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966Y1 -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966Y1
KR0127966Y1 KR2019940026418U KR19940026418U KR0127966Y1 KR 0127966 Y1 KR0127966 Y1 KR 0127966Y1 KR 2019940026418 U KR2019940026418 U KR 2019940026418U KR 19940026418 U KR19940026418 U KR 19940026418U KR 0127966 Y1 KR0127966 Y1 KR 0127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andle
socket body
socket
hand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236U (ko
Inventor
이덕희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40026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966Y1/ko
Publication of KR960014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6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 B61G5/1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r combined with, couplings or connectors for fluid conduits or electric cables for electric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차량사이에 전기선을 연결시켜 주는데 사용하는 플러그의 더미소켓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P)가 삽입되는 소켓몸체(1)에 플러그의 삽입구(OP)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핸들레버(2)가 설치되고, 이 핸들레버(2)의 중심부에 핸들샤프트(4)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핸들샤프트(4)에 핸들(3)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상기 핸들(3)을 돌려 핸들샤프트(4)가 소켓몸체(1)쪽으로 밀착되게 함으로써, 핸들레버(2)가 소켓몸체(1)에 대해 흔들거리지 않도록 록크되어지게 되며, 상기 소켓몸체(1)에 삽입된 플러그(P)는 핸들레버(2)에 구비된 안내롤러(6, 7)가 플러그(P)에 구비된 돌기턱(8)에 걸려져 지지되어 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미 소켓
제1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미소켓의 정면도.
(b)는 상기 제1도(a)의 측면도.
제2도의 (a)는 종래의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미소켓의 평면도로서 오른쪽의 반쪽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기 제2도 (a)의 측면도로서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경우와 빠졌을 경우를 비교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몸체 2 : 핸들레버
3 : 핸들 4 : 핸들샤프트
5 : 돌기부 6, 7 : 안내롤러
8 : 돌기 9 : 설치판
본 고안은 철도차량에서 차량과 차량을 연결시킬 때 이들 차량의 상호간에 전원 및 신호가 서로 소통되어 지도록하는데 사용하는 플러그를 꽂아 보관하는 소켓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을 분리 또는 차량이 제일 후미에 위치에서 지지되지 아니한 차량의 플러그를 보관하는데 사용하는 더미 소켓(dummy socke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여러대의 차량이 서로 연결되어 함께 운행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와같이 여러대의 차량이 동시에 동일한 속도와 조건으로 운행을 하기 위해서는 그 제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대개의 철도차량에 있어서는 기관차의 통제실에서 제어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전체차량에 그대로 전달되어서 하나의 차량처럼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각 차량을 서로 연결시킬 때, 전기 배선도 함께 연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때 전후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전기플러그와 이 플러그에 연결되는 소켓을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 데, 전후로 연결되어 있는 차량이 서로 분리되거나 또한 플러그가 돌출설치되어 있는 선단이 차량의 제일 후미에 위치하게 되어 해당 철도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와 같이 사용되지 않는 플러그를 보호해 주기 위해, 각 철도차량에는 사용되지 않는 플러그를 보호해 주기 위한 더미 소켓이 구비되어 있다. 즉 이 더미 소켓은 사용되지 않는 플러그를 단순히 꽂아 두기만 하도록 되어 이 소켓에 꽂혀진 플러그를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더미소켓은 이 더미소켓을 사용하지 않을 때,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붙잡아주는 방법이 번거롭고, 또한 이 더미소켓에 플러그를 꽂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한편, 더미소켓을 차량에 설치해 주기 위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더미소켓은 플러그(101)가 꽂혀져 보관되는 소켓몸체(102)에, 상기 플러그(101)를 삽입시키는 삽입구(101a)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핸들레버(103)가 축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핸들레버(103)의 상단 중앙에는 핸들샤프트(104)와 연결된 핸들(105)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101)를 소켓몸체(102)에 꽂을때 플러그(101)가 핸들레버(103)의 아래쪽으로 들어가서 소켓몸체(102)에 꽂혀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핸들레버(103)의 길이가 충분하게 길어야 하는 조건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켓몸체(102)에 플러그(101)를 꽂은 다음에 제2도의 (b)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레버(103)를 플러그(101)의 위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핸들(105)을 돌려서 이 핸들(105)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샤프트(104)가 나사이동으로 전진되도록 하여 상기 핸들샤프트(104)의 선단이 플러그(101)의 뒷쪽 턱(107)에 걸려지게 함으로써, 플러그(101)가 소켓몸체(102)에 꽂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용 더미소켓은 상기한 바와 같이 더미소켓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핸들레버(103)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 핸들레버(103)가 흔들리기가 쉬우므로 차량이 주행할 때 상기 핸들레버(103)가 차량에 따라 함께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벽체에 붙들어 매어 주기 위한 별도의 후크(106)가 필요하며, 또한 상기 더미소켓을 차량의 벽에 부착시킬 때 플러그(101)가 차량의 벽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더미소켓의 설치판(108)과 차량의 벽체사이에 별도의 지지브라켓트(도시안됨)를 부가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더미소켓에서는 차량설계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브라켓트를 미리 설계해야 하고, 상기 후크(106)의 위치도 고려해야 하며, 작업성에 있어서도 더미소켓이 차량의 벽체에 직접설치되는 구조가 아니고, 지지브라켓트를 설치하고 이 지지브라켓트위에 더미소켓을 부착시켜야 하며, 또한 핸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후크(106)를 설치해 주어야 하므로 중량적,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미소켓을 철도차량에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고, 차량을 경량화시킬 수가 있으며, 설계가 용이한 한편, 생산성이 뛰어나게 한 철도차량용 더미소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몸체에 플러그의 삽입구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핸들레버가 설치되고, 이 핸들레버의 중심부에 핸들샤프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핸들샤프트에 핸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상기 핸들을 돌려 핸들샤프트를 소켓몸체쪽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핸들레버가 소켓몸체에 대해 흔들거리지 않도록 록크되어지게 되며, 상기 소켓몸체에 삽입된 플러그는 핸들레버에 구비된 안내롤러가 플러그에 구비된 돌기턱에 걸려져 지지되어 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더미소켓의 핸들레버는 플러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별도의 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아도 핸들샤프트를 소켓몸체의 뒷면에 밀착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핸들레버의 위치를 록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더미소켓에 삽입되어지는 플러그는 핸들레버의 안내롤러와 플러그에 구비되어 있는 돌기턱에 걸려져 록크되어지게 되므로 플러그가 확실하게 결합되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핸들레버의 길이를 짧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더미소켓은 차량의 측벽에 부착시키기가 아주 용이하고, 또한 이를 설치하는데 별도의 지지브라켓트와 같은 부가적인 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더미소켓을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고, (b)는 상기 제1도의 (a)도의 측면도로서, 소켓몸체(1)에 U자형의 핸들레버(2)가 플러그(P)의 삽입구(OP)반대쪽으로 향하도록 핀(2a)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회 설치되고, 이 핸들레버(2)의 중심부에 핸들(3)과 연결된 핸들샤프트(4)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3)을 돌려 핸들샤프트(4)를 조였을 경우에 상기 핸들샤프트(4)가 소켓몸체(1)의 후단에 구비되어 있는 돌기부(5)에 걸려져 위치가 록크되어지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레버(2)의 양쪽 선단에 안내롤러(6, 7)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플러그(P)를 소켓몸체(1)의 삽입구(OP)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 핸들레버(2)를 제2도에서 실선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핸들레버(2)의 안내롤러(6, 7)가 플러그(P)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턱(8)의 곡선을 타고 올라가서 이 돌기턱(8)의 윗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레버(2)의 안내롤러(6, 7)가 플러그(P)의 돌기턱(8)를 눌러서 플러그(P)를 삽입 위치에서 록크시켜 주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핸들레버(2)를 록크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핸들(3)을 돌려서 핸들레버(2)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핸들샤프트(4)가 나사산을 타고 축방향을 따라 소켓몸체(1)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게함으로써, 이 핸들샤프트(4)의 선단이 소켓몸체(1)의 돌기부(5)를 눌러서 상기 소켓몸체(1)가 그 위치에서 록크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플러그(P)가 삽입위치로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몸체(1)에서 플러그(P)를 뽑아낸 다음 상기 핸들레버(2)의 위치를 고정시켜줄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3)을 돌려서 핸들샤프트(1)가 소켓몸체(1)의 돌기부(5)에 밀착록크되게 함으로써, 핸들레버(2)의 위치를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켓몸체(1)에 플러그(P)를 삽입시키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핸들레버(2)가 차량과 함께 흔들리지 않도록 해 주기 위해 이 핸들레버(2)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 종래와 같이, 차량의 벽에 별도의 후크 설치하지 않고도 핸들레버(2)를 고정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레버(2)가 소켓몸체(1)의 삽입구(OP) 뒷쪽으로 뻗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삽입구(OP)쪽은 그대로 개방되어 있는 구조가 되어 상기 삽입구(OP)를 통해서 플러그(P)를 삽입시킬 때 핸들레버(2)에 의해 방해를 방해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레버(2)의 길이를 짧게 해 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레버(2)의 길이를 짧게 해 줄 수가 있으므로, 상기 소켓몸체(1)를 차량의 벽에 부착시킬 때, 이 소켓몸체(1)의 한쪽에 설치된 설치판(9)을 그대로 차량의 벽에 부착시켜도, 상기 소켓몸체(1)에 삽입되는 플러그(P)가 차량의 벽과 소켓몸체(1)의 사이에서 방해를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본 고안은, 상기 설치판(9)을 통해서 소켓몸체(1)가 차량의 벽에 항상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을 분리시키거나 해당차량이 맨 마지막의 차량에 위치하게 되어 이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전선이 배선된 플러그(P)가 아무곳에도 지지시킬 수 없는 경우에 이 플러그(P)를 상기 소켓몸체(1)에 꽂아 보관해주게 되는데, 이렇게 상기 플러그(P)를 소켓몸체(1)에 꽂을때 상기 핸들(3)을 돌려서 핸들샤프트(4)가 소켓몸체(1)의 뒷쪽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5)에 걸려져 록크된 상태를 해제시켜 주고, 그 다음 상기 핸들레버(2)를 제1도의 (b)와 같이 이동시켜서 플러그(P)가 소켓몸체(1)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로 개방시켜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러그(P)를 소켓몸체(1)에 꽂아주고 다시 상기 핸들샤프트(4)를 수직상태로 세운 다음, 핸들(3)을 돌려서 핸들샤프트(4)가 소켓몸체(1)의 돌기부(5)에 걸려져 록크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핸들레버(2)를 수직상태로 세워주는 과정에서 이 핸들레버(2)의 양쪽 선단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6, 7)가 플러그(P)의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턱(8)를 타고 올라가서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P)는 더욱 확실한 상태로 록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러그(P)를 상기 소켓몸체(1)에 꽂지 않은 경우에는 이 소켓몸체(1)가 어느 곳에도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핸들레버(2)가 소켓몸체(1)에 대해 좌우로 흔들거리게 될 수가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핸들레버(2)를 다시 수직으로 세운 다음 상기 핸들(3)을 돌려서 핸들샤프트(4)가 소켓몸체(1)의 돌기부(5)에 걸려져 록크되게 함으로써 핸들레버(2)를 흔들거리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도차량용 더미소켓은 플러그(P)가 소켓몸체(1)에 삽입된 상태를 록크시켜 주는 핸들레버(2)의 길이를 짧게해 줄 수가 있으므로, 소켓몸체(1)를 차량의 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설치판(9)에 별도의 지지브라켓트등과 같은 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그 자체 그대로 고정시켜 줄 수가 있으며, 상기 소켓몸체(1)에 플러그(P)가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핸들레버(2)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핸들레버(2)를 록크시켜 주기 위한 별도의 후크등과 같은 보조수단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불필요한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설비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므로 차량에 부착시키기가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소켓몸체(1)에 U자형의 핸들레버(2)가 플러그(P)의 삽입구(OP)반대쪽으로 향하도록 핀(2a)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회 설치되고, 이 핸들레버(2)의 중심부에 핸들(3)과 연결된 핸들샤프트(4)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3)을 돌려 핸들샤프트(4)가 상기 나사산을 타고 전진이동하도록 조여줌으로써 상기 핸들샤프트(4)가 소켓몸체(1)의 후단 돌기부(5)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핸들레버(2)의 양쪽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안내롤러(6, 7)가 소켓몸체(1)에 삽입되어 있는 플러그(P)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턱(8)위로 올라가서 상기 플러그(P)를 록크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미소켓.
KR2019940026418U 1994-10-10 1994-10-10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KR0127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418U KR0127966Y1 (ko) 1994-10-10 1994-10-10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418U KR0127966Y1 (ko) 1994-10-10 1994-10-10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236U KR960014236U (ko) 1996-05-17
KR0127966Y1 true KR0127966Y1 (ko) 1998-12-01

Family

ID=1939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418U KR0127966Y1 (ko) 1994-10-10 1994-10-10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9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236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421B1 (en) In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KR0127966Y1 (ko) 철도차량 플러그용 더비 소켓
JPH0684511A (ja) バッテリー用電気接続具
KR19980071483A (ko) 차량 배터리용 커플러장치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JP2597713Y2 (ja) 分岐接続箱
JP2007181333A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JP2598413Y2 (ja) ケース部材における取付構造
KR20020045097A (ko) 토잉 훅 캡 결합구조
JP2823812B2 (ja) 電子的な記録計器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JPH0783536B2 (ja) 電気接続箱の車体等への取付構造
KR0134513B1 (ko) 연료필러 록크의 케이블 클립(A clip of cable in a fuel-filler lock)
KR870003210Y1 (ko) 기관차의 중련 운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CN113422327B (zh) 一种用于汽车线束紧固的线槽支架组件及其快速组装方法
JPH0436056Y2 (ko)
JPS5941579Y2 (ja) コネクタ用クリップ
KR200174732Y1 (ko) 정비성이 향상된 차량용 시가 라이터 어셈블리
DE10006397A1 (de) Anordnung zur Verkabelung von elektrischen Elementen an Fahrzeugteilen
EP1213180A2 (de) Lenkstock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JPH04287193A (ja) 自動販売機の電源接続装置
KR200166215Y1 (ko) 테일게이트의 와이어 연결 구조
KR0142599B1 (ko) 차량용 잭취부장치
JPH0438446Y2 (ko)
KR0118200Y1 (ko) 차량용 오버 핸드 콘솔 램프
JP2793120B2 (ja) 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