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276B1 -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276B1
KR0127276B1 KR1019930018092A KR930018092A KR0127276B1 KR 0127276 B1 KR0127276 B1 KR 0127276B1 KR 1019930018092 A KR1019930018092 A KR 1019930018092A KR 930018092 A KR930018092 A KR 930018092A KR 0127276 B1 KR0127276 B1 KR 0127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reception
reception mode
detecting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386A (ko
Inventor
조오지 후지야마
히로유끼 사또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다까미 히로히꼬
도시바 코뮤니케이숀 테크노로지 가부시끼가이샤
구보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테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40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03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46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5029A/ja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다까미 히로히꼬, 도시바 코뮤니케이숀 테크노로지 가부시끼가이샤, 구보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테쿠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Publication of KR94000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수신원고정보를 메모리수단에 축적하는 메모리수신모드와 수신원고정보를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지수신모드의 적어도 2개의 수신모드를 갖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소망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등록수단과, 수신원고정보의 송신원의 전화번호가 상기 등록수단에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모드를 선택하는 수신모드 선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의 외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조작판넬부의 구체적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수순을 나타낸 시퀀스 챠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등록메모리에 기록지수신을 허가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수신모드로 화상메모리에 축적된 수신원고를 기록지로 출력하는 출력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메모리에 축적된 수신원고를 기록지로 출력하는 출력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 9 도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수신원고를 화상메모리(image memory)에 축적하는 메모리수신모드(memory receiving mode)와, 수신원고(receiving orginal)를 직접기록지(chart)에 기록하는 기록지수신모드(chart receiving mode)가 선택가능한 팩시밀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메모리수신모드와 기록지수신모드와의 절환을 상대방 번호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는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장치에서는 불특정의 송신자(addresser)로부터 일방적으로 송신이 행해지기 때문에 수신자(addressee)로써는 불필요한 화상이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팩시밀리장치는, 도래된 화상데이타(image data)를 수신하고, 이 화상데이타에 대응한 화상을 즉시(무조건으로) 기록지에 기록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수신자로써는 불필요한 화상도 기록출력하게 된다.
수신자는 출력된 화상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화상이 기록된 기록지를 파기하기 때문에 기록지를 낭비하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신원고를 모두 화상메모리에 축적하고, 그후에, 조작자가 화상메모리에 축적된 수신원고를 행함으로써, 필요한 원고화상만을 기록지에 출력하고, 불필요한 원고는 기록지에 출력하지 않고 화상메모리에서 소거되도록 한 팩시밀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장치는, 불필요한 원고의 수신에 의한 기록지의 낭비를 방지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기록지의 소비에 의한 기록지부족을 가급적 방지하기 위해서 제안된 장치이다.
이 팩시밀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수신자)가 수신된 화상을 확인하고, 필요로 하는 화상만을 기록지에 기록하고, 불필요한 화상데이타를 메모리에서 소거시킬 수 있으므로, 기록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모든 수신원고를 화상메모리에 축적하는 구성을 취한 경우에는, 화상메모리가 가득차면 원고의 수신을 할수 없게 되므로 만족할 수 있는 양의 원고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방대한 메모리용량이 요구된다.
그러나, 특히 소형화가 요구되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화상메모리로써 이용가능한 메모리용량에 한계가 있다. 이를 위한 이 종류의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빈번하게 화상메모리의 수신원고를 체크하여 불필요한 원고를 화상메모리에서 소거함으로써, 화상메모리가 항상 가득차지 않도록 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상메모리의 수신원고를 체크하고, 불필요한 원고를 화상메모리에서 소거하는 조작은 매우 귀찮고, 특히 야간이나 장기간 자리를 비어두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원고를 화상메모리에서 소거하는 조작을 행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 종류의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수신원고를 화상메모리에 축적함으로써 수신동작을 행하는 메모리수신모드와 수신원고를 직접 기록지에 기록함으로써 수신동작을 행하는 메모리수신모드를 절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야간이나 장기간의 부재시에는, 기록지수신모드로 함으로써 화상메모리가 항상 가득차서 수신불가상태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장치에 있어서, 기록지수신모드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원고(예를 들면 상대방을 잘못 알고 보내온 원고, 장난으로 송신되어온 원고등)도 그대로 기록지에 출력하게 되므로, 기록지를 쓸데없이 소비하게 되어, 원래의 이 종류의 팩시밀리장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인 팩시밀리장치의 경우에, 사용자는, 출력된 기록지가 있는 것으로써 수신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이 수신된 화상데이타를 모두 메모리에 격납하면, 수신이 있어도 기록지의 출력이 행해지지 않는다.
이때문에 , 전술한 바와같이 수신된 화상데이타를 모두 메모리에 격납하게 한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화상데이타가 메모리에 격납되어 있는 취지를 액정표시기(liquid crystal display)(LCD)등의 표시기에 표시하지만, 이 종류의 표시는 표시기 가까이까지 가서 또한 의식을 갖고 또한 의식을 갖고 보지 않으면, 그 표시내용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따라서, 팩시밀리장치의 사용자가 수신이 있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이 지연될 우려가 있어서, 팩시밀리장치의 최대의 이점인 속보성이란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 사용자가 일일히 화상의 확인 및 기록지시를 위한 조작을 행하여야 되므로, 시간이 걸린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수신원고를 모두 화상메모리에 축적시키도록 구성하면, 화상메모리로써 방대한 메모리 용량을 필요하게 된다.
또, 이 방식은, 사용자가 수신이 있었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이 지연되어 팩시밀리장치의 최대의 이점인 속보성이 상실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수고하게 된다.
한편, 수신원고를 모두 기록지로써 출력하도록 구성하면, 불필요한 원고, 예를 들면 수신인을 잘못 알아 보내져온 원고 또는 장난으로 송신되어온 원고등도 그대로 기록지에 출력되어 버리므로, 기록지를 헛되게 소비하게 된다.
본 발명은 , 원고수신용의 대용량의 화상메모리가 요구되지 않고, 기록지의 불필요한 소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속보성을 확보하고,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수고도 비교적 적게할 수 있는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특허청구범위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허청구범위 제15항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한 원고만을 기록지에 출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원고의 수신에 의한 기록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화상메모리에 축적되는 것은 등록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으로부터의 원고만으로 되어 대용량의 화상메모리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기록지의 낭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속보성을 확보하고, 또한 사용자의 수고도 비교적 적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는, 중앙연산처리장치(1)(이하,「CPU」라 칭한다)와, 프로그램메모리(2)와, 조작패널부(3)와 인자유니트(4)와, 스캐너유니트(5)와, 전원유니트(6)와, 화상메모리(7)와 모뎀(8)과, 망제어장치(9)(network control device)(이하,「NCU」라 칭한다)와, 시스템버스(10)를 구비한다.
CPU(1)는, 팩시밀리장치의 다른 구성부를 제어한다.
프로그램메모리(2)는, CPU(1)에 팩시밀리장치의 다른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처리데이타등을 기억한다.
조작패널부(3)는, 수신원고 등의 화상데이타의 표시나 인자개시지령 등의 각종 동작기동의 지시를 한다.
조작패널부(3)는 메모리(31)(memory)(이하,「비디오 RAM」이라 칭한다)와, 액정표시기(32)(이하,「LCD」라 칭한다)와 터치패널키 어레이(33)(이하, 단지 「터치판넬」라 칭한다)로 된다.
비디오 RAM(31)은 표시할 화상데이타를 기억한다. 액정표시기(32)는 비디오 RAM(31)에 기억된 화상데이타를 표시한다.
투명한 터치판넬키 어레이(33)는 LCD(32)에 표시면 위에 설비되어 있다.
인자유니트(4)는 인자개시지령에 의해서 해당하는 화상데이타를 소정의 기록지에 인자한다. 인자유니트(4)는 기록지반송용 모터(41)와, 감열기록지(42)(thermal sensitizimg chart)(이하,「롤용지」라 칭한다)와, 감열헤드(43)(thermal head)와, 기록지드라이버(44)를 구비한다. 기록지반송용 모터(41)는, 소정의 선밀도로 기록지를 반송한다. 감열기록지(42)는, 롤상이고, 기록지로써 사용된다.
감열헤드(43)와, 화상데이타에 따라서 발열 구동되고, 상기 롤용지에 그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화정보를 인자한다. 기록지드라이버(44)는 기록지반송용 모터(41)를 구동한다.
스캐너유니트(5)는 송신원고 등의 독취주사(reading scan)를 행한다.
전원유니트(6)는, 팩시밀리장치를 구성하는 각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화상메모리(7)는 수신 또는 독취주사에 의해서 얻은 화상데이타를 축적한다.
모뎀(8)은, 팩시밀리통신에 의한 화상데이타의 변복조(modulate/demodulate)를 행한다.
NCU(9)는, 통신회선(11)(communication line)에 접속되어, 본 장치와 망(net work)과의 사이의 접속제어를 실행한다.
등록메모리(12)는, 기록지수신을 허가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사전에 등록한다.
시스템버스(10)는, CPU(1)과 팩시밀리장치의 다른 구성부와의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장치의 기본동작을 설명하겠다.
예를들면, NCU(9)를 통해서 통신회선(11)으로부터 수신된 화상데이타는, CPU(1)의 제어에 의해서 데이타버스(10)를 통해서 일단 화상메모리(7)에 격납된다. 마찬가지로, 스캐너유니트(5)의 독취주사에 의해서 얻어진 화상데이타는 데이타버스(10)를 통해서 일단 화상메모리(7)에 격납된다.
화상메모리(7)에 격납된 화상데이타는, 조작패널부(3)의 터치패널(33)의 소정조작에 따라서 화상메모리(7)에서 파일단위 또는 페이지단위로 독출하여, LCD(32) 위에 표시하거나, 인자유니트(4)를 사용하여 하드카피로써 출력할 수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팩시밀리장치의 외관구조를 나타낸다. 장치본체부(100)에 대해서 기록지케이스(200)가 착탈가능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기록지케이스(200)는 롤용지홀더(201)를 갖고 롤용지홀더(201)에 롤용지를 세트한 상태에서 장치본체부(100)에 연결하면, 이후에는, 인자개시지령에 의해서 인자가 개시되었을때에, 그 롤용지가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자동급지되어 소정의 화상데이타를 인자출력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본체부(100)에 핸드스캐너(300)가 착탈자재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드스캐너(300)는, 커르코드(300a)을 거쳐서 장치본체부(100)에 접속되어 있으며, 통화를 위한 핸드세트(400)가 커르코드(400a)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 2 도는, 핸드스캐너(300)가 장치본체부(1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의 상태에 있어서, 원고를 독취하는 경우에는, 원고를 장치본체부(100)의 원고삽입부(100a)에 세트하고, 조작패널부(3)의 후술하는 스타트보턴을 누름으로써, 원고를 화살표 B방향으로 반송한다.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낸 조작판넬부(3)의 구체적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조작패널부(3)는 LCD(32)의 상면에, 그것과 대략 같은 면적의 투명한 터치패널(33)을 갖는다.
터치패널(33)은, LCD(32) 위에 그려진 문자나 그림 등의 메뉴에 대응하는 복수의 매트릭스영역(제3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을 갖고, 그중의 어떤 영역을 누르면, 그 영역에 그려져 있는 문자나 그림에 대응한 지시입력이 생긴다. 조작자는, 이 터치패널(33)을 사용하고, LCD(32)에 표시된 그림이나 문자를 스위치로 보고 해당되는 매트릭스영역을 선택적으로써 누름으로써 여러가지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메모리(12)에 수신원고를 기록지에 출력하는 기록지수신모드에서의 수신을 허가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등록된다. 원고수신에 있어서,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등록메모리(12)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일치되면 수신원고를 직접 인자유니트(4)로 송출하는 기록지모드에 있어서의 수신이 행해진다.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원고를 화상메모리(7)에 축적하는 메모리수신모드로 절환되어서, 메모리수신모드로 수신이 행해진다.
상기의 상대방의 전화번호는, 팩시밀리통신수순에 의해서 상대방의 팩시밀리장치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서 알 수 있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의 통신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G3팩시밀리를 상정하고 있으며, G3팩시밀리의 경우에, 제 4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수신측 팩시밀리 장치는 송신측 팩시밀리장치에, 비표준기능식별번호 NSF(non-standard facilities), 피호단말식별번호 CSI(called subsciber identification), 디지탈식별번호 DIS(digital identification signal)를 송신한다. 송신측 팩시밀리장치는, 이들 신호에 응답하여, 수신측 팩시밀리장치에, 비표준기능설정번호 NSS(non-standard set-up), 발신단말식별번호 TSI(transmitting subscriber iddentification), 디지탈명령신호 DCS(digital command signal)를 송신한다. 발신단말식별번호(TSI)에는, 발신단말의 전화번호, 즉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송신측 팩시밀리장치는, 수신측 팩시밀리장치에 대해서, 또 트레이닝체크신호(TCF)를 송신한다. 송신측 팩시밀리장치는, 수신측 팩시밀리장치로부터의 수신표준확인신호 CFR(confirmation to receive)를 수신하면, 수신측 팩시밀리장치에 대해서 화상신호를 송신하고, 송신측 팩시밀리장치에서 수순종료신호 EOP(end of procedure)에 응답하여 수신측 팩시밀리장치에서 메시지 확인신호 MCF(message confirmation)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송신측 팩시밀리장치에서 절단명령신호 DCN(disconnect)가 송신되면, 팩시밀리통신은 종료된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등록메모리에 기록지수신을 허가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 처리는 제 1 도에 나타낸 CPU(1)에 의해서 실행된다.
CPU(1)는 시스템버스(10)를 거쳐서 등록메모리(12)에서 미등록에어리어를 서치한다(스텝 A1). 미등록에어리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A2), 미등록에어리어가 있으면, 제 1 도에 나타낸 조작패널부(3)로부터 등록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한다(스텝 A3). 조작패널부(3)로부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스텝 A1에서 서치한 등록메모리(12)의 미등록에어리어에 등록한다(스텝 A4).
제 6 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등록메모리(12)에 팩시밀리수신시에 상대방의 팩시밀리장치로부터 보낸 발신단말식별신호(FSI)에 포함되는 상대방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가 등록메모리(12)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서치한다(스텝 B1).
같은 전화번호가 있는지의 판단을 행하고(스텝 B2), 같은 전화번호가 발견된 경우에는 기록지모드를 선택하여, 제 1 도에 나타낸 기록지드라이버(44)를 ON으로 하고, 기록지반송용 모터(41)을 작동시키고, NCU(9)를 거쳐서 수신된 원고를 CPU(1)의 제어에 의해서 시스템버스(10)를 거쳐서 직접 인자유니트(4)로 송출하여 기록지에 출력한다(스텝 B3).
스텝 B2에 있어서, 같은 전화번호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메모리수신모드를 선택하고, 제 1 도에 나타낸 NCU(9)를 거쳐서 수신된 원고를 CPU(1)의 제어에 의해서 시스템버스(10)를 거쳐서 화상메모리(7)에 축적한 메모리수신을 실행한다(스텝 B4).
제 7 도는 메모리수신모드로 화상메모리(7)에 축적된 원고를 기록지로써 출력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화상메모리(7)중에 수신원고가 축적되어 있는지를 서치한다(스텝 C1). 수신원고가 화상메모리에 축적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스텝 C2), 수신원고가 발견되면, 기록지로써 출력할것인지의 선택조작을 행한다(스텝 C3). 이 선택조작은 화상메모리(7)에 축적되어 있는 수신원고의 리스트를 제 1 도에 나타낸 조작패널부(3)에 표시하고, 이 표시된 수신원고의 리스트중에서 소망하는 원고를 조작패널부(3)을 사용하여 선택한다.
CPU(1)은 스텝 C3에 의해서 선택된 수신원고를 시스템버스(10)를 거쳐서 화상메모리(7)로부터 독출하고, 이것을 시스템버스(10)를 거쳐서 인자유니트(4)로 송출하고, 수신원고를 기록지로 출력한다(스텝 C4).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면, 원고의 수신시에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등록메모리(12)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일치되면 수신원고를 직접 인자유니트(4)로 송출하는 기록지모드에서의 수신을 행하고, 일치되지 않으면 수신원고를 화상메모리(7)에 축적하는 메모리수신모드로 절환하여 메모리수신모드로 수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원고의 수신에 의한 기록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화상메모리(7)에 축적되는 것은 등록메모리(1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으로부터의 원고만으로 되므로, 대용량의 화상메모리(7)가 요구되지 않는다.
제 5 도에 나타낸 전화번호등록에 있어서, 매뉴얼등록의 예를 나타냈지만, 전화번호등록의 모드로 이행하는 일없이 수신원고를 기록지에 출력하는 경우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냈다. 본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수신원고의 출력시에 매뉴얼입력을 행하지 않고,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메모리(12)에 등록하는 기능을 부가한 점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메모리에 축적된 수신원고를 기록지에 출력하는 출력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제 8 도는 제 7 도와 다른 점은 출력처리의 경우에도 등록메모리에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게 한 점이다.
제 1 실시예는, 화상메모리(7)에 화상데이타만을 기억하도록 구성했으나, 본 실시예는, 화상메모리(7)에 화상데이타에 대응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도 기억한다.
제 7 도의 스텝 C1~스텝 C3과 마찬가지로, 화상메모리중에 수신원고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록지에 기록하는 수신원고를 선택한다(스텝 D1~스텝 D3).
기록지에 출력하도록 선택된 수신원고의 송싱원고의 송신인의 전화번호(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메모리(12)에 등록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한다(스텝 D4,스텝 D5).
스텝 D5에서 YES이면, 등록메모리(12)의 미등록에어리어를 서치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메모리(12)에 등록한다(스텝 D6).
모든 수신원고에 대해서 스텝 D2~스텝 D6를 반복한다(스텝 D7).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화상메모리(7)에 수신원고에 대응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일시 기억하도록 했지만, 상대방 전화번호는 수신원고와 대응시킬 수 있으면 다른 메모리(예를 들면, CPU(1)의 내장 메모리)에 일시 기억시켜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등록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 전화번호를 화상메모리로 부터 기록지에 출력하는 시점에서 확인하면서 등록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메모리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등록메모리(12)에 상대방 전화번호만을 등록하도록 했으나, 상대방 전화번호에 더하여 수신모드도 등록할 수도 있다.
등록메모리(12)에 상대방 전화번호와 수신모드를 등록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냈다.
본 실시예는, 상대방에 따라서 수신모드를 선택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같은 부분은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겠다. 또,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등록처리는 제 1 실시예에 수신모드 입력을 첨가한 것 뿐이므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본 실시예의 수신모드 선택을 제 9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 9 도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모드 선택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등록메모리(12)에 TSI와 동일 전화번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서치한다(스텝 E1). 동일 전화번호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스텝 E2)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모드가 기록지수신모드인지, 또는 메모리수신모드인지가 선택된다(스텝 E3). 스텝 E2에 있어서, 동일 전화번호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원고를 폐기한다(스텝 E4). 이 경우에는 수신원고를 폐기하지 않고 메모리수신으로 하여도 된다.
스텝 E3에 있어서, 기록지수신모드인 경우에는 수신원고를 기록지에 출력하고(스텝 E5), 메모리수신모드인 경우에는 수신원고를 화상메모리에 기억시킨다(스텝 E6).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모드를 기록지수신모드와 메모리수신모드와의 2개의 수신모드를 상정했지만, 다수의 수신모드가 있는 경우에, 본 실시예는 특히 유효하다.
또, 스텝 E2에 있어서,동일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에 수신원고를 폐기하지 않고 메모리수신으로 하면, 제 2 실시예도 적용가능하다.
팩시밀리장치의 통신상태는 불특정이지만, 팩시밀리장치의 실제의 사용상태를 고찰하면, 특정 상대로부터 송신되는 화상은 어느것이나 수신자에 있어서 필요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특정상대의 전화번호를 기록지수신모드를 지정하여 등록해둠으로써, 특정상대로부터 송신되는 필요한 화상은 무조건 기록지에 기록되어서 출력된다. 따라서 이들 수신화상에는, 출력된 기록지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아차릴 수 있어서, 속보성이 보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특정상대 이외의 상대로부터 송신되는 화상은, 필요한 것일 경우와 불필요한 것일 경우의 양쪽이 고려되지만, 이들은 일단 화상메모리(9)에 격납된 후에, 사용자의 기록지시에 의해서 기록출력되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화상에 대해서만 기록지시를 행함으로써, 불필요한 화상이 기록지에 기록되어 기록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메모리(9)에 격납되는 것은 특정상대방 이외의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는 화상만이므로 모든 수신화상을 메모리에 축적하는 종래의 팩시밀리장치에 비해서 화상메모리(9)에 격납되는 화상은 적어지고, 따라서 기록지시에 관한 사용자의 수고는 경감된다.
이에 덧붙여, 등록되어 있지 않는 상대방으로부터 송신되었을 경우에는, 수신원고를 폐기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잘못 송신된 경우 등의 오수신을 회피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수신모드의 지정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모드를 그때 그때마다 절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수신모드의 변경만을 행하면 되므로, 편리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많은 원고를 수신한 경우에 메모리의 용량부족 및 기록지 용지부족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나, 이 경우에는 등록메모리의 내용에 상관없이
(1) 화상메모리의 메모리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기록지 출력으로 절환된다.
(2)기록지의 용지부족이 생긴 경우에는 화상메모리에 기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단, 제 3 실시예와 같은 방법이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대방 전화번호로부터 송신된 원고는 폐기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화상메모리 및 기록지의 유효한 활용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G3팩시밀리를 예시하고 있지만, G4팩시밀리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G4팩시밀리에 적용시킨 경우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반드시 정확하게 통지되므로, 본 발명이 유효하게 기능된다.
그외에,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13)

  1. 수신원고정보를 메모리수단에 축적하는 메모리수신모드와 수신원고정보를 기록지에 기록하는 기록지수신모드와의 적어도 2개의 수신모드를 갖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소망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등록수단, 수신원고정보를 송신원의 전화번호가 상기 등록수단에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모드를 선택하는 수신모드 선택수단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기록지의 종이부족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의 메모리용량을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드선택수단은, 상기 제 1 검출수단에서 기록지의 용지부족이 검출된 경우에는 메모리수신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검출수단에서 메모리수단의 미사용량이 소정량 이하의 경우에는 기록지수신모드로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선택수단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서 상대방 전화번호가 상기 등록수단에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일치된 경우에는, 상기 기록지수신모드로 설정하고,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수신모드로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매뉴얼조작에 의해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상기 수신원고정보에 더하여, 상기 수신원고정보와 대응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기억하는 팩시밀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상기 수신모드를 등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선택수단은 상기 등록수단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수신전화번호가 일치된 경우에,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등록된 수신모드에 따라서 수신처리를 행하고,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로 수신원고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드선택수단은 상기 등록수단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수신전화번호가 일치된 경우에,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등록된 수신모드에 따라서 수신처리를 행하고,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원고정보를 폐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기록지의 용지부족을 검출하는 제 1 검출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의 메모리용량을 검출하는 제 2 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드 선택수단은, 상기 제 1 검출수단에서 기록지의 용지부족이 검출된 경우에는 메모리수신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검출수단에서 메모리수단의 미사용 용량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기록지수신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팩시밀리장치.
  11. 수신원고정보를 메모리에 축적함으로써 수신동작을 행하는 메모리수신모드와 수신원고정보를 직접 기록지에 기록함으로써 수신동작을 행하는 기록지수신모드를 포함하는 수신모드를 갖는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에 있어서, 사전에 소망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제 1 스텝(A4)과, 상대방으로부터의 원고의 수신시에 상대방 전화번호가 상기 제 1 스텝(A4)에서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일치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스텝(B1)과, 상기 제 2 스텝(B1)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수신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수신모드를 선택하는 제 3 스텝(B3,B4)을 구비한 수신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텝은, 기록지의 용지부족을 검출하는 제 1 서브스텝과, 상기 메모리의 메모리용량을 검출하는 제 2 서브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스텝은 상기 제 1 서브스텝에서 기록지의 용지부족이 검출된 경우에는 메모리수신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서브스텝에서 메모리의 미사용 용량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는 기록지수신모드를 선택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신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텝은,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상기 수신모드를 등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스텝은 상기 제 1 스텝에서 등록된 전화번호와 수신전화번호가 일치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시켜 등록된 수신모드에 의해서 수신처리를 행하고,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로 수신원고정보를 출력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신방법.
KR1019930018092A 1992-09-09 1993-09-09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KR0127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40574 1992-09-09
JP4240574A JPH0690340A (ja) 1992-09-09 1992-09-09 ファクシミリ装置
JP4246899A JPH06105029A (ja) 1992-09-16 1992-09-16 ファクシミリ装置
JP92-246899 1992-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386A KR940008386A (ko) 1994-04-29
KR0127276B1 true KR0127276B1 (ko) 1997-12-29

Family

ID=26534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092A KR0127276B1 (ko) 1992-09-09 1993-09-09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27276B1 (ko)
CA (1) CA210574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36U (ko) 2016-07-04 2018-01-12 (주)성심씨앤엠 교체 가능한 굴착용 드릴 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136U (ko) 2016-07-04 2018-01-12 (주)성심씨앤엠 교체 가능한 굴착용 드릴 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05747C (en) 1999-07-20
CA2105747A1 (en) 1994-03-10
KR940008386A (ko) 199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276B1 (ko) 팩시밀리장치 및 그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한 수신방법
JP4018038B2 (ja) 画像送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371250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090659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22694B1 (ko) 팩시밀리에서 수신정보 기록방법
US20090059277A1 (en) Facsimile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0610502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480294B1 (ko) 팩시밀리의원고송신방법
KR100246442B1 (ko) 팩스데이터의부가정보관리방법
KR100318741B1 (ko) 수신측의 출력방식에 따라 팩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US8154772B2 (en) Facsimile apparatus
JP311902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3557995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238055B1 (ko) 팩시밀리 원고 수신 기록시 발신원 정보 기록방법
KR0122446B1 (ko) 팩시밀리에서 플래쉬 메모리팩을 이용한 문서관리장치 및 방법
JP3673476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1309091A (ja) ファクシミリシステム
JP200016555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40024737A (ko) 커버 페이지 작성기능을 구비한 팩시밀리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72344A (ko) 팩스의 원고전체페이지수 송수신방법
JPH0454767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式
JPH0434085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4997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238459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の受信記録紙排出順制御方式
JP2001257834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