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68B1 - 탄구(彈球)유희기기 - Google Patents

탄구(彈球)유희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68B1
KR0130468B1 KR1019890012666A KR890012666A KR0130468B1 KR 0130468 B1 KR0130468 B1 KR 0130468B1 KR 1019890012666 A KR1019890012666 A KR 1019890012666A KR 890012666 A KR890012666 A KR 890012666A KR 0130468 B1 KR0130468 B1 KR 0130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granular
state
bow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007A (ko
Inventor
가즈오 오까다
Original Assignee
가즈오 오까다
가부시끼 가이샤 유니바아사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오 오까다, 가부시끼 가이샤 유니바아사루 filed Critical 가즈오 오까다
Publication of KR90000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58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0Dominoes or like games; Mah-Jongg games
    • A63F2009/205Mah-jong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탄구(彈球)유희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슬롯머신 유의기기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유희 보올 발사 장치와 발사 보올 센서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발사 보올과 원상 복귀 보올의 검출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가변 입상 구멍의1예 및 그의 구동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제6도 (a),(b)는, 본 발명의 가변 입상 장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유희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 회로부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롯머신 유희기기 2: 유희 원반면
3 : 못 4 : 타구 핸들
5L,5R,5C : 가변입상장치 6 : 입상 규제 부재
7 : 유희용 가변 표시장치(유희장치) 8L,8R : 가변 입상 장치
9 : 발사장치 10 : 플랜저
11 : 보올 쳐냄부 12 : 타구 안내부
13 : 돌기부 14 : 발사 보올 센서
15 : 발사 보올 통로 16 : 회수로
17 : 원상 복귀 보올 센서 18 : 가이드 레일
20 : 변동 입상 장치 21 : 개구부
22 : 구슬 받이부재 23 : 브라켓트
24 : 숫나사부 25 : 암나사부
26 : 돌기 27 : 필스 모우터
32 : 정면부 33L,33R : 작은 창
34 : 큰창 35L,35R : 표시기
36 : 리일 37 : 리일 구동부
41a,41b : 지지부 42a,42b : 가동편
43 : 커버부재 44 : 솔레노이드
45 : 브라켓트 46 : 플렌저
47,48 : 걸어맞춤판(원판) 49 : 코일 스프링
51 : 편심축 52 : 운동 전달부재
53a,53b : 돌기 54 : 돌출부
55a,55b : 전달봉 56a,56b : 구멍
57 : 돌출부 58 : 입상 보올 받이부
59 : 통(桶) 60a,60b : 돌출 편
61 : 발사 카운터 62 :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
63 : 난수 발생부 64 : 판정부
65 : 제어부 66 : 일반 입상 보올 센서
67 : 특정 입상 보올 센서 68,69 : 입상 보올 카운터
71,72 : 구동부 P : 유희 보올
P' : 원상 복귀 보올(되돌아온 유희 보올)
본 발명은, 슬롯머신기기 등의 탄구(彈球)유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사 장치로부터 유희 원반면상으로 쏘아올린 유희 보올(타구)를 검출하고, 그의 갯수에 따라 제어를 행하는 탄구 유희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예를들면 슬롯머신 유희 기기에서는, 타구가 입상 구멍에 입상하는 확률은, 유희 원반면 상에 배치되는 못의 위치나 방향, 굽힘 각도, 또는, 못 서로의 간격 등에 따라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슬롯머신 가게에서는 못의 조정이 중요한 작업인 동시에, 유희자로서는 구슬(玉)이 잘 나올 수 있도록 조정된 슬롯머신 기기를 찾는 것이 보다 많은 상품 보올을 획득할 수 있는 조건의 하나로 되고 있다.
그런데, 타구의 입상률을 결정하는 못의 방향이나 간격 등의 조정은 0.01mm의 단위에서 행하여지는 매우 미묘한 작업으로써, 숙련된 조정 기술을 가진 전문가를 필요로 하였다.
그래서, 슬롯머신 기기의 못 조정을 자동적으로 행함으로써 타구의 입상률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다음의 것이 제안되어있다.
① 입상 구멍의 윗쪽에 형성되는1쌍의 못의 벌어진 정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변화 시키도록 한 것(일본국 특허 출원공고 59-35633호).
② 각 입상부에 형성된 못의 위치 또는 기울어짐을 각 입상 구멍마다의 입상율에 따라서 바꾸도록 한 것(일본국 특허 출원공고 61-36949호).
한편, 못의 조절은 않고, 튜울립 등의 가변 입상 장치의 개구 시간을 설정 함으로써 입상률을 가변 제어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③ 슬롯머신 가게의 이익 치수가 일정한 범위로 설정되도록 입상 장치의 개구 시간을 제어하는 것(일본국 특허 출원공개 54-78233호).
④ 입상 보올을 검지하여 전자적으로 발생한 난수(亂數)에 기초하여 가변 입상 장치의 개구 시간을 지정하도록 한 것(일본국 특허 출원공고 61-47548호).
그러나, 상기 ① 및 ②의 못 조정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는, 미묘한 조정을 정밀도 좋게 행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조정 기구는 정밀하고 고가인 것으로 되고, 종래의 일손 대신하는 것으로서 채용하는 것은 실제상으로 곤란하다.
또한, 상기 ③ 및 ④와 같이 가변 입상 장치의 개구 시간을 설정한다 하여도, 못 조정과 동일하게 입상률을 정하여 미세하게 가변 설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미묘하게 조정된 종래의 슬롯머신 기기에 있어서는, 타구의 입상이 유희자의 기량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고, 프로라고 할 수 있는 특정의 숙련자가 아니면 구슬을 꺼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인을 대상을 하는 유희로서 평등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희자의 기량에 관계없이, 평등한 확률로 상품보올을 획득할 수 있는 동시에 못조정이 불필요한 탄구 유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희자의 조작에 따라서 발사 장치로부터 유희 원반면상으로 향하여 유희 보올을 발사하는 탄구 유희기기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소정갯수(예를들면 1개)의 유희 보올이 발사될때마다 출력하는 발사 보올 검출 수단과, 이 발사 보올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난수를 발생하고, 이 난수의 값에 따라 탄구 유희의 입상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상 제어의1예로서, 발사 장치로부터 발사된 유희 보올의 입상에 관하여 유희자에게 불리한 제1상태와 유희자에게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가능한 가변입상 장치를 가지는 탄구 유희기기에서는, 난수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 가변 입상 장치를 유희자에게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구동한다.
이 변환 구동은, 제2상태를 계속하는 경우 뿐만아니라,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서로 반복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변환 구동중의 가변 입상 장치에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하면 가변 입상 장치를 제1상태로 되돌려서 정지 시킨다.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회로 넘긴다.
즉, 다음의 변환 구동은 넘긴분을 더한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할 때까지 행한다.
다른예로서, 시동 구멍이라고 칭하는 특정의 입상 구멍에 발사 보올이 들어가면 다른 유희를 개시하는 다른 유희 장치를 구비한 탄구 유희기기에서는, 난수값이 소정의 값인 경우, 다른 유희가 특정한 결과 태양에서 종료하도록 다른 유희 장치를 제어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발사 보올의 검출에 따라 가변 입상 장치의 상태 변환이나 다른 유희의 결과 태양 결정 등의 입상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입상률은 소정수의 발사 보올에 대하여 미리정한 난수값의 출현하는 확률로 결정되기 때문에, 유희자에는, 입상 장치로의 입상이나 다른 유희에의 한 상품 획득의 기회가 평등하게 부여되는 한편, 유희자에 있어서는 종래의 못 조정없이 입상률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발사 장치로부터 발사된 다음에 유희 원반면상에 도달하지 않고 되돌아온 유희 보올을 검출하는 원상 복귀 보올 검출 수단이 형성되어, 제어 수단은 원상 복귀 보올의 검출수 만큼 난수 발생을 행하지 않는다.
이로써, 원상 복귀 보올을 제외하고, 실제로 유희 원반면상에 도달한 유희 보올에 따라서 난수를 발생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입상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태양에 의하면, 유희 원반면상에 유희 보올을 발사하는 발사 장치와, 이 발사 장치로부터의 발사된 유희 보올의 입상에 관하여, 유희자에 불리한 제1상태와 유희자에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가능한 가변 입상 장치와, 이 가변 입상 장치를 제1상태와 제2상태로 변환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탄구 유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로부터 발사된 유희 보올을 검출하는 발사 보올 검출 수단과, 이 발사 보올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 수단과, 이 난수 발생 수단에서 발생한 난수의 값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이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가변 입상 장치에 입상할때까지 상기 구동 수단에 가변 입상 장치의 변환 구동을 행하게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가변 입상 장치는 일반 입상 구멍과 특정 입상 구멍의 2종류로 나누어 유희 원반면상에 배치되고, 또한, 특정 입상 구멍에 유희 보올이 입상하였을 때, 다른 유희를 개시하는 다른 유희 장치와, 이 다른 유희 장치에 의한 다른 유희의 결과 태양에 따라서 유희자에 유리한 상태로 되는 변동 입상 장치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유희 원반면상에 발사된 유희 보올의 입상에 관하여 유희자에게 불리한 제1상태와 유희자에게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가능한 가변 입상 장치를 구비한 탄구 유희기기에 있어서, 적의 발생한 난수의 값에 의하여 가변 입상 장치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의 결정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 표시 신호를 발생 함과 동시에, 이 상태 표시 신호의 내용에 따라 가변 입상 장치의 상태 변환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실제의 탄구 유희에서는, 난수에 따른 결정(상태 표시 신호)과 그 결과(실제의 입상 갯수)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가변 입상 장치가 제2상태일 때 반드시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 한다고는 할 수 없고, 소정 갯수보다 적거나 많았거나 하는 일이 있다.
또한, 가변 입상 장치에는, 유희 보올이 전혀 입상하지 못한 상태를 제1상태로 하는 것과, 입상은 곤란하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은 상태를 제1상태로 한 것이며, 후자에서는, 가변 입상 장치가 제1상태이라도 유희 보올이 입상하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이 상태 표시 신호의 내용을 그때까지의 입상 상태에 따라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적당한 타이밍에서, 예를들면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발사될때마다, 난수 발생 수단이 난수를 발생하고, 판정 수단이 그의 값을 판정한다.
그 결과에 따라서, 제어 수단에 상태 표시 신호를 발생한다. 상태 표시 신호는, 제어 수단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CPU를 사용한 경우, 플래그라 칭하여지는 것이며, 예를들면, 가변 입상 장치를 유희자에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하였을 때 받어들이는 입상 보올의 갯구(입상 가능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난수가 가변 입상 장치를 제2상태로 설정 하도록 정한 값 또는 범위에 맞었을 때, CPU는 플래그 1 (입상 가능수가 1의 경우)을 발생함과 동시에, 1상태에 있는 가변 입상 장치를 제2상태로 변환 구동한다.
이 변환 구동은, 제2상태를 계속하는 경우만이 아니고, 제1상태와 제2상태를 서로 반복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변환 구동중의 가변 입상 장치에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하면, 가변 입상 장치를 다시 제1상태로 되돌아가게 한다. 입상 가능한 수를 나타낸 플래그가 서있을 때, 그 입상 가능한 수의 유희 보올이 가변 입상 장치에 입상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회로 넘긴다.
즉, 플래그의 내용이 가산되어 (예를들면 1부터 2로 되며), 다음의 제2상태로의 변환 구동은 넘긴분을 더한 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 할 때까지 행하여 진다.
한편, 입상 가능한 수를 나타낸 플래그가 세워져 있을 때, 그의 입상 가능한 수를 초과한 유희 보올이 가변 입상 장치에 입상한 경우에는, 다음에 제2상태로의 변환을 행할 때, 그때까지의 초과분을 공제한다.
즉, 플래그의 내용이 감산되어(예를들면 1에서 0로되며) 다음의, 제2상태로의 변환 구동은 초과분을 빼낸수의 유희 보올(0의 경우도 있다)이 입상할 때까지로 된다.
또한, 상태 표시 신호가 제1상태를 나타내고 있을 때 (입상 가능한 수를 나타낸 플래그가 서있지 않을 때), 가변 입상 장치에 유희 보올이 입상하여 버린 경우에는, 그때마다, 제2상태로의 변환을 상쇄한다.
즉, 플래그 값을 -1씩 감산하여 간다.
그리하여, 가변 입상 장치의 제2상태로의 변환을 미리 정한 난수값의 출현하는 확률로 결정함과 동시에, 실제의 입상 상황에 따라서 상태 표시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가변 입상 장치의 변환 구동이 확실하게 제어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슬롯머신 유희기기의 정면을 나타낸다.
전체를 (1)로써 나타낸 슬롯머신 유희기기의 유희 원반면(2)에는, 후술의 발사 장치로부터 유희 원반면(2)상으로 발사된 유희 보올의 입상에 관하여 유희자에 불리한 제1상태와 유희자에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되는 가변 입상 장치가 여러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가변 입상 장치는, 후술의 일반 입상 구멍과 특정 입상 구멍의 2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유희 원반면(2)위로 쳐낸 유희 보올을 가변 입상 장치의 상부로 유도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다수의 못(3)이 배치되어 있다.
정면의 우측 하부에는 타구 핸들(4)이 형성되고, 유희자가 이것을 조작함에따라, 유희 원반의 이 면에 부착한 발사 장치로부터 유희 보올이 발사되고, 유희 원반면(2)상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하도록 되어 있다.
유희 보올을 발사하는 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발사 장치(9)는, 전자력에 의하여 플랜저(10)를 돌출시켜서 유희 보올(P)을 튀어나오게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한 보올 쳐냄부(11)와, 그의 플랜저 돌출측에 형성된 타구 안내부(12)로써 이루어 진다.
타구 안내부(12)는, 유희 보올(P)을 보내기 때문에 앞끝단 부분을 잘라 버린 원통형상의 부재로써 형성되고, 그의 내부 바닥면에는, 플랜저(10)의 앞끝단에서 튕겨진 유희 보올(P)을 전방으로 안내하는1쌍의 평행한 돌기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발사 장치(9)로부터 유희 보올(P)가 1개 발사될때마다 그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발사 장치(9)의 전방에 발사 보올 센서(14)가 배치된다.
이 발사 보올 센서(14)는, 발사된 유희 보올(P)이 통과되는 구멍을 가지는 자기 센서로서 이루어지고, 그 출력은, 후술의 발사 보올 카운터(61)(제8도)로 보내진다.
발사 장치(9)로부터 발사된 유희 보올(P)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사 보올 통로(15)를 통과하여, 가이드 레일(18)을 따라 상승하여 유희 원반면(2)상으로 향하나, 유희 원반면(2)까지 도착하지 않고 발사장치(9)쪽으로 되돌아온 원상 복귀 보올(P')은, 회수로(16)로 낙하한다.
이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회수로(16)의 도중에 원상 복귀 보올 센서(17)가 배치된다.
이 원상 복귀 보올 센서(17)의 출력은 후술의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제 8 도)로 보내게 된다.
이로써, 유희 원반면(2)상에 도착하지 않고 발사 장치(9)쪽으로 되돌아온 유희 보올(원상 복귀 보올)은, 발사 보올로서 계수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발사 보올 센서(14)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난수를 발생하고, 이 난수값이 미리 정해진 수에 맞았을 때, 여러수의 가변 입상 장치를 유희자에 유리한 제2상태로 단속적 또는 계속적으로 변환 구동하고, 가변 입상 장치의 어느것에나 유희 보올이 입상하였을 때, 변환 구동을 정지하여 가변 입상 장치를 제1상태로 복귀시킨다.
그 사이, 가변 입상 장치에 소정 갯수보다 많고 또는 적은 유희 보올이 입상 하였을 경우는, 그 초과분 또는 부족분을 보정하는 상태 표시 신호(플래그)를 발생한다.
여러수의 가변 입상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는, 전부를 일제히 변환 구동하는 이외에, 각 입상 장치를 순차 1회씩 2개의 상태로 변환 구동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변환하는 입상 구멍이 순환하고, 표시의 재미있는 일이 있는 한편,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입상 하였을때에 변환 구동중의 가변 입상 장치가 정지하기 때문에, 여러수의 가변 입상 장치의 전부를 일제히 정지한 경우와 비교하여, 가변 입상 장치 전부의 변화가 작고, 시각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일반 입상 구멍은, 이것에 유희 보올이 들어가면 소정갯수 (예를들면 13개)의 상품 보올을 털어내는 것이며,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입상 구멍의 위에 위치하는 입상 규제 부재가 이동하기 때문에 유희 보올이 입상 되지 않는다(또는 입상하기 어렵다). 제1상태와 입상 가능한 제2상태로 변환되는 가변 입상 장치(5L),(5R),(5C)로서 이루어지고, 유희 원반면(2)의 좌우 및 중앙으로 배치된다. 각 가변입상 장치 (5L),(5R),(5C)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희 원반면(2)상으로 향하게 한 컵 형상의 개구부(21)에 유희 보올(P)을 1개씩 받아들여서 유희 원반면(2)의 뒤쪽으로 보내는 U자형의 단면의 구슬받이 부재(22)와, 그 위쪽에 위치하고 유희 원반면(2)을 관통하여 표면쪽으로 돌출하는 봉형상의 이동부재로서 이루어지는 입상 규제부재(6)를 포함한다.
입상 규제 부재(6)는 보올 나사로서 이루어진 구동수단에 의하여, 유희 원반면(2)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동된다.
이 가변 입상 장치의 앞면은, 입상 규제 부재(6)가 보이지 않도록 장식판으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수단은, 예를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유희 원반면(2)의 뒤쪽에 부착된 U자형의 브라켓트(23)에 보올 나사의 숫나사부(24)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시키어, 그 둘레에 나사맞춤하는 암나사부(25)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돌기(26)에 입상 규제부재(6)의 뒤끝단부를 끼워 맞춤하여 연결한다.
숫나사부(24)는, 펄스 모우터(27)의 축에 결합하여 있다.
따라서, 펄스 모우터(27)를 적당한 제어 장치로 구동하여 숫나사부(24)를 회전 시키면, 암나사부(25)가 숫나사부(24)를 따라 이동하고, 입상 규제부재(6)를 유희 원반면(2)에 대하여 수직으로 출몰 시킨다.
이때, 입상 규제부재(6)의 이동량은 숫나사부(24)의 회전 각으로 결정되고, 그의 회전각은 펄스 모우터(27)를 구동하는 펄스수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펄스 모우터(27)에 공급하는 구동 펄스수를 제어 함으로써, 유희 원반면(2)으로부터 돌출하는 입상규제부재(6)의 위치를 조절하고, 유희 보올(P)이 개구부(21)에 입상되지 않는 제1상태와 입상되는 제2상태로 변환할 수가 있다.
한편, 특정 입상 구멍은, 이것에 유희 보올이 들어가면 소정 갯수 (예를들면 7개)의 상품 보올을 털어냄과 동시에, 유희 원반면(2)의 중앙부에 배치한 가변 표시장치(7)에 의한 다른 유희를 개시시키는 시동 구멍이고,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좌우 1쌍의 가동편이 개폐하여 유희 보올이 입상 되지 않는 제1상태와 입상할 수 있는 제2상태로 변환 시키는 가변 입상 장치(튜울립)(8L) 및 (8R)로서 이루어지고, 유희 원반면(2)의 좌, 우에 배치된다. 각 가변 입상 장치(8L),(8R)는, 각각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우선, 유희 원반의 정면쪽에 1쌍의 가동편(42a),(42b)가 자유롭게 개폐되도록 배치되고, 그 아랫부는 커버 부재(43)로 덮혀진다.
이 가변 입상 장치는, 1쌍의 가동부재(42a),(42b)가 제6도(a)에 나타낸 것 같이 닫음으로써 유희 보올이 입상되지 않는 제1상태로 되고, 제6도(b)에 나타낸 것 같이 열음으로써 유희 보올이 입상되는 제2상태로 된다.
유희 원반의 뒤쪽에는, 솔레노이드(44)를 수납한 브라켓트(45)가 부착된다.
솔레노이드(44)의 상, 하로부터 나온 플랜저(46)의 상, 하 끝단에는 각각 원형의 걸어맞춤판(47) 및 (48)이 굳게 붙임되고, 위끝단의 원판(47)과 브라켓트(45)의 윗면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49)이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44)에 통전하여 여자하면 플랜저(46)의 아래 끝단부가 제 6 도(A)의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그후, 통전을 중지시켜 솔레노이드(44)를 소자하면, 코일 스프링(49)의 힘으로 플랜저(46)가 먼저 상태로 되돌아간다.
가변 입상 장치(8L) 및 (8R)은, 플랜저(46)의 이동을 이용하여1쌍의 가동편(42a),(42b)을 개폐시 키는 것이다.
1쌍의 가동편(42a),(42b)는, 각각 원기둥 형상의 기초부를 가지고, 각 기초부의 정면쪽에 형성된 편심축(51)에 의하여 커버부재(43)의 안쪽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각 가동편(42a),(42b)의 기초부와 솔레노이드(44)의 사이에는 플랜저(46)의 상, 하 왕복 운동을 가동편(42a),(42b)의 개폐운동으로 바꾸는 운동 전달부재(52)가 형성된다.
이 운동 전달부재(52)는, 직사각형판을 주체로 하고, 그의 좌,우 끝단면에 형성된 돌기(53a),(53b)를 지지점으로하여, 가변 입상 장치의 부착판(도시생략)의 좌,우 뒤쪽으로 뻗은 지지부(41a),(41b)에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된다.
운동 전달부재(52)는, 뒤쪽에 솔레노이드 하부의 원판(48)을 끼운 L자형의 돌출부(54)를 가지며, 정면쪽에는, 대응하는 가동편(42a),(42b)의 기초부로 향하여 뻗은 1쌍의 전달봉(55a),(55b)을 가진다.
각 전달봉(55a),(55b)의 앞끝단부는 가늘게 형성되고, 각 가동편(42a), (42b)의 기초부의 뒷면쪽에 형성된 구멍(56a),(56b)에 자유롭게 미끄러져 움직이게 삽입된다.
1쌍의 가동편(42a),(42b)의 기초부 사이에는, 양 가동편이 열릴때에 입상한 유희 보올을 받아 뒤쪽으로 향하게 하는 삼각형의 돌출부(57)를 구비한 입상 보올 받이부(58)가 배치되어, 그 아래의 뒤쪽으로 입상 보올 배출용의 통(59)이 형성된다.
입상 보올 받이부(58)는, 입상 보올을 받는외에, 1쌍의 가동편(42a),(42b)이 열렸을 때, 각 가동부재의 기초부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한 돌출편(60a),(60b)을 걸음으로서, 1쌍의 가동편(42a),(42b)을 제6도 (b)와 같이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변 입상 장치(8L),(8R)은, 각각의 솔레노이드(44)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6도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가동편(42a),(42b)을 닫고 있다.
여기에, 솔레노이드(44)에 통전하여 여자하면, 스프링(49)에 대항하여 플랜저(46)가 내려가고, 그의 아래끝단의 원판(48)을 개재하여 운동 전달부재(52)의 돌출부(54)를 밀어내린다.
그 때문에, 운동 전달부재(52)가 회동하고, 정면쪽의 전달봉(55a),(55b)를 들어올린다.
그 결과, 제6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가동편(42a),(42b)이 좌,우로 열리고, 각각의 아래부분 돌출편(60a),(60b)이 입상 보올받이부(58)에 맞은곳에서 정지한다.
이로써, 유희 보올이 입상 가능하게 되고, 입상 보올은 입상 보올 받이부(58)로부터 통(59)을 통과하여 입상보올 통로로 배출된다.
한편, 통전을 중지시켜 솔레노이드(44)를 소자하면 코일 스프링(49)의 힘으로 플랜저(46)가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플랜저(46)의 위쪽 이동에 따라, 운동 전달부재(52)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전달봉(55a),(55b)를 내린다.
그 결과, 1쌍의 가동편(42a),(42b)이 닫은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일반 입상 구멍으로서 제 4 도의 가변 입상 장치 (이동부재에 의한 입상 규제 방식)를 사용하고, 특정 입상 구멍 즉, 다른 유희의 시동 구멍으로서 제6도의 가변 입상 장치(개폐식)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과 반대로 양자를 바꾸어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1도의 유희 원반면(2)의 중앙에 형성된 다른 유희용 가변 표시 장치(7)와, 유희 원반면(2)의 하부에 형성된 변동 입상 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 표시 장치(7)는 유희 원반면(2)위에 부착되는 정면부(32)를 가지고, 이 정면부(32)의 상부에 좌,우 1쌍의 작은창(33L),(33R)이 형성되고, 하부에 큰창(34)이 형성되어 있다.
작은창(33L) 및 (33R)내에는, 숫자를 가변 표시하는 7 세그먼트 LED(발광 다이오드)로서 이루어진 표시기(35L),(35R)가 배치되어, 큰창(34)내에는 원통형상의 리일(36)의 둘레면의 일부가 나타나도록 배치된다.
리일(36)은, 수평으로 놓여진 그 중심축을 지지점으로하여, 펄스 모우터를 구동원으로 한는 리일 구동부(37)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리일(36)의 둘레면에는, 여러수(예를 들면 10개)의 그림 무늬를 인쇄한 시이트(도시생략)가 장착된다.
리일 구동부(37)는, 리일(36)의 회전을 정지 하였을 때, 그 둘레면에 감긴 시이트의 그림 무늬의 1개가 정면부(32)의 큰창(34)내로 들어가도록 리일(36)을 위치 결정한다.
한편, 변동 입상 장치(20)는 어택커라고 칭하는 것이며, 사다리꼴 형상의 정면판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의 정면쪽에 거의같은 형상의 문을 자유롭게 개폐하도록 부착하고, 그의 개구내에 입상 구멍을 가진다.
이 변동 입상 장치(20)의 문은, 정면판의 뒷면쪽에 부착한 솔레노이드를 동력원으로 하는 구동 기구에 의하여 개폐된다.
다음에, 실시예의 전기 회로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의 발사 보올 센서(14) 및 원상 복귀 센서(17)로부터 각각 검출 신호를 받는 발사 보올 카운터(61) 및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와, 양 카운터(61),(62)의 출력에 따라서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부(63)와, 발생한 난수의 값을 판정하는 판정부(64)와, 그이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여러수의 가변 입상 장치의 어느 것인가에 유희 보올이 입상할때까지 가변 입상 장치의 변환 구동을 행하도 록한 제어부(65)가 형성된다.
또한, 일반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 장치(5L),(5C),(5R) 및 특정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장치(8L),(8R)의 어느 것에 유희 보올이 들어갔을 때, 그것을 검출하는 입상 검출 수단으로서, 일반 입상 보올 센서(66) (3개) 및 특정 입상 보올 센서(67)(2개)가 형성된다.
각 입상 보올 센서는, 유희 보올이 통과하는 구멍을 가지는 자기 센서로서 이루어지고, 이 구멍을 각 가변 입상 장치에서 나온 유희 보올이 통과하였을때의 자계의 변화로부터 입상 보올을 검출한다.
물론, 자기 센서 이외의 센서(광센서, 마이크로 스위치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각 입상 보올 센서의 검출 신호는, 대응하는 입상 보올 카운터(68) 또는 (69)에 입력되고, 여기에서 입상 보올의 갯수가 카운트된다.
제8도의 회로에 있어서, 발사 보올 카운터(61)는, 발사 보올 센서(14)가 유희 보올(P)을 검출하면, 계수값이 1개 증가하고,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는, 원상 복귀 보올 센서(17)가 원상 복귀 보올(P')을 검출하면 계수값이 1개 증가한다. 난수 발생부(63)는, 발사 보올 카운터(61)가 1을 카운트 할 때마다 소정의 연산을 행하여 난수를 발생한다.
단,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의 계수값이 0인 것을 조건으로하여, 그 계수치가 1 이상이면, 난수를 발생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가 2인 경우에는, 그것이 카운트 한 시점에서 발사 보올 카운터(61)의 계수 출력은 2회 패스한다 (난수를 발생하지 않음).
그리고, 2회수분,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를 카운트 타운하여 0로 한다.
상기와 같이 난수 발생부(63)에서 발생한 난수의 값이 미리정한 수로 맞었을때는, 그것에 대응한 종류(일반 입상 구멍 또는 특정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 장치를 유희자에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구동하게되나, 그 확률은 입상 구멍의 종류에 의하여 미리 정하여 진다.
예를들면, 난수의 발생하는 범위를1내지 4096로 한 경우, 일반 입상 구멍에 대응하는 난수값의 범위를 1 내지 91로 하며, 일반 입상 구멍에 맞는 확률은 약 1/45로 되고, 특정 입상 구멍(시동 구멍)에 대응하는 난수값의 범위를 1001 내지 1273으로 하면, 특정 입상 구멍에 맞는 확률은 약 1/15로 된다.
판정부(64)는, 난수 발생부(63)에서 발생한 난수의 값이 상기와 같이 정한 범위로 들어가는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65)는, 판정부(64)에 의한 난수 판정의 결과, 소정값에 맞은 경우에는, 일반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 장치(5L),(5C)(5R)을 변환 구동하는 구동부(71), 또는 특정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 장치(8L),(8R)를 변환 구동하는 구동부(72)에 구동 신호를 보내고, 각각 소정 갯수의 가변 입상 장치가 단속적 또는 계속적으로 제2상태로 되도록 구동한다.
이 변환 구동중에 유희 보올이 가변 입상 장치에 입상하여 카운터(68) 또는 (69)가 출력하면, 가변 입상 장치를 유희자에게 불리한 제1상태로 되돌려 정지 시킨다.
또한, 제1도와 같이, 다른 유희 장치(7)와 변동 입상 장치(20)를 구비한 탄구 유희 기기의 경우, 유희 보올이 시동 구멍으로 입상함으로써 특정 입상 보올 카운터(69)가 소정값으로 도달하면(그 값이 1인 경우는 유희 보올이 입상하면), 제어부(65)는 다른 유희 장치(7)의 구동부로 신호를 보내어 다른 유희를 개시 시킨다. 동시에, 난수 발생부(63)가 난수를 발생하고, 그 난수값을 판정부(64)가 판정한다.
그 판정 결과에 의하여, 다른 유희의 결과 태양이 적중인 경우(그 확률은 가변 입상 장치의 경우와 동일하게 미리 정해진다) 다른 유희 장치(7)의 표시를 적중으로 정지 시킴과 동시에 변동 입상 장치(20)의 문을 일정 시간 열어놓는(유희자에 유리한 상태로 한다)신호를 출력한다.
적중 이외의 맞음이나 또는 빗맞음인 경우에는, 그것에 대응하여 다른 유희 장치(7)의 표시를 정지시켜, 맞은 경우는 소정 갯수의 상품 보올을 털어낸다.
이점은, 종래의 슬롯머신 유희기기와 동일하다.
상기의 발사 보올 카운터(61), 원상 복귀 보올 카운터(62), 난수 발생부(63), 판정부(64), 제어부(65), 입상 보올 카운터(66) 및 (67)은, 각각 공지의 전자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나, 마이크로 컴퓨터로서 이들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는, 소정수의 유희 보올이 발사 될 때마다 난수를 털고, 그 값이 추선에 맞었을 때, 즉 일반 입상 구멍 또는 특정 입상 구멍에 대응하는 범위로 들어갔을 때, 플래그(1)를 세운다. 실시예의 플래그는, 가변 입상 장치를 유희자에게 유리한 제2상태에 설정하였을 때에 받어들이는 입상 보올의 갯수(입상 가능수)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 신호인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미리 정한 플래그에 대응하는 일반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 장치(5L),(5C),(5R) 또는 특정 입상 구멍의 가변 입상 장치(8L),(8R)를 유희자에게 유리한 제2상태로 단속적 또는 계속적으로 변환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변환 구동하고 있는 가변 입상 장치의 어느 것인가에 유희 보올이 들어갔을 때 변환 구동을 정지 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상기 플래그(1)가 일어서도 유희 보올이 입상 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의 추선으로 생기는 플래그를 2로 하여, 유희 보올이 2개 입상할 때까지 가변 입상 장치의 변환 구동을 행한다.
그후, 입상이 없으면 플래그가 발생할 때마다 그 내용이 하나씩 증가하여 간다.
한편, 플래그 1이 세워져 있을 때, 유희 보올이 n (n≥2)개 입상하여 버린 경우에는, 플래그의 내용을 (1-n)로 하여, 그 다음의 추선에서 생기는 플래그 1과 상쇄한다.
예를들면, n-3의 경우에는, 다음의 플래그는 -2로 되고, 그 다음 플래그의 발생때마다 -1, 0으로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가변 입상 장치의 제1상태는, 유희 보올이 입상되지 않은 상태로 한정되지 않고, 유희 보올이 입상하기 어려운(입상은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곤란한)상태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가변 입상 장치가 제1상태이라도, 즉 상기의 플래그 1이 세워지지 않았을때에도, 유희 보올이 가변 입상 장치에 입상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입상은 입상 보올 센서(66) 또는(67)로 검출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는, 유희 보올의 입상 때마다, 일반 입상 구멍 또는 특정 입상 구멍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하나씩 증감하고, 그 후의 추선으로 생기는 플래그와 상쇄한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고, 가변 입상 장치의 제2상태로의 변환 회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실제의 입상 상황에 따라서 보정함으로써, 가변 입상 장치의 상태 변환을 소정의 확률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의 가변 입상 장치에 대한 유희 보올의 입상률은, 가변 입상 장치를 제2상태로 변환하는 난수값의 출현하는 확률을 바꿈으로써 임의로 설정된다.
다른 유희의 결과 태양의 확률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설정 가능하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롯머신 유희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보올기기나 작구(雀球) 유희기기 그외의 탄구 유희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발사 보올 검출수단, 제어수단, 가변 입상 장치 등의 구성이나 입상 제어의 구체적 태양도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탄구 유희기기는,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이 발생될때마다 미리 정한 확율에 따라 입상 제어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희 보올의 입상률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따라, 종래의 미묘한 못 조정이 불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유희자에게 평등하게 입상의 기회를 줄 수 있고, 유희자는 그 기량과 관계없이 탄구 유희를 즐길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유희자의 조작에 따라서 발사장치(9)로부터 유희 원반면(2)상으로 향하여 유희 보올(P)을 발사하는 탄구(彈球)유희기기에 있어서, 상기 발사장치(9)로부터 소정수의 유희 보올(P)이 발사될 때마다 출력하는 발사 보올 검출 수단(발사 보올 센서(14))과, 이 발사 보올 검출 수단(발사 보올 센서(14))으로부터 출력신호에 따라 난수를 발생하고, 이 난수의 값에 따라서 탄구 유희의 입상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제어부(6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구 유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발사 장치(9)로부터 발사된 다음 유희 원반면(2)상에 도달하지 않고 되돌아온 유희 보올(P')을 검출하는 원상 복귀 보올 검출 수단(원상 복귀 보올 센서(17))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제어부(65))은 원상 복귀 보올(P')의 검출수 만큼 난수 발생을 행하지 않도록한 탄구 유희기기.
  3. 유희 원반면(2)상에 유희 보올(P)을 발사하는 발사 장치(9)와, 이 발사장치(9)로부터 발사된 유희 보올(P)의 입상에 관하여 유희자에게 불리한 제1상태와 유희자에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가능한 가변 입상 장치와, 이 가변 입상장치를 제1상태와 제2상태로 변환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탄구 유희기기에 있어서, 상기 발사장치(9)로부터 발사된 유희 보올(P)을 검출하는 발사 보올 검출수단(발사 보올 센서(14))과, 이 발사 보올 검출수단(발사 보올 센서(14))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수단(난수 발생부(63))과, 이 난수 발생수단(난수 발생부(63))에서 발생한 난수의 값을 판정하는 판정수단(판정부(64))과 이 판정수단(판정부(64))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서 소정 갯수의 유희 보올(P)이 상기 가변 입상 장치 (5L),(5R),(5C),(8L),(8R)에 입상할 때까지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가변 입상장치 (5L),(5R),(5C),(8L),(8R)의 변환 구동을 행하게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구 유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가변 입상장치(5L),(5R),(5C),(8L),(8R)는 일반 입상 구멍과 특정 입상 구멍의 2종류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유희 원반면(2)상에는, 상기 특정 입상 구멍에 유희 보올(P)이 입상하였을 때 다른 유희를 개시하는 다른 유희 장치와, 이 다른 유희 장치에 의한 다른 유희의 결과 태양에 따라서 유희자에게 유리한 상태로되는 변동 입상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는 탄구 유희기기.
  5. 유희 원반면(2) 상으로 발사된 유희 보올(P)의 입상에 관하여 유희자에게 불리한 제1상태와 유희자에게 유리한 제2상태로 변환 가능한 가변 입상 장치를 구비한 탄구 유희기기에 있어서,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 발생 수단(난수 발생부(63))과, 이 난수 발생수단(난수 발생부(63))에서 발생한 난수의 값을 판정하는 판정수단(판정부(64))과 이 판정수단(판정부(64))의 판정 결과에 의하여 상기 가변 입상장치(5L),(5R),(5C),(8L),(8R)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 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이 상태 표시 신호의 내용에 따라 상기 가변 입상장치 (5L),(5R),(5C),(8L),(8R)의 상태 변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제어부(65))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제어부(65))과 상기 가변 입상장치(5L),(5R),(5C),(8L),(8R)에 대한 유희 보올(P)의 입상 상황에 따라서 상기 상태 표시 신호의 내용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구 유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태 표시 신호는 가변 표시 장치(7)를 제2상태로 변환하고 있을때에 받어들이는 입상 보올(P)의 갯수를 나타내고, 다음의 상태 표시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에 당해 갯수의 유희 보올(P)이 입상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음의 상태 표시 신호는 그때까지의 부족분을 더한 갯수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되는 탄구 유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태 표시 신호는 가변 표시 장치(7)를 제2상태로 변환할때에 받어들이는 입상 보올(P)의 갯수를 나타내고, 다음의 상태 표시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에 당해 갯수를 초과한 유희 보올(P)이 입상한 경우에는, 다음의 상태 표시 신호는 그때까지의 초과분을 빼낸 내용으로 되는 탄구 유희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제어부(65))은, 상기 상태 표시 신호가 제1상태를 나타내고 있을때에, 상기 가변 입상 장치(5L),(5R),(5C),(8L),(8R)에 유희 보올(P)이 입상하면, 입상때마다 그 다음의 제2상태로의 변환을 상쇄하는 상태 표시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있는 탄구 유희기기.
KR1019890012666A 1988-10-13 1989-09-01 탄구(彈球)유희기기 KR0130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8159 1988-10-13
JP63258159A JPH0630654B2 (ja) 1988-10-13 1988-10-13 弾球遊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07A KR900006007A (ko) 1990-05-07
KR0130468B1 true KR0130468B1 (ko) 1998-04-10

Family

ID=1731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666A KR0130468B1 (ko) 1988-10-13 1989-09-01 탄구(彈球)유희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04238A (ko)
EP (1) EP0363858B1 (ko)
JP (1) JPH0630654B2 (ko)
KR (1) KR0130468B1 (ko)
AU (1) AU633515B2 (ko)
DE (1) DE68907461T2 (ko)
MY (1) MY106971A (ko)
PH (1) PH263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2091A (ja) * 1989-03-06 1990-09-14 Sankyo Kk 弾球遊技機
JP2557104B2 (ja) * 1989-04-25 1996-11-27 ユニバーサル販売株式会社 弾球遊技機
IL105743A0 (en) * 1992-06-11 1993-09-22 Dov Shilkrut Penetrating tool system
US5292127C1 (en) 1992-10-02 2001-05-22 Arcade Planet Inc Arcade game
US7824252B1 (en) 1992-10-02 2010-11-02 Bally Gaming, Inc. Mechanical wheel indicator with sound effects
US7766329B1 (en) 1992-10-02 2010-08-03 Sierra Design Group Wheel indicator and ticket dispenser apparatus
US6000696A (en) 1992-10-22 1999-12-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Game machine and game parlor
JP3074078B2 (ja) * 1992-10-22 2000-08-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遊技機
US5421576A (en) 1992-10-31 1995-06-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Game machine
AU685536B2 (en) * 1993-12-24 1998-01-22 Universal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ing machine
US6851674B2 (en) * 1998-04-14 2005-02-08 Mikohn Gaming Corporation Pachinko stand-alone and bonusing game with displayed targets
US20060152480A1 (en) * 2005-01-13 2006-07-13 Eaton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er interface and method employing an input wheel disposed at about a 45 degree angle
CA2264341A1 (en) * 1998-04-14 1999-10-14 Mikohn Gaming Corporation Pachinko stand-alone and bonusing game
KR100544910B1 (ko) * 1998-09-16 2006-08-30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유기기(遊技機)의 제어장치
US6483484B1 (en) 1998-12-18 2002-11-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Goggle type display system
US7775870B2 (en) 2003-11-21 2010-08-17 Sierra Design Group Arcade game
US8025142B2 (en) * 2005-10-20 2011-09-27 Marel Meat Processing Inc.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food products to a loading head
US20070218969A1 (en) * 2006-03-14 2007-09-20 Aruze Corp. Gaming machine
US7823883B1 (en) 2008-02-29 2010-11-02 Bally Gaming Inc. Wheel indicator and ticket dispenser apparatus
US8496524B2 (en) 2010-06-22 2013-07-30 Ags, Llc Methods of enhanced interaction and play for community-based bonusing on gaming machines
US8795055B2 (en) 2010-09-07 2014-08-05 Olaf Vancura Slot-type game with nudge and bonus game features
CN103182181B (zh) * 2011-12-27 2016-06-08 京乐产业.株式会社 游戏机
CN103182182B (zh) * 2011-12-27 2016-01-06 京乐产业.株式会社 游戏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3111A (en) * 1964-12-29 1968-05-14 Eugene K. Lucas Pin-ball game apparatus
US3656754A (en) * 1970-06-08 1972-04-18 Heller & Co Walter E Random selection and registration apparatus
JPS52729A (en) * 1975-06-24 1977-01-06 Nippon Steel Corp Surface pressure setting up method of sliding nozzle
JPS5224740A (en) * 1975-08-19 1977-02-24 Toutsuu Eng Kk Apparatus of supervising pachinko (pinball game) machines
JPS5272646A (en) * 1975-12-09 1977-06-17 Daiichi Shokai:Kk Vertical-type game machine
JPS538230A (en) * 1976-07-08 1978-01-25 Daiichi Shokai:Kk Pinball macine
JPS5317439A (en) * 1976-08-02 1978-02-17 Daiichi Shokai:Kk Method of and for driving role members
JPS538231A (en) * 1977-05-14 1978-01-25 Daiichi Shokai:Kk Pinball machine
JPS5414834A (en) * 1977-07-05 1979-02-03 Sankyo Giken Kk Pachinko game machine with slot equipment
US4173338A (en) * 1977-10-12 1979-11-06 Barnett Robert L Game score apparatus
JPS5470639A (en) * 1977-11-17 1979-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Rotating disc type organism disposal device
US4508343A (en) * 1982-10-22 1985-04-02 Wico Corporation Pinball game with randomly operable drop targets
JPS59105180U (ja) * 1982-12-31 1984-07-14 任天堂株式会社 遊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3515B2 (en) 1993-02-04
KR900006007A (ko) 1990-05-07
EP0363858B1 (en) 1993-07-07
US5004238A (en) 1991-04-02
DE68907461T2 (de) 1993-10-21
DE68907461D1 (de) 1993-08-12
MY106971A (en) 1995-08-30
JPH02104379A (ja) 1990-04-17
EP0363858A2 (en) 1990-04-18
AU4264489A (en) 1990-04-26
JPH0630654B2 (ja) 1994-04-27
PH26371A (en) 1992-06-01
EP0363858A3 (en) 1991-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0468B1 (ko) 탄구(彈球)유희기기
KR0130469B1 (ko) 탄구(彈球)유희기기
JPH0144345B2 (ko)
JP2543594B2 (ja) 弾球遊技機
JPH0630655B2 (ja) 弾球遊技機
JP6745146B2 (ja) 遊技機
JPH0796058B2 (ja) 弾球遊技機
JP2784479B2 (ja) 弾球遊技機
JP2543592B2 (ja) 弾球遊技機
JP2802353B2 (ja) 弾球遊技機
JPH0630656B2 (ja) 弾球遊技機
JP2543593B2 (ja) 弾球遊技機
JP2802354B2 (ja) 弾球遊技機
JPH07185073A (ja) パチンコ機の打球発射装置
JPH02104380A (ja) 弾球遊技機
JP2543602B2 (ja) 弾球遊技機
JPH0214072B2 (ko)
JPH0615033A (ja) 弾球遊技機
KR100267387B1 (ko) 빠찡꼬기
JPH0310350B2 (ko)
JPH0450032B2 (ko)
JPH031887A (ja) 弾球遊技機
JPH0615034A (ja) 弾球遊技機
JPH01299576A (ja) 弾球遊技機
JPS6116760A (ja) パチンコ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