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042Y1 -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042Y1
KR0131042Y1 KR2019960008537U KR19960008537U KR0131042Y1 KR 0131042 Y1 KR0131042 Y1 KR 0131042Y1 KR 2019960008537 U KR2019960008537 U KR 2019960008537U KR 19960008537 U KR19960008537 U KR 19960008537U KR 0131042 Y1 KR0131042 Y1 KR 0131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eam
trunk
vehicle
holder
re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8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192U (ko
Inventor
한동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8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042Y1/ko
Publication of KR970058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1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다단형태로 된 한쌍이 임팩트 빔 홀더를 용접하고, 원통형상의 임팩트 빔(Impact Beam),을 트렁크의 횡방향으로 임팩트 빔 홀더에 끼워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자동차의 정면충돌이나 급제동시 뒷좌석으로 쏠리게 되는 화물을 차단하기 위해 자동차의 실내와 구획되는 격판과, 스페어타이어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하부패널과, 상부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트렁크도어와,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면이 용접되고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와, 상기 임팩트 빔 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자동차의 후단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용접되며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와, 원통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고 상기 트렁크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는 개방된 양측 전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탄성을 위한 탄성공과, 상기 임팩트 빔이 삽입되는 내주면과, 상기 임팩트 빔의 이탈방지를 위한 만곡부가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의 정면충돌이나 급제동시 적재된 화물이 뒷좌석으로 쏠리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을 화물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 인한 뒷좌석의 파손과 승객의 신체에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트렁크의 뒷좌석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에 임팩트 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임팩트 빔 홀더와 임팩트 빔을 나타나는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에 임팩트 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50 : 트렁크
52 : 격판 54 : 개구부
56 : 트렁크도어 60 : 임팩트 빔 홀더
60a : 탄성공 60b : 내주면
60c : 만곡부 62 : 임팩트 빔
64 : 스페어타이어 66 : 안착부
68 : 하부패널 70 : 뒷좌석
72 : 등받이 74 : 좌판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에 다단형태로 된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를 용접하고, 원통형상의 임팩트 빔(Impact Beam)을 트렁크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임팩트 빔 홀더에 끼워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자동차의 정면충돌이나 급제동시 뒷좌석으로 쏠리게 되는 화물을 차단하기 위한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기능버튼과 계기판이 장착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과, 운전자 및 승객을 위한 좌석이 센터필라를 기점으로 앞좌석과 뒷좌석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자동차의 후단에는 각종 화물을 적제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트렁크가 형성된다.
한편,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이 자동차 트렁크의 뒷좌석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자동차(10)의 후단에 일정크기의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트렁크 도어(12)와, 스페어타이어(14)가 삽입되는 안착부(16)가 소정모양으로 절곡된 하부패널(18)과, 자동차의 구획되는 격판(22)으로 이루어진 트렁크(20)와, 자동차(10)의 실내 후방에 설치된 뒷좌석(30)과, 상기 트렁크(20)의 격판(22)에는 일정크기의 개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뒷좌석(30)은 등받이(32)와, 좌판(3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10)의 트렁크(20)와 뒷좌석(30)은 얇은 격판(22)에 의해 구획되고, 격판(22)상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렁크(20)에 적제된 화물이 자동차(10)의 정면출돌이나 급제동시 앞쪽으로 쏠리면서 격판(22)에 형성된 개구부(24)를 통하여 뒷좌석(30)의 등받이(32)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뒷좌석(30)의 등받이(32)가 밀리면서 승차한 승객을 밀게되어 신체에 충격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화물의 뾰족한 부위가 뒤샤 등받이(42)를 뚫고나와 신체에 상처를 입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트렁크 양측면 소정위치에 다단으로 된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를 설치하고, 트렁크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임팩트 빔을 끼워 고정하여 자동차의 정면충돌이나 급제동시 뒷좌석으로 쏠리는 화물을 차단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을 제공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와 구획되는 격판과, 스페어타이어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하부패널과, 상부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트렁크도어와, 양측면 소정 위치에 일면이 용접되고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와, 상기 임팩트 빔 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과, 상기 자동차의 후단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트렁크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용접되면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와, 원통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고, 상기 트렁크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상기 임팩트 빔 홀더는 개방된 양측 전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탄성을 위한 탄성공과, 상기 임팩트 빔이 삽입되는 내주면과, 상기 임팩트 빔의 이탈방지를 위한 만곡부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에 임팩트 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자동차(10)의 실내와 구획도는 격판(52)과, 스페어타이어(64)가 삽입되는 안착부(66)가 형성된 하부패널(68)과, 상부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트렁크도어(56)와,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면이 용접되고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60)와,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62)과, 상기 자동차(10)의 후단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트렁크(50)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렁크(50)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용접되며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60)와, 원통 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고 상기 트렁크(5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에 구에좌착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62)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는 개방된 양측 전면 소정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탄성을 위한 탄성공(60a)과, 상기 임팩트 빔(62)이 삽입되는 내주면(60b)과, 상기 임팩트 빔(62)의 이탈방지를 위한 만곡부(60c)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임팩트 빔과 임팩트 빔 홀더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서, 일부가 개방되고, 양측 전면 소정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탄성을 위한 탄성공(60a)과 만곡부(60c)가 형성된 임팩트 빔 홀더(60)와, 원통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의 내주면(60b)에 삽입되는 임팩트 빔(62)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에 임팩트 빔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로서, 자동차(10)의 실내 후방 소정위치에 등받이(72)와 좌판(74)으로 이루어진 뒷좌석(70)이 형성되며, 상기 자동차(10) 후방에 형성된 트렁크(50)의 하부패널(68)상에는 안착부(66)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68)에는 스페어타이어(64)가 삽입되며, 일부가 개방되고 탄성을 위한 탄성공(60a)이 형성되고, 상기 임팩트 빔(62)의 이탈방지를 위한 만곡부(60c)를 갖는 한쌍이 임팩트 빔 홀더(60)가 다단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가 다단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에 끼워져 화물이 뒷좌석(70)으로 쏠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임팩트 빔(62)이 상기 트렁크(5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10)의 트렁크(50)에 화물을 적재하기 전에 트렁크(50) 양측면에 결합된 한쌍이 임팩트 빔 홀더(60)에 임팩트 빔(62)을 위에서 아래로 힘을 가하게 되면 임팩트 빔 홀더(60)이 만곡부(60c)와 면접촉하게 되고, 계속해서 힘을 가하게 되면 임팩트 빔 홀더(60)의 탄성을 위한 탄성공(60a)이 수축되며, 임팩트 빔 홀더(60)의 내주면(60b)으로 임팩트 빔(62)이 끼워져 결합되고, 수축된 탄성공(60a)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임팩트 빔(62)이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렁크(50)에 화물을 적재하고, 뒷좌석(70)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로 주행중 정면충돌 또는 급제동하게 되면, 적재된 화물이 뒷좌석(70)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트렁크(50) 양측면에 다단형태로 결합된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60)에 끼워져 고정된 임팩트 빔(62)과 접촉하게 되어 뒷좌석(70)으로 쏠리던 화물이 멈추게 된다.
따러서, 화물이 뒷좌석(70)에 충격을 가하기 전에 임팩트 빔 홀더(60)에 끼워진 임팩트 빔(62)에 먼저 닿게되어 뒷좌석(70)에 탑승한 승객에는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고안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트렁크 양측면 소정위치에 한쌍을 이루며 다단형태로 설치된 임팩트 빔 홀더와 임팩트 빔에 의해 자동차의 정면충돌이나 급제동시 적재된 화물이 뒷좌석으로 쏠리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뒤에 탑승한 승객을 화물이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 인한 뒷좌석의 파손과 승객이 신체에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10)의 실내와 구획되는 격판(52)과, 스페어타이어(64)가 삽입되는 안착부(66)가 형성된 하부패널(68)과, 상부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트렁크도어(56),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면이 용접되고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60)와,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62)과, 상기 자동차(10)의 후단에는 일정한 크기가 공간을 갖는 트렁크(50)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50)의 양측면 소정위치에 일부가 개방되고 일면이 용접되며 다단형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임팩트 빔 홀더(60)와; 원통형상으로 소정길이를 갖고, 상기 트렁크(50)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임팩트 빔 홀더(60)에 끼워져 고정되는 임팩트 빔(6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 홀더(60)는 개방된 양측 전면 소정위치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탄성을 위한 탄성공(60c)과; 상기 임팩트 빔(62)이 삽입되는 내주면(60a)과; 상기 임팩트 빔(62)의 이탈방지를 위한 만곡부(60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KR2019960008537U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KR0131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537U KR0131042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8537U KR0131042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192U KR970058192U (ko) 1997-11-10
KR0131042Y1 true KR0131042Y1 (ko) 1998-12-15

Family

ID=1945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8537U KR0131042Y1 (ko) 1996-04-19 1996-04-19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0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90B1 (ko) * 2001-11-19 2004-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내 수하물의 실내침입 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192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594B1 (en) Placement structure for head-protecting air bag body
US6217061B1 (en) Airbag system within impact countermeasures
US4721333A (en) Arrangements for forming bumper structures of automobiles
US7240918B2 (en) Airbag with vent hole
KR0131042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 보호용 임팩트 빔
JPH061198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61027U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3279053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KR0138068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승객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KR100224480B1 (ko) 자동차 사이드 임팩트에 따른 도어프레임 보강구조
JP398964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937298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インサート部材
KR19980055682A (ko) 자동차용 전방도어의 변형억제구조
KR0126281Y1 (ko) 알루미늄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9980043202U (ko) 자동차용 도어의 장착구조
JPH058642A (ja) 自動車の後部構造
KR100310734B1 (ko) 자동차용 크로스멤버의 충격완충장치
KR100482073B1 (ko) 차량의 분리형 스페어타이어 보관장치
KR19990033814A (ko) 차량의 트림류 장착구조
KR20030092296A (ko) 차량용 스페어타이어의 밀림안내장치
KR20040022325A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JPH061035U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9980040730U (ko) 자동차의 침입 방지용 핀을 가지는 타이어 장착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