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148B1 - 자동차의 부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부유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148B1
KR0128148B1 KR1019940020677A KR19940020677A KR0128148B1 KR 0128148 B1 KR0128148 B1 KR 0128148B1 KR 1019940020677 A KR1019940020677 A KR 1019940020677A KR 19940020677 A KR19940020677 A KR 19940020677A KR 0128148 B1 KR0128148 B1 KR 012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ater
floating
automobile
imm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307A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4002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148B1/ko
Publication of KR96000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60R2021/2725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using a fluid fuel gas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시 우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자동차가 물(호수나 강 등)에 빠졌을 때 자동차에 장착된 부유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들이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하부에 장착된 고정장치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유장치(1)와 침수시에 침수감응장치(8)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스파크를 발생하는 점화장치(7)와 그 전기적 불꽃에 의하여 충진된 개스를 방출하는 개스통(5)을 구비한 자동차의 부유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동차 부유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부유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부유장치가 작용하였을 때의 개략도.
제3도는 침수감응장치의 작용도.
제4도는 개수통의 작용도로서 (a)는 작용전의 상태도이며, (b)는 작용후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유장치2 : 고정걸이
3 : 이탈방지 벨트4 : 벨트 캡
5 : 마개 52 : 화약
6 : 고리형 고정장치7 : 점화장치
8 : 침수감응장치81 : 공기배출구
82 : 물 유입구83 : 물 배출구
84 : 전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시 우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자동차가 물(호수나 바다 및 강 등)에 빠졌을 때 자동차에 장착된 부유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및 승객 사람들이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침수를 지연시키는 자동차의 부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및 승객을 충돌 및 추돌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운전석 등에 에어백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에어백은 충돌 및 추돌시에 에어백이 장착된 부분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을 보호할 수 있을 뿐 다른 사람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불의의 사고로 차량이 강이나 바다 및 호수 등의 물에 빠질 때는 차량의 실내로 급속하게 물이 침투해 들어 오기 때문에 승객들이 안전벨트를 풀고 도어를 개방한 후 신속하게 외부로 탈출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 차량과 함께 익사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이었고 현재 차량의 구조로는 이러한 차량침수로부터 승객들을 전혀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하부에 부유장치를 장착하여 자동차가 물에 빠졌을 때 자동적으로 부유장치로 개스가 유입되어 자동차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켜 차내의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자동차의 부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 목적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부유장치의 구성도로서, 평상시는 최소의 면적의 하부 전,후 및 좌,우로 부유장치(1)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후의 부유장치(1)는 차체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통상의 고리형 고정장치(6)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며, 좌,우의 부유장치(1)는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벨트 캡(4)의 내부에 통상의 자동차용 안정 벨트와 같은 구조로서된 이탈방지 벨트(3)가 잠겨져 있으며, 이 벨트의 한쪽 끝은 차체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걸이(2)에 의하여 최소의 면적으로 차체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부유장치(1)는 평상시에는 아무런 작동을 하지 않으며, 차량의 물에 빠졌을 때 침수감응장치(8)에 설치된 전원(84)으로부터 신호가 개스(본 발명에서는 헬륨개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부유장치를 팽창시킬 수 있는 개스이면 어떠한 개스라도 사용이 가능함)가 충전되어 점화장치(7)에서 발생한 전기스파크에 의하여 개스통(5)의 마개부에 내장된 화약(52)이 폭발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폭발력에 의하여 화약(52)이 폭발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폭발력에 의하여 화약(52)속에 탄환(51)이 마개부를 뚫고 나가면서 생기는 틈새로 개스통(5)에 충전되어 있던 개스가 순간적으로 방출되어 부유장치(1)가 팽창되는 것이다.
제2도는 부유장치가 작용하였을 때의 개략도로서, 자동차가 물들에 빠졌을 때 감응장치(8)의 전원(84)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의하여 부유장치(1)가 순간적으로 팽창하게 되며, 이때 좌,우 부유장치(1)는 이탈방지 벨트(3)에 의하여 일정한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차체에 고정되며, 전,후, 부유장치(1)는 고리형 고정장치(6)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되어 자동차의 침수를 방지 또는 지연하는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핵심기술인 침수감응장치의 작용도로서, 자동차가 물등에 빠졌을 때 침수감응장치(8) 상단에 형성된 물 유입구(82)로 물이 유입되어 전원(84)이 형성된 위치까지 물이 유입되면, 평상시에는 단락된 전원(84)이 침투된 물에 의하여 도통하여 점화장치(7)로 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이며, 하단에 형성된 물 배출구(83)는 침수이외, 즉 차량 세차시 또는 빗길 주행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4도는 개스통의 작용도로서, (a)는 작용전의 상태를, (b)는 작용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자동차가 평상시 주행중에는 개스가 충전된 개스통(5)은 화약(52)과 탄환(51)이 내장된 마개부에 의하여 (a)의 상태로 밀봉되어 있으며, 자동차가 물 등에 빠질 경우 점화장치(7)에서 발생한 전기적 스파크에 의하여 마개부에 내장된 화약(52)이 폭발하게 되며, 이때 발생하는 폭발력에 의하여 (b)도에 도시한 것처럼 탄환(51)이 마개부를 뚫고 나가게 되어 개스통(5)에 충전된 개스가 순간적으로 부유장치(1)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부유장치에 의하면, 주행중 우발적인 사고로 인하여 자동차가 물(강이나 바다 및 호수)등에 빠졌을 때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부유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자동차가 급속하게 침수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막을 수 있어, 차내에 승객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된 통상의 고리형 고정장치(1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유장치(1)와 좌,우 부유장치(1)를 고정하기 위하여 벨트 캡(4)의 내부에서 통상의 안전벨트처럼 감겨져있는 이탈방지벨트(3)와 침수 감응장치(8)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스파크를 발생하는 점화장치(7)와 그 스파크에 의하여 충전된 개스를 방출하는 개스통(5)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침수감응장치(8)는 침수시에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구(82)와 물 유입을 원활히 하는 공기배출구(81)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침수이외에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구(8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부유장치.
KR1019940020677A 1994-08-22 1994-08-22 자동차의 부유장치 KR012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677A KR0128148B1 (ko) 1994-08-22 1994-08-22 자동차의 부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677A KR0128148B1 (ko) 1994-08-22 1994-08-22 자동차의 부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307A KR960007307A (ko) 1996-03-22
KR0128148B1 true KR0128148B1 (ko) 1998-04-01

Family

ID=1939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677A KR0128148B1 (ko) 1994-08-22 1994-08-22 자동차의 부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22016U1 (de) 2004-12-02 2012-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chmas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22016U1 (de) 2004-12-02 2012-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chmaschine
EP2857570A1 (en) 2004-12-02 2015-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liminating wrinkles in clothes disposed in a drum of a washing machine
EP3333300A1 (en) 2004-12-02 2018-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iminating wrinkles in laundry
EP3524725A1 (en) 2004-12-02 2019-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wrinkles in clot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307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6377A (en) Vehicle crash restraint system
CN106945623A (zh) 一种乘用车防水淹气囊系统
US20090111341A1 (en) Floating air bag
US5911433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3848914A (en) Motor shiftable shock absorbing bumper
KR102125151B1 (ko) 침수차량 구조시스템 제어 방법 및 침수 차량 구조시스템
KR0128148B1 (ko) 자동차의 부유장치
CN105799626B (zh) 救援用浮囊装置、汽车紧急救援漂浮装置及救援方法
KR0136823B1 (ko) 침몰자동차의 부상장치
CN205615455U (zh) 救援用浮囊装置及汽车紧急救援漂浮装置
CN114604384A (zh) 一种船艇用气囊式安全装置
CN108688595A (zh) 轿车溺水救生装置
CN215663329U (zh) 车辆落水逃生装置及车辆
KR0174054B1 (ko) 차량의 부력장치
CN112158161A (zh) 一种汽车落水开门的控制装置及方法
KR20160077869A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CN110053579A (zh) 落水自救式汽车
KR100214985B1 (ko) 차량전복 침수시 차량자세 제어장치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JPH07156729A (ja) 浮上用エアバッグ装置
KR0157160B1 (ko) 자동차의 자동부상장치
KR0180150B1 (ko) 수중 추락한 차량의 유리창 자동개방장치
KR100262617B1 (ko) 전기 자동차의 안전장치
KR0125118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자동 파괴시스템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