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856B1 -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856B1
KR0126856B1 KR1019940033628A KR19940033628A KR0126856B1 KR 0126856 B1 KR0126856 B1 KR 0126856B1 KR 1019940033628 A KR1019940033628 A KR 1019940033628A KR 19940033628 A KR19940033628 A KR 19940033628A KR 0126856 B1 KR0126856 B1 KR 012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input
stat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42A (ko
Inventor
이창문
주범순
박권철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856B1/ko
Publication of KR96002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asynchronous transmission, e.g. token ring, regis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54Detection of the synchronisation error by features other than the received signal tran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전달 모드(ATM)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중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중화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운용을 종속 방식으로 운영하도록 하여 상기 입력 기준 클럭 장애시 이중화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간의 발생 클럭 위상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선택 신호에 따라 클럭을 선택되는 클럭 선택 수단(101);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104); 클럭을 분배하는 클럭 분배 수단(105); 클럭을 감시하고 클럭 상태를 표시하는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102); 종속 신호를 발생하는 종속 신호 발생 수단(106);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신호 발생 수단(103)을 구비하여 입력 기준 클럭이 모두 장애시에도 출력 클럭의 위상을 동기시킬 수 있고 클럭 선택 신호 발생부에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아 구현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 선택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클럭 선택부 102 : LED 표시 및 클럭 감시부
103 : 선택 신호 발생부104 : PLL에 의한 클럭 발생부
105 : 클럭 분배부106 : 종속 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비동기 전달 모드(ATM)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중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기는 외부망에서 입력되는 기준클럭에 위상 고정 방식으로 교화기의 기준이 되는 시스팀 클럭을 발생하는 중앙 클럭 발생 장치와 여기서 발생된 시스템 클럭을 기준 클럭으로 하여 각 스위치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지역 클럭을 발생하는 지역 클럭 발생 장치로 망동기 장치를 구성하여 궁극적으로 외부망에서 입력된 기준 클럭에 ATM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클럭 펄스가 위상 고정되도록 하여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역 클럭 발생 장치는 상기 시스팀 클럭인 입력 기준 클럭 2회선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클럭을 기준 클럭으로 하여 지역 클럭을 발생하며, 상기 지역 클럭 발생 장치는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중화로 구성한다.
종래의 이중화로 구성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는 입력 클럭 장애 발생시 이중화 클럭 발생 장치의 출력 클럭의 위상이 서로 맞지 않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중화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운용을 종속 방식으로 운영하도록 하여 상기 시스팀 클럭의 장애시 주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클럭을 종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에서 기준 클럭으로 사용하여 동기 클럭을 발생하도록 하여 상기 입력 기준 클럭 장애시 이중화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간의 발생 클럭 위상을 일치시키기 위한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 클럭과 접지면이 입력단에 연결되어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클럭 선택 수단; 상기 클럭 선택 수단에 연결되어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 상기 클럭 발생 수단에 연결되어 클럭을 분배하는 클럭 분배 수단; 상기 클럭 선택 수단과 클럭 발생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클럭과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클럭을 감시하고 클럭 상태를 표시하는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 상기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상태 신호와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종속 신호를 발생하는 종속 신호 발생 수단; 상기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과 종속 신호 발생 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클럭 선택 수단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 장치의 구성도로서, 클럭 선택부(101), LED(Light Emitting Diode) 표시 및 클럭 감시부(102), 선택 신호 발생부(103), PLL(Phase Looked Loop)에 의한 클럭 발생부(104), 클럭 분배부(105), 종속 신호 발생부(106)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입력 기준 클럭 선택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클럭 선택부(101)에 입력된 시스팀 클럭인 입력 기준 클럭(RF0, 1) 2회선, 이중화된 상대 지역 클럭 발생 장치에서 입력된 입력 지역 클럭(ILCLK) 1회선을 상기 LED 표시 및 클럭 감시부(102)에서 장애 여부를 감시하고 그 내용을 상기 선택 신호 발생부(103), 종속신호 발생부(106)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선택 신호 발생부(103)에 입력된 클럭 상태 신호, 상기 종속 신호 발생부(106)에서 발생된 종속 상태 신호(MSI)에 의해 클럭 선택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클럭 선택부(101)의 입력 클럭중 1회선을 선택한다.
클럭 선택 방법은 상기 입력 기준 클럭(RF0, 1)이 모두 정상 상태이면 입력 기준 클럭0(RF0)를 선택하고, 하나가 장애 상태이면 정상인 클럭을 선택한다. 선택된 입력 기준 클럭(RF)이 정상이면 다른 클럭의 상태변화에 관계없이 계속 선택한다. 만약 상기 입력 기준 클럭(RF0, 1) 모두 장애 상태이고 종속 상태 신호(MSI)가 자기 지역 클럭 발생 장치가 주된 상태이면 아무 클럭도 선택하지 않고 제1도에 표시된 접지면에 연결된 접지 신호를 선택하여 입력 클럭을 동기 회로에 전달하지 않으며, 만약 종속 상태 신호가 자기 클럭 발생 장치가 종된 상태이면 상기 입력 지역 클럭(ILCLK)을 선택하여 이중화된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출력 클럭의 위상이 동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결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럭 선택부(101)는 입력 기준 클럭0(RF0) 및 입력 기준 클럭1(RF1), 이중화된 상대 클럭 지역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된 입력 지역 클럭(ILCLK) 및 접지면에 데이타 입력단을 연결하고, 선택 신호 발생부(103)로부터 발생된 선택 신호(S)를 선택 신호 입력단에 연결하여 동기 입력 기준 클럭(ILCLK)를 선택하여 상기 PLL에 의한 클럭발생부(104)에 전달한다.
LED 표시 및 클럭 감시부(102)는 상기 입력 기준 클럭(RF0, RF1), 상기 입력 지역 클럭(ILCLK), 상기 클럭 선택부(101)의 출력인 지역 클럭(ICLK), 상기 PLL에 의한 클럭 발생부(104)에 의해 발생된 지역 발생 클럭(CLK), 입력 지역 클럭 상태 신호(ILCLK), 입력 기준 클럭0 상태 신호(RF0I), 입력 기준 클럭1 상태 신호(RF1I)를 데이타 입력단에 연결하여 클럭을 감시하고 출력 지역 클럭 상태 신호(OLCLKI) 및 클럭 상태 신호(CLKM)을 발생하며 클럭 상태를 LED로 표시한다.
PLL에 의한 클럭 발생부(104)는 상기 클럭 선택부(101)의 출력 동기 입력 기준 클럭(ICLK)에 동기된 지역 발생 클럭(CLK)를 발생시킨다.
클럭 분배부(105)는 상기 PLL에 의한 클럭 발생부(104)의 출력인 지역 클럭을 분배한다.
종속 신호 발생부(106)는 상기 LEDC 표시 및 클럭 감시부(102)에 발생된 클럭 상태 신호(CLKM), 상기 이중화된 상대 지역 클럭 발생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종속 상태 신호(IMSI)와 입력 클럭 선택 신호(IS)를 입력받아 상기 이중화된 모든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지역 발생 클럭(CLK)이 장애 상태가 아니고 상기 입력 클럭 선택 신호(IS)가 입력 기준 클럭0(RF)나 입력 기준 클럭1(RF0)을 선택하고 있으면 종속 상태 신호(MSI)가 먼저 주된 상태인 지역 발생 장치가 주된 상태인 종속 상태 신호(MSI)를 발생하고, 상기 입력 클럭 선택 신호(IS)가 입력 기준 클럭(RF0, RF1)을 선택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입력 기준 클럭(RF0, RF1)중 어느 한 입력 기준 클럭(RF)이라도 정상 상태이면 주된 상태의 종속 상태 신호(MSI)를 발생하고, 상기 지역 발생 클럭(CLK)이 장애 상태이면 종속 상태 신호가 종된 상태 신호를 발생하고, 이중화된 모든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입력 기준 클럭(RF0,1) 모두가 장애 상태이면 종속 상태 신호를 변경하지 않는 방법으로 종속 상태 신호(MSI)를 발생시키고 이중화된 상대 지역 클럭 발생 장치에 출력 종속 상태 신호(0MSI)를 출력한다.
선택 신호 발생부(103)는 상기 LED 표시 및 클럭 감시부(102)에서 발생한 클럭 상태 신호(CLKM), 이중화된 상대 클럭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된 클럭 선택 신호(IS)를 데이타 입력단에 연결하여 클럭 선택 신호(S)를 발생시켜 상기 클럭 선택부(101)에 클럭 선택신호(S)를 보내고 이중화된 상기 상대 클럭 발생 장치에 출력 클럭 선택 신호(OS)를 보낸다.
상기 입력 지역 클럭(ILCLK)은 이중화된 상대 지역 클럭 발생 장치의 클럭 분배부의 출력 지역 클럭(OLCLK)을 입력으로 함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클럭 분배부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클럭 선택부(101)은 모토로라사의 ECL IC MC100E171을 상기 LED 표시 및 클럭 감시부(102)는 모토로라사의 ECL IC MC10198, TTL IC 74LS123 등을 상기 선택 신호 발생부(103)와 종속 신호 발생부(106)은 GAL 16V8 등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중화된 지역 클럭 발생장치에 있어 입력 기준 클럭(RF0, 1)이 모두 장애시에도 출력 클럭의 위상을 동기시킨다.
둘째, 클럭 선택 신호 발생부에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아 구현이 용이하다.

Claims (2)

  1. 외부 클럭과 접지면이 입력단에 연결되어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클럭 선택 수단(101); 상기 클럭 선택 수단(101)에 연결되어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 수단(104); 상기 클럭 발생 수단(104)에 연결되어 클럭을 분배하는 클럭 분배 수단(105); 상기 클럭 선택 수단(101)과 클럭 발생 수단(104)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클럭과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클럭을 감시하고 클럭 상태를 표시하는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102); 상기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102)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상태 신호와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종속 신호를 발생하는 종속 신호 발생 수단(106); 상기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102)과 종속 신호 발생 수단(106)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선택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클럭 선택 수단(101)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신호 발생 수단(10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선택 수단(101)은 일측의 데이타 입력단이 접지면에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입력 기준 클럭0(RF0), 입력 기준 클럭1(RF1) 및 입력 지역 클럭(ILCLK)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 신호 발생 수단(103)으로부터 입력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ICLK)를 선택하고, 상기 클럭 발생 수단(104)은 상기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을 입력받아 동기된 지역 발생 클럭을 발생하고, 상기 클럭 분배 수단(105)은 상기 지역 발생 클럭을 입력받아 출력 지역 클럭으로 분배하고, 상기 클럭 상태 표시 및 클럭 감시 수단(102)은 상기 입력 기준 클럭(RF0, RF1), 입력 지역 클럭(ILCLK), 동기 입력 기준 클럭 및 지역 발생 클럭(CLK)을 입력받고 외부로부터 입력 지역 클럭 상태 신호(ILCLKI), 입력 기준 클럭0 상태 신호(RF0I) 및 입력 기준 클럭1 상태 신호(RF1I) 입력받아 클럭을 감시하여 출력 지역 클럭 상태 신호(OLCLKI)와 클럭 상태 신호(CLKM)을 발생하며, 클럭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종속 신호 발생 수단(106)은 상기 클럭 상태 신호(CLKM)을 입력받고 외부로부터 입력 클럭 선택 신호와 입력 종속 상태 신호(IMSI)를 입력받아 종속 신호(MS)를 발생하고, 상기 선택 신호 발생 수단(103)은 상기 클럭 상태 신호(CLKM), 입력 클럭 선택 신호(IS), 종속 상태 신호(MSI)를 입력받아 상기 클럭 선택 수단(101)로 선택 신호(S)를 출력하고 외부로 출력 클럭 선택 신호(0S)를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KR1019940033628A 1994-12-10 1994-12-10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KR0126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628A KR0126856B1 (ko) 1994-12-10 1994-12-10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628A KR0126856B1 (ko) 1994-12-10 1994-12-10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42A KR960027642A (ko) 1996-07-22
KR0126856B1 true KR0126856B1 (ko) 1998-04-01

Family

ID=1940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628A KR0126856B1 (ko) 1994-12-10 1994-12-10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8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8062B2 (en) 2003-12-17 2007-12-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providing system clock synchronized to a network universal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390B1 (ko) * 1998-03-20 2001-05-02 김영환 데이터전송장치의클럭선택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8062B2 (en) 2003-12-17 2007-12-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providing system clock synchronized to a network universal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42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8595A (en) Timing synchronization and switchover in a network switch
US6816818B2 (en) Method, clock generator module and receiver module for synchronizing a receiver module
US6631483B1 (en) Clock synchronization and fault protec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device
KR0126856B1 (ko) 동기용 입력 기준 클럭 선택장치
US8995471B2 (en) Shelf of a network synchronization device, and network synchronization device
KR100328757B1 (ko) 전송시스템의 클럭신호 전환에 의한 오류방지 장치
KR100440572B1 (ko) 이중화된 스위치 보드 및 라인 접속 보드 사이의 클럭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CN110149163B (zh) 一种标准数字时钟系统冗余切换的电路
KR920007078B1 (ko) 스페이스 스위치 클럭 보드 어셈블리
JP2776417B2 (ja) 多重化クロック分配方式
KR0164110B1 (ko) 시스템 클럭 분배 장치
JP2746683B2 (ja) クロック位相制御回路
KR100257253B1 (ko) 교환기의 망동기 장치
KR0136521B1 (ko) 이중화 클럭선택장치
KR20040083860A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의 스위치/망동기 장치
JP2000106565A (ja) バス接続拡張方式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同期および無瞬断クロック切替方式
KR100260623B1 (ko) 광전송장치에서 수신데이터 처리장치
KR100326296B1 (ko) 망동기장치의클럭분배부에서운용자요구에의한기준클럭및마스터클럭변경방법
KR100257344B1 (ko) 디지탈 피엘엘 회로
JP3286926B2 (ja) 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クロック切替方式
KR100322344B1 (ko) 에이디에스엘의 디에스엘에이엠 동기 클럭 절체회로
KR920005107B1 (ko) 데이타 링크 인터페이스 장치
KR100343929B1 (ko) 기준 클럭 감시 장치
JP3688754B2 (ja) 網同期クロックの切替方式
JPH0561782A (ja) 割り込み制御用基準時間信号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