 인장 스프링(79)의 인장력에 의해 제동 위치로 되돌아감과 동시에 브레이크 해제 레버(80)가 비해제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88은 리버스 주행 모드에서 T측 리일대(11)에 적당한 세개의 회전 부하를 가하여 자기 테이프(71)에 백 텐션을 주기위한 백 텐션 아암이다.
이 백 텐션 아암(88)은 좌우 방향으로 길고 또 그 길이 방향에서 중앙부가 위에서 보아 대략 크랭크 모양을 하도록 굴곡된 판 모양을 한 주부(88a)와, 상기 굴곡된 부분을 포함하여 옆에서 보아 대략 그자 형을 한 피지지부(88b)와, 주부(88a)의 앞 가장자리 우측단쪽 약 3분의 1 부분에 솟아오른 높이가 낮은 입상벽(88c)과, 주부(88a)의 뒤쪽 가장자리 우단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된 스프링 걸림편(88d)과, 상기 뒤쪽 가장자리 좌단부에 돌출된 누름편(88e)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입상벽(88c)의 전면 왼쪽 부분에 펠트등 비교적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진 재료로된 밴드(89)가 붙어 있다.
그리고, 서브 샤시(4)의 상면 안쪽에 뒷쪽 가장자리와 2개의 리일대(10,11)사이의 중간 부분과의 사이 중간 위치에 아암 지지축(90)이 입설되고, 또 서브 샤시(4)의 상면 안쪽에 T측 리일대(11)의 약간 우측 뒷쪽으로 근접한 위치에 스프링 걸림핀(91)이 입설되어 있고, 백 텐션 아암(88)은 패드(89)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 후방에서 대향하는 방향에서 피지지부(88b)가 상기 아암 지지축(90)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스프링 걸림편(88d)과 상기 스프링 걸림핀(91)과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92)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백 텐션 아암(88)에는 항상 제2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것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압압력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패드(89)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 탄력적으로 접촉된 위치(이하 접속 위치라 함)에 유지되게 된다.
그래서, 백 텐션 아암(88)의 패드(89)가 브레이크 드럼(11a)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T측 리일대(11)에 회전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71)가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되면 T측 리일대(11)에 결합되어 있는 T리일(73)에 의한 자기 테이프(71)의 풀림이 적당하게 억제되고, 이에 따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71)에 적당한 백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93은 스톱 모드 및 리버스 주행 모드 이외의 때 백 텐션 아암(88)의 패드(89)를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서 떨어지게 하기 위한 슬라이더이다.
이 슬라이더(93)는 위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을 한 판모양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아암(93a)의 전후 양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긴 홈(94,94)이 형성되고, 또 그 전단부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짧은 아암(93b)의 우단부에 전방에서 보아 대략 형을 한 연결부(9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샤시(4)의 상면 안쪽에 전자 플런져(82)에 좌측에서 근접한 부분에 2개의 가이드 핀(95,95)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있고, 슬라이더(93)는 홈(94,94)에 상기 가이드 핀(95,95)이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결합됨에 따라 서브 샤시(4)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긴쪽 아암(93a)의 후단이 상기 백 텐션 아암(88)의 입상벽(88c)의 우측 약 반부분에 앞쪽으로부터 대향하고, 또 연결부(93c)가 전자 플런져(82)의 로드(84)의 결합구(84a)에 아래쪽에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링크(85)의 八자형을 한 연결부(85a)는 슬라이더(93)의 팔八자 형을 한 연결부(93c)에 위쪽에서 끼워진 상태로 로드(84)의 결합구(84a)에 결합되어 있다.
또,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더(93)는, 상기 전자 플런져(82)의 로드(84)에 의해 그 후단면이 접촉 위치에 와 있는 백 텐션 아암(88)의 입상벽(88c)에 후방에서 가볍게 접촉하거나 혹은 근접한 위치(이하 전진 위치라 함)에 유지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한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면 로드(84)가 후방으로 끌려 들어가기 때문에, 슬라이더(93)가 후방으로 눌려져서 그 홈(94,94)의 전단 가장 자리가 가이드 핀(95,95)에 근접한 후퇴위치로 이동되고, 그 후단이 백 텐션아암(88)의 입상벽(88c)을 후방으로 향해 누르게 된다.
그래서, 백 텐션 아암(88)이 인장 스프링(92)의 인장력에 항거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어 패드(89)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서 후방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이하 비접촉 위치라 함)로 이동되어, 백 텐션 아암(88)에 의해 T측 리일대(11)에 가해져 있던 회전 부하가 제거되게 된다.
즉, 백 텐션 아암(88)에 대한 T측 리일대(11)에 대한 회전 부하는, 전자 플런져(82)가 비여자 상태에서 가해지고,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됐을 때 제거되게 된다.
그리고, 백 텐션 아암(88)이 비접촉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전자 플런져(82)가 비여자로 되면, 전자 플런져(82)의 로드(84)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더(83)가 전진 위치로 돌아가고, 또한 백 텐션 아암(88)이 인장 스프링(92)의 인장력에 의해 접촉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96은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이며, 리버스 주행 모드에서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을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는 위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긴 크랭크 모양을 함과 동시에 그 우단부에 전방에서 보아 대략 그자 형을 한 피지지부(96a)가 형성되어 있고, 좌단부에 높이가 높은 규제핀(97)이 입설되고, 또 그 긴쪽 방향에서 중앙부에 구형의 구멍(96b)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구멍(96b)으로 부터 좌측 전방쪽 위치에서 전방으로 향해 스프링 걸림편(9c)이 돌설되어 있으며, 구멍(96b)의 뒷쪽에 위치한 곳에서 피압압핀(98)이 아랫쪽을 향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샤시(4)중 상기 백 텐션 아암(88)을 지지하고 있는 아암 지지축(90)에서 약간 좌측 뒤쪽 위치에 레버 지지축(99)이 입설되고, 또 그 레버 지지축(99)에서 좌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스토퍼 핀(100)이 입설되어 있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는 구멍(96b)내에 상기 스토퍼 핀(100)의 상단부가 약간 영유를 가지고 위치되고, 또한 피압압핀(98)의 하단부가 백 텐션 아암(88)의 누름편(88e)에 전방에서 대향한 상태로 피지지부(96a)가 레버 지지축(99)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 걸림편(96c)의 선단부와 상기 스토퍼 핀(100)과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101)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에는 인장 스프링(101)에 의해 항상 제2도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핀(97)의 상단부는 메카 샤시(2)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2b)를 통하여 메카 샤시(2)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캠 테두리(58)와 같은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백 텐션 아암(88)이 상기한 접촉 위치, 즉 패드(89)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 접촉되어 있는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구멍(96b)의 앞 가장자리가 스토퍼 핀(100)에 맞닿게 되어 그 이상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되는 위치(이하 규제 위치라 함)에 와 있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이 규제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피압압핀(98)의 하단부가 백 텐션 아암(88)의 누름편(88e)에 앞쪽에서 근접하고, 또한 그 규제핀(97)의 상단부가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핀(63)의 바로 뒤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백 텐션 아암(88)이 비접촉 위치로 이동하면 백 텐션 아암(88)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여 누름편(88e)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의 피압압핀(98)을 전방으로 향해 누르게 되기 때문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인장 스프링(100)의 인장력에 항거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되고, 규제핀(97)이 전방 약간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의 위치를 비규제 위치라 한다.
그리고, 리버스 주행 모드에서는 백 텐션 아암(88)이 접촉 위치에 와 있고, 따라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상기 규제 위치에 유지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캠테두리(58) 일부가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의 규제핀(97)에 우측에서 맞닿게 되어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또 포워드 주행시에서는, 백 텐션 아암(88)이 비접촉 위치로 이동되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상기 비규제 위치로 이동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의 규제핀(97)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켐 테두리(58)와 맞닿지 않는 위치로 되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이 그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지 않게 된다.
이들의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2도 및 제9도에 있어서, 비로딩 모드, 즉 테이프 로딩이 행해지기 전의 상태에 있는 각 부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그 대부분의 설명을 했으나, 여기서 다시 정리하여 설명한다.
비로딩 모드에 있어서는, 로딩 링(24,25)이 비로딩 위치에 와 있고, 따라서 테이프 로딩 블럭(18,19)이 비로딩 위치, 즉 가이드 홈(14,15)의 전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 와 있으며, 이 비로딩 위치에 와 있는 좌측의 테이프 로딩 블럭(18)에 의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제1의 위치, 즉 브레이크 해제 레버(80)를 누르고 있지 않은 위치에, 핀치 롤러(49) 및 프리 대쉬 가이드(51)가 초기 위치에 와 있다.
그리고, 비로딩 모드에서 전자 플런져(82)는 비여자 상태로 되어 있고, 따라서 전자 플런져(82)의 로드(84)와 연결된 회동 링크(85)가 브레이크 아암(75,76)을 누르지 않는 위치에, 또 전자 플런져(82)의 로드(84)와 연결된 슬라이더(93)이 백 텐션 아암(88)을 후방으로 누르지 않는 전진 위치에 와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아암(75,76)이 리일대(10,11)에 대하여 제동을 거는 제동 위치에 유지됨과 동시에 백텐션 아암(88)이 T측 리일대(11)에 대하여 회전 부하를 가하는 접촉 위치에 와 있고, 따라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규제 위치에 와 있으며, 또 브레이크 해제 레버(80)가 비해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이 비로딩 모드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67)가 장착된 상태에서 테이프 로딩이 됨에 따라 스톱 모드가 형성된다.
이 테이프 로딩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데로 이지만, 테이프 로딩은 전자플런저(82)를 여자하여 브레이크 아암(75,76)을 비제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을 해제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그리고, 이때 슬라이더(93)가 후퇴되기 때문에 백 텐션 아암(88)을 비접촉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그렇게 이동된 백 텐션 아암(88)에 의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비규제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브레이크 해제 레버(80)가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이 완료되면, 전자 플런져(82)에 대한 여자가 해제되어 브레이크 아암(75,76)이 제동 위치로 돌아감과 동시에, 슬라이더(93)가 전지하여 백 텐션 아암(88)이 접촉 위치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규제 위치로, 브레이크 해제 레버(80)가 비해제 위치로 각각 돌아가게 된다.
그래서, 스톱 모드에서는 리일대(10,11)에 제동이 걸려져 있기 때문에 테이프 리일(72,73)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자기 테이프(71)가 테이프 리일(72,73)로부터 불필요하게 풀려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이 스톱 모드에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은 그 캠 테두리(58)의 당접부(58b)가 제1의 위치에 와 있는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의 제어핀(63)에 맞닿게 됨에 따라 그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에서 떨어진 대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고, 또 핀치롤러(49)는 캡스턴(45)에 근접한 대기 위치까지 와 있다.
재생을 행할때 혹은 자동선곡을 행하기 위하여 자기 테이프(71)를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끼워서 약간 빠른 속도로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킬 때는 포워드 주행 모드가 형성된다.
이 포워드 주행 모드는 로딩 링(24,25)을 로딩 완료 위치에서 다시 테이프 로딩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자 플런져(82)를 여자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들면 스톱 모드에서 곡의 재생을 행하는 지령이 행해지면, 상기 로딩 모터가 정회전하여 로딩 링(24 및 25)이 제4도에서 나타내는 위치(이하, 이때의 로딩 링(24,25)의 위치를 플레이 위치라 함)까지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 상측의 로딩 링(24)에 지지되어 있는 핀치 롤러 압출 아암(39)가 핀치 롤러 아암(46)을 시계 회전 방향으로 다시 회동시켜 핀치 롤러(49)를 자기 테이프(71)을 끼워서 캡스턴(45)에 압착시킴과 동시에, 하측의 로딩 링(25)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핀(33)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의 후단부에 위치한 피압압편(61)을 후방을 향해 압압하여 그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를 제4도에 나타낸 제2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제2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한 바와같이 절결부(64)의 압압연(64a)이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을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 그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을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또 그 제어핀(63)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캠 테두리(58)의 당접부(58b)와 대향한 위치에서 후방으로 멀어지게 된다.
또, 로딩 모터(34)의 정회전과 동시에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고, 그것에 의해 슬라이더(93)가 후퇴 위치에, 백 텐션 아암(88)이 비접촉 위치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비규제 위치로 각각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아암(75,76)이 비제동 위치로 이동되어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되고, 또한 백 텐션 아암(88)에 의한 T측 리일대(11)에 대한 회전 부하가 제거됨과 동시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가 인장 스프링(57)의 탄발력에 의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여 텐션 레귤레이터 핀(54)가 자기 테이프(71)중 상기 2개의 고정 가이드 포스트(43과 44)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측방에서 접촉한 접촉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가 접촉 위치에 오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의 제어핀(63) 및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의 규제판(97)은, 제4도에서 잘 알 수 있듯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캠 테두리(58)의 절결부(58a)에 위치하여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동작, 즉, 테이프 텐션의 변화에 따른 좌우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그래서, 포워드 주행 모드에서는,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의 해제가 주로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에 의해 되고 있고, 핀치 롤러(49)가 자기 테이프(71)을 끼워서 캡스턴(45)에 압착시키고, 또한 백 텐션 아암(88)에 의한 T측 리일대(11)에 대한 회전 부하가 제거되어 있음과 동시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와 접촉하여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하는 테이프(71)에 적당한 세기의 백 텐션을 주는 상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동 선곡을 행하기 위하여 자기 테이프(71)을 캡스턴(45)와 핀치 롤러(49)로서 약간 빠른 속도로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킬 때는 리버스 주행 모드가 형성되게 되고, 이 리버스 주행 모드는 로딩 링(24,25)을 상기 플레이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전자 플런져(82)를 비여자로 하여 형성된다.
즉, 리버스 주행 모드를 형성해야할 지령이 행해지면, 로딩 링(24,25)이 플레이 위치로 이동되고, 그것에 따라서 핀치 롤러(49)가 캡스턴(45)에 압착되고, 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제2의 위치에 이동되며, 따라서 브레이크 아암(75,76)이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에 의해 비제동 위치로 이동되고,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되게 된다.
또, 전자 플런져(82)가 비여자로 되기 때문에, 슬라이더(93)가 전진 위치에 와서 백 텐션 아암(88)이 접촉 위치에 오기 때문에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 패드(89)가 접촉하여 그 T측 리일대(11)에 회전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가 제2의 위치, 즉 그 제어핀(63)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캠 테두리(58)의 당접연(58b)과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오기 때문에, 이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제어 레버(60)에 의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의 상기 접촉 위치로의 이동의 저지는 행해지지 않게 되지만, 백 텐션 아암(88)이 접촉 위치에 와 있기 때문에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가 규제 위치에 와 있고, 따라서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은 제1도에서 잘 알수 있듯이 그 캠 테두리(58)의 절결부(58a)중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측의 가장자리가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의 규제핀(97)에 맞닿게 되므로, 접촉 위치보다 약간 앞의 위치, 즉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두개의 고정 가이드 포스트(43,44)의 우측 사이를 연결하는 선에서 약간 우측으로 떨어진 위치(이하 이간 위치라 함)로 밀려가게 된다.
그래서, 이 리버스 주행 모드에서는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의 해제가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핀치 롤러(49)가 자기 테이프(71)를 끼워서 캡스턴(45)에 압착되고, 또한 백 텐션 아암(88)이 T측 리일대(11)에 접촉하여 그 T측 리일대(11)에 회전 부하가 가해짐과 동시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캠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되는 자기테이프(71)에는,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끼워진 위치와 T리일(73)과의 사이 부분에 백 텐션 아암(88)에 의한 적당한 세기의 백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리버스 주행 모드시에 있어서, 전자 플런져(82)가 소자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링크(85)는 회동되지 않고, 브레이크 아암(75,76)을 누르는 것은 없으나, 브레이크 아암(75,76)에 의한 제동은 전술한 것과 같이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에 의해 해제되어 있다.
예를들면, 자동 선곡을 행하기 위하여 자기 테이프(71)를 재생시 주행 속도의 수백배의 빠르기로 주행시키는 때는 고속 주행 모드가 형성되게 되며, 이 고속주행 모드는 로딩 링(24,25)을 로딩 완료 위치에 위치시키고, 전자 플런져(82)를 여자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즉, 고속 주행 모드를 형성해야할 지령이 행해지면, 로딩 링(24,25)이 로딩완료 위치에 유지되거나 혹은 플레이 위치에서 로딩 완료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이에 따라 핀치 롤러(49)가 캡스턴(45)에서 떨어지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52)이 대기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 전자 플런져(82)가 여자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아암(75,76)이 회동링크(85)에 의해 비제동 위치로 이동되어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슬라이더(93)가 후퇴 위치에 와서 백 텐션 아암(88)을 비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고, T측 리일대(11)에 대한 회전 부하가 제거되게 된다.
그래서, 이 고속 주행 모드에서는 리일대(10,11)에 대한 제동의 해제가 전자 플런져(82)에 의해 행해지고 있고, 핀치 롤러(49)가 캡스턴(45)으로부터 떨어지고, 백 텐션 아암(88)의 패드(89)가 T측 리일대(11)의 브레이크 드럼(11a)에서 떨어짐과 동시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이 자기 테이프(71)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해제 레버(80)은 S측 리일대(10)가 비제동 위치에 오게됨에 따라 해제 위치로 이동되어 있고, 텐션 레귤레이터 아암 규제 레버(96)는 백 텐션 아암(88)에 의해 비규제 위치에 와 있다.
그래서, 이와같이 구성된 DAT 1에 의한 재생 동작 및 작동 선곡 동작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재생을 행할 때는 상기한 포워드 주행 모드가 형성됨과 동시에, 캡스턴(45)가 제4도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이하 포워드 보내기 방향이라 함)으로 상기 기준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T측 리일대(11)가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며, 또 헤드 드럼(5)의 상측 드럼(7) 및 회전 자기 헤드(9,9)가 일체적으로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71)가 캡스턴(45) 및 핀치 롤러(49)에 의해 끼워진 위치와 S리일(72)과의 사이 부분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에 의한 적당한 백 텐션을 주면서,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포워드 방향으로 소정의 주행 속도(이하, 재생이 행해질 때의 자기 테이프(71)의 주행 속도를 기준 주행 속도라 함)로 주행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71)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가 회전 자기 헤드(9,9)에 의해 읽혀져 나와 재생되게 된다.
그리고, T측 리일대(11)는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보내져온 자기 테이프(71)를 그것에 이완이 생기지 않게 T리일(73)이 감을 수 있는 속도로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동 선곡을 행할 때는, 우선 상기한 고속 주행 모드가 형성됨과 동시에 ID신호의 검출 여하에 따라 리버스 주행 모드 및 포워드 주행 모드가 수시로 형성되고, 지정된 곡의 첫머리를 나타내는 ID신호가 온 트랙된 곳에서 상기 재생 동작이 개시된다.
자동 선곡을 행하는 지령이 행해지면, 우선 고속 주행 모드가 형성됨과 동시에, 지정된 곡의 ID신호 위치에 따라서, 즉 해당 ID 신호가 현재 헤드 드럼(5)의 회전 자기 헤드(9,9)가 주사하고 있는 트랙에서 S리일(72)측에 있는가 혹은 T리일(73)측에 있는가의 차이에 따라서 2개의 리일대(10,11)중 어떤 한쪽이 자기 테이프(71)을 상기 기준 주행 속도의 약 300배 빠르기로 주행시키는 회전 속도로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검출해야할 ID 신호가 S리일(72)측에 있을 때는 S리일대(10)을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자기 테이프(71)을 되감게 되고, T리일(73)측에 있을 때는 T측 리일대(11)을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테이프(71)을 빨리 보내게 된다.
그리고, 헤드 드럼(5)의 상측 드럼(7) 및 회전 자기 헤드 (9,9)는 이때의 자기 테이프(71)의 주행 속도에 따른 빠르기로 회전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지정된 곡 첫머리의 ID 신호에 대한 고속 써치가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ID 신호가 검출 됐을 때 리일대(10 또는 11)의 회전을 정지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하게 되지만, 리일대(10 또는 11)의 회전 정지는 극히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관성에 의해 리일대(10 또는 11)은 ID 신호의 검출이 행해진 시점보다도 늦게 정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통상은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된 시점에서는 회전 자기헤드(9,9)가 당해 ID 신호에 대해 온 트랙의 상태, 즉 당해 ID 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이 회전 자기 헤드(9,9)에 대하여 너무 지나 갔거나 혹은 너무 가지 않은 상태로 된다.
그래서, 고속 주행 모드에서 소정의 ID 신호가 검출되면, 이번에는 포워드 주행 모드 또는 리버스 주행 모드를 형성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71)을 기준 주행속도의 약 16배 속도로 주행시키면서 ID 신호의 검출을 행하는 중속 써치가 행해진다.
즉, 이제까지의 고속 써치가 자기 테이프(71)을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행해졌을 때는, 이번에는 포워드 주행 모드가 형성됨과 동시에 캡스턴(45)이 상기 16배 회전 속도로 포워드 보내기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따라서 자기 테이프(71)가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포워드 방향으로 기준 주행 속도의 약 16배 빠르기로, 또한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에 의한 백 텐션을 주면서 주행하게 된다. 또, 이제까지의 고속 써치가 자기 테이프(71)을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행해졌을 때는, 이번에는 리버스 주행 모드가 형성됨과 동시에 캡스턴(45)이 16배의 회전 속도로 포워드 보내기 방향과 반대 방향(이하 리버스 보내기 방향이라 함)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자기 테이프(71)가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리버스 방향으로 기준 주행 속도의 약 16배 빠르기로, 또한 백 텐션 아암(88)에 의한 백 텐션을 주면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당해 ID 신호가 검출됐던 곳에서 캡스턴(45)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된다.
이 경우의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의 정지는, 그 자기 테이프(71)가 고속 써치때의 주행 속도에 비해서는 매우 늦은 속도이고 도우기 백 텐션을 가하여서 주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회전 자기 헤드(9,9)의 당해 ID 신호에 대한 온 트랙의 양이 작은 상태에서 혹은 회전 자기 헤드(9,9)가 온 트랙의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71)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 중속 써치에서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된 시점에서 온 트랙의 상태로 됐을 때는 포워드 주행이 형성되어 상기 재생이 개시되게 된다.
상기 중속 써치가 행해져도 아직 온 트랙의 상태인 때는, 이번에는 자기 테이프(71)을 기준 주행 속도의 약 3배 빠르기로 주행시키면서 ID 신호의 검출을 행하는 저속 써치가 행해진다.
즉, 이제까지의 중속 써치가 자기 테이프(71)을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행해졌을 때는, 이번에는 리버스 주행 모드가 형성됨과 동시에 캡스턴(45)이 상기 3배 회전 속도 리버스 보내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자기 테이프(71)가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리버스 방향으로 기준 주행 속도의 약 3배 빠르기로, 또한 백 텐션 아암(88)에 의한 백 텐션을 가하면서 주행하게 된다. 또, 이제까지의 중속 써치가 자기 테이프(71)을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행해지고 있었을 때는, 이번에는 포워드 주행 방향이 형성됨과 동시에 캡스턴(45)이 3배의 회전 속도로 포워드 보내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자기 테이프(71)가 캡스턴(45)과 핀치 롤러(49)에 의해 포워드 방향으로 기준 주행 속도의 약 3배 빠르기로, 또한 텐션 레귤레이터 핀(54)에 의한 백 텐션을 가하면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당해 ID 신호가 검출되었던 곳에서 캡스턴(45)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된다.
이 경우의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의 정지는, 그 자기 테이프(71)가 기준 주행 속도의 약 3배라고 하는 극히 늦은 속도이고 더우기 하이 백 텐션을 받으면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통상 ID 신호의 검출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하게 된다. 즉, 회전 자기 헤드(9,9)가 당해 ID 신호에 대하여 온 트랙의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71)의 주행이 정지하게 된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포워드 주행 모드가 형성되어 재생 동작이 개시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기재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는,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와, 포워드 주행시 및 리버스 주행시에 캡스턴과의 사이에 자기 테이프를 끼워서 주행시키는 핀치 롤러와, 정지시에 상기 2개의 리일대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 수단과, FF 주행 및 REW 주행시에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기 위한 전자 기구와, 포워드 주행시 및 리버스 주행시에 상기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는 제동 해제 수단과, 포워드 주행시에 자기 테이프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과, 리버스 주행시에 권취측리일대에 접촉하여 백 텐션을 가하는 백 텐션 수단과,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을 규제 제어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 제어 수단과를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이고, 포워드시에 리일대로의 제동이 상기 제동 해제 수단에 의해 해제되고 또한 상기 전자 기구를 동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 제어 수단을 작동하여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수단을 자기 테이프에 접촉하도록 동작시킴과 동시에, 리버스시에 상기 전자 기구를 비동작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백 텐션 수단을 권취측 리일대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규제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텐션 레귤레이터 수단을 상기 자기 테이프로부터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에 의하면, 핀치 롤러가 캡스턴에 접촉될 때, 즉 FF 주행시 및 REW 주행시 이외의 테이프 주행시에 있어서는 리일대에 대한 제동의 해제가 전자 기구와는 다른 제동 수단에 의해 행해짐과 동시에, 상기 전자기구를 제동 수단에 의한 리일대에 대한 제동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했을 때는 백 텐션 수단이 제어 수단에 의해 권취측 리일대와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텐션 레귤레이터 핀이 자기 테이프에서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 주행하는 자기 테이프에 백 텐션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에 의하면, 리버스 주행시에서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백 텐션의 부여를 특별한 구동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핀치 롤러의 캡스턴에 대한 위치의 규제도 행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따라 텐션 레귤레이터 핀의 자기 테이프에 대한 위치를 규제하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부재의 동작을 이용하여 제동 해제 수단을 동작시키도록 했으나, 이와같이 함에 따라서 동기 수단, 즉 핀치 롤러의 캡스턴쪽으로의 이동과 리일대에 대한 제동의 제동해제 수단에 의한 해즐 동기시키기 위한 수단에 대해서도 특별한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리버스 주행시에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자기 테이프로부터 떨어지게 하기 위한 부재의 위치 제어를, 백 텐션 수단의 동작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했으나, 이와같이 하므로써 제어 수단을 극히 작은 수의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상기 위치의 제어를 필요한 타이밍으로 확실하게 행할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AMS 기구를 갖춘 DAT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으나, 본 발명 테이프 플레이어는 이러한 적용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급측 테이프 리일 및 권취측 테이프 리일이 각기 결합하는 공급측 리일대 및 권취측 리일대와, 회전 자기 헤드가 설치된 헤드 드럼과, 포워드 주행시 및 리버스 주행시에 캡스턴과의 사이에 자기 테이프를 끼워서 주행시키는 핀치 롤러와, 정지시에 상기 2개의 리일대에 제동을 가하는 제동 수단과, 그 제동 수단에 의한 제동을 해제하기위한 전자 기구와, 포워드 주행시에 공급측 리일대에서 도출된 자기 테이프에 텐션을 가하는 텐션 레귤레이터 핀을 구비함과 동시에 리버스 주행시에 자기 테이프에 백 텐션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각종 테이프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축둘레로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캡스턴(45)과, 상기 캡스턴과 회전가능하게 협동하여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카세트 케이싱내에 설치된 한 쌍의 테이프 리일상에 권취된 자기 테이프(71)를 공급하는 핀치롤러(49)와, 상기 자기 테이프 카세트를 수용해서 이와 함께 구동가능하게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테이프 리일과 맞물리는 한 쌍의 리일 대(10,11)와, 상기 테이프 카세트로 부터 상기 테이프를 꺼내기 위한 테이프 로딩 기구(13)과, 상기 한 쌍의 리일대(10,11)상에 제동력을 가하여 상기 리일대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한 쌍의 리일대와 작용하는 제동수단(75,76 : 브레이크 아암)과, 상기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 로딩 수단에 의해 장전되는 테이프 로딩 모드에서 그리고 상기 자기 테이프가 각각 상기 테이프의 포워드·리버스 방향 주행시 상기 한 쌍의 리일대(10,11)중 어느 하나가 제1소정속도로 주행하는 제1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제1링크부재(85 : 회동 링크)와 맞물리는, 제1작동 모드와 제2작동모드에서 여자되는 전자 플런져(82)를 포함하는 제1수단과 (82,85)과, 상기 자기 테이프(71)가 상기 제1소정속도보다 느린 제2소정속도로 각각 상기 포워드·리버스 방향 주행시 캡스턴(45)과 핀치롤러(49)의 회전에 의해 공급되는 제2 및 제3작동모드에서 상기 로딩 수단(13)과 작용하여 제2, 3작동모드에서 상기 제동력을 해제하는 제2수단(60 : 텐션 레귤레이션 아암 제어 레버, 80브레이크 해제 레버), 상기 전자 플런져인 제1수단(82)과 맞물리는 제2 링크 부재(93 :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리일대(10,11)중 어느 하나에 마찰력을 적용하여 상기 작 테이프의 주행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상기 캡스턴(45)과, 회전하는 상기 리일대중 하나 사이의 상기 자기 테이프에 백텐션을 가하여 제3작동 모드로 상기 자기 테이프(71)를 공급하는 제3수단(88 : 백텐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코더의 절환기구.
  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플런져(82)는 플런져 케이싱(83)과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축방향 슬라이딩 커넥팅 로드(8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부재(85)는 상기 커넥팅 로드(84)의 운동에 따라서 피봇가능한 레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부재(93)는 상기 커넥팅 로드(84)와 함께 이동하는 제1슬라이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테이프 카세트와 회전드럼(5)과 회전가능한 회전 자기 헤드(9)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기구(13)은 상기 테이프 로딩 모드중 상기 자기 테이프 몇 개를 추출하고 상기 자기 테이프(71)를 상기 회전 자기 헤드(9)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 자기 헤드(9) 부근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한 쌍의 테이프 가이드 블록(18,19)과 한 쌍의 로딩 링(24,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로딩 링(24,2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제동력이 상기 리일대에 적용되는 제1위치로부터 제동력이 해제되는 제2위치까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로딩 링(24,25)중 적어도 하나와 맞물리는 제2슬라이더인텐션 레귤레이션 아암 제어 레버(60)와, 상기 슬라이더(60) 및 제동수단과 맞물릴 수 있는 피봇가능한 브레이크 해제 레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수단은 상기 핀치롤러(49)가 상기 캡스턴(45)과 접촉하는 압출 아암(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단은 상기 로딩 링(24,25)중 하나와 맞물리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와 제동 수단 양자 모두와 맞물릴 수 있는 피봇가능한 브레이크 해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1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링(24,25)중 제2슬라이더와 맞물리지 않은 다른 하나는 상기 핀치롤러를 상기 캡스턴과 접촉시키는 압출 아암(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KR1019880011024A 1987-08-31 1988-08-30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KR0133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7047 1987-08-31
JP62217047A JP2829955B2 (ja) 1987-08-31 1987-08-31 テーププレー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297A KR890004297A (ko) 1989-04-21
KR0133296B1 true KR0133296B1 (ko) 1998-04-18

Family

ID=1669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024A KR0133296B1 (ko) 1987-08-31 1988-08-30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61120A (ko)
EP (1) EP0306230B1 (ko)
JP (1) JP2829955B2 (ko)
KR (1) KR0133296B1 (ko)
AT (1) ATE91559T1 (ko)
AU (1) AU626148B2 (ko)
CA (1) CA1329260C (ko)
DE (1) DE38823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3378B1 (en) * 1988-03-15 1996-09-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JPH02201757A (ja) * 1989-01-31 1990-08-09 Toshiba Corp カセットテープのたるみ防止装置
CA2015431C (en) * 1989-04-29 1995-06-20 Yoshikazu Sasaki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JP2656618B2 (ja) * 1989-06-14 1997-09-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85593B2 (ja) * 1989-08-21 1997-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48992B2 (ja) * 1989-12-25 1996-10-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3296949A (ja) * 1990-04-16 1991-12-27 Clarion Co Ltd ブレーキ機構
US5710679A (en) * 1990-06-13 1998-01-20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4313843A (ja) * 1991-04-12 1992-11-05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5128647A (ja) * 1991-11-05 1993-05-25 Sony Corp テーププレーヤにおけるブレーキ機構
JPH05174453A (ja) * 1991-12-20 1993-07-13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テンション機構
JP2676460B2 (ja) * 1992-08-31 1997-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又は再生装置
JPH09180319A (ja) * 1995-12-26 1997-07-11 Mitsumi Electric Co Ltd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US5779528A (en) * 1996-07-12 1998-07-14 Norton Company Elastomeric mount for grinding wheel, and grind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4414A (en) * 1976-05-04 1977-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tape device
US4370682A (en) * 1979-01-12 1983-01-2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loading apparatus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110772Y2 (ko) * 1979-04-06 1989-03-28
JPS562155U (ko) * 1979-06-18 1981-01-09
JPS5987642A (ja) * 1982-11-09 1984-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87982A (ja) * 1984-03-07 1985-09-25 Sony Corp テ−プカセット
JPH0644381B2 (ja) * 1984-04-10 1994-06-08 ソニー株式会社 テ−プカセツト
DE3542391A1 (de) * 1985-11-30 1987-06-04 Grundig Emv Video-magnetbandgeraet
GB2185616B (en) * 1985-12-19 1990-06-13 Gold Star Co A cassette type video tape recorder
AT384686B (de) * 1986-02-04 1987-12-28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6230A3 (en) 1990-01-31
AU1927888A (en) 1989-03-02
DE3882306T2 (de) 1993-11-11
ATE91559T1 (de) 1993-07-15
JP2829955B2 (ja) 1998-12-02
JPS6459662A (en) 1989-03-07
KR890004297A (ko) 1989-04-21
CA1329260C (en) 1994-05-03
AU626148B2 (en) 1992-07-23
EP0306230B1 (en) 1993-07-14
US4961120A (en) 1990-10-02
DE3882306D1 (de) 1993-08-19
EP0306230A2 (en) 198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29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절환기구
KR860000638A (ko)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
US4370682A (en) Tape loading apparatus in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180117A (en) Video tape recorder and/or reproducer
KR880003724Y1 (ko) 진동 아이들러 기구
WO1998033178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pour bande magnetique
US6724565B2 (en) Tape loading device having an elastic member
KR860000918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94000160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5737143A (en) Apparatus for movably mounting a full erase head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6218662A (ja)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KR011320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KR100277153B1 (ko) 릴대의 후방 장력 기구
JP2919621B2 (ja) テープ高速送り装置
JP295473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ム操作機構
JPH0227399Y2 (ko)
JPS588016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0118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859B2 (ko)
JPS6218646A (ja) ピンチロ−ラ圧着装置
JPH02122456A (ja) 回転ヘッド式磁気記録再生装置の制御装置
JPS62200558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60262A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S6218649A (ja) 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