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044B1 -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044B1
KR0130044B1 KR1019930018991A KR930018991A KR0130044B1 KR 0130044 B1 KR0130044 B1 KR 0130044B1 KR 1019930018991 A KR1019930018991 A KR 1019930018991A KR 930018991 A KR930018991 A KR 930018991A KR 0130044 B1 KR0130044 B1 KR 013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eveloping roller
photosensitive drum
fitted
process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630A (ko
Inventor
시게오 미야베
히로오 고바야시
가즈오 시시도
고지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4000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03G15/0928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relating to the shell, e.g. structure,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현상제를 담는 중공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의 단부 안에 끼워 맞춤된 플랜지가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직경은 상기 실린더의 내경 보다 크다. 상기 플랜지는 압입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실린더 안에 장착되며, 끼워 맞춤부를 안내하기 위하여 끼워 맞춤부의 단부에 상기 실린더의 내경 보다 작은 안내부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현상 롤러 및 감광 드럼의 외주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현상 슬리브와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를 도시한 도면.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종래 장치의 현상 롤러 및 감광 드럼의 외주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현상 슬리브 및 플랜지의 장착부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2, 101 : 감광 드럼
3 : 대전기 4 : 현상 장치
5 : 클리너 6 : 스캐너 장치
7 : 거울 8 : 급지 카세트
9 : 급지 롤러 10 : 래지스트 롤러
11 : 전사 대전기 12 : 컨베이어 벨트 장치
13 : 정착 장치 14 : 카트리지 용지
15 : 현상 롤러 17 : 현상제 용기
18 : 덮개 부재 19 : 밀봉 장치
20 : 소거 블레으드 21 : 토너 용기
22 : 셔터 23 : 기어 플랜지
25,105 : 자석 롤로 26, 106 : 자석 홀더
27 : 플랜지 27b : 안내부
28 : 베어링 29, 109 : 스페이서 롤
30 : 스프링 102 : 감광 드럼 기어
103 : 현상 슬리브 104 : 현상 롤러 플랜지
107 : 현상 롤러 베어링 108 : 현상 롤러 기어
111 : 접착제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복사기 또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 드럼 및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현상 슬리브와 자석 롤러를 포함하는 현상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현상 롤러의 외주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7도에서 도면 부호 101은 감광 드럼을, 도면 부호 102는 감광 드럼기어를, 도면 부호 103은 현상 슬리브를, 도면 부호 104는 현상 롤러 플랜지를, 도면 부호 105는 자석 롤러를, 도면 부호 106은 자석 홀더를, 도면 부호 107은 현상 롤러 베어링을, 도면 부호 108은 현상 롤러 기어를, 도면 부호 109는 스페이서 롤(간단히 스페이서라고도 함)을 나타낸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03)는 그 안에 자석 롤러(105)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 단부에서 현상 롤러 베어링(107)으로 지지된다. 상기 현상 롤러 베어링(107)은 위치 결정 판과 구멍(둘다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석 홀더(106)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자석 롤로(105)는 상기 홀더(106)에 삽입 장착되어 유지된다.
슬리브(101a)와 기어(102)는 접착제로 결합되며, 감광 드럼(101)은 형산 롤러와 감광드럼(101) 사이에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 롤(109)을 개재하여 스프링(110)에 의해 현상 롤러에 가압 접촉된다. 이렇게 구성된 감광 드럼(10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로부터 상기 기어(102)를 통하여 회전 구동력을 전달 받아서 이 회전 구동력을 현상 롤러 기어(108)에 전달하여 현상 롤러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플랜지(104)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슬리브(103)의 단부에 헐겁게 끼워 맞춤되어 접착제(111)에 의해 결합된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접착제(111)는 안에 플랜지(104)가 삽입되는 현상 슬리브(103)의 단부의 내면 전체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고 그 후에 상기 플랜지(104)가 삽입 장착된다. 그 다음 상기 접착제가 완전히 굳을 때까지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보존한다.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111)로는 순간 접착제 또는 접착 프라이머 및 혐기성 접착제가 있으며 용도, 목적 및 필요 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고온 및 고습도 분위기 하에서 접착제로 결합되어서 그 분위기에서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는 경우,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경화 과정 중에 접착면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접착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현상 슬리브가 플랜지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공전 구동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결합의 품질이 불안정하다.
또한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까지 아주 긴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 시간 동안에 보관 공간이 필요하며 보관 환경 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킬 설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점은 비용, 관리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불리하다.
또한 현상 슬리브(103)와 현상 롤러 플랜지(104)가 간극을 가지고 헐겁게 끼워 맞춤되며, 상기 간극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되면 현상 슬리브(103)와 플랜지(104) 사이의 중심부 편심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만큼 주어진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감광 드럼(101)에 회전 구동력이 가해지면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 기어(102)에 의해 현상 롤러 기어(108)를 통해 회전하므로 플랜지(104)의 외경부는 현상 슬리브(103)의 외경부를 기준으로 할 때 치수 A의 2배인 진동 운동을 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101)의 표면을 기준으로 하면 자석 롤러(105)는 1회전 당 치수A의 2배 만큼 운동한다. 이 결과 감광 드럼으로 부터 보았을 때 자석 롤러의 자력이 강화되거나 또는 약화되므로 현상 롤러가 회전하는 동안에 화상 상에 불균일한 밀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지를 실린더에 결합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랜지가 실린더 안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삽입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상 슬리브와 감광 드럼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와 실린더의 끼워 맞춤부에가 아닌 실린더의 축 방향 위치에 간격을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제1도에서 화상 형성 장치(1)에는 화상 보유 부재인 감광 드럼(2)과, 각각이 이 감광 드럼(2)의 외주에 배열된 대전기(3), 현상 장치(4) 및 클리너(5) 등의 공지의 처리 장치가 설치된다. 레이저 비임을 조사 및 주사시키는 스캐너 장치(6)와 거울(7)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1)의 주 유니트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공된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잠상이 대전기(3)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는 감광 드럼(2) 상에 형성된다. 상기 잠상은 현상 장치(4)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많은 수의 기록 매체인 종이(S)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8)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1)의 주 유니트의 바닥부에 설치된다. 급지 롤러(9)가 급지 카세트(8)와 대면하게 설치되므로 급지 카세트(8)에 수용된 종이(S)는 급지 롤러(9)에 의해 레지스트(regist) 롤러(10)에 한 장씩 공급된다.
종이(S)의 타이밍이 상기 레지스트 롤러(10)에 의해 조정되어서, 상기 종이(S)가 감광 드럼(2)과 전사 대전기(11) 사이의 위치에 공급되고, 이 위치에서 상기 감광 드럼(2) 상의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위에 전사된 종이(S)는 컨베이어 벨트 장치(12)에 의해 정착 장치(13)로 공급되어서 종이 위의 토너 화상이 정착되고 이후에 상기 종이(S)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1)의 주 유니트로 부터 배출된다.
상기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2), 대전기(3), 현상 장치(4) 및 클리너(5)가 일체로 설치되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C)를 형성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C)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실린더 부재와 현상 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감광 드럼을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C)의 단면도이다. 제2도에서 도면 부호 2는 고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화상 보유 부재인 감광 드럼을 나타낸다. 대전기(3), 현상 장치(4) 및 소거 장치인 클리너(5)와 같은 프로세스 장치들이 감광 드럼(2) 둘레에 설치된다. 상기 프로세스 장치들은 카트리지 용기(14)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 안에 프로세스 카트리지(C)로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일례로 감광 드럼(2)의 수명이 다되거나 또는 현상 장치(4)내이 토너(현상제)가 다 소모된 경우 전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체함으로써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현상 장치(4)는 감광 드럼(2)과 대면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인 현상 롤러(15)와 현상부(16)에 토너(T)를 공급하기 위하여 토너(T)를 안에 담고 있는 현상제 용기(17)를 포함한다. 개구부(18a)를 구비하는 덮개 부재(18)는 현상부(16)와 현상제 용기(17) 사이에 유지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19)는 덮개 부재(18)의 개구부(18a)에 부착되어서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현상제 용기(17) 내의 토너(T)가 현상부(16)로 이동하여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C)가 사용을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부착될 때, 밀봉 장치(19)가 조작되어 개구부(18a)가 개방되므로 현상제 용기(17) 안에 있는 토너가 현상부(16)로 공급된다.
소거 장치인 클리너(5)는 감광 드럼(2)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감광 드럼(2)에 마찰 접촉하는 소거 블레이드(20)와, 이 소거 블레이드(20)에 의하여 제거되는 사용된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사용된 토너 용기(21)를 포함한다. 상기 클리너는 이어지는 화상 형성을 위해 감광 드럼(2)을 준비하기 위하여 감광 드럼(2)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면 부호 22는 감광 드럼(2)을 보호하기 위한 셔터를 나타낸다. 프로세스 카트리지(C)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장착될 때 상기 셔터(22)는 상기 감광 드럼의 한쪽으로 후퇴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광(L)이 광학 스캐너 장치(6, 제1도)로 부터 대전기(3)에 의하여 균일하게 대전되는 감광 드럼에 노출되면 정전기 잠상이 감광 드럼(2) 상에 형성된다. 상기 감광 드럼(2)이 회전할 때 정전기 잠상이 현상 장치(4)에 보내지고 토너(T)가 현상 장치(4)의 현상 롤러(15)에 의해 감광 드럼(2)에 공급되어서 상기 잠상은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된다. 상기 토너 화상은 전사 장치(11, 제1도)에 의해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전사가 끝난 후에는 감광 드럼 상의 잔류 토너가 소거 장치인 클리너(5)에 의해 소거되어서 다음의 화상 형성을 위해 감광 드럼이 준비된다.
상기 기록 매체가 급지 카세트(8, 제1도)로 부터 감광 드럼(2)으로 공급되어서 감광 드럼(2)으로 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에는 상기 기록 매체는 정착 장치(13, 제1도)로 보내어져서 상기 정착장치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다.
제3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C)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광 드럼(2)은 서로가 결합되어 있는 파이프(2a)와 기어 플랜지(23)를 포함한다. 상기 감광 드럼(2)은 중심축(24)에 의해 소거 용기(5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현상 장치(4)는 자석 홀더(26)에 유지된 자석 롤러(25)를 포함한다.
현상 슬리브(15a)를 구비하는 현상 롤러(15)는 이것의 플랜지(27)에 있는 롤러 베어링(28)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롤러 베어링(28)은 유지 결정 핀 또는 구멍(둘다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자석 홀더(26)에 고정된다. 상기 자석 홀더(26)는 나사로 현상 용기(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된다. 수지로 제조된 모자 형상의 스페이서롤(29)(간단히, 스페이서라고도 함)이 현상 롤러(15)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서 감광 드럼(2)까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다.
한편, 소거 용기(5a)는 미리 결정된 회전 중심(도시되지 않음) 둘레에서 자석 홀더(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스프링(30)에 의해 한 방향으로 편의된다. 이 결과 스페이서 롤(29)은 감광 드럼(2)의 파이프(2a)의 곡면과 현상 슬리브(15a)의 곡면과 가압 접촉하므로 이에 따라 현상 슬리브(15a)와 감광 드럼의 파이프(2a)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회전 구동력이 감광 드럼(2)의 기어 플랜지(23)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의 구동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현상 롤러 기어(31)에 전달되므로 감광 드럼(2)과 현상 롤러(15) 각각은 제3도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4도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현상 롤러의 플랜지(27)의 외경은 현상 슬리브(15a)의 내경 보다 약 100㎛크므로 상기 플랜지(27)는 상기 현상 슬리브(15a) 안에 압입 끼워 맞춤된다. 상기 현상 슬리브(15a)와 플랜지(27)는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공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끼워 맞춤부를 안내하는 안내부(27b)가 플랜지(27)의 끼워 맞춤부(27a)의 단부에 마련된다. 안내부(27b)의 외경은 현상 슬리부(15a)의 내경보다 약 10 내지 90㎛ 작으므로 플랜지(27)가 압입 끼워 맞춤될 때 안내부(27b)는 현상 슬리부(15a)의 내경부의 안내부로서 완전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현상 롤러의 플랜지(27)가 상기 현상 슬리브 안에 경사지게 끼워 맞춤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상기 현상 롤러 (15)는 베어링(28) 둘레에서 진동 없이 회전하며 화상의 불균일성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슬리브와 플랜지가 간극이 없이 압입 끼워 맞춤되므로 플랜지와 현상 슬리브는 강하게 결합되며 접착제의 박리에 따른 플랜지와 현상 슬리브 사이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안내부는 플랜지 안에 마련되므로, 압입 끼워 맞춤 시에 현상 슬리브(15a)가 플랜지(27) 안에 경사지게 끼워 맞춤되는 것이 방지되어, 설치의 정밀성이 유지된다. 그 결과 각각의 장치의 축 방향 중심이 정렬되므로 그 각각의 장치들은 종래 장치에서 처럼 진동 운동을 하지 않으며, 감광 드럼(2)의 표면에 대한 자석 롤러(25)의 위치는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립 방법이 경제적이며, 현상 슬리브와 플랜지의 품질이 안정되며, 화상의 질도 향상된다.
현상 슬리브(15a)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제조된다. 플랜지는 알루미늄 보다 더 연성인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로 제조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15a)의 끼워 맞춤부(15a')은 약 10㎛ 만큼 팽창한다. 만일 압입 끼워 맞춤부가 스페이서롤의 감광 드럼과의 접촉부와 겹쳐지면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이 변화하며, 또는 스페이서 롤의 접촉부 두께가 팽창 기대치 만큼 얇아진다 해도 팽창량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슬리브(15a)와 플랜지(27)의 축 방향 끼워 맞춤 길이는 현상 슬리브의 단부로 부터 스페이서 롤(29)의 감광 드럼과의 접촉부(29a) 위치까지의 길이 보다 짧으며, 상기 끼워 맞춤부는 스페이서 롤 부분이 아닌 축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특히 스페이서 롤의 외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현상 슬리브(15a)의 팽창량은 스페이서 롤(29)의 접촉부(29a) 두께와 (상기 끼워 맞춤부를 덮는) 다른 부분(29b)의 두께 사이의 차 보다 작게 설계된다.
현상 롤러와 감광 드럼은 스프링(30)에 의해 서로 당겨지므로 스페이서 롤의 접촉부(29a)에 인접한 부분이 신축 자재하며 현상 슬리브의 표면과 감광 드럼의 표면은 모두가 상기 접촉부(29a)에 맞닿으므로 현상 슬리브와 감광 드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현상 슬리브의 팽창량은 수 십 ㎛이며 스페이서 롤의 신축량은 아주 적으므로 스페이서 롤의 접촉부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 롤이 현상 슬리브 및 감광 드럼과 접촉하는 접촉부는 현상 슬리브의 축을 따라서 플랜지와 현상 슬리브의 끼워 맞춤부 보다 더 안쪽으로(중앙부를 향하여) 마련되므로, 현상 슬리브의 직경이 플랜지의 압입 끼워 맞춤으로 변공한다 해도 현상 슬리브의 팽창은 스페이서 롤의 접촉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현상 슬리브와 감광 드럼 사이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15)의 현상 슬리브는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고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두 재료는 분리 및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한 금속으로 형성하여 팽창량이 스페이서 롤의 접촉부의 두께와 그 다른 부분의 두께 사이의 차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상 슬리브의 팽창을 억제하기 위해 플랜지는 현상 슬리브의 재료보다도 더 연성인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제5a도 및 제5b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전의 실시예의 부재와 공통인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그 설명은 생량하였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에 대해 언급하였지만 그와 유사한 수단이 감광 드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32a)가 감광 드럼 기어 플랜지(32)의 단부에 설치되며 또한 감광 드럼 파이프(2a)에 압입 끼워 맞춤된다. 감광 드럼이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끼워 맞춤으로 팽창되는 경우에는 파이프의 팽창부(2b)는 스페이서 롤(29)의 접촉부(29a)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에서도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가 얻어졌으며, 안정되고 견고한 압입 끼워 맞춤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제6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전의 실시예들과 공통인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으며 그 설명은 생략하였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안내부는 원통형이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끼워 맞품부를 안내하는 안내부(33b)가 테이퍼진 형상이다. 테이퍼진 형상의 안내부는 원통형 안내부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는 압입 끼워 맞춤을 용이하게 하며,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이전의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 및 현상 장치 등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체로 설치되었으나, 본 발명은 감광 드럼 및 현상 장치등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안에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정 또는 변경을 할 수 있다.

Claims (56)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안에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현상제 이송 부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청구항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청구항 26.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청구항 27.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의 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곡면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청구항 28.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는 서로에 대해 접근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청구항 29.제24항,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가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플랜지가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청구항 30.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청구항 31.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는 구동력을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의 한 단부에 마련된 기어 플랜지로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청구항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가 그 안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자석과 상기 베어링을 통하여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청구항 33.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현상 롤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현상 롤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 롤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애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부재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현상 롤러 안에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현상 롤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청구항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청구항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청구항 36.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감광 부재의 곡면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청구항 37.제33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플랜지는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청구항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청구항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는 구동력을 상기 화상 보유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의 한 단부에 마련된 기어 플랜지로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청구항 40.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가 그 안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자석과 상기 베어링을 통하여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청구항 4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 드럼과,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며, 안에 자석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와,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 롤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현상 롤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현상 롤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 롤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끼워 맞춤될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수지로 제조되고 현상 롤러의 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현상 롤러 안에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현상 롤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의 한 단부에 마련된 기어 플랜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청구항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청구항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청구항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감광 드럼의 곡면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청구항 45. 제41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청구항 46.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그 안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자석과 상기 베어링을 통하여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4. 청구항 47.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안에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화상 보유 부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5. 청구항 48.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6. 청구항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청구항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의 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모자 형상 부분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곡면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8. 청구항 51.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는 서로에 대해 접근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9. 청구항 52. 제47항,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가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플랜지가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0. 청구항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1. 청구항 54.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플랜지로서의 기어 플랜지의 구동력을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2. 청구항 55.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가 그 안에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자석과 상기 베어링을 통하여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3. 청구항 56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감광 드럼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감광 드럼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이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감광 드럼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감광 드럼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이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감광 드럼 안에 상기 감광 드럼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감광 드럼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4. 청구항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5. 청구항 58.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6. 청구항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감광 드럼의 곡면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7. 청구항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플랜지는 수지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8. 청구항 61제6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9. 청구항 62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플랜지로서의 기어 플랜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0. 청구항 63.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그 안에 자석을 포함하고,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지지되며, 상기 자석과 사기 베어링을 통하여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1. 청구항 64.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 상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감광 드럼과,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며, 안에 자석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와, 기어를 구비하고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감광 드럼 안에 끼워 멎춤되는 상기 기어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이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기어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감광 드럼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감광 드럼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정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단분에서의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기어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이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수지로 제조되고 현상 롤러의 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감광 드럼 안에 상기 감광 드럼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기어 플랜지의 기워 맞춤부보다는 감광 드럼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현상롤러는 기어 플랜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2. 청구항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3. 청구항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안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4. 청구항 67.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 롤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모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의 한 단부 부분은 다른 단부 부분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단부 부분은 상기 감광 드럼의 곡면에 대해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5. 청구항 68.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플랜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6. 청구항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는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석과 상기 베어링을 통하여 홀더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7. 청구항 70. 제24항에 있어서, 대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8. 청구항 71. 제24항에 있어서, 클리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9. 청구항 72.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유니트로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한 단부에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안에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현상제 이송 부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는 구성의 장착 유니트와, (b) 상기 장착 유니트 상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c)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d)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0.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유니트로서,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현상 롤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현상 롤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 롤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부재와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부재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현상 롤러 안에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현상 롤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는 구성의 장착 유니트와, (b) 상기 장착 유니트 상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는 상기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c)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d)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1. 청구항 73.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유니트로서, 감광 드럼과,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며, 안에 자석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와,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현상 롤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현상 롤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현상 롤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현상 롤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현상 롤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현상 롤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수지로 제조되고 현상 롤러의 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현상 롤러 안에 상기 현상 롤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현상 롤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감광 드럼의 한 단부에 마련된 기어 플랜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구성의 장착 유니트와, (b) 사기 장착 유니트 상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는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c)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사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d)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2. 청구항 74.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유니트로서,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이송 부재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가 서로 끼워 맞춤되기 전에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화상 보유 부재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가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화상 보유 부재와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화상 보유 부재 및 상기 현상제 이송 부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안에 상기 화상 보유 부재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화상 보유 부재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는 구성의 장착 유니트와, (b) 상기 장착 유니트 상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는 상기 화상 보유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c)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d)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3. 청구항 75.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유니트로서, 감광 드럼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 롤러와, 상기 감광 드럼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플랜지로서, 상기 감광 드럼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감광 드럼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감광 드럼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이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감광 드럼 안에 상기 감광 드럼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감광 드럼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는 구성의 장착 유니트와, (b) 상기 장착 유니트 상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는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c)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d)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4. 청구항 77.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a)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장착 유니트로서, 감광 드럼과,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 드럼에 현상제를 공급하며, 안에 자석을 포함하는 현상 롤러와, 기어를 구비하고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감광 드럼의 한 단부 부분에 끼워 맞춤되어 마련된 기어 플랜지로서, 상기 감광 드럼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기어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의 외경은 상기 기어 플랜지 안에 끼워 맞춤되는 상기 감광 드럼의 끼워 맞춤부의 내경보다 크고, 감광 드럼에 압입 끼워 맞춤으로 장착되고, 상기 끼워 맞춤부의 한 단부에서의 상기 감광 드럼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기어 플랜지와 상기 감광 드럼이 끼워 맞춤될 때에 안내 역할을 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플랜지와, 수지로 제조되고 현상 롤러의 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와, 상기 감광 드럼과 상기 현상 롤러를 편의시켜서 서로 접근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감광 드럼 및 상기 현상 롤러와 접촉하는 위치는 상기 감광 드럼 안에 상기 감광 드럼의 축 방향으로 압입 끼워 맞춤되는 상기 기어 플랜지의 끼워 맞춤부보다는 감광 드럼의 중앙 측면 쪽으로 위치되고, 상기 현상 롤러는 상기 기어 플랜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킴으로써 그 기어 플랜지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력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구동 기어에 의하여 전달되는 구성의 장착 유니트와, (b) 상기 장착 유니트 상에 장착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되는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수단과, (c)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d) 상기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5. 청구항 78.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전자 사진 복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6. 청구항 79.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레이저 비임 프린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30018991A 1992-09-21 1993-09-20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KR0130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74854 1992-09-21
JP4274854A JP2999636B2 (ja) 1992-09-21 1992-09-21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630A KR940007630A (ko) 1994-04-27
KR0130044B1 true KR0130044B1 (ko) 1998-04-11

Family

ID=1754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991A KR0130044B1 (ko) 1992-09-21 1993-09-20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79085A (ko)
EP (1) EP0589777B1 (ko)
JP (1) JP2999636B2 (ko)
KR (1) KR0130044B1 (ko)
CN (1) CN1061151C (ko)
DE (1) DE69315299T2 (ko)
MX (1) MX93057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447B2 (ja) * 1996-02-16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71233A (ja) * 1996-10-07 1998-06-26 Canon Inc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081680A (en) * 1997-01-31 2000-06-2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prevents permanent deformation and excessive vibration of the image supporter and image formation unit using the same
JP2002005183A (ja) 2000-06-26 2002-01-09 Ricoh Co Ltd 回転摺動用カラー
US6788909B2 (en) * 2002-05-31 2004-09-07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Coupling arrangement including drum, flange, and connector
US6907205B2 (en) * 2002-05-31 2005-06-14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Coupling arrangement including drum and flange
US7366447B2 (en) * 2003-03-11 2008-04-2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non-contact charging roller
JP4289930B2 (ja) * 2003-05-30 2009-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29610B2 (ja) * 2004-09-17 2010-08-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並びに現像装置、間隙保持部材
JP2006267462A (ja) * 2005-03-23 2006-10-05 Tdk Corp 現像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4558083B2 (ja) 2008-06-20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前記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786A (en) * 1980-06-16 1981-06-09 Pitney-Bowes, Inc. Electrophotocopier developer unit mounting system
JPS5813559U (ja) * 1981-07-17 1983-01-27 株式会社リコー 円筒状感光体の取付け構造
JPS58108562A (ja) * 1981-12-23 1983-06-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4561763A (en) * 1984-08-03 1985-12-31 Xerox Corporation Drum support apparatus
GB2180796B (en) * 1985-09-17 1990-05-09 Canon Kk Replaceable image bearing memb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713896B2 (ja) * 1987-01-19 1998-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
JPS63192067A (ja) * 1987-02-04 1988-08-09 Canon Inc トナ−画像形成用電極スリ−ブ装置
US4794894A (en) * 1987-03-05 1989-01-03 Cummins Engine Company, Inc. Ceramic tipped pivot rod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S63289306A (ja) * 1987-05-22 1988-11-2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摺動部品の製造法
JPH089732Y2 (ja) * 1989-07-11 1996-03-21 三田工業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
JPH03101751A (ja) *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6377Y2 (ja) * 1989-10-25 1994-0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光体カートリッジ
US5151737A (en) * 1990-06-04 1992-09-29 Eastman Kodak Company Photoconductive drum having expandable mount
US5148220A (en) * 1991-06-07 1992-09-15 Eastman Kodak Company Toning station drive for image-forming apparatus
EP0543650B1 (en) * 1991-11-20 1997-04-09 Canon Kabushiki Kaisha Cylindrical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99636B2 (ja) 2000-01-17
EP0589777A3 (en) 1994-08-10
DE69315299D1 (de) 1998-01-02
US5579085A (en) 1996-11-26
KR940007630A (ko) 1994-04-27
CN1061151C (zh) 2001-01-24
JPH06102754A (ja) 1994-04-15
EP0589777A2 (en) 1994-03-30
EP0589777B1 (en) 1997-11-19
MX9305735A (es) 1994-06-30
DE69315299T2 (de) 1998-04-02
CN1085326A (zh) 199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3893A (en)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KR0130044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유니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US6070027A (en) Developing apparatus with auxiliary seal disposed outside of end seal
EP1430365B1 (en)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JP4164293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181897B1 (en) Developing apparatus
JP2000075753A (ja) クリーニング部材の取り付け調整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535709B2 (en) Developing apparatus featuring an end of a regulating member coupled to a supporting member of the apparatus, regulating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6549735B2 (en) Developing apparatus with longitudinal end leakage preventing member in contact with smooth surface part of a developer carrying member
EP0543650B1 (en) Cylindrical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6522854B2 (en) Developing apparatus preventing rotation between magnet and bearing
US20030152396A1 (en) Develop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US6298203B1 (en) Developing apparatus featuring suppressed devia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developer bearing member and a developer regulator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apparatus
US6411791B2 (en) Developing apparatus including a developer charging member shaft and a holding member including a shaft guide groove
JP4161404B2 (ja) 画像記録装置
JPH04147274A (ja)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131941A (ja) 現像装置、現像カ−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576100B2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51947B2 (ja) 画像形成装置に着脱自在な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01671A (ja) 現像装置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ブッシュ部材
JP2921690B2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2000056562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4140775A (ja) 静電記録装置
JP2000075658A (ja)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9885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