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09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09B1
KR0126409B1 KR1019950006315A KR19950006315A KR0126409B1 KR 0126409 B1 KR0126409 B1 KR 0126409B1 KR 1019950006315 A KR1019950006315 A KR 1019950006315A KR 19950006315 A KR19950006315 A KR 19950006315A KR 0126409 B1 KR0126409 B1 KR 0126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hose
movable body
pipe
treatm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87A (ko
Inventor
마사오 가와가미
Original Assignee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다쓰노 히로미찌
Publication of KR95003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고정식과 호스현수식의 양자의 이점을 살려서 구조가 간단하고 값싸며, 또 움직임도 원활해서 취급하기 쉽고 또 가스센서의 설치가 용이하여 디자인이 좋은 급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급유소부지에 형성된 세로길이 아이랜드에 설치된 계량유닛과 상기 계량유닛의 상방에 아이랜드에 직교하게 설치한 호스처리케이스와, 상기 호스처리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긴구멍에 따라서 마련된 이동체가이드와, 상기 이동체가이드를 따라서 주행하는 단관을 마련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이동체가이드의 한쪽측으로 잡아당기는 견인수단과, 상기 호스처리케이스내로 돌출된 상기 계량유닛으로부터의 급유관과 상기 이동체의 단관의 한쪽측과의 사이를 연결한 호스와, 상기 이동체의 단관의 다른쪽측에 한끝이 접속되고 다른끝측이 매달아 내려진 선단에 급유노즐이 있는 급유호스와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급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호스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호스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전체구성의 외관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지주와 급유관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이랜드2 : 계량유닛
3 : 흡입관4 : 급유모우터
5 : 급유펌프6 : 유량펄스발신기
7 : 유량계8 : 배출관
9 : 노즐걸이10 : 표시기
11 : 지주12 : 급유관
13 : 급유노즐14 : 급유호스
15 : 스위벨조인트16 : 호스
17 : 가스흡입펌프18 : 가스흡인파이프
19 : 단관21 : 호스처리장치
22 : 호스처리케이스23 : 레일(이동체가이드)
25 : 대차(이동체)26 : 차륜
27 : 견인수단29 : 자석(구속수단)
30 : 분리막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등에 연료를 공급하는 급유소에 설치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급유장치에는 지상고정식인 것과 호스현수식인 것이 있다.
지상고정식은 지상에 설치한 아이랜드에 급유기구를 내부에 넣는 스탠드를 세워 설치하여 이 스탠드로부터 급유호스를 도출하는 것이 있으나, 지상에 아이랜드가 있는 까닭에 급유호스의 길이가 한정되어서 급유범위가 좁은 결점이 있다.
한편, 호스현수식은 급유관을 지주상부등의 높은 곳에 설치한 호스처리장치까지 세워 올려서 호스처리케이스의 호스릴로부터 급유호스를 현수하는 것이다. 호스현수식은 급유범위를 넓게 확보할 수 있으나 급유할때마다 급유호스의 승강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 두 타입을 조합해서 각각의 이점을 살리는 것으로 앞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5-147580호 공보의 발명을 제안하였고, 다시 급유호스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5-330599호 공보의 발명을 제안하였다. 이들의 급유장치는 어느것이나 노즐걸이를 갖는 스탠드를 아이랜드 상에 설치하고, 캐노피(canopy) 또는 지주의 상부에 마련한 호스처리케이스내를 주행하는 이동체로부터 급유호스를 현수해서 급유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
그렇지만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5-147508호 공보의 급유장치에서는 급유호스의 이동을 모우터로 행하는 까닭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원가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고,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성 5-330599호 공보의 급유장치에서는 급유호스를 호스처리케이스의 선단측으로 잡아당겼을때에 항상 힘을 걸고 있지 않으면 급유호스가 아이랜드측으로 쏠리고 마는 까닭에 작업자가 급유중에 항상 붙어 있지 않으면 않되며 또 호스처리케이스내의 호스에 무리한 구부러짐이 가해져서 호스를 상하게 하거나, 움직임이 원활치 못한 결점이 있었다. 또 급유할때 잘못 급유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센서가 이용되나 가스흡입용 펌프의 설치장소를 어디에 설치하는가에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지상고정식과 호스현수식의 양자의 이점을 살려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며, 또 동작도 원활해서 취급하기 쉽고, 또 가스센서의 설치가 용이하여 디자인이 좋은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급유장치는 급유소부지에 형성된 아이랜드에 설치된 계량유닛과, 상기 계량유닛의 상방에 아이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교해서 설치한 호스처리케이스와, 상기 호스처리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된 긴 구멍을 따라서 마련된 이동체가이드와, 상기 이동체가이드를 따라서 주행하는 단관(短管)을 마련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이동체가이드를 따라 지주축(11)으로부터 멀어질때 원위치로 잡아당기도록 견인하는 견인수단과, 상기 호스처리케이스내로 도출된 상기 계량유닛으로부터의 급유관과 상기 이동체의 단관의 한쪽측과의 사이를 연결한 호스와, 상기 이동체의 단관의 다른쪽측에 한 끝이 접속되어 다른끝측이 매달아내려진 선단에 급유노즐을 갖는 급유호스와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이동체의 단관과 상기 급유관으로부터의 호스와는 스위벨조인트(swivel joint)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체가 이동체가이드의 한쪽측의 끝부로 이동했을때 상기 이동체를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이랜드에는 상방의 호스처리케이스를 향해서 지주가 세워 설치되며, 또 상기 계량유닛은 저유탱크로부터의 흡입관에 접속된 급유펌프 및 급유량을 계량표 시기로 출력하는 유량계가 있으며, 그 유량계의 배출구에 접속된 급유관이 상기 지주를 따라서 세워 올려져서 상기 호스처리케이스내로 도출되며, 상기 계량유닛의 케이스에는 급유노즐을 거는 노즐걸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를 따라서 세워 올려진 급유관 부분은, 커버로 덮어씌워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유노즐에 가스센서용 흡인파이프구가 병설되며 가스흡인용 파이프가 상기 급유호스에 병설되어서 상기 이동체가이드내에 마련된 가스흡인용 펌프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스처리케이스내에서 호스는 지주와 반대측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지주측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공간측에 배치되어 있는 가스흡입용 펌프에 상기 가스흡인용 파이프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아이랜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급유인 경우는 아이랜드의 상방의 이동체가이드를 주행하는 이동체로부터 현수된 급유호스를 아이랜드에 직교해서 잡아당기면 상기 이동체가 이동체가이드를 따라서 주행하여 급유호스의 매달아 내린점이 이동체가이드의 바깥측 끝으로 이동한다. 급유를 내리고 급유호스를 풀어놓으면 상기 이동체는 견인수단에 의해서 끌어당겨져서 상기 급유호스가 매달아 내린점에 가까운 위치(즉, 지주(11)측 가까이의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이동체의 단관과 급유관으로부터의 호스와를 스위벨조인트를 통해서 연결하는 것으로 호스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이동체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어 호스를 상하게 함이 없이 짧게 할 수가 있다. 아이랜드로부터 떨어진 위치의 급유를 위하여 이동체가 이동체가이드의 외측끝부로 이동했을때 이동체의 운동을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체는 견인수단에 의한 끌어당겨지는 힘에 대항하여 그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구속되므로써 급유중에 별도 힘에 의해 급유호스를 간직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급유가 끝나면 급유호스를 안쪽으로 끌어당기므로서 구속수단에 의한 일시적 구속이 해제되어서 이동체는 상기 견인수단에 의한 와이어 견인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급유노즐에 가스센서용 흡인파이프구를 병설하여 가스흡인용 파이프를 이동체 가이드내의 가스흡인용 펌프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유종검지가 용이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급유착오를 방지할 수가 있다. 지주를 따라서 세워 올라가는 급유관을 커버하여 가스흡인펌프를 호스처리케이스내로 수납하는 것으로 체제가 좋게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호스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호스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외관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지주와 급유관 부분의 수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급유소의 부지내에 마련한 아이랜드(1)상에는, 예를 들면 고옥탄가솔린, 보통가솔린, 경유등을 급유하기 위한 계량유닛(2)이 배치되어져 있다. 이 계량유닛(2)의 한쪽의 끝측에는 각 기둥으로 되는 지주(11)가 아이랜드(1)상에 직립으로 세워 설치되며, 이 지주(11)의 상부에는 호스처리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량유닛(2)은 그 케이스(2a)내에 유종마다에 지하탱크로 연이어 통하는 흡입관(3)이 세워 올려지고 이 흡입관(3)에 급유모우터(4)로 접속된 급유펌프(5), 유량펄스발신기(6)가 접속된 유량계(7)가 배설되며, 이 유량계(7)의 출구측에 배출관(8)이 접속되어져 있다. 또 이 계량유닛(2)의 케이스(2a) 전면에는 급유노즐(13)을 거는 노즐걸이(9)가 설치되며, 케이스(2a)상면에는 유종, 급유량등의 급유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지주(11)의 측면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유종마다에 각각 배출관(8)에 접속된 급유관(12)(예를 들면 3종류의 기름이 각각 2개씩 합계 6개)이 세워 올려지며 그 급유관(12)이 커버(11a)에 의해 모양좋게 덮어씌워져 있다.
호스처리장치(21)는 아이랜드(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방체형으로 형성된 호스처리케이스(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호스처리케이스(22)의 하부에는 고옥탄가솔린, 보통가솔린, 경유용등의 각각 3열의 긴구멍(22a)…이 형성되며 각각의 긴구멍(22a)의 양측에는 대차(이동체)(25)를 주행시키는 한쌍의 레일(23)(이동체가이드)이 부설되어 있다.
대차(이동체)(25)는 레일(23)(이동체가이드)상을 굴러가는 차륜(26)을 가지며, 호스처리케이스(22)내의 중앙부측에 배치된 견인수단(27)에 의해 와이어(28)를 통해서 지주 방향으로 끌어당겨지도록 힘을 받고 있다. 또 호스처리케이스(22)내의 견인수단(27)의 반대측의 선단부에 자석(구속수단)(29)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25)가 호스처리케이스(22)의 선단부에 왔을 때에는 자석(구속수단)(29)이 대차(25)의 끝부분의 자성체(25a)를 흡착하므로서, 견인수단(27)의 견인력에 대항해서 대차(25)가 그 위치로 보존유지되어진다.
대차(25)에는 단관(19)이 긴구멍(22a)를 통해서 아래측을 향하여 마련되며 또 이 단관(19)의 위끝부에 스위벨조인트(15)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벨조인트(15)의 한쪽의 접속구에는 가요성이 있는 호스(16)의 한끝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호스(16)는 호스처리케이스(22)내에 있어서 지주(11)와 반대측으로 구부러져서 그 다른끝단부가 지주(11)를 따라서 호스처리케이스(22)내에 세워 올려진 급유관(12)에 이음쇄(12a)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호스처리케이스(22)내에는 호스(16)가 휘어졌을때 인저호스와 엉키거나 교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 또는 막대 모양체로 만들어진 분리막대(30)가 마련되어 있다.
단관(19)의 하단부에는 선단에 급유노즐(13)을 갖는 급유호스(14)의 한끝부(상단)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급유호스(14)는 단관(19)에 접속된 부분으로부터 긴구멍(22a)을 통해서 아래쪽으로 매달아 내려지며, 그 급유노즐(13)이 대응하는 노즐걸이(9)에 걸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호스처리케이스(22)내의 중앙부측의 공간에는 가스흡입펌프(17)가 배치되어 있고, 호스(16)로부터 급유호스(14)를 따라서 병설된 가스흡인파이프(18)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된 가스를 도시하지 않은 가스센서에 의하여 검지해서 피급유탱크내의 유종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급유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유하는 자동차의 피급유구가 아이랜드(1)측에 있는 경우는 급유노즐(13)을 노즐걸이(9)로부터 떼어내서 급유하는 것에 의하여 지상고정식의 급유장치와 같은 모양으로 급유할 수 있다. 그러나, 급유하는 자동차의 피급유구가 아이랜드(1)의 반대측에 있는 경우는 상기의 방법으로 급유하면 급유호스(14)가 자동차에 걸려서 급유가 곤란하다.
그래서 자동차의 피급유구가 아이랜드(1)의 반대측에 있는 경우는 급유노즐(13)을 노즐걸이(9)로부터 떼어낸 후 피급유구의 방향 즉, 아이랜드(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견인수단(27)에 대항해서 손으로 잡아당기면 대차(25)가 레일(23)을 따라서 긴구멍(22a)의 끝으로 이동하여 급유호스(14)를 최초로 매달아내린 위치(14a)에서 앞끝측의 매달아내린 위치(14a)로 이동하여 자동차의 피급유구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때 자석(29)이 대차(25)의 한끝의 자성체(25a)를 흡착하므로 대차(25)는 견인수단(27)의 견인력에 대항하여 그 위치에서 고정되며(즉 자석의 흡착력이 견인력보다 큼), 급유호스(14)로부터 손을 떼어도 급유호스(14)는 원래의 위치로는 되돌아가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작업원이 급유중에 특별한 힘을 가하고 있지 않아도 급유를 계속할 수 있다.
상기의 상태에서 급유를 행하면 지하탱크로부터 퍼올려진 기름은 흡입관(3), 급유펌프(5), 유량계(7), 배출관(8), 급유관(12), 호스(16), 스위벨조인트(15), 단관(19) 및 급유호스(14)를 통해서 급유노즐(13)로부터 자동차의 탱크로 배출하고, 그 급유데이터가 표시기(10)에 표시된다.
급유가 끝나서 급유호스(14)를 아래측에서 지주(11)측으로 조금 강하게 끌어당기면 대차(25)의 자성체부(25a)가 자석(29)으로부터 떨어져서, 대차(25)는 견인수단(27)의 견인력에 의해서 지주(11)방향으로 이동하고, 급유호스(14)를 최초로 매어달아 내린위치(14a)로 되돌아온다. 그래서 급유노즐(13)을 노즐걸이(9)로 되돌려 놓으면 급유호스(14)는 아이랜드(1)의 근처에서 계량유닛(5)으로 내려지기 때문에 걸리는 일은 없다.
호스처리장치(21)내의 호스(16)는 대차(25)의 이동에 의해서 휘어지게되나 스위벨조인트(15)가 마련되어 있는 까닭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원활하게 구부러져서 호스(16)를 상하게 하는 일이 없고, 또 짧게할 수가 있으며, 또한 분리막대(30)가 부설되어 있으므로 서로 엉키는 일은 없다.
또, 피급유탱크의 유종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급유노즐의 선단을 피급유탱크의 급유구에 접근시키고 가스흡인펌프(17)을 작동시키면 기름가스가 흡인되어서 도시하지 않은 유종센서에 의해서 유종을 검지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급유착오를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급유장치에서는 급유하는 자동차의 피급유구의 위치에 따라 지상고정식과 현수식의 이점을 공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랜드상에 세워 설치한 지주의 상부에 호스처리장치를 마련하였으나 지주를 세워 설치하지 않고서도 급유범위의 캐노피로부터 매어달아 내려도 좋고, 또 대차를 끌어당기는 수단으로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견인수단을 사용하였으나 기타의 수단이라도 좋다.
또한 일시적인 구속수단으로서 자석을 사용하였으나, 대차가 호스처리케이스의 선단부에 왔을 때에는 걸림쇄에 걸리고 강하게 지주쪽으로 끌어당길 때는 걸림쇄가 벗겨지는 래치기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가장 적절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개량 및 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유장치에 의하면 급유하는 자동차의 피급유구가 계량유닛에 가까운 측인 경우는, 아이랜드상에 설치한 노즐걸이가 있는 계량유닛의 노즐걸이로부터 급유노즐을 떼어내서 즉시 급유하게 되므로 지상고정식과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급유할 수가 있다. 또 피급유구가 계량유닛으로부터 떨어져서 반대측에 있는 경우는, 급유노즐을 노즐걸이로부터 떼어낸 후, 급유하는 자동차의 피급유구의 방향을 향해서 견인수단의 견인력에 대항해서 손으로 급유호스를 끌어당기면 급유호스가 현수되어 있는 상단부가 이동하여 자석수단에 의해 흡착되어 피급유구의 상방에 고정된채 위치하게 되므로 급유하는 자동차에 걸리는 일도 없고, 또 그의 주행을 저해하는 일도 없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급유장치는 지상고정식과 현수식의 양자의 이점을 겸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동체의 단관과 급유관으로부터의 호스와를 스위벨조인트를 개재하여 연결하므로써 호스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이동체의 움직임이 원활하게 되며, 호스를 상하게 하는 일이 없이 짧게 할 수 있다. 이때 급유호스의 도중을 지지하고 있는 상부의 대차를 케이스의 끝단부로 이동시켰을때 자석등의 구속수단에 흡착되어지므로 급유호스로부터 손을 떼어도 급유호스는 원래의 위치로는 되돌아가지 않으며 그 상태에서 하부로 수직으로 내려져 있으므로 급유를 계속할 수가 있다. 또 급유가 끝나서 급유호스를 지주쪽으로 강하게 끌어당기면, 대차가 자석으로부터 벗어나서 와이어를 통한 견인에 의해서 급유호스가 현수되어 있는 상단부가 지주에 가까운 위치로 되돌아오므로 자동차의 주행을 방해하지 않고 급유를 완료한다.
더욱 급유노즐에 가스센서용 흡인파이프를 병설하고 이동체가이드내에 가스흡인용 펌프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급유전에 피급유탱크의 유종의 확인이 용이해서 다른 기름을 넣는 착오급유를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 더 지주를 따라서 세워 올라간 급유관을 커버하여 가스흡인펌프를 호스처리케이스내에 수납하는 것에 의해서 외관이 좋고, 또한 착오급유의 방지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5)

  1. 급유소부지에 형성된 긴 길이를 갖는 아이랜드(1)에 설치된 계량유닛(2)과 ; 상기 계량유닛(2)의 상방에 아이랜드의 길이 방향에 직교해서 설치한 호스처리케이스(22)와 ; 상기 호스처리케이스(22)의 하부에 형성된 긴구멍(22a)을 따라서 마련된 이동체가이드(23)와 ; 상기 이동체가이드(23)에 따라서 주행하는 단관(19)을 마련한 이동체(25)와 ; 상기 이동체가이드(23)의 일끝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25)를 끌어당기도록 견인하는 견인수단(27)과 ; 상기 계량유닛(2)으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호스처리케이스(22)내로 도출되어지는 급유관(12)과 ; 상기 급유관(12)과 상기 이동체(25)의 단관(19)에 부착된 스위벨조인트(15)와의 사이에 연결된 호스(16)와 ; 및 상기 이동체(25)의 단관(19)의 하단에 접속되어 하부로 매달아 내려지며, 매달아 내려진 선단에 급유노즐(13)이 장착되어 있는 급유호스(14)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5)가 이동체가이드(23)의 일끝으로 이동했을때 이동체(25)를 일시적으로 구속하는 구속수단(29)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랜드(1)에는 상방의 호스처리케이스(22)를 향해서 지주(11)가 세워 설치되며, 또한 상기 계량유닛(2)은 저유탱크로부터의 흡입관(3)에 접속된 급유펌프(5) 및 급유량을 계량하여 표시기(10)로 출력하는 유량계(7)를 가지며, 그 유량계(7)의 배출구에 접속된 급유관(12)이 상기 지주(11)를 따라서 세워 올려져서 상기 호스처리케이스(22)내로 돌출되며 상기 계량유닛(2)의 케이스(2a)에는 급유노즐(13)을 거는 노즐걸이(9)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노즐(13)과 급유호스(14)에 가스센서용의 가스흡인파이프(18)가 병설되고 그 가스흡인파이프(18)가 상기 이동체가이드(33)내에 설치된 가스흡인펌프(17)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처리케이스(22)내에서 호스(16)는 지주(11)와 반대측으로 구부러져서 지주(11)측과의 사이에 형성하는 공간측으로 상기 가스흡인펌프(17)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KR1019950006315A 1994-05-23 1995-03-24 급유장치 KR0126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4-130813 1994-05-23
JP6130813A JPH07315498A (ja) 1994-05-23 1994-05-23 給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87A KR950031887A (ko) 1995-12-20
KR0126409B1 true KR0126409B1 (ko) 1997-12-24

Family

ID=1504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315A KR0126409B1 (ko) 1994-05-23 1995-03-24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15498A (ko)
KR (1) KR0126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76U (ko) 2017-01-05 2018-07-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평 유지용 지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76U (ko) 2017-01-05 2018-07-1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평 유지용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15498A (ja) 1995-12-05
KR950031887A (ko)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9975B2 (ja) 給油装置
KR0126409B1 (ko) 급유장치
JPH09188399A (ja) 給油装置
JP2827707B2 (ja) 給油装置
JP2884996B2 (ja) 給油装置
JP3360783B2 (ja) 給油装置
JP2757675B2 (ja) 給油装置
JP5720648B2 (ja) 給油装置
JP3075059B2 (ja) 給油装置
JP3784888B2 (ja) 給油装置
JPH05330598A (ja) 給油装置
JP3055276B2 (ja) 給油装置
JPH06336298A (ja) 給油装置
JP3353386B2 (ja) 給油装置
JP3293117B2 (ja) 給油装置
JP4025959B2 (ja) 給油装置
JP3107272B2 (ja) 給油装置
JP3271733B2 (ja) 給油装置
JPH0551096A (ja) 給油装置
KR20010051367A (ko) 급유장치
KR101446568B1 (ko) 급유 장치
JPH08230998A (ja) 給油装置のホース処理機構
JP3139047B2 (ja) 給油ホースの収納機構
JPH0764400B2 (ja) 給油所
JPH0812000A (ja) 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