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280Y1 -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280Y1
KR0129280Y1 KR2019940025990U KR19940025990U KR0129280Y1 KR 0129280 Y1 KR0129280 Y1 KR 0129280Y1 KR 2019940025990 U KR2019940025990 U KR 2019940025990U KR 19940025990 U KR19940025990 U KR 19940025990U KR 0129280 Y1 KR0129280 Y1 KR 0129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airbag
air bag
switch
control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124U (ko
Inventor
심민형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5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280Y1/ko
Publication of KR960014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60R21/0152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using electr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승객에어백이 승객의 승차시에만 작동하도록 하는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객이 승차하여 착석했을 때에만 작동되고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승객의 착석에 의하여 눌릴 수 있고 이 눌림에 따라 변위되는 막판(8)을 갖는 공기주머니(2)와, 상기 막판(8)의 변위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고 이 접속에 따라 충돌감지센서와 에어백 모듈간의 회로를 폐로(閉路)로 전환시킬 수 있는 스위치(3)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도.
제2도는 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엉덩받이(seat cushion) 2 : 공기주머니
3 : 스위치 4 : 충돌감지센서
5 : 에어백 모듈 6 : 콘트롤러
8 : 막판 10, 10' : 고정단자
12 : 가동단자
본 고안은 차량의 승객에어백이 승객의 승차시에만 작동하도록 하는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객에어백은 정면충돌시 승객의 얼굴과 가슴을 보호하기 위해 실내전방의 크래쉬 패드면에 설치되기도 하고, 측면충돌시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조수석 시트의 등받이 측면 등에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승객에어백은 기본적으로 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충돌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인플레이터가 폭발하면서 이 인플레이터에서 나오는 가스에 의하여 백이 전개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승객에어백은 승객의 승차유무에 관계없이 전개되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운전자와 뒷좌석 승객만에 의한 주행시 충돌하면 조수석 측에 설치된 승객에어백은 불필요하게 전개되어 추후 다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객이 승차하여 착석했을 때에만 작동되고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는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승객의 착석에 의하여 눌릴 수 있고 이 눌림에 따라 변위되는 막판을 갖는 공기주머니와, 상기 막판의 변위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고 이 접속에 따라 충돌감지센서와 에어백 모듈간의 회로를 폐로(閉路)로 전환시킬 수 있는 스위치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조수석의 엉덩받이(1)내에 공기주머니(2)와 스위치(3)가 설치되고 충돌감지센서(4)와 에어백 모듈(5)사이의 회로에 콘트롤러(6)를 설치하여 상기 스위치(3)와 콘트롤러(6)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기주머니(2)는 제2도와 같이 그 입구부분이 고정커버(7)내에 부착되어 있다. 이 공기주머니(2)의 입구에는 공기주머니(2)내에 작용하는 공기압에 의하여 입구외측으로 불룩하게 변위될 수 있는 막판(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커버(7)내에는 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위치(3)는 고정단자(10,10')와 스프링(11)에 의하여 복귀될 수 있는 가동단자(12)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가동단자(12)는 막판(8)에 의하여 눌러질 수 있고 이 눌려짐에 의하여 고정단자(10,10')와 접속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콘트롤러(6)는 충돌감지센서(4)의 출력신호가 에어백(13)의 전개와 관련하여 필요한 조건에 도달했는가를 분석하고, 또 스위치(3)가 접속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에어백 모듈(5)내의 인플레이터에 부속하는 코어에 전원인가 시켜 화약을 폭발시키거나 압축가스를 방출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위치(3)의 역할은 단순기능으로 보면 충돌감지센서(4)와 에어백 모듈(5)간의 회로를 개로(開路) 또는 폐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승객이 엉덩받이(1)에 착석하면 공기주머니(2)가 눌려지고 이 눌려짐에 의하여 내부압력이 상승하면서 막판(8)에 공기압이 작용하면 변형이 일어나 막판(8)의 중앙부위가 스위치(3)측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하여 가동단자(12)가 눌려지면 가동단자(12)와 고정단자(10,10')가 접속하여 콘트롤러(6)에 접속신호가 입력된다. 이 상태에서 정면충돌이 일어나면 에어백(13)은 정상적으로 전개된다.
반면에, 승객이 하차하면 공기주머니(2)가 복원되고 막판(8)도 복귀하므로 가동단자(12) 또한 스프링(11)에 의하여 복귀하여 스위치(3)는 단락된다. 이 단락상태를 콘트롤러(6)가 읽게 되면 정면 충돌이 일어나도 에어백 모듈(5)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에어백(13)은 전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승객이 승차하면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조건으로 전환되고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는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조건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종래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 에어백이 전개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고, 또 공기주머니가 엉덩받이내에 설치되므로 안락한 완충효과도 거둘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승객의 착석에 의하여 눌릴 수 있고 이 눌림에 다라 변위되는 막판을 갖는 공기주머니와, 상기 막판의 변위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고 이 접속에 따라 충돌감지센서와 에어백 모듈간의 회로를 폐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스위치로 이루어진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KR2019940025990U 1994-10-05 1994-10-05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KR0129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90U KR0129280Y1 (ko) 1994-10-05 1994-10-05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990U KR0129280Y1 (ko) 1994-10-05 1994-10-05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124U KR960014124U (ko) 1996-05-17
KR0129280Y1 true KR0129280Y1 (ko) 1998-12-15

Family

ID=1939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990U KR0129280Y1 (ko) 1994-10-05 1994-10-05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124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2079A (en) Arrangement for protecting an occupant of a vehicle
JP2007500648A (ja) 膝エアバッグ用のアダプタユニット
US6340170B1 (en) Actuatable knee bolster
US5788271A (en) Air bag safety device for vehicles
KR0129280Y1 (ko) 승객에어백 작동제어장치
JPH0549523A (ja) エアバツグ装置を備えたヘツドレスト
JP2005178659A (ja) エアバッグ装置
JPH10138809A (ja) 乗員の姿勢制御装置
KR100223470B1 (ko) 다방향 충격 감지용 센서
KR200150021Y1 (ko) 조수석 무인탑승시 조수석 차단식 에어백 시스템
KR10025454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전개 단속장치
JPH0218135A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KR0164346B1 (ko) 초전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0129273Y1 (ko) 이중 승객에어백
KR100418785B1 (ko) 차량용 에어 백 센서
KR100422535B1 (ko) 차량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KR100483266B1 (ko) 에어백 시스템
JPH0545371A (ja) 衝突検出センサ
KR0118505Y1 (ko) 차량 충돌시의 화재예방을 위한 에어백 회로장치
JPH1191497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369546B1 (ko) 차량상태에따른조수석의에어백제어방법
JPH0621923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H0655985A (ja) 車両の乗員離脱装置
KR100224246B1 (ko) 에어백 작동 제어장치
KR19980029329A (ko)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