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489B1 -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489B1
KR0127489B1 KR1019890015404A KR890015404A KR0127489B1 KR 0127489 B1 KR0127489 B1 KR 0127489B1 KR 1019890015404 A KR1019890015404 A KR 1019890015404A KR 890015404 A KR890015404 A KR 890015404A KR 0127489 B1 KR0127489 B1 KR 012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magnesia
electrically insulating
mullite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996A (ko
Inventor
마사후미 고부네
히사시 쓰리
Original Assignee
도요다 마사히로
다테호카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2728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192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73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4004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마사히로, 다테호카가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0000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제 1 도는 4종류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a,b,c 및 d를 사용하여 작성한 시즈히터에서 가열시 절연저항치와 통전 사이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라프오이다.
제 2 도는 4종류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e,f,g 및 h를 사용하여 작성한 시즈히터에서 가열시 절연지항치와 통전 사이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라프이다.
본 발명은 시즈 히터(sheathed heater)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에 관한 것이며, 특히 중온 영역과 고온 영역에서 사용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마그네시아는 열전도율이 높고 경도가 적당하므로 시즈 히터용 전기절연 충전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시아로 이루어진 충전재료는 고온 다습한 대기하에서 습기를 쉽게 흡수하여 절연성능이 저하되므로, 취급에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종래로부터 마그네시아 입자 표면에 활성 알루미나의 피복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하여 내습성이 우수한 a-알루미나층을 얻는 방법이 있다(참조: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0-240005호).
또한 결정성장된 마그네시아는 각주상(角柱狀) 또는 인편상(鱗片狀)의 비구상체이므로, 이것을 시즈 히터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마그내시아 분말의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며, 필연적으로 시즈 히터의 생산 능율이 낮고,
(2) 충전공정만으로는 고밀도의 충전상태를 얻기가 곤란하며,
(3) 위에서 언급한 각주상 또는 인평상의 마그네시아 분말은 입자가 모서리가 있어서 충전공정과 압연공정에서 금속 파이프의 내벽과 발열선을 손상시키는 등의 결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기계적 방법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한 구상 또는 약구상(略球狀)의 마그네시아 분체의 제조방법(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2-86604 호), 또는 구상 또는 약구상의 마그네시아 분체와 비구상의 마그네시아 분체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전기절연 충전 재료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에 대하여 공업적 규모의 생산에 유용한 재료인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소)61-214389호).
또한,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절연성능에 관하여 지금까지 초기의 절연저항치 및 통전 사이클 시험에서 절연 열화 속도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① 화학조성의 개선, 고충전 밀도화 및 입자의 구상화(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59-215690 호), ② 산소 함유량이 높은 니켈산화물(Ni2O3)을 첨가하여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참조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 (소)60-77305 호)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 수득한 전기절연 충전재료는 각각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여, 고밀도 충전성능, 흡습성 또는 절연성에 관하여 각각 개량되고 있으나, 이들 모든 특성이 동시에 개량된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은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
또한, 시즈 히터의 사용온도는 현재 저온에서 고온으로 서서히 이전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전지절연 충전재료의 가열시 절연저항치를 개선하는 필요성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를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밀도 충전성능, 흡습성 및 절연성 모두가 현격히 개선된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는 상술한 과제와 목적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물라이트(3Al2O3)분말과 마그네시아 분말과의 혼합 분체 표면을 실리콘 오일로 피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는 마그네시아 분말이 구상, 약구상 및 비구상 입자로 구성된 전기절연 충전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는 마그네시아 분말이 5중량% 이상의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와 잔여량의 비구상 입자로 구성된 전기절연 충전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는 물라이트의 첨가량이 마그네시아 분말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이고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이 물라이트와 마그네시아 분말의 혼합 분말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인 전기절연 충전재료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은 마그네시아 분말에 물라이트(3Al2O3) 분말을 혼합한 후, 당해 혼합 분체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혼합하고, 혼합 분체 표면을 실리콘 오일로 피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은 마그네시아 분말이 구상, 약구상 및 비구상 입자로 구성된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은 마그네시아 분말이 5중량% 이상인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와 잔여량의 비구상 입자로 구성된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제조방법에서 물라이트의 첨가량이 마그네시아 분말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이고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이 물라이트와 마그네시아 분말의 혼합 분말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인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자는 고온에서 절연지항치가 높은 물라이트 분말의 첨가효과와 발수성 및 유동성의 개선을 부여하는 실리콘 오일의 첨가효과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마그네시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전기절면 충전재료의 내습성과 절연성이 모두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즉, 위에서 언급한 첨가제 중의 어느 하나가 결여된 상태 또는 혼합 조작이 불충분하여 발수성의 발현이 균일하게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초기의 목적하는 내습성과 절연성을 수득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본 발명자는 고온에서 절연저항치가 높은 물라이트 분말이 충전성이 높은 구상, 약구상 및 비구상 입자로 구성된 마그네시아 분말을 기제로 한 것으로부터도 동일하게 본 발명을 완성하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자의 경우, 미리 전기절연 충전재료로서 조제한 마그네시아 분말에 물라이트(3Al2O3.2SiO2)분말을 혼합하는데, 마그네시아 분말은 순도가 90중량% 이상이면 좋고, 전해 마그네시아 분말 및/ 또는 소결 마그네시아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성능의 개량제로서 사용하는 물라이트 분말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실리마나이트족 광물(실리마나이트, 안다류사이트 및 카이야나이트)을 고온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것 또는 카올린족 광물과 알루미나의 혼합물로부터 합성한 것을 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이것 이외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물라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후자의 경우, 미리 전기절연 충전재료로서 구상, 약구상 및 비구상입자로 구성된 마그네시아 분말을 조제하는데, 그 구성비율은 5중량 % 이상의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와 잔여량의 비구상 입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5 중량 % 이하에서는 비구상 입자만으로 이루어진 전기절연 충전재료와 물성명(충전성능)에서 현지한 차이를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구상 또는 약구상의 마그네시아 입자란 완전히 구상이 된 입자와 구상에 근사한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단결정 또는 다결정으로 부터 된 것이다.
구상 또는 약구상의 마그네시아 입자를 수득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계적 또는 화하적 제조방법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적 방법으로서 벳지식 밀을 사용하여 입자간의 충돌을 이용하여 마쇄하는 방법(참조: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59-215690호), 유동층 조립기 및 회전 믹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화염 용사에 의한 방법(참조: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1-214389호)등, 또는 화학적 방법으로서 시판중인 비구상 마그네시아 분말을 산처리 또는 산처리후 알칼리 처리하는 방법(참조: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소)62-86604 호) 등의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좋다.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수득한 구상 또는 약구상이 위에서 언급한 기술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그네시아 입자라면 본 발명의 재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그네시아 분말로서는 순도가 90중량 % 이상이면 좋으며, 전해 마그네시아 분말 및/ 또는 소결 마그네시아 분말이 사용가능하다.
이어서, 미리 전기절연 충전재료로서 제조한 마그네시아 분말에 물라이트(3Al2O3) 분말을 혼합하는데, 절연성능의 개량제로서 사용하는 물라이트 분말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실리마나이트족 광물(실리마나이트, 안다류사이트 및 카이야나이트)을 고온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것 또는 카올린즉 광물과 암루미나의 혼합물로부터 합성한 것을 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이들 이외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물라이트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전후자 모두 물라이트로서는 성분적으로는 특히 알칼리 성분(Na2O+K2O)이 0.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96 % 이하, 압도적으로는 최대 입자 지격이 150μm 내지 45μm 이하인 미세분말이 30% 이내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라이트의 첨가량으로서는 마그네시아 본말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인 것이 절연성 및 시즈 히터로서 본래 요구되는 특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첨가량이 0.1중량 % 이하에서는 절연성능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며,30중량 % 이상에서는 열전도율이 저하되고, 나아가서는 시즈히터 성능이 열화(劣化)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혼합 분말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 혼합하고, 분말 입자 표면을 균일하게 실리콘 오일로 피복하는데, 발수성 및 유동성 개량제로서 사용하는 실리콘 오일로서는 디메틸계로서, 이의 분자 구조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또한, 실리콘 오일은 발수성 이외에도 충전재료의 유동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접성이 중요하며, 접도(25℃) 10 내지 100cs, 비증(25℃) 0.930 내지 0.970 및 점도온도계수 0.54 내지 0.60의 범위에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으로서는 물라이트와 마그내시아 분말의 혼합 본말에 대하여 0.001 내지2중량 %인 것이 반수성, 유동성, 절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즉, 첨가량이 0.001중량 % 이하에서는 반수성 및 유동성에 대하여 충분한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며, 2중량 % 이상에서는 상온에서의 본체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고온에서 가열분해될 때 발생하는 탄소에 의한 절연저항치의 열화가현저하기 때문이다.
실리콘 오일을 첨가함으로써 마그네시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충전재료의 상온부근에서의 흡습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자체를 시즈 히터 제조시에 고온가열한 후, 무기질 충전물의 표면에 SiO2피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리콘 오일에 함유된 유기질의 분해 후에도 SiO2피복의 형성에 의해 충전재료의 내습성이 손실되지 않으므로,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여 제조한 충전재료를 사용하면, 초기 및 통전 사이클 후의 전기절연 저항치의 변화가 극히 낮아 이상적인 시즈 히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먼지, 조성이 다음 제1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고 최대 입자 직격 335/m, 충전밀도 2.38/cm3및 유동도 190sec/100g으로 제조한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을 준비하고, 이것으로부터 각각 다음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를 제조한다.
Figure kpo00002
A-실리마나이트 분말을 약 1540℃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후,150μm 이하의 입도로 분쇄한 물라이트 분말 2.0중량 %를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에 가하여 혼합하고, 다시 당해 혼합 분말에 디메틸 실리콘 오일을 0.05중량 % 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한 것.
B-실리마나이트 분말을 약 1540℃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후,150μm 이하의 입도로 본쇄한 물라이트 분말 2.0중량 %를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에 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한 것.
C-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에 디메틸 실리콘 오일을 0.05중량 % 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한 것.
D-전융 마그내시아 분말판으로 제조한 것.
이들 4종류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A,B,C 및 D룔 각각 발열선(나크롬선, 상품명 「니크롬 5」)과 외부직경이 7.5mm고 두께가 0.5mm이며 길이가 700mm인 금속 파이프(NCF2P, 상품명 「인코로이 800」) 사이에 충전하고, 압연감경(壓延減輕)공정과 소둔(燒鈍) 공정을 각각 실시한 후, 금속 파이프의 양단을 저융점 유리로 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각 외부 지격이 6.5mm이고 히터의 전체 길이가 785mm이며 유효 발열 길이가 585mm인 시료 A,B,C 및 D를 제조한다.
이어서, 이들 각 시료를 사용하여 다음에 표시하는 통전 사이클 시험을 실시한다. 즉, 전력밀도 10W/cm2, 금속 파이프 표면온도 약 900℃에서 (20분 통전-1O분 휴지)/사이클의 조건으로 가열시의 절연저항치를 각각 측정한다. 그 결과를 제 1 도에 기재한다.
제 1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즉, 물라이트와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A는 물라이트만을 첨가하여 제조한 충전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B, 실리콘 오일만을 첨가하여 제조한 충전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C 및 전융 마그네시아만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충전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D와 비교하여, 초기의 절연저항치가 높고 또한 2000 사이클을 경과한 후에도 절연 열화가 적은 극히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시료 B 및 C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재료 특성은 2종류의 첨가세, 즉 물라이트와 실리콘 오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휘되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주성분으로서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을 사용했으나, 이것 대신에 소결 마그네시아 분말 단독, 또는 소결 마그네시아와 전융 마그네시아의 혼합 분말을 사용하여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주성분의 마그네시아는 99.2 내지 99.4 증량 %로 극히 고순도의 것을 사용했으나, 이것대신에 사용하는 마그네시아 분말의 순도가 90중량 % 이상이면, 실시예 1과 동일한 경향이 있고, 본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물라이트 첨가제로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실리마나이트 이의에 안다류사이트 및 카이야나이트의 소성품과 카올린족 광물과 알루미나의 혼합물로부터 합성한 소성품 중에서 선택된 물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2]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주성분으로서 광석계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을 70중량 %, 해수계 소결 마그네시아 분말을 30중량 %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것을 마그네시아 분말로 한다. 화학조성을 다음의 제 2 표에 기재한다. 또한, 마그네시아 분말은 미쇄처리된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 20중량 %와 미처리의 비구상입자 80중량 %로 구성되고, 최대 입자 직격 335μm, 충전 밀도 2.40g/cm3및 유동도 180sec/100g으로 제조되어 있다.
Figure kpo00003
이어서, 제조된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로부터 각각 다음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를 제조한다.
E-카이야나이트 분말을 약 1650℃에서 1시간 동안 소성하여 물라이트화한 후, 150μm이하의 입도로 분쇄한 물라이트 분말 2.0중량 %를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에 가하여 혼합하고, 다시 혼합 분말에 디메틸 실리콘 오일을 0.03중량 % 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한 것.
G-전융 마그네시아 분말에 다메틸 실리콘 오일을 0.03중량 % 가하고 혼합하여 제조한 것.
H-전융 마그네시아 분말만으로 제조한 것.
이들 4종류의 전기절언 충전재료 E,F,G 및 H에 대하여 각각 충전밀도와 유동도를 측정한다. 그 결과를 다음 제 3 표에 기재한다. 또한, 측정에는 베 모델(Boeh Model)AP901122 터프 밀도측징장치(ASTMD.3477에 준함)를 사용한다.
제 3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는 종래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와 비교하여도, 첨가처리 실시에 의해 기재의 충전성을 손상하지 않는다.
Figure kpo00004
이어서, 이들 4종류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E,F,G 및 H를 각각 발열선(나크롬선, 상품명 「나크륨 5」)과 외부 직경이 75mm이고 두께가 0.5mm이며 길이가 700mm인 금속 파이프(NCF2P, 상품명 「인코로이800」)사이에 충전하고, 압연감경 공정과 소둔 공성을 각각 거친 후, 금속 파이프의 양단을 저융점 유리로 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각 외부 직경이 6.5mm이고 히터 길이가 785mm이며 유효발열 길이가 558mm인 시료 E,F,G 및 H를 제조한다.
이어서, 이들 각 시료를 사용하여 다음에 표시한 통전 사이클 시험을 실시한다. 즉, 전력밀도 10W/cm2,금속 파이프 표면온도 약 900℃에서 (20분 통전-10분 휴지)/사이클의 조건으로 가열시 절연저항치를 각각 측정한다. 그 결과를 제 2 도에 기재한다.
제 2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즉, 물라이트와 실리콘 오일을 첨가한것)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E는 물라이트판을 첨가하여 제조한 충전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F,실리콘 오일만을 첨가하여 제조한 충전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G 및 전융 마그네시아만으로 된 종래의 충전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시료 H와 비교하여, 초기의 절연지항치가 높고 또한 2000 사이클을 거친 후에도 절연 열화가 적으며 극히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시료 E 및 F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재료특성은 2종류의 첨가제, 즉 물라이트와 실리콘 오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휘되는 것이 분명하다.
또한,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주성분으로서 전융 마그네시아와 소결 마그네시아의 혼합 분말을 사용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전융 마그네시아 분말 단독, 또는 소결 마그네시아 단독으로도 위의 실시예 2와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겻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주성분의 마그네시아는 96.0 내지 97.0 중량 %로 극히 고순도의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사용되는 마그네시아 분말의 순도가 90중량 % 이상이면, 실시예 2와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물라이트 첨가제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카이야나이트 이외에 안다류사이트 및 실리마나이트의 소성품과 카을린족 광물과 알루미나의 혼합물로 합성한 소성품 증에서 선택한 물라이트 분말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경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열전도율이 높은 마그네시아를 주성분으로 하고, 또는 당해 마그네시아를 구상, 약구상 및 비구상 입자로 구성하고, 이것에 가열시의 절연성이 우수한 물라이트를 첨가하고, 당해 혼합 입차 표면에 발수성을 갖는 동시에 유동성의 개선을 부여하는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여 피복하고 있으므로, 이들 양자 또는 기재의 형상에 의한 상호효과에 의해 마그네시아를 주성분을 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내습성 및 절연성 또는 충전성능의모든 것이 각별히 개선된 우수한 전기절연 충전재료를 간단히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1) 장기간의 재료의 보관에 있어서도 흡습에 의한 품질의 열화가 없고, 초기 및 통전 사이클 후의 절연 지향치가 각별히 우수한 전기절연충전재료를 간단히 제공할 수 있고,
(2) 주성분이 마그네시아의 순도가 90중량 % 이상이면 사용 가능하므로, 가격적으로 값싼 광석계 원료가 사용 가능하여 가격면에서 값싼 충전재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3) 또한, 시즈히터의 제조공정에서 금속, 파이드 및 발열선의 손상이 없고, 또한 고충전밀도가 가능하는 등 많은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8)

  1. 물라이트(3A12O3.2SiO2) 분말과 마그네시아 분말을 함유하는 혼합 분체의 표면이 실리콘 오일을 피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마그네시아 분말이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와 비구상 입자로 구성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마그네시아 분말이 5중량 % 이상의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와 잔여량의 비구상 입자로 구성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물라이트 분말의 첨가량이 마그네시아 분말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이고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이 물라이트 분말과 마그네시아 분말의 혼합 분체에 대하여 0.001내지 2중량 %인 전기절연 충전재료.
  5. 마그네시아 분말에 물라이트(3A12O3.2SlO2)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 분체를 제조하고, 당해 혼합 분체에 실리콘 오일을 첨가혼합하여 혼합 분체 표면을 실리콘 오일로 피복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마그네시아 분말이 구상 또는 약구상 입자와 비구상 입자로 구성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마그네시아 분말이 5중량 % 이상의 구상 또는 약구상입자와 잔여량의 비구상 입자로 구성되는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물라이트 분말의 첨가량이 마그네시아 분말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 %이고 실리콘 오일의 첨가량이 물라이트 분말과 마그네시아 분말의 혼합 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중량 %인 전기절연 충전재료의 제조방법.
KR1019890015404A 1988-10-28 1989-10-26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012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3727 1988-10-28
JP63-273,728 1988-10-28
JP27272888A JPH02119209A (ja) 1988-10-28 1988-10-28 積層インダクタとそのインダクタンス調整方法
JP63273727A JPH0824004B2 (ja) 1988-10-28 1988-10-28 電気絶縁充填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996A KR900006996A (ko) 1990-05-09
KR0127489B1 true KR0127489B1 (ko) 1998-04-02

Family

ID=6768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404A KR0127489B1 (ko) 1988-10-28 1989-10-26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89A (ko) * 1999-08-17 1999-11-05 한기완 스팀발생용 피부미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996A (ko) 199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1413A (en) Glass ceramic precursor compositions containing titanium diboride
JP5602480B2 (ja) AlN改質層を備えたアルミナ粒子の製造方法
KR20180039516A (ko) 구상 알파-알루미나 입자 분말의 제조 방법
JPH1059702A (ja) 窒化ホウ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0127489B1 (ko) 전기절연 충전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12447A (zh) 氧化镁及其制备方法、高导热性氧化镁组合物及利用其的氧化镁陶瓷
JPS62288167A (ja) 炭化けい素焼結体の製造方法
CN105084906A (zh) 一种陶瓷材料、陶瓷内胆及其制得的电饭煲
JPH02121203A (ja) 電気絶縁充填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4023895B2 (ja) 非晶質窒化ほう素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301781A (en) Method of making magnesium fluoride articles
JPS6126548A (ja) 電気抵抗発熱体
US4435693A (en) Electrical insulating refractory composition
JPH02121202A (ja) 電気絶縁充填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4681862A (en) Electrically insulating filler for sheathed heaters
JP2985090B2 (ja) 高温用電気絶縁充填材及びそれを充填したシースヒーター
JPH0735304B2 (ja) 窒化ホウ素焼結体の製造法
JPS63307107A (ja) 高熱伝導性マグネシア質粉末
JPH054922B2 (ko)
Onoda et al. Synthesis of bulk lanthanum polyphosphate and other rare earth phosphates through hydrothermal hot-pressing
JPS60240005A (ja) 電気絶縁充填材料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RU2159476C2 (ru) Состав для получения резистивной пленки
JPS598208A (ja) 高熱伝導性ガラスの製造法
SU499249A1 (ru) Состав дл покрыти пористой магнезиальной керамики
JPH05884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