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622B1 -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622B1
KR0132622B1 KR1019950011649A KR19950011649A KR0132622B1 KR 0132622 B1 KR0132622 B1 KR 0132622B1 KR 1019950011649 A KR1019950011649 A KR 1019950011649A KR 19950011649 A KR19950011649 A KR 19950011649A KR 0132622 B1 KR0132622 B1 KR 0132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rriage
overhead
rail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762A (ko
Inventor
다까시 고기소
노리따까 아다찌
Original Assignee
노자끼 도따로
호와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자끼 도따로, 호와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노자끼 도따로
Publication of KR95003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D01H9/182Overhead convey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16Yarn-severing arrangements, e.g. for cutting transfer tails; Separating of roving in fl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 정방기(1A 내지 1M)를 따라 루프된 제 1 오버헤드 레일(4)과 조방기(2A 및 2B)에 연결된 제 2 오버헤드 레일(6)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 1 오버헤드 레일(4)은 모든 정밀 정방기를 따라 정렬된 단일 루프로서 구성되는 반면에, 제 2 오버헤드레일(6)은 조방기(2A 및 2B) 주위에 정렬된 단일 루프로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레일(4 및 6)은 실이없는-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를 복귀하기 위하여 브랜취된 레일(7)에 의하여 연결되고,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를 공급하기 위하여 브랜취된 레일(8)에 의해 연결된다.

Description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레일을 갖는 정방기의 크릴을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와 함께 오버헤드 레일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 선을 따라 취한 도면.
제5도는 제3도의 V 선을 따라 취한 도면.
제6도는 제3도의 VI-VI 선을 따라 취한 도면.
제7도는 보빈 캐리지에서 보빈에 대한 보빈 검출기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8a도 내지 제8e도는 보빈 캐리지가 실이 가득찬 보빈을 포함할 때 스위칭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9a도 내지 제9e도는 보빈 캐리지가 실이 없는 보빈을 포함할 때 스위칭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10도는 제8a도 내지 제8e도와 제9a도 내지 제9e도의 작동을 달성하기 위한 논리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11a도 내지 제11e도는 보빈 캐리지가 소정의 수보다 적게 실이 가득찬 보빈을 포함할 때 스위칭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12a도 내지 제12g도는 보빈 캐리지가 소정의 수보다 더 많게 실이 가득찬 보빈을 포함할 때 스위칭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13도는 제11a도 내지 제11e도 및 제12a도 내지 제12e도의 동작을 달성하기 위한 논리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내지 1M : 정밀 정방기 2A 내지 2B : 조방기
4 : 제 1 오버헤드 레일 5 : 도핑 레일
6 : 제 2 오버헤드 레일 10 : 보빈 캐리지
11 : 실이 가득찬 보빈 12 : 실이 없는 보빈
18 : 제어회로 33 : 크릴(creel)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방적 공장(spinning plant)에 있는 조방기(roving frame)와 정밀 정방기(fine spinning frame) 사이에서 조사 보빈(roving bobbin)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방적 공장에서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조사 보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은 공지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는 정밀 정방기 주위에 감겨있는 보빈용 제 1 오버헤드 레일(오버헤드 레일은 천정에 매달린 레일을 말함)과, 조방기로부터 실이 가득찬 보빈(full bobbin)을 위한 로딩 스테이션(loading station)이 설치되어 있는 보빈용 제 2 오버헤드 레일이 제공되어 있고, 여기서 제 1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로 실이 없는 보빈(empty bobbin)을 복귀하기 위한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branched overhead rail)과, 제 2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1 오버헤드 레일로 실이 가득찬 보빈을 공급하기 위한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레일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시스템은 미심사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62-170536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미심사된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62-170536호에서, 제 1 오버헤드 레일은 각각의 정방기 주위에 감겨진 폐쇄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폐쇄 섹션은 조방기에 연결된 제 2 오버헤드 레일에 연결된다. 다수의 보빈 캐및어(트롤리(trolley))는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에 매달려 있다. 즉 각각의 트롤리는 상기 레일위의 휠을 구비하며, 전기모터가 상기 휠이 회전될 수 있도록 휠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트롤리는 레일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각각의 트롤리는 보빈 행거를 구비한다.
제 1 오버헤드 레일위의 트롤리는 각각의 정밀 정방기를 따라 폐쇄 루프로서 항상 이동된다 정방기의 크릴(creel)내에 있는 보빈에 실이 없을 때, 실이 없는 보빈은 트롤리로부터 실이 가득찬 보빈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교환되는 반면에, 크릴로부터 취해진 실이 없는 보빈은 보빈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트롤리 위에 놓이게 된다. 제 2 오버헤드 레일에서, 실이 가득찬 보빈은 로딩 스테이션에서 제 2 오버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트롤리 위에 놓이게 된다. 또한 로딩 스테이션에서, 실이 없는 보빈은 방출된다. 제 2 오버헤드 레일이 실이 가득찬 보빈의 공급레일에 연결된 위치에는, 스위칭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위치의 상류부에서, 접근 트롤리의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인지 실이 없는 보빈인지를 검출하는 보빈 검출기가 있다. 접근 트롤리의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이고 상기 실이 가득찬 보빈이 제 1 오버헤드 레일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 결정되면, 대응하는 스위칭 장치가 작동되므로, 제 2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실이 가득찬 보빈을 가진 트롤리가 대응하는 실이 가득찬 보빈 공급 레일을 거쳐서 상기 제 1 오버헤드 레일 내로 도입된다. 이것과 반대로, 접근 트롤리의 보빈이 실이 없는 보빈이거나 실이 가득찬 보빈이 제 1 오버헤드 레일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이 결정되면, 대응하는 스위칭 장치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제 2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1 오버헤드로 접근 트롤 리가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오버헤드 레일이 실이 없는 보빈 복귀 레일에 연결되는 위치에는, 스위칭 장치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위치의 상류부는 접근 트롤리의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인지 실이 없는 보빈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보빈 검출기가 있다. 접근 트롤리 위의 보빈이 실이 없는 보빈이라고 결정되면 대응 스위칭 장치가 작동하므로, 제 1 오버헤드 레일로 부터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트롤 리가 대응하는 실이 없는 보빈의 복위 레일을 거쳐서 제 2 오버헤드 레일로 복위된다. 상기와 반대로, 접근 트롤리의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이라고 결정되면 대응 스위칭 장치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실이 가득찬 보빈을 갖는 트롤리가 정밀 정방기 주위의 폐쇄 루프로 이동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제 1 오버헤드 레일은 대응하는 정밀 정방기 주위에 감기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실이 가득찬 보빈을 제공하기 위한 분기된 오버헤드레일과 실이 없는 보빈을 복귀하기 위한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이 각각의 제 1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분기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그래서, 분기된 레일이 오버헤드레일에 연결되는 모두 위치에는 스위칭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 장치의 스위칭 제어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조방기로부터의 실이 가득찬 보빈과 정밀 점방기로부터 실이 없는 보빈을 교환하기 위한 로딩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은 로딩 작동에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즉, 실이 없는 보빈을 복귀시키는 분기된 레일의 수와, 실이 가득찬 보빈을 제공하기 위한 분기된 레일의 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와, 어떠한 보빈 교환 작동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요구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일련의 보빈을 걸기위한 각각의 트롤리는 오버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모터를 가진다. 다시 말하면 종래 기술에서, 보다 많은 전기모터가 필요하게 되므로, 전체 시스템의 가격이 높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시스템의 작동장애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상기 결점에 비추어, 또한 종래 기술(미심사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 170536호)은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안하는데, 여기에서 트롤리는 소정의 피치로 정렬되고 서로 접촉된 디스크를 가진다. 실린더를 포함한 이송 장치는 디스크가 실린더 장치에 의하여 밀려지도록 작용을 하므로 피치에 대응하는 길이의 간헐적인 운동은 각 트롤리에 전기모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에서, 오버헤드 레일의 전체 길이를 따른 트롤리의 연속적인 정렬은 트롤리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다시 말하면, 부가의 트롤리가 정밀한 정방기의 단부에서 오버헤드 레일의 코너부 위에 위치되어야만 하고, 어떠한 크릴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보빈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보빈 교환 작동에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트롤리는 제거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레일 사이의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트롤리를 제거할 수 있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조방기를 가진 조방 작동영역(roving operation area)과 다수의 정방기를 가진 방적 작동 영역(fine spinning operation area) 사이에서 보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 컨베이어 시스템은,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다수의 보빈 캐리지와;
방적 작동 영역에서 보빈 캐리지를 운반하기 위한 제 1 오버헤드 수단과;
조방 작동 영역에서 보빈 캐리지를 운반하기 위한 제 2 오버헤드 수단과;
상기 제 1 오버헤드 수단으로부터 제 2 오버헤드 수단까지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연결하는 제 1 분기된 수단과;
상기 제 2 오버헤드 수단으로부터 제 1 오버헤드 수단까지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연결하는 제 2 분기된 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된 수단은 물론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따라 보빈 캐리지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버헤드 수단은 방적 작동 영역의 모든 정밀 정방기 주위에 감겨있는 단일의 폐쇄 루프를 구성하는 단일의 오버헤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오버헤드 수단은 조방 작동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조방기 주위에 정렬된 단일의 폐쇄 루프를 구성하는 단일의 오버헤드 레일과, 상기 대응 조방기를 따라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도핑(doffing) 레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오버헤드 수단은 방적 작동 영역의 모든 정밀 정방기 주위에 감겨있는 단일의 폐쇄 루프에서 단일의 오버헤드 레일에 의하여 구성되고, 제 2 오버헤드 수단은 조방 작동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조방기 주위에 정렬된 단일의 폐쇄 루프의 단일 오버헤드 레일과 대응하는 조방기를 따라 정렬된 적어도 하나의 도핑 레일에 의하여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단일의 분기된 레일은 제 1 레일로부터 제 2 레일로 보빈을 복귀하거나 제 2 레일로부터 제 1 레일로 보빈을 공급하는데에 충분하다. 그래서 분기된 레일의 수는 감소되고, 스위칭 장치의 수도 감소된다. 또한 스위칭 장치의 제어는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조방기의 도핑 레일은 제 2 오버헤드 레일에 연결된다. 그래서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는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 직접 이송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미심사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170536호)에 있는 로딩 스테이션을 제거한다. 게다가, 로딩 스테이션과 조방기 사이의 수동적인 보빈 로딩 작동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노동 효율이 증가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각 보빈 캐리지는 보빈 행거를 각각 가진 다수의 캐리지 부재와, 직렬로 캐리지 부재를 서로 유연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 캐리지 이동수단은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따라 정렬되고 이격된 다수의 공급기와, 상기 보빈 캐리지 하나의 길이보다 더 큰 인접한 공급기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공급기는 캐리지 부재와 접촉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운동을 적용하기 위한 회전 운동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공급기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보빈 캐리지는 오버헤드 레일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필요는 없고, 상기 보빈 캐리지의 전체수를 감소시키면서도 보빈 캐리지의 확실한 이송이 가능하다.
유익하게도,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된 수단 각각은 단일의 보빈 캐리지의 길이보다 더한 길이를 가진 오버헤드 레일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된 수단은 단위 길이당 보빈 캐리지의 저장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제 1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까지 보빈 캐리지를 복귀하거나 제 2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1 오버헤드 레일까지 공급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기 분기된 수단은 저장부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것은 보빈 캐리지의 복귀 또는 공급의 타이밍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므로, 바람직한 보빈 이송 동작을 실현시킬 수 있다.
유익하게도 상기 방적 작동 영역에 있는 정밀 정방기는 열(row)로서 정렬 되는 것이 양호하고, 상기 각각의 정밀 정방기는 보빈용 크릴(creel)과, 상기 크릴위의 대응 보빈으로부터 조방하기 위한 조방용 방적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오버헤드 수단의 오버헤드 레일은 정방기의 열 방향으로 정방기 주위에 교대로 감겨있는 루프 섹션을 가지므로, 제 1 오버헤드 레일의 루프 섹션(looped section)은 대응 정방기의 크릴에 의하여 지지되고, 보조 보빈 행거는 제 1 오버헤드 수단의 루프 섹션이 설치되지 않은 정방기에 제공된다. 임의(random) 보빈 교환 작동이 실행될 때, 상기 보빈 캐리지 위의 실이 가득찬 보빈은 보조 행거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보빈 캐리지의 도착을 기다릴 필요없이 보조행거 위에서 실이 가득찬 보빈으로 보빈 교환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보빈의 이동 휴율이 증가된다.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방적 공장인 제1도에서, 다수의(본 실시예에서는 13 개) 정밀 정방기(1A 내지 1M)를 포함하는 정밀 방적 영역(A)과, 다수의(본 실시예에서 2개) 조방기(2A 및 2B)를 포함하는 조방 영역(B)이 정렬되어 있으므로, 상기 영역(A 와 B)와 방적 공장에서 서로 인접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지된 각각의 정밀 정방기는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방적 섹션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이중열을 포함하고, 방적 섹션은 크릴(33) 위에 지지된 보빈으로부터 조사(粗絲)에 의하여 제공된 드래프팅 롤러 유닛(drafting roller unit; D)을 포함하므로, 조사(R)는 콥(cop)에 실뭉치를 만들기 위하여 콥위에 실(thread)을 감는 동안에, 조사를 드래프트(섬유 다발을 실의 형태로 만드는 것)하고 드래프트된 조사를 실로 꼬이게 하는 방적 작용을 받게된다. 잘 공지된 바와 같이, 크릴(33)은 직립 중앙기등(33-1)과 이 기둥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부재(33-2)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3-2)는 보빈 행거(34)를 갖는데, 상기 보빈행거(34)는 보빈행거의 2개 열이 직립 중앙 기등(33-1)의 양측면에 만들어지도록 정밀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정렬된다. 즉, 크릴(33) 위의 보빈 행거(34)로부터 나오는 조사는 정밀 정방기의 각 방적 섹션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사 보빈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은 정밀 정방기(1A 내지 1M)와 조방기 (2A 와 2B) 사이에 제공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시스템은 방적 영역(A)의 모든 정밀 정방기 위에 단일의 루프를 가진 제 1 오버헤드 레일(4)을 포함한다. 즉 제 1 오버헤드 레일(4)은 정방기의 길이에 평행한 한쌍의 직선부분(4-1a)과 대응하는 플라이러 프레임(flyer frame)의 단부 주위에 감기는 루프 부분(4-1b)으로서 각각 구성된 정밀 정방기 (1A, 1C, 1E, 1G, 1I, 1K 및 1M)주위에 감긴 루프 섹션(4-1)과, 정밀 정방기(1B, 1D, 1F, 1H, 1J 및 1L)의 단부를 지나가는 동안에 인접한 루프 섹션(4-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섹션(4-2) 및 제 1 루프 섹션과 마지막 루프 섹션을 연결하는 직선 섹션(4-3)으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밀 정방기(1A 내지 1M)의 모든 측면을 지나가는 오브헤드 레일의 단일 루프가 형성된다. 일련의 보빈 행거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보빈 캐리지(10)는 오버헤드 레일(4)을 따라 이동된다. 제1도에서, 실이 가득찬 보빈은 도면부호 11 로 지시되고, 검게 칠해지지 않은 큰 원으로 도시되며, 실이 없는 보빈은 도면부호 12 로 지시되고 검게 칠해진 작은 원으로 도시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루프 섹션(4-1)에 의하여 덮혀진 정밀 정방기(1A, 1C, 1E, 1G, 1I, 1K 및 1M)의 크릴(33)은 지지부재(33-2) 위의 위치에서 기둥(33-1)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부재(33-3)를 구비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수의 보조 보빈 행거(4')는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루프 섹션(4-1)에 의하여 덮혀지지 않은 정밀 정방기(1B, 1D, 1F, 1H, 1J)의 양 측면에 정렬된다. 보조 보빈행거(4')는 해당하는 정밀 정방기(1B, 1D, 1F, 1H, 및 1J)의 대응 지지부재(33-3)의 단부에 연결된 오버헤드 레일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폐쇄된 루프를 따라 보빈 캐리지가 이동할 때, 소위 임의 보빈 교환 작동이 실행된다. 즉, 작업자가 정밀 정방기의 어떠한 크릴(33) 위에서 실이 없는 보빈을 발견할 때마다, 상기 실이 없는 보빈은 인접한 보빈 캐리지(10)의 실이 가득찬 보빈으로 교환된다. 보빈 캐지리의 실이 가득찬 보빈의 실이 거의 대부분 소모되면, 보빈 캐리지(10)에 남아있는 실이 가득찬 보빈은 인접한 보조 보빈행거(4')로 이동된다. 그 결과, 보빈 캐리지(10)는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로 되고, 이것은 상기 보빈 캐리지(10)가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보조 보빈행거(4 )의 위치에서, 임의 보빈 교환작동이 보빈 캐리지(10)의 도착을 기다릴 필요없이 실행될 수 있다.
조방영역(B)에서, 2개의 조방기(2A,2B)를 둘러싸고 있는 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 2 오버헤드 레일(6)이 정렬된다. 도핑 레일(5)은 각각의 스위칭 장치(25)를 경유하여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부터 분기된다. 조방기 위의 위치에서, 도핑 레일(5)은 먼저 각 조방기의 전방부를 따라 연장되고, 그 다음 조방기의 각 단부 주위를 따라가며, 각 조방기의 후방부를 따라 연장한다. 제 2 오버헤드 레일로 부터의 비어있는 보빈 캐리지(10)가 도핑 레일(5)내로 도입되는 제 1 위치와, 제 2 오버헤드 레일(6)과 도핑 레일(5)이 연결되지 않으며, 제 2 오버헤드 레일(6)과 도핑 레일(5) 사이에 보빈 캐리지(10)가 이동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각 수위칭 장치(25)가 전환되므로, 제 2 오버헤드 레일(6) 위의 보빈 캐리지(10)가 폐쇄된 루프를 따라 이동된다. 각 조방기(2A,2B)는 자동 도핑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조방기에서 실이 가득찬 보빈 상태가 되면, 조방기는 정지되고 상기 도핑 시스템은 조방기의 보빈 홀더(도시않음)에서의 실이 가득찬 보빈을 보빈 캐리지(10)로부터 실이 없는 보빈으로 자동적으로 교환하도록 작동된다. 그다음, 조사를 얻으며 각 보빈에 조사를 감는 작동이 시작된다. 상기 도핑 동작시, 조방기에 있는 실이 가득찬 보빈은 대응 보빈휠로부터 나와서 상기 대응 도핑 레일(5)에 위치된 보빈 캐리지(10)의 보빈 행거내에 끼워진다.
제 1 오버헤드 레일(4)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6)까지 실이 없는 보빈을 갖는 보빈 캐리지(10)를 복귀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레일(7)과, 상기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부터 제 1 오버헤드 레일(4)까지 실이 가득찬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를 도입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레일(8)에 의하여, 제 1 오버헤드 레일(4)과 제 2 오버헤드 레일(6)이 서로 연결된다. 즉,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용 오버헤드 레일(7)은 도면부호 15 위치에서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직선 섹션(4-3)으로부터 분기되고, 도면부호 15' 위치에서 제 2 오버헤드 레일(6)에 연결된다. 실이 가득찬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용 오버헤드 레일(8)은 도면부호 20 위치에서 제 2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분기되고, 제 1 정밀 정방기(1A)의 입구에 근접한 위치에서 제 1 오버헤드 레일(4)에 연결된다. 오버헤드 레일(4, 5, 6, 7 및 8) 위에서, 보빈 캐리지(10)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는 반면에, 실이 가득찬 보빈(11)과 실이 없는 보빈은 상기 보빈 캐리지에 매달려 있다. 캐리지를 복귀하기 위한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은 단일 캐리지(10)의 길이(L)보다 더 긴 두 위치(15, 15')사이의 길이를 가지므로, 캐리어의 전체 길이는 레일(7)에 의하여 수용될 수 있다.
복귀용 오버헤드 레일(7)이 제 1 오버헤드 레일(4)로부터 분기되는 위치(15)에서, 제 1 오버헤드 레일(4)로부터 복귀용 오버헤드 레일(7)로 캐리지(10)의 운동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스위칭 장치(16)가 정렬된다. 스위칭 장치(16)의 구성은 예를 들면 미심사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615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잘 공지되어 있다. 즉, 캐리지(10)는 통상적으로 화살표(f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폐쇄 루프를 따라 이동된다. 그러나, 캐리지(10)의 실이 가득찬 보빈(11) 모두가 소모되어 실이 없는 보빈(12)으로 바꾸어지면, 상기 캐리지가 화살표(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오버헤드 레일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 장치(16)는 작동된다.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캐리지(10)의 운동방향으로 있는 위치(15)로부터 상류부 위치에 검출기(41,42)가 정렬된다. 즉, 검출기(41)는 캐리지(10)의 도입단부(leading end)의 도착을 감지한다. 검출기(42)는 캐리지(10)로부터 매달려서 검출기(41)에 의하여 감지된 보빈이 완전히 실이 없는지 또는 실로 채워져 있는지를 감지한다. 연속회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 유닛과 같은 제어회로(18)는 상기 센서(41,4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제 1 레일(4)의 폐쇄 루프에서 상기 캐리지가 재순환하는 동안,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수행되는 임의 보빈 교환 작동의 결과로서, 상기 보빈 캐리지(10)의 모든 보빈이 실이 없는 보빈(12)인 것으로 검출될 때에만 복귀 오버헤드 레일(7)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보빈 캐리지(10)의 운동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16)로 신호를 보내기 위한 논리회로 또는 프로그램을 상기 제어회로(18)가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단지 하나의 실이 가득찬 보빈이 보빈 캐리지(10)에 존재할지라도, 스위칭 장치(16)의 스위칭 작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제어회로(18)가 작동된다.
제1도에서, 실이 가득찬 보빈(11)으로 적재된 보빈 캐리지 복귀용 오버헤드 레일(8)은, 도면부호 20 의 위치에서 제 2 오버헤드 레일(5)로부터 분기되고 제 1 오버헤드 레일(4)에 연결되며 보빈 캐리지(10)의 전체 길이(L)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진 주 레일(8A)과, 상기 주 레일(8A)과 평행하며 보빈 캐리지(10)의 전체 길이(L)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진 보빈 캐리지 저장용 보존 레일(8B)로써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보빈 캐리지(10)는 오버헤드 레일(8)에 의하여 평행하게 지지된다. 물론 상기 보조 레일(8B)이 없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오버헤드 레일(6)이 보빈 공급용 오버헤드 레일(8)에 연결되는 위치(20)에서는, 스위칭 장치(21)가 정렬된다. 또한 주 레일(8A)과 보조 레일(8B)이 연결된 보빈 공급용 오버헤드 레일(8)의 위치에는 다른 스위칭 장치(22)가 정렬된다. 스위칭 장치(21)는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부터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8)로 보빈 캐리지(8)의 운동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칭 장치(22)는 주 레일(8A)과 보조 레일(8B)사이의 보빈 캐리지(10)의 도입을 스위칭하기 위한 것이다. 식별장치(19)는 상기 위치(20)에 근접한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위치에 정렬되어,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위치(20)이 도착된 보빈 캐리지 전방 단부의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11)인지 실이 없는 보빈(12)인지를 지시하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신호는 제어회로(18)로 입력된다. 도입용 보빈 캐리지(10)의 입구단부에서의 보빈이 실이 없는 보빈(12)인 것을 제어회로가 판정하면 스위칭 장치(12)의 작동도 금지되므로, 화살표(f3)로 도시된바와 같이 제 2 오버헤드 레일(6)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10)의 운동은 계속된다.
제어회로가 도입용 보빈 캐리지(10)의 입구 단부에서의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11)인 것을 판정하면, 스위칭 장치(21)가 작동되므로, 캐리지(10)는 보빈 공급용 오버헤드 레일(8)로 이동된다. 그다음,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이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레일(8A 또는 8B)내로 도입되도록 스위칭 장치(22)가 작동된다. 식별 장치(19)는 보빈 검출기(42)의 구성과 동일하며,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지금부터는 보빈의 구성이 설명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빈 캐리지(10)는 일련의 캐리지 유닛(30)을 포함하고, 각각의 캐리지 유닛은 캐리지 바(31)와 상기 캐리지 바(31)의 저부면 위에 장착된 다수의 보빈 행거(32)로 구성된다. 보빈 행거(32)의 구성은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다른 캐리지 바(31)에 인접한 캐리지 바(31)는 상기 인접한 캐리지 바(31)가 서로 피봇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31a)에 의하여 다른 캐리지 바(31)에 연결 된다. 캐리지 바(31)의 피봇가능한 연결에 의하여, 보빈 캐리지(10)가 유연하게 구성되고, 이것은 보빈 캐리지(10)가 오버헤드 레일(4, 5, 6, 7 및 8)의 굽혀진 부분위로 이동하도록 한다. 보빈 행거(32)의 피치 즉, 인접한 보빈 행거(32) 사이의 거리는 정밀 정방기의 크릴(33)의 보빈 행거(34)의 피치와 동일하다. 또한, 단일 보빈 캐리지(10)의 길이 즉, 단일 캐리지(10)의 캐리지 유닛(30)의 수는, 상기 단일 캐리지(10)의 보빈의 전체수가 조사 보빈의 전체수 즉 단일 조방기(2A 또는 2B)내에 있는 보빈 휠의 전체수와 동일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캐리지 바(31)는 이것의 단부에서 롤러 유닛을 포함하고, 각 롤러 유닛은 한쌍의 지지롤러(35)와 한쌍의 이격된 안내롤러(36)로 구성된다. 지지롤러(35)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선을 가지는 반면에, 안내롤러(36)는 캐리지(10)가 상기 레일(4, 5, 6, 7 및 8)을 따라 이동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선을 가진다. 즉 각각의 레일(4, 5, 6, 7 및 8)은 레일(4)을 참조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개방된 거의 C 자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그래서 레일은 한쌍의 수평 지지면(4A)을 형성하고, 수평 지지면 위에서 각 캐리지(10)의 캐리지 유닛 (30)의 캐리지 바(31)용 지지롤러(35)가 지지된다. 상기 레일(4)은 한쌍의 대면된 수직 안내면(4B)을 형성하고, 이 사이에서 각 캐리지(10)의 캐리지 유닛(30)의 캐리지 바(31)용 안내롤러(36)가 안내된다. 그 결과 캐리지(10)가 레일(4, 5, 6, 7, 및 8)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에, 캐리지(10)는 지지롤러(34)에 의해 지지되며 안내 롤러(36)에 의해 안내된다.
미심사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615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수의 공급기(60)는 단일의 보빈 캐리지(10)의 길이(L) 보다 더 짧은 피치로 레일(4, 5, 6, 7 및 8)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므로, 보빈 캐리지(10)는 제1도의 화살표(f1, f2, f3, 및 f4)로 도시된 하나의 방향으로 레일(4, 5, 6, 7 및 8)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화살표(f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핑 레일(5)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공급기(60)의 구성은 제 1 오버헤드 레일(4)에 제공된 것을 참조로 설명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61)은 볼트와 너트(61-1)에 의하여 오버헤드 레일(4)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브라켓(61)은 수평면에서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러그(61-2)를 형성한다. 스윙 암(swing arm : 62)은 이들의 단부에서 수직되게 연장된 각 핀(62-1)에 의하여 각각의 러그(61-2)에 연결되므로, 스윙 암(62)은 수평면에서 각 핀(62-1)의 축선에 대하여 피봇가능하게 된다. 수직되게 연장된 저널 박스(63)(제 5 도)는 스윙 암(62)에 연결되고, 디스크(64)는 이들의 축부(64-1)에서 각 저널 박스(6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모터(M)는 이들의 구동축(도시않음)에서 디스크(64: 구동 디스크)중의 하나의 축(64-1)에 연결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64)는 이들의 원주벽에서 캐리지 바(31)의 측면에 대면된다.
코일 스프링(65)은 각 핀(62-1)에 대향된 스윙 암(62)의 단부 사이에 정렬되므로, 상기 디스크(64)는 캐리지 바(31)의 대향 측면과 접촉되도록 가압된다. 그 결과, 구동 디스크(64)의 축에 적용된 회전운동은 디스크(64) 사이에 결합된 캐리지 바(31)가 레일(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그래서, 단일의 보빈 캐리지(10)는 이것의 길이(L)보다 조금 짧은 거리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공급기(60) 사이에서 레일(4, 5, 6 및 7)을 따라 다시 놓이거나 이동된다.
다음은 보빈 캐리지(10)가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하는 캐리지 검출기(41)와, 보빈 캐리지(10)로부터 매달린 실이 가득찬 보빈(11)과 실이 없는 보빈(12)을 감지하는 보빈 검출기(4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검출기(41)와 보빈 검출기(42)는 보빈 캐리지(10)의 운동 방향(화살표(f1))에서 스위칭 장치(16)로부터 상류부 위치에 정렬된다. 스위칭 장치(16)로부터 보빈 캐리지(10)의 길이보다 조금더 긴 거리에서 캐리지 검출기(41)가 정렬된 다음 보빈 검출기(42)가 정렬된다. 이것은 제3도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검출기(41)는 보빈 캐리지(10)의 캐리지 바(31)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 스위치(43)를 포함한다. 즉, 거의 C 자형 안내 브라켓(45)은 볼트(41-1)에 의하여 레일(4)에 연결된다. 안내 브라켓(45)은 측판(45A)과 상기측판(45A)으로부터 일체식으로 연장된 안내판(45B)을 구비한다. 제 2 브라켓(44)은 볼트(44-1)에 의하여 안내 브라켓(45)에 연결되므로, 제 2 브라켓은 안내 브라켓(45)의 측판(45A)에 대해 수직상에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근접 스위치(43)는 브라켓(44)의 저단부에 연결되므로, 스위치(43)의 검출부분은 캐리지 바(31)의 측면에 대면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안내판(45B)은 수평으로 연장되므로, 안내판(45B)은 스위치(43)에 대향된 표면에서 캐리지 바(31)와 접촉된다. 그 결과 레일(4)을 따라 이동중에, 캐리지 바(31)는 안내판(45B)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근접 스위치(43)와 캐리지 바(31) 사이의 바람직한 공간을 유지시킨다.
또한, 캐리지 검출기(41)와 비슷한 구성을 가진 캐리지 검출기가 오버헤드레일(5, 6 및 8)이 연결된 위치에 제공된다. 즉 제 2 오버헤드 레일(6)이 도핑 레일(5)에 연결되는 위치에서, 캐리지 검출기(41F, 41H; 41G, 41I)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슷한 방법으로 정렬된다. 제 1 오버헤드 레일(4)이 보빈 캐리지를 복귀하기 위한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에 연결되는 위치에는, 비슷한 캐리지 검출기(41C)가 정렬된다.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이 제 2 오버헤드 레일에 연결되는 위치에서는, 캐리지 검출기(41D, 41E)가 정렬된다. 마지막으로 주 레일(8A)과 보조 레일(8B)애 연결되는 위치에서는, 캐리지 검출기(41J, 41K)가 정렬된다.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캐리지 검출기(41)로부터 조금 상류부에 정렬된 보빈 검출기(42)는 한쌍의 스위치(46, 47)를 포함하고, 상기 각 스위치는 광전기 변환기로서 구성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48)은 상단부에서 볼트(48-1)에 의하여 레일(4)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48)은 보빈(실이 가득찬 보빈(11) 또는 실이 없는 보빈(12)의 중간 높이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하향으로 연장된 측판(48A)을 구비한다. 상기 측판(48A)의 저부에서, 일체화된 저부판(48B)은 실이 가득찬 보빈(11)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수평으로 연장된다. 광전 스위치(46, 47)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저부판(48B) 위에 장착된다. 제3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정 스위치(46, 47)가 정렬되어 있는데, 그들은 실이 없는 보빈(12)의 직경(D)보다 더 큰 거리(P)와, 실이 가득찬 보빈(11)의 직경(D') 뿐만 아니라 서로 인접한 실이 없는 보빈(12) 사이의 거리(L)보다 더 작은 실이 가득찬 보빈(11) 사이의 거리(L')에서 이격된다. 이것은 제7도를 참조하기 바란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조사의 보빈 이송 시스템의 작동이 설명된다. 도핑레일(5)에 위치한 보빈 캐리지(10)에 실이 가득찬 보빈이 조방기(2A)의 전방부에 있는 도핑 시스템에 의해 적재되어 있고, 캐리지 검출기(41J, 41K)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8)의 섹션(8A 또는 8B)중 하나는 비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한다. 상기 상태가 달성되었다고 판단되면, 실이 가득찬 보빈(11)이 적재되어 있고 적절한 공급기(60)에 의하여 이동되는 보빈 캐리지(10)는 검출기(41H 또는 41I)가 보빈 캐리지 (10)의 도입 단부의 도착을 검출할 때 상기 레일(5)에서 정지된다.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캐리지 검출기(41F 및 41G)가 보빈 캐리지가 없음을 검출하면, 상기 스위치(25)가 작동되어 보빈 캐리지(10)가 도핑 레일(5)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6)내로 도입되고 식별 장치(19)가 정렬된 위치로 향하여 이동된다. 식별 장치(19)에 의하여 보빈 캐리지(10)가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것으로 결정될 때, 보빈 캐리지(10)는 스위칭 장치(21 및 22)를 거쳐서 보빈 캐리지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은 공급용 오버헤드 레일(8)의 레일(8A 또는 8B)중 하나내로 도입되고, 보빈 검출기(41J 또는 41K)가 실이 가득찬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의 도입 단부를 검출할 때 정지된다.
상기 작동중, 오버헤드 레일(8)의 2 개의 레일(8A 및 8B)이 비어있지 않는 것을 검출할 때,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보빈 캐리지가 상기 레일(8A 및 8B)중 하나가 자유롭게 될 때까지 도핑 레일(5)에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 2 오버헤드 레일(6) 위의 캐리지 검출기(41F 또는 41G)가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 루프를 따라 순환되는 캐리지를 검출하면, 캐리지 검출기(41I)에 의하여 검출된 그대로 도핑 레일(5)에서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캐리지(10)가 정지되므로, 캐리지(10)가 제 2 오버헤드 레일(6) 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도핑 레일(5)에서부터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는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 경로를 따라 순환되는 보빈 캐리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13 개의 정밀 정방기(1A 내지 1M) 주위를 따라가는 제 1 오버헤드 레일(4)을 따라 보빈 캐리지(10)가 공급기(60)에 의하여 이동되므로, 보빈 캐리지(10)는 화살표(f1)로 도시된 폐쇄루프를 따라 재순환된다. 정밀 방적 영역(A)을 감시하는 작업자가 대응하는 방적기계에서 방적 작동으로 인하여 크릴(33) 위에서 실이비거나 거의 실이 없는 보빈이나 실이 조금 남아있는 보빈은 수동으로 꺼내어져서, 상기 작업자에 인접한 위치에 있고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폐쇄 루프를 따라 이동되는 보빈 캐리지(10)의 실이 가득찬 보빈으로 교환된다. 상기 꺼내어진 실이 없는 보빈은 보빈 캐리지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실행되는 보빈 교환 작동의 이러한 형태를 보통 임의 보빈 교환 작동 이라고 부른다. 보빈 캐리지(10)의 하나의 완전한 재순환이 제 1 오버헤드 레일의 폐쇄 루프를 따라 완성될 때마다, 보빈 캐리지에 걸려 있는 각각의 보빈은 캐리지 검출기(41)와 보빈 검출기(42)에 의하여 이것이 실이 가득찬 보빈(11)인지 또는 실이 없는 보빈(12) 인지를 검출하도록 검사를 받게 된다.
스위칭 장치(16)를 거쳐서 보빈 캐리지(10)가 제 1 오버헤드 레일(4)로부터 복귀 오버헤드 레일(7)까지 전환하는 일은 제 8A 도 내지 제 8E 도의 타이밍 차트를 참고로 설명된다. 보빈 캐리지(10)의 캐리지 바(31)의 도입 단부가 시간(t1)에서 검출기(41)의 근접 스위치(43)의 위치에 오게 될 때, 스위치(43)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ON)이 된다. 보빈 검출기(42)의 광전 스위치(46 및 47)는 이 스위치(46 및 47)가 보빈 캐리지(10) 위의 보빈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보빈 캐리지(10)의 운동시에 제8b도 및 제8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온(ON)이 된다. 비록 실이 가득찬 보빈이 단 하나라도 보빈 캐리지(10)에 위치해 있으면, 실이 가득찬 보빈의 직경(D')보다 더 작은 검출기(46 및 47)사이의 거리(P; 제 7도) 때문에 상기 2 개의 광전 검출기(46 및 47)는 각각 온(ON) 상태로 있게 되는 타이밍(t2)이 존재한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기(46 및 47)는 그들의 출력에서 앤드(AND) 게이트(100)에 연결되므로, 이 게이트(100)에는 타이밍(t2)에서 제8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이 가득찬 보빈 신호가 발생된다. 앤드 게이트(100)가 래치 회로로서의 플립플롭 회로(10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빈 캐리기 검출 신호가 제 8a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캐리지 검출기(43)에서 나오는 동안에는 앤드 게이트(100)에서 나오는 실이 가득한 보빈 신호는 지워지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실이 가득찬 보빈(11)이 비록 한개라도 보빈 캐리지에 남아있으면, 실이 가득찬 보빈은 검출한 신호가 제8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하도록 논리회로가 작동한다. 보빈 캐리지(10)가 검출위치를 떠나면, 보빈 캐리지 검출기(41)가 캐리지 바(31)로부터 이격되고, 이것이 근접 스위치(43)를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t3)에서 오프(OFF)로 되게 한다. 상기 경우, 단안정 회로(102)는 짧은 주기 동안에 켜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플립플롭(flip-flop; 101)의 온(ON)상태 때문에 앤드(AND) 게이트(103)는 오프(OFF)로 되므로, 제8e도에 도시된 아무런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지 않고 이것은 스위칭 장치(16)를 작동시켜서 제 1 오버헤드 레일(4)의 폐쇄 루프를 따라 상기 보빈 캐리지의 재순환 운동이 계속하도록 만든다.
다음,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도착된다. 보빈 캐리지 검출기(41)의 근접 스위치(43)는 타이밍(t1')에서 온(ON)으로 된다. 보빈 캐리지(10)의 모든 보빈이 비어 있기 때문에, 광전 스위치(46 및 47)는 개별적으로 온(ON)으로 되고 즉, 제 9b 도 및 제 9c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6 및 47)의 온(ON) 상태가 오버랩되는 어떠한 타이밍이 없다. 그 결과, 플립플롭(101)은 세트되지 않으므로, 제 9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이 가득찬 보빈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보빈 캐리지(10)가 검출상태로부터 떠나게 될 때, 근접 스위치(43)는 타이밍(t3')에서 오프(OFF)로 되고 단안정 회로(102)는 온(ON)으로 된다. 상기 경우에, 플립플롭(101)의 오프상태 때문에, 앤드 게이트(104)는 온으로 되므로, 제 9e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앤드 게이트(104)의 출력에서 스위칭 신호가 발생되고, 이것이 스위칭 장치(16)를 작동시켜서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제 1 오버헤드 레일(4)로부터 화살표(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로 이동된다. 동시에,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8)에서 기다리는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는 화살표(f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오버헤드 레일(4)을 향하여 움직이기 시작한다. 상기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내로 방출되는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이것의 후미단부에서 캐리지 검출기(41C)를 지나갈 때, 이것은 검출기(41C)의 상태가 온(ON)과 오프(OFF) 상태 사이에서 변경되도록 한다. 검출기(41C)의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의 변경은 스위칭 장치(16)를 이것의 평소 위치로 복귀시키며, 플립플롭(101)이 리세트되므로, 제10도의 논리회로는 다음 보빈 캐리지(10)의 도착을 위하여 리세트 된다. 한편,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 루프를 따라 캐리지 검출기(41E)가 보빈 캐리지를 검출하는 한,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내로 이동되는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는 검출기(41D)에 의하여 검출된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검출기(41E)가 오프로 될 때까지 검출기(41D)에 의한 보빈 캐리지의 정지는 계속되며, 이것은 보빈 캐리지가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된 루프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검출기(415)가 오프로 되면,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가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는 화살표(f3)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오버헤드 레일(6)을 따라 이동되어, 식별장치(19)의 위치에 도착된다. 식별장치(19)는 보빈 캐리어(10)의 도입단부에서 보빈이 비었는지를 결정한다.
캐리지의 도입단부에서 보빈이 실이 없는 보빈이라는 것 즉, 보빈 캐리지(10)가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것으로 판정되면 스위칭 장치(21)는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를 화살표(f3)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 루프를 따라 보낸다.
제 2 오버헤드 레일(6)을 따라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재순환 운동을 하는 동안에, 조방기(2A 및 2B)에서의 조방작업이 계속된다.
조방기(2A 또는 2B)에서의 하나의 조방 사이클이 완성될 때, 즉, 실이 없는 보빈을 조방기가 요청하면,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는 대응 도핑 레일(5)내로 도입된다. 조방기에서의 실이 가득찬 보빈은 도핑 레일(5)에서 보빈 캐리지(10)의 실이 없는 보빈과 교환된다.
접근 오버헤드 레일(7) 위에서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검출기(41D)에 의하여 검출될 때, 상기 검출기(41E)에 의하여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 루프를 따라 이동되는 보빈 캐리지(10)의 검출은 먼저 대응 공급기(60)가 정지되도록 한다. 접근 오버헤드 레일(7)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 보빈 캐리지(10)의 도입이 완료된 후에 공급기의 작동이 시작된다. 도핑 레일(5) 위의 보빈 캐리지(10)가 검출기(41H 또는 41I)에 의하여 검출될 때, 검출기(41F 또는41G)에 의하여 제 2 오버헤드 레일(6)의 폐쇄 루프를 따라 이동되는 보빈 캐리지(10)의 검출은 먼저 대응 공급기(60)가 정지되도록 한다. 도핑 레일(5)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 보빈 캐리지(10)의 도입이 완료된 후에 공급기의 작동이 시작된다.
정밀 방적 섹션(4-1a)의 보조 보빈 행거(4')는 제 1 오버헤드 레일(4)로부터 실이 가득찬 보빈을 작업자가 갖도록 하여 이들을 보조 보빈 행거(4') 위에 놓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작업자가 보빈 캐리지위에 남겨진 실이 가득찬 보빈이 수가 예를 들면 5개 이하와 같이 작다는 것을 발견할 때, 작업자는 보빈 캐리지(10)로 부터 실이 가득찬 보빈을 꺼내어서 이들을 인접한 보조 보빈 행거(4') 위에 얹는다. 그 결과, 상기 검출위치에서의 보빈의 도착은 검출기(41 및 42)로 하여금 보빈 캐리지가 비어있다는 것을 판단하도록 하므로, 보빈 캐리지의 운동을 상기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에 스위칭시킨다. 따라서, 보빈의 교환 효율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변경예에서, 보빈 캐리지(10)의 실이 가득찬 보빈수가 예를 들면 5와 같은 소정값보다 작을 때, 보빈 캐리지(10)가 정지하도록 하는 신호가 발생하여, 보빈 캐리지(10)의 실이 가득찬 보빈수가 5 보다 작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는 빛 또는 소리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제11a도 내지 제11g도는 보빈 캐리지에 남아있는 실이 가득찬 보빈의 수가 소정값(n)보다 더 크게 될 때 변경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즉, 제13도에는 미리세트된 카운터(104)가 있다.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캐리지(10)의 도입단부에서 캐리지 바 (31)가 스위치(43)에 대면할때 검출기(41)의 근접 스위치(43)는 온(ON)으로 된다. 스위치(46 및 47)가 보빈 캐리지(10)의 보빈에 대면한다는 사실 때문에, 보빈 캐리지(10) 운동시 보빈 검출기(42)의 광전 스위치(46 및 47)는 제11b도 및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온(ON)이된다. 실이 가득찬 보빈이 검출될때마다 즉, 2개의 스위치(46 및 47)가 온(ON)으로 될 때, 실이 가득찬 보빈 신호는 제1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드 게이트(100; 제 13도)로부터 발생된다.
보빈 캐리지의 가득찬 보빈의 수가 소정값(n)보다 작게되면, 미리 세트된 카운터(104)는 오프로 되므로, 상기 플립플롭(101; 정지 취소 회로)이 리세트되고, 정지 취소 신호가 제11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되지 않으며, 캐리지 정지 신호가 앤드 게이트(103)에 의해 발생되며, 근접 스위치(43)가 오프가 되면 따라서 단안정회로(102)가 온으로 된다. 그 결과, 스위칭 장치(16)의 작동 신호는 제11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다. 이런 경우에, 스위칭은 스위칭 장치(16)를 수동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작업자는 보빈 캐리지 위에 남아 있는 실이 가득찬 보빈을 실이 없는 보빈과 교환한다. 작업자가 재시동 버턴(도시않음)을 누름으로써, 공급기(60)의 작동이 시작되고, 스위칭 장치(16)를 작동하기 위한 전기 신호가 발생되어 이것은 화살표(f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된 오버헤드 레일(7)을 거쳐서 실이 없는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가 제 2 오버헤드 레일(6)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보빈 캐리지의 실이 가득찬 보빈의 수가 소정값(n)보게 크게 될 때, 카운터(104)는 온으로 되고, 즉, 상기 플립플롭(101)이 세트되므로, 정지 취소 신호는 제1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다. 한편 근접 스위치(43)가 오프로 될 때 즉, 단안정 회로(102)가 온으로 될 때, 앤드 게이트(103)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 12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앤드 게이트(103)는 어떠한 캐리지 정지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스위칭 장치(16)의 작동을 얻기 위한 신호는 제12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되지 않는다.
제14도는 보빈 검출기의 변경예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보빈 캐리지의 운동 방향에 횡 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검출판(46A 및 46B)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판(46A 및 46B)이 서로를 향하여 접근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스프링(49A 및 49B)이 제공되어 있으므로, 검출판은 가벼운 힘으로써 측방향으로 실이 가득찬 보빈에 접촉한다. 리미트 스위치(50)는 검출판(46A)과 협력하도록 정렬된 공급기(50-1)를 가진다. 검출판(46A 및 46B)은 넓은 단부를 가지므로, 실이 가득찬 보빈(11)의 운동은 검출판(46A 및 46B)이 스프링(49A 및 49B)의 힘에 대항하여 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리미트 스위치(50)가 온으로 되므로, 실이 가득찬 보빈(11)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와 반대로, 실이 없는 보빈(12)은 검출판(46A 및 46B)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지 않으므로, 리미트 스위치(50)가 온상태가 되지 않고 실이 없는 보빈을 검출하게 된다. 또한 조방기(2A 및 2B)가 서로 다른 종류의 조사를 만들 때, 오버헤드 레일의 주 레일(8A)이 조방기(8A)에 의해 발생된 조사용으로 배치되는 반면에, 오버헤드 레일의 보조 레일(8B)이 조방기(8B)에 의해 발생된 조사용으로 배치된다. 또한, 보빈 캐리지(10)는 실행되는 조사의 종류를 지시하는 각각의 인식마크를 가진다. 실이 없는 보빈(12)을 가진 보빈 캐리지(10)가 제 1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2 오버헤드 레일로 도입될 때, 복귀된 보빈 캐리지의 인식마크가 검출된다. 그다음, 동일한 종류의 조사를 갖는 실이 가득찬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가 상기 제 2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1 오버헤드 레일로 이송된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조방기(roving frame)를 가진 조방 방적 작동 영역(roving spinning operation area)과, 다수의 정밀 정방기(fine spinning frame)를 가진 정밀 방적 작동 영역(fine spinning operation area) 사이에서 보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다수의 보빈 캐리지와, 상기 정밀 방적 작동 영역에서 보빈 캐리지를 운반하기 위한 제 1 오버헤드 수단과, 상기 조방 방적 작동 영역에서 보빈 캐리지를 운반하기 위한 제 2 오버헤드 수단과, 상기 제 1 오버헤드 수단으로부터 제 2 오버헤드 수단까지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연결하는 제 1 분기된 수단과, 상기 제 2 오버헤드 수단으로부터 제 1 오버헤드 수단까지 보빈을 가진 보빈 캐리지를 이송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분기된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된 수단은 물론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따라 보빈 캐리지를 이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버헤드 수단은 정밀 방적 작동 영역의 정밀 정방기에 걸쳐 감긴 단일 폐쇄 루프를 구성하는 단일 오버헤드 레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오버헤드 수단은 조방 방적 작동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조방기 주위에 정열된 단일 폐쇄 루프를 구성하는 단일 오버헤드 레일과 상기 대응 조방기를 따라 정렬된 도핑 레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캐리지가 제 1 오버헤드 수단의 폐쇄 루프를 따라 재순환되는 제 1 상태와, 보빈 캐리지가 제 1 오버헤드 수단으로부터 제 1 분기된 수단내로 들어가는 제 2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또 제 1 오버헤드 수단과 제 1 분기된 수단 사이에 정렬되어 있는 스위칭 장치와, 제 1 오버헤드 수단의 폐쇄 루프에서 보빈 캐리지 운동 방향으로 상기 스위칭 장치로부터 상류부의 고정된 위치에 정렬된 보빈 캐리지에 실이 가득찬 보빈을 로딩시키는데 대한 필요성을 결정하는 결정수단 및 상기 실이 가득찬 보빈의 로딩의 필요성이 결정되면, 보빈 캐리지가 제 1 오버헤드 레일로부터 제 1 분기된 수단내로 도입되도록 하는 제 2 상태로 스위칭 장치가 전환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보빈 캐리지에 남아있는 실이 가득찬 보빈의 수를 계산하기 위한 카운터와, 보빈 캐리지에 남아있는 실이 가득찬 보빈의 수가 소정값으로 감소되는 것을 검출하면 스위칭 장치가 전환되도록 허용하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보빈 캐리지의 도입단부의 도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와, 보빈이 실이 가득찬 보빈인지 실이 없는 보빈인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이 가득찬 보빈 검출기는 실이 가득찬 보빈의 직경보다 더 작고 실이 없는 보빈의 직경보다 더 큰 거리에서 보빈 캐리지의 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광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검출기는 실이 가득찬 보빈의 직경보다 더 작고 실이 없는 보빈의 직경보다 더 큰 거리에서 보빈 캐리지의 운동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격된 한쌍의 스프링 장전판과, 상기 판중 하나에 연결된 전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보빈 캐리지는 보빈 행거를 제각기 구비한 다수의 캐리지 부재와, 상기 캐리지 부재를 서로 직렬로 유연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보빈 캐리지 이동수단은 제 1 및 제 2 오버헤드 수단을 따라 정렬된 다수의 이격된 공급기를 포함하고, 인접한 공급기 사이의 간극은 단일 보빈 캐리지의 길이보다 더 크며, 상기 각 공급기는 캐리지 부재와 접촉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가해지기 위한 회전운동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된 수단은 각각 단일 보빈 캐리지의 단일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오버헤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정밀 방적 작동에서 상기 정밀 정방기는 열(row)로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정밀 정방기는 보빈용 크릴과 상기 크릴위의 대응 보빈으로부터 조방하기 위한 방적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헤드 수단의 오버헤드 레일은 정밀 정방기의 열의 방향을 따라 교대로 정밀 정방기 주위에 감긴 루프 섹션들을 가지므로, 상기 오버헤드 레일의 루프 섹션은 대응하는 정밀 정방기의 크릴에 의하여 지지되며, 보조 보빈행거는 제 1 오버헤드 수단의 루프 섹션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정밀 정방기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19950011649A 1994-05-13 1995-05-12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KR0132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4407 1994-05-13
JP6124407A JPH07310245A (ja) 1994-05-13 1994-05-13 粗糸ボビン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62A KR950032762A (ko) 1995-12-22
KR0132622B1 true KR0132622B1 (ko) 1998-04-16

Family

ID=1488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1649A KR0132622B1 (ko) 1994-05-13 1995-05-12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24801A (ko)
JP (1) JPH07310245A (ko)
KR (1) KR0132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2154C2 (de) * 1997-09-24 2002-03-07 Zinser Textilmaschinen Gmbh Bestückungsüberwachung an einer Vorspinnmaschine
EP0911433B1 (de) * 1997-10-22 2002-06-05 Zinser Textilmaschinen GmbH Spinnverfahren mit Vorspinnmaschinen und mit Ringspinnmaschinen
DE19749024B4 (de) * 1997-11-06 2004-09-16 Saurer Gmbh & Co. Kg Spinnanlage mit Vorspinnmaschinen und mit Ringspinnmaschinen
US6520090B2 (en) 2001-04-24 2003-02-18 Stanley D. Hudson Overhead rail system including a U-bracket and an end stop
DE102004007394A1 (de) * 2004-02-16 2005-09-01 Wf Logistik Gmbh Spulenförder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Spulen zwischen einer Gruppe von Vorspinnmaschinen, insbesondere Flyern, und einer Gruppe von Feinspinnmaschinen, insbesondere Ringspinnmaschinen
US7572176B2 (en) * 2004-06-14 2009-08-11 Bettcher Industries, Inc. Overhead poultry conveying and counting system
CN210237886U (zh) * 2019-03-08 2020-04-03 武汉裕大华纺织服装集团有限公司 并条机快速供料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7105A1 (de) * 1972-06-03 1973-12-13 Zinser Textilmaschinen Gmbh Transport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spulen
CH555902A (de) * 1972-06-28 1974-11-15 Augsburger Kammgarn Spinnerei Vorrichtung zur beschickung einer ringspinnmaschine mit spulen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S6052475A (ja) * 1983-09-01 1985-03-25 Murata Mach Ltd ボビン搬送システム
JPS61178375A (ja) * 1985-01-31 1986-08-11 Murata Mach Ltd 精紡機の管理システム
JPS6262933A (ja) * 1985-09-11 1987-03-19 Howa Mach Ltd 粗糸搬送システム
DE3601832C2 (de) * 1986-01-22 1995-04-06 Zinser Textilmaschinen Gmbh Transportsystem für Vorgarnspulen an Spinnmaschinen
JPS63295730A (ja) * 1987-05-27 1988-12-02 Murao Boki Kk 粗糸ボビン搬送装置
JP2725007B2 (ja) * 1987-08-29 1998-03-09 豊和工業 株式会社 粗糸ボビン搬送装置
JP2534727B2 (ja) * 1987-09-12 1996-09-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粗糸搬送システム
ATE76121T1 (de) * 1987-10-14 1992-05-15 Rieter Ag Masch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von vorgarnspulen an einer textilmaschine.
JP2554606B2 (ja) * 1987-12-10 1996-11-13 豊和工業株式会社 粗糸ボビン搬送装置
DE3906718A1 (de) * 1989-03-03 1990-09-06 Palitex Project Co Gmbh Transport- und handhabungssystem fuer vielstellen-textilmaschinen insbesondere zwirnmaschinen
DE4213122A1 (de) * 1992-04-21 1993-10-28 Zinser Textilmaschinen Gmbh Hängewagen-Schienen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62A (ko) 1995-12-22
JPH07310245A (ja) 1995-11-28
US5724801A (en) 199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404A (en) Process control in the textile plant
US5276947A (en) Device for the transportion of cans between machines or devices treating or processing fiber slivers
US4601164A (en) Automat location system
CN1006989B (zh) 移动式维护装置维修纺织机的方法及装置
US4897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roving bobbins in a spinning factory
KR0132622B1 (ko) 조방기와 정밀 정방기 사이에서 보빈을 운반하기 위한 시스템
JP2641920B2 (ja) 繊維機械に対する粗糸ボビンの交換方法と装置
US4821504A (en)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carriage working machines
US497733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degree of filling of supply spools on a spinning or twisting frame
US5715669A (en) Bobbin transporting system for roving and spinning machines with apparatus to exchange bobbins of differing pitches
EP0392482B1 (en) Package conveying system
EP0434630B1 (en) A method for exchanging roving bobbins applied to a ring spinning frame
CN216235371U (zh) 一种加捻机上丝装置
US5522210A (en) Flyer frame
US5222856A (en) Can conveying system
EP0296298B1 (en)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cing motion of wagon type working machines
JP2725007B2 (ja) 粗糸ボビン搬送装置
JPH07310246A (ja) 粗糸ボビン搬送装置における転轍器の切換制御装置
JP2859727B2 (ja) 天井コンベアシステムを備えた紡績装置
ITMI941523A1 (it) Macchina tessile con dispositio trasportabile
JP3313800B2 (ja) 搬送レールの転轍器
JPH04153330A (ja) 精紡機の粗糸搬送方法
TW381128B (en) System to convey bobbins between roving frames and fine spinning frames
JPH09142645A (ja) 粗糸ボビン搬送装置
JP2652967B2 (ja) 精紡機における篠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