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385Y1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385Y1
KR0130385Y1 KR2019930030842U KR930030842U KR0130385Y1 KR 0130385 Y1 KR0130385 Y1 KR 0130385Y1 KR 2019930030842 U KR2019930030842 U KR 2019930030842U KR 930030842 U KR930030842 U KR 930030842U KR 0130385 Y1 KR0130385 Y1 KR 0130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rm
plate
bas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546U (ko
Inventor
이판석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30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385Y1/ko
Publication of KR950019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plates providing a raised structure, e.g. of the doghouse type, for connection with the clamps or clips of the other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서로다른 직경의 결착공을 가지는 판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2중의 조임구조를 갖는 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판재를 지지하는 제1 베이스와, 이 제1 결합부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과, 상기 제1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구성되는 제1 결합부와; 그리고 제2 판재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부와, 이 제2결합부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과, 상기 제2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결합력 제공암와 지지암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베이스부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베이스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각각 제1 및 제2 베이스부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기둥과 제2 연결기둥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연결부의 제2 결합력 제공암과 제2 지지암은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상단과 일체로 형성 연장되어 제2 베이스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다른 크기의 결착공을 가지는 두 개의 판부재를 결합하기위한 클립에 관한 것.

Description

클립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두 개의 판부재를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클립이 판넬에 마운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결합부 2 : 제2결합부
11 : 제2베이스부 21 : 제2베이스부
13 : 제1결합력 제공암 23 : 제2결합력제공암
[산업상 이용분야]
구멍을 가지는 지지 판부재를 또다른 구멍이난 판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결착공의 직경이 서로 다른 각각의 판부재를 조일 수 있는 2중 조임구조를 갖고 있어 결합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한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다수의 부품을 구성하고 있는 차량이나, 그에 준하는 장치에는 각 기구 및 기계장치의 부속물을 조립하기 위한 신속한 고정수단으로서 클립을 사용하고 있다.
즉 두 개의 판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용도의 클립은 작업의 용이성 및 클립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그 형상이 결정되어짐이 보통이다.
특히 모든제품이 대량 생산화되어 가는 최근의 추세에서, 클립이 갖추어야할 조건으로는 대략 다음의 두가지를 들 수 있다. 즉, 첫째, 클립의 결합성이 양호하여 주위의 영향을 받더라도 판부제들에 흔들림이나 진동이 생기지 말아야 할 것; 둘째, 결합하고자 하는 판부재들에 클립을 끼워넣을 때 작업성이 용이해야 할 것 등이다.
제3또는 통상의 클립이 두 개의 판부제를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대략 V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부여부(31)와, 상기 탄성부여부(31)로부터 연장되어 제1판부재(37)와 제2판부재(39)가 그 사이에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력 제공부(33)와, 그리고 상기 결합력 제공부(33)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부(35)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은, 결합력 제공부(33)가 한곳으로 이루어져 있어 일정한 직경의 결착공을 가진 판 부재만을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각각 직경이 서로 다른 결착공을 가지는 판부재의 결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손잡이부 자체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작업중 클립이 손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판부재상에 돌기등이 형성되어 있어, 불가피하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결합하고자 하여도 한곳에만 형성된 결합력 제공부로 인하여 이렇게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판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다른 직경의 결착공을 가지는 판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2중의 조임구조를 갖는 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판재를 지지하는 제1베이스부와, 이 제1결합부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과, 상기 제1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구성되는 제1 결합부와; 그리고 제2판재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부와, 이 제2 결합부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과, 상기 제2 베이스부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으로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결합력 제공암와 지지암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제2 베이스부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베이스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각각 제1 및 제2 베이스부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기둥과 제2 연결기둥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연결부의 제2 결합력 제공암과 제2 지지암은 상기 제2 연결기둥의 상단과 일체로 형성 연장되어 제2 베이스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다른 크기의 결착공을 가지는 두 개의 판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클립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로서, 클립은 크게 나누어 제1 결합부(1)와 제2 결합부(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는, 판제를 지지하는 제1 베이스부(11)와, 이 제1 결합부(1)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13)과, 상기 제1 베이스부(11)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부는, 역시 또다른 판제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부(21)와, 이 제2 결합부(2)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23)과, 상기 제2 베이스부(21)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의 결합력 제공암(13)와 지지암(15)은 상기 제2 결합부(2)의 제2 베이스부(21)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베이스(11)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암(15)과 베이스부(11)와의 사이 간격은 결합하고자 하는 판재의 두께보다 적도록 하여 그들 사이에서 판재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11) 및 결합력 제공암(13) 그리고 지지암(15)은 자체 탄성력을 가질수 있도록 고무등의 탄성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력 제공암(13)(23)과 지지암(15)(25)을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두 개씩 형성하였으나, 보다 나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그 이상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와 제2 결합부(2)는 각각 제1 및 제2 베이스부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기둥(17)과 제2 연결기둥(27)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2)의 제2 결합력 제공암(23)과 제2 지지암(25)은 상기 제2 연결기둥(27)의 상단과 일체로 연장되어 제2 베이스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역시 바람직하게, 상기 제2결합력 제공암(23)과 제2 베이스부(21)와의 사이 간격은 결합하고자 하는 판제의 두께보다 작은것이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는데 바람직하며, 역시 보다 나은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의 결합 상태를 제2도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하는 바와같이, 일정한 직경을 갖는 결착홈(10)이 형성된 제1 판부재(19)를 우선 제1 결합부(1)의 제1 지지암(15)과 제1 베이스부(11)사이에 개재시키게 되면, 제1 결합력 제공암(13)이 상기 홈(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착력을 작용하여 결합력을 제공하면서, 판부재는 상기 제1 지지암(15)과 제1 베이스부(11)에서 가해지는 압착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또다른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결착홈(20)이 형성된 제2 판부재(29)를 제2결합부의 제2 지지암(25)과 제2 베이스부(21) 사이에 개재시키게 되면, 제2 결합력 제공암(13)이 상기 홈(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착력이 작용하여 결합력을 제공하면서, 판부재(20)는 상기 제2 지지암(25)과 제1 베이스부(21)에서 가해지는 압착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은 2중의 결합부를 제공하여 결착공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판재뿐만 아니라 부득이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야할 판제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4)

  1. 제1 판재를 지지하는 제1 베이스부(11)와, 이 제1 결합부(1)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13)과, 상기 제1 베이스부(11)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15)으로 구성되는 제1 결합부(1)와; 그리고 제2 판재를 지지하는 제2 베이스부(21)와, 이 제2 결합부(2)에 결합력을 제공하는 결합력 제공암(23)과, 상기 제2 베이스부(21)와의 사이에 판재를 두고 탄압 지지하는 지지암(25)으로 구성되는 제2 결합부(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1)의 결합력 제공암(13)와 지지암(15)은 상기 제2 결합부(2)의 제2 베이스부(21)의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베이스(11)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결합부(1)와 제2 결합부(2)는 각각 제1 및 제2 베이스부의 중심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기둥(17)과 제2 연결기둥(27)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연결부(2)의 제2 결합력 제공암(23)과 제2 지지암(25)은 상기 제2 연결기둥(27)의 상단과 일체로 형성 연장되어 제2 베이스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다른 크기의 결착공을 가지는 두 개의 판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력 제공암(13)(23)과 지지암(15)(25)이 각각 적어도 두 개이상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15)과 베이스부(11)와의 사이 간격은 결합하고자 하는 판제의 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1)(2) 및 결합력 제공암(13)(23) 그리고 지지암(15)(25)은 자체 탄성력을 가질수 있도록 고무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KR2019930030842U 1993-12-30 1993-12-30 클립 KR0130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842U KR0130385Y1 (ko) 1993-12-30 1993-12-30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842U KR0130385Y1 (ko) 1993-12-30 1993-12-30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46U KR950019546U (ko) 1995-07-24
KR0130385Y1 true KR0130385Y1 (ko) 1999-03-30

Family

ID=1937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842U KR0130385Y1 (ko) 1993-12-30 1993-12-30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3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46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775B2 (en) Fastener for pipe or the like
US4575060A (en) Fixing appliance
KR0130385Y1 (ko) 클립
JPH06862Y2 (ja) スペ−サ
JP3670035B2 (ja) 配管用クランプ
JP3615851B2 (ja) 遮音板
JPS6018611A (ja) 固定具
JPH0550789U (ja) 板材の取付構造
JP3034466B2 (ja) 物干竿等の支持装置
CN114609817B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JP2606412Y2 (ja) クリップ
JPS645169Y2 (ko)
JP2563871B2 (ja) テレビアンテナ支柱固定金具
KR100424018B1 (ko) 차량 도어의 그립 핸들의 비틀림 방지 마운트
JPH0318728Y2 (ko)
KR0131860Y1 (ko) 호스위치 고정용클립 구조
JPH0535499Y2 (ko)
KR200147386Y1 (ko) 트림 고정용 브라켓트
JPH0537502Y2 (ko)
JPH0211827Y2 (ko)
JPH063718Y2 (ja) ワイヤ−ハ−ネス用クランプ
JPH0635193Y2 (ja) 時計のガラス押え構造
JPH1051U (ja) 自動車用av機器の取付構造
KR200223069Y1 (ko) 자동차의 그로멧 일체형 클립구조
KR200151146Y1 (ko) 버스용 실링파이프의 상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