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244Y1 -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244Y1
KR0131244Y1 KR2019950048189U KR19950048189U KR0131244Y1 KR 0131244 Y1 KR0131244 Y1 KR 0131244Y1 KR 2019950048189 U KR2019950048189 U KR 2019950048189U KR 19950048189 U KR19950048189 U KR 19950048189U KR 0131244 Y1 KR0131244 Y1 KR 0131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ink
drive link
driven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8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745U (ko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8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244Y1/ko
Publication of KR970039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7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 개폐시 후드의 과잉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의 링크 형상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후드 레지에 고정되는 고정링크와 후드의 뒤쪽 저면에 고정되는 종동링크에 연결하는 제1 구동링크와 제2구동링크의 핀이음부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후드 개방시 상기 제1구동링크 상단과 제2구동링크 상단이 간섭되어 후드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운전자가 엔진룸내의 부품을 점검하고자 후드를 열 경우 후드가 어느 정도 열리다가 제1,2구동링크의 상단부가 맞닿게 되므로 후드의 회전은 제한되어 후드가 과잉으로 개방되어 프론트 윈드실쪽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구동링크를절곡부를 형성하기 전단계인 막대형의 구동링크를 완성품으로 제작하므로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고, 종동링크의 스토퍼를 제거하므로 금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며, 금형의 형상이 간단해져 그 내구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종동링크의 재료인 금속판재의 이용률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동링크에 일종의 돌기인 스토퍼 제거하였으므로 금속판재를 효율적으로 커팅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어 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에 있어서,
(a)는 힌지가 열렸을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힌지가 닫혔을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힌지가 닫혔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의 본 고안이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에 있어서,
(a)는 힌지가 열렸을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힌지가 닫혔을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
(c)는 힌지가 닫혔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후드 레지 12 : 고정링크
13 : 후드 14 : 종동링크
15 : 제1구동링크 16 : 제2구동링크
17 : 볼트체결구멍
본 고안은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 개폐시 후드의 과잉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의 링크 형상을 간단히 한 것이다.
후드는 엔진룸의 윗덮개로서 엔진과 각종 장치를 비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엔진룸내이 부품 정비시에는 후드를 개폐하여 엔진룸 내부를 살펴볼 수 있도록 후드의 뒤쪽 양측에 후드의 회진 지지점 역할을 하는힌지 어셈블 리가 설치하고, 들어올린 후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후드 스테이 로드를 라디에이터 서포트 어퍼멤버에 설치하여 후드 아래를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후드의 힌지구조는 제1도의 (a), (b), (c)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 레지(1)에 고정링크(2)가 체결되고, 후드(3)의 저면에는 종동링크(4)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링크(2)와 종동링크(4)은 제1구동링크(5)와 제2구동링크(6)를 판이음하여 연결되었다.
후느 개폐시에는 제1,2구동링크(5), (6)가 종동링크(4)에 핀이음된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할 때, 제1,2구동링크(5), (6) 상호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도록 제1,2구동링크(5), (6) 적소에 절곡부(7), (8)를 형성하였다.
후드(3) 개방시에는 후드(3)가 완전히 뒤로 넘어가 프론트 윈드 실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동링크(4)에 후드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9)를 형성하되, 종동링크(4)에 판이음되는 제1,2구동링크(5), (6)와의 사이에 형성하여 종동링크(4)의 회전시 상기 스토퍼(9)와 종동링크(4)의 전방에 핀이음된 제1구동링크(5) 상단부가 접촉되게함으로서 후드(3)의 회전각을 제한하였다.
미설명 부호(10)은 상기 고정링크(2)와 종동링크(4)를 상기 후르 레지(1)와 후드(3)에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크(2)와 종동링크(4)에 형성한 볼트 체결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후드 힌지 어셈블리는 제1,2구동링크(5,), (6)가 공시 제1,2구동링크(5), (6)의 절곡부(7), (8)를 형성하기 위해 프레스로 제1,2구동링크(5), (6)를 절곡하는 단계를 거쳐야만 했고, 종동링크(4)에 스토퍼(9)를 형성하기 이해서는 종동링크용 금형에 스토퍼를 형성할 홈을 따로 가공해주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5-876호에 소개된 또 다른 힌지구조는 절곡부가 없는 링크로 이루어지는 힌지구조를 제공하였으나, 링크의 구동각을 제한 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어 링크제작이 어렵고 작동소음을 동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절곡부를 제거한 구동링크와 스토퍼를 제거한 종동링크로 구성되는 후드의 힌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2도의 (a), (b),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후드 레지(11)에 고정링크(12)를 고정하고, 후드(13)의 뒤쪽 저면에 종동링크(14)를 고정한 후, 상기 고정링크(12)와 종동링크(14)는 제1,2구동링크(15) 및 제2구동링크(16)를 판이음하여 연결한다.
상기 후드(13) 개방시 후드(13)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종동링크(14)에 상기 제1구동링크(15)와 상기 제2구동링크(16) 상단부가 핀이음되는 지점을 조절하여 상기 제1구동링크(15) 상단과 제2구동링크(16) 상단이 간섭되도록 구성한다.
즉, 핀이음부 A, B, C, D의 각 점에서 고정링크(12)측 A와 B의 핀이음 길이 L1을 종동링크(14)의 핀이음부 C와 D의 길이 L2보다 길게 유지 시켜 제1,2구동링크(15), (16)가 동작할 때 종동링크(14)측 핀이음부 C와 D점에서 간섭이 생기도록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17)은 상기 고정링크(12)와 종동링크(14)를 상기 후드 레지와 (11)와 후드(13)에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크(12)와 종동링크(14)에 형성한 볼트 체결구멍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운전자가 엔진룸내의 부품을 점검하고 후드(13)를 열 경우 후드(13)가 어느 정도 열리다가 제1,2구동링크(15), (16)의 상단부가 서로 맞닿게 되므로 후드(13)의 회전은 제한되어 후드(13)가 과잉으로 개방되어 프론트 윈드실드쪽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제1,2구동링크(15), (16)의 회전 지점점이 되는 고정링크(12)와 종동링크(14)의 각 핀이음부 A, B, C, D의 각 점의 관계는 고정링크(12)측 A와 B의 핀이음 길이 L1을 종동링크(14)의 핀이음부 C와 D의 길이 L2보다 길게 설정되어 제1,2구동링크(15), (16)가 동작할 때 종동링크(14)측 핀이음부 C와 D점에서 간섭이 발생되어 별도의 스토퍼나 링크에 절곡부를 형성 시키지 않고도 후드의 과잉 열림을 제1,2구동링크(15), (16)의 동작 과정에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2구동링크(15), (16)의 각 핀이음부를 설정함으로써 힌지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구동링크를 절곡부를 형성하기 전단계인 막대형이 구동링크를 완성품으로 제작하므로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고, 종동링크의 스토퍼를 제거하므로 금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으며, 금형의 형상이 간단해져 그 내구성도 향상된다.
그리고 종동링크의 재료인 금속판재이 이용률 측면에서 살펴보면, 종동링크에 일종의 돌기인 스토퍼 제거하였으므로 금속판재를 효율적으로 커팅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어 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1. 후드레지에 고정되는 고정링크와 후드의 뒤쪽 저면에 고정되는 종동링크를 연결하는 제1구동링크와 제2구동링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구동링크의 위치에 따라 후드 열림각을 결정하는 후드힌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링크(15)와 제2구동링크(16)의 상부측 종동링크 핀이음부(C.D)간격을 하부 고정링크(12)측 핀이음부(A.B) 간격보다 좁게 유지 시키되, 그 간격(L2)은 상기 핀이음부(C.D)에서 각 구동링크(15)(16)가 직접 접촉되는 정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2구동링크(15), (16)가 접혀진 상태에서 어긋나지 않도록 평행하게 위치시켜 상기 상부측 종동링크 핀이음부(C.D)를 기점으로 제1,2구동링크가 접촉 간섭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드 힌지구조.
KR2019950048189U 1995-12-27 1995-12-27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KR0131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189U KR0131244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8189U KR0131244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45U KR970039745U (ko) 1997-07-29
KR0131244Y1 true KR0131244Y1 (ko) 1998-12-15

Family

ID=1943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8189U KR0131244Y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2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658A (ko) * 2000-10-19 2002-04-25 류정열 자동차의 본네트용 힌지
KR20030023094A (ko) * 2001-09-12 2003-03-19 지엠대우자동차기술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745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2499B1 (en) Movable cowl cover
US6964079B2 (en) Wiper arm
US6257043B1 (en) Modified flat hem apparatus and method
DE60203386T2 (de) Befestigung eines zubehörteils auf ein kraftfahrzeug
EP2114735A1 (de) Wischerantrieb
US5860186A (en) Lift-controlled windscreen wiper device
KR0131244Y1 (ko) 자동차 후드의 힌지 구조
US6196754B1 (en) Driv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especially for vehicle window panes
JPS6142654B2 (ko)
NZ299620A (en) Pivot connection for a wiper blade support arm: swinging away from screen pivoting connection
KR200143354Y1 (ko) 자동차의 2단링크형 본네트 힌지
US4286820A (en) Truck cover and door therefor
KR0123144Y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의 구조
JP2563424Y2 (ja) ブルドーザのエンジンフード・サイドカバー構造
JPH03132481A (ja) 車体構造
KR200406133Y1 (ko) 링크형 자동차용 트렁크 힌지
KR0117911Y1 (ko) 후드 힌지 브라켓트의 장착구조
JP4792179B2 (ja) 車両用ドア
JPH09502678A (ja) ワイパアーム
JPH0630608Y2 (ja) 自動車用開閉体のヒンジ取付構造
AU711890B2 (en) Improvements in drive arm assemblies for wiper blades
KR100422874B1 (ko) 자동차의 도어 상부 보강레일
KR100498875B1 (ko) 헤밍장치
JPS6316448Y2 (ko)
JPH05110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