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21B1 -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21B1
KR0126221B1 KR1019900001925A KR900001925A KR0126221B1 KR 0126221 B1 KR0126221 B1 KR 0126221B1 KR 1019900001925 A KR1019900001925 A KR 1019900001925A KR 900001925 A KR900001925 A KR 900001925A KR 0126221 B1 KR0126221 B1 KR 012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wastewater
ferre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846A (ko
Inventor
미노루 타다
쇼우지 하라다
쇼우조 코이케
유키오 카와구찌
타모쯔 미쥬구찌
히로요시 에모리
나오미찌 모리
토시오 야마데라
마사미 호타
히로키 나카무라
타쯔오 스미노
타카시 키마타
유무꼬 후지이
Original Assignee
니시마 사타카
히타찌 프랜트 겐세쯔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고지
니혼 게스이도우 지교우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마 사타카, 히타찌 프랜트 겐세쯔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고지, 니혼 게스이도우 지교우단 filed Critical 니시마 사타카
Publication of KR90001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8Aerobic processes using moving contact bodies
    • C02F3/085Fluidiz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02Materials removed
    • Y10S210/903Nitrogeno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초화조유니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초화조유니트를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에 조입시킨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초화조유니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초화조유니트를 활성오니를 사용하는 오수처리조에 조입시킨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절개 사시도,
제6도는 초화조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초화조유니트의 확대 상세도,
제8도는 초화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절개 사시도,
제9도는 초화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초화조유니트를 이용한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에서의 오수의 흐름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13도는 제12도의 요부확대 원리 설명도,
제14도는 산기량과 순환비와 관계 표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개선예를 도시한 부분 구성도,
제17도, 제18도, 제19도, 제20도, 및 제21도는 각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22 : 초하조5, 26 : 상부공간
10, 30, 96, 111 : 페리트(Pellet)11, 29, 112, 134, 166 : 산기장치
21, 31, 51 : 활성오니에 의한 처리조13, 32, 52a, 52b, 98, 120 : 혐기조(
嫌氣槽)
14, 103 : 교반기136, 146 : 웨지와이어
본 발명은 오수의 초화처리장치(汚水의 硝化處理裝置)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화세균을 포괄고정한 입상체를 이용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성오수(이하, 단순하게 오수라고 한다)의 생물학적 처리법으로서는 활성오니 순환법이 알려지고 있다. 이 방법은 탈질조, 초화조 및 침전지를 각각 설치하고, 탈질조에 공급된 오수는 탈질조 내에서 혐기조건하에서 탈질세균의 작용에 의하여 오수중의 질소성분은 NO3 -→N2의 반응에 의하여 질소가 되어서 제거된다. 한편, 탈질조의 처리액은 초화조내에서 호기조건하에서 초화세균의 작용에 의하여 처리액내의 질소성분은 NH3 +→NO3 -가 된다.
초화조의 처리액의 대부분은 초화액 순환라인을 경유하여 탈질조에 복귀되고, 초화처리액 내의 질소성분 NO3 -는 재차 탈질조에서 상기 반응에 의하여 질소가 되어 액중에서 제거된다. 초화조의 처리액 일부는 침전조에 공급되어 얻어진 처리수는 방류되며, 침전한 오니는 대부분이 상기 탈질조에 복귀되고, 잔류부는 잉여오니로서 처분된다. 그리고, 이 처리공정에서는 오수중의 BOD성분도 분해 제거된다. 이 처리방식은 활성오니법과 동일하게 기여하는 활성오니(미생물의 집합물)가 부유 순환하는 방식이고, 증식속도가 늦는 초화세균은 잉여오니로서 계외에 유출하기 쉽고, 또한 저수온에서는활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초화세균을 고정화하고 고농도로 균체를 보존하여 반응속도를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전되고 있으며 고분자 함수겔 중에 초화세균을 고정화시킨 입상체를 활성오니 순환법의 초화조에 투입하고 효율좋게 질소제거를 하기 위한 처리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 58-40198 서독 특허출원번호 P3131989.0).
그러나, 종래의 초화세균의 고정화 장치로서는 초화조에서 탈질조로의 초화액의 순환을 펌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에 소요되는 동력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초화액 순환을 위한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는 오수의 초화처리장치를 제공하고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화세균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장치와 입상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입상체 분리장치를 설치한 초화처리장치 내에 초하세균을 고농도로 보존시킨 입상체를 투입하고, 이것을 유니트로서 처리조 내에 단수 또는 복수개 배치하도록 한 것이다. 다시, 초화처리장치에 산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초화처리장치와 처리조의 다른 영역인 생물반응조와를 피소화액을 순환할 수 있도록 유로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초화세균 고정화 담체는 초화처리장치 내에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담체의 투입 및 회수는 초화처리장치를 처리조에 투입하거나 인출하거나 하는 것만으로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초화처리장치는 처리조의 어느 곳에나 배치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질소제거 프로세스에 적합한 운전이 가능하고, 종래의 활성오니에 배치하여 오수중의 암모니아성 질소를 초산이온을 하여 방류하는 것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산기에너지를 이용한 초화액순환을 함으로써 순환 펌프가 불필요하게 되어 소비동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한 오수의 초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초화조를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초화조를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에 조입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초화조(1)는 사각용기 형상의 초화조본체(2) 측면하부측에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리인으로 된 유입구(3)가 설치되고, 이 측면상부에는 초화조본체(2)와 경사판(4)을 개재하여 구획시킨 상부공간(5)을 구비하였다. 이 상부공간(5)은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된 유출구(6)가 설치되고, 상부공간(5)을 형성하는 측면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개구부(7)가 설치되었다. 상부공간(5) 내에는 유입통(堰)(8)이 설치됨과 동시에 유입통(堰)(8)에 집속된 관(9)은 경사판(4)과 초화조본체(2)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의 초화조본체(2) 외부에 연통되었다.
또한, 초화조본체(2) 내에는 초화세균을 담지한 페레트(10)가 유동가능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 페레트(10)로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겔화 가능한 유기화합물로서 초화세균을 뭉쳐서 입상으로 한 것이 유효하다. 또, 초화조본체(2)의 저부에는 산기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초화조(1)(이하, 초화조유니트라고 한다)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12)의 일측면에 배치되어서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12)내의 초화조(1)를 제외한 내부는 혐기조(13)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혐기조(13)와 초화조본체(2)와는 유입구(3)와 유출구(6) 및 개구부(7)를 통하여 오수가 순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우기,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12)의 저부에는 교반기(14)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에 있어서의 오수처리법을 설명한다.
혐기조(13) 내에 공급된 오수는 교반기(14)에 의하여 교반되어서 부유오니와 혼합한 후, 이 혼합액은 유입구(3)에서 초화조유니트(1) 내에 유입한다. 초화조유니트(1) 내에는 산기장치(11)에서의 공기에 의하여 유동화된 페레트(10)의 작용에 의하여 오수중의 질소성분이 초화된 후, 혼합액은 상향 흐름에 의하여 유출구(6)에서 상부공간부(5)에 유출한다. 상부공간부(5)내의 혼합액은 그 일부가 유입통(溢流堰 )에서 배관(9)을 경유하여 침전조(도시하지 않았음)에 이송되고, 나머지는 개구부(7)를 통하여 혐기조(13)에 순환되고, 여기에서 오수중의 BOD 성분을 이용하여 탈질된 침전조에서는 고액분리되고, 상징수는 배수된다.
이와 같이 산기장치(11)를 초화조유니트(1)의 저부에 유입구(3)를 초화조측면 저부측에, 유출구(6)를 경사판(4)에 각각 설치하여 산기장치(11)에서의 에어의 에커리프트 효과에 의하여 용이하게 순환류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산기장치(11)로부터의 산소를 초화세균에 부여하고, 에어에 의하여 페레트(10)를 교반한다. 그리고, 이 순환수량은 개구부(7)의 개구면적을 조정가능한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할 수가 있다. 순환수량은 오수의 유입량의 1-10배, 바람직하게는 2-5배가 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순환수량은 산기장치(11)에서 산기량을 조정함으로서 가능하다.
제14도에 산기량 Q와 순환비 R(순환수량에 대한 표준적인 오수 유수량의 비)의 관계에 관하여 실험결과를 도시하였다. 산기량 Q는 초화조유니트(1)의 유효단면적당의 유량으로 표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의하면 산기량 Q와 순환비 R은 실용적인 범위에서는 거의 비례관계에 있고, 전기 순환비 R의 바람직한 범위 2-5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산기량 Q를 5-18m3/m2·h로 조정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화세균을 고정화시킨 페레트의 경우 초화활성의 입상이 빠르고, 활성도 안정되며 질소제거 효율이 안정된다. 특히 고정화하는 균체로써 초화세균을 포함한 활성오니를 일단 순양하여 초화세균의 농도를 높게한 것을 고정하면 초화활성의 입상이 빠르지만 재취한 오니를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오니를 고농도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조기에 초화활성의 입상이 인정된다. 페레트의 입경은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단위용적당의 초화활성이 향상한다.
그러나, 입경(粒徑)이 지나칠 정도로 작으면 페레트가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된 유출구(6)에서 유출하기 쉽게 되어 좋지 아니하다. 따라서, 페레트의 입경은 실용상 1.5㎜이상, 비람직하기로는 2.0㎜-10.0㎜의 범위에서 선택한다.
페레트의 충전률은 작으면 초화반응속도가 저하되고, 크면 페레트의 유동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페레트의 충전률은 실용상 5-60%, 바람직하게는 5-30%의 범위에서 선택한다. 제3도는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내에 배치되는 초화조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초화조유니트를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내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초화조유니트(21)는 초화조본체(22)의 내부가 간막이판(23)에 의하여 하부측이 연통한 상태로 2개로 구획되어 있다. 초화조본체(22)의 일측면에 유입구(24)가 설치되고 이 유입구(24)가 설치된 초본체 측면과 반대측의 측면측에 경사판(25)이 배치되어서 상부공간(26)이 구성되어 있다. 경사판(25)에는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된 유출구(27)가 형성되고, 상부공간(26)과 그 하부측의 조내부가 연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공간(26)에는 1개 또는 복수의 수로 본도면에서는 한쌍의 수로(28)가 설치되어 있다.
초화조유니트(21)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산기장치(29)가 설치됨과 함께 초화조본체(22) 내에는 초화세균을 고정화시킨 페레트(30)가 유동가능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초화조유니트(2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31)의 일측면부에 배치되어서 초화조유니트(21)를 제외한 조내부는 혐기조(32)를 구성하고, 혐기조(32)에는 교반기(33)가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34)는 유량조정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에서는 유입구(24)가 수면에 가까운 수면밑에 배치되어 있고, 간막이판(23)의 하단부가 깊은 곳까지 도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입구(24)에서 초화조유니트(21)내에 유입한 오수와 활성오니와의 혼합액은 하향흐름이 되어서 흐른다. 따라서 유입구(24)에서 페레트(30)가 유출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유입구(24)는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이 필요없게 하여도 된다.
또한, 유출구(27)는 경사판(25)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방에서 상승하는 공기와 페레트(30)가 웨지와이어등의 스크린에 부착한 어려움을 세정한 결과, 막혀버림이 해소되어 역세등의 조작이 필요없다. 유출구(27)에서 유출한 혼합액은 수로(28)를 통하여 혐기조(32)에 순환된다. 따라서, 초화조유니트(21)에서 혼합액은 수로(28)에 의하여 혐기조(32)내에 있어서의 탈질효과가 높은 오수유입부 부근에 순환된다. 더우기, 수로(28)의 출구에는 조절구(도시하지 않았음)를 설치하고 혼합액의 순환량을 조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절개 사시도이다. 이 활성오니에 의한 오수처리조는 대형의 오수처리조(51)내에 제3도로 도시한 초화조유니트(21a),(21b)를 소정의 단격을 두고 배치함과 함께 초화조유니트(21a)의 외측면과 처리조(51)의 내벽과의 사이에 각각의 혐기조(52a),(52b)에 연통하는 간극부(53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54는 상기의 유입구(24)에 상당하는 간막이이다. 따라서, 제5도에 있어서, 제3도와 제4도와 동일 구성부는 동일 부호로써 표시하고, 구성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처리조(51)에 있어서는 오수는 도면중의 좌단에 의하여 유입하고 제1조째의 혐기조(52a)의 오수와 활성오니의 혼합액은 그일부가 제1조째의 초화조유니트(21a)에 유입하고 나머지는 간극부(53a)를 통하여 제2조째의 혐기조(52b)에 유입한다.
혐기조(52b)의 혼합액은 동일한 상태로 그 일부가 제2조째의 초화조유니트(21b)에 유입하고 나머지는 간극부(53b)를 통하여 다음 단계의 공정에 유입한다. 더우기, 제5도에 도시한 초화조유니트(21a),(21b) 대신에 제1도에 도시한 초화조유니트(1)를 처리조(51) 내에 배치하여도 된다.
제6도는 초화조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초화조유니트(61)는 초본체의 일측면 하부측에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된 유입구(62)가 설치되고, 이 측면의 상부측은 조내부측의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이 경사면에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된 유출구(63)가 설치되어 있다. 초화조유니트(61)내에 페레트가 수납되고, 또한 산기장치를 가지는 점은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이 초화조유니트(61)는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활성오니처리조내에 배치된다.
제7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초화조유니트의 확대 상세도이고, 제8도는 초화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절개 사시도이다.
제8도에 있어서, 제7도에 도시한 초화조유니트와 다른 점은 상부가 개구이고 단면이 구형 형태의 수로(28) 대신에 배관으로 된 수로(8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82는 유량계이고, 이 유량계(82)의 지시값에 기준하여 유량조정변(35)의 열림 정도를 조절한다.
제8도에 있어서의 초화조유니트도 제3도에 도시한 초화조유니트와 동일하게 하여 활성오니 처리조내에 배치된다. 더우기, 초화조유니트에서 탈질조로 순환시키는 수로 또는 관은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하여도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초화조유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10도는 제9도의 초화조유니트를 이용한 활성오니처리조에 있어서의 오수의 흐름상태를 도시한 설명된다.
이 초화조유니트는 그 상부에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된 유출구(9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유출구(91)의 일단부측에 유량제어장치(92)를 갖춘 수로(93)가 설치되어 있다. 초화조유니트는 활성오니처리조의 내벽과 간극부를 가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유출구(91)가 형성된 면측과 반대측의 면에는 초화조유니트의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출구(94)가 형성된 간막이판(95)이 배치된다. 혐기조(93)내의 혼합액은 초화조유니트와 활성오니처리조와의 간극부(97)를 경유하여 초화조유니트 후단하부에 설치된 유입구(99)로부터 초화조유니트내에 유입하고, 산기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의 공기와 페레트(96)가 수납된 내부에서 초화처리된후, 유출구(91)로부터 수로(93)를 거쳐 혐기조에 순환되고, 간극부(97)를 거쳐 유출부(94)에서 다음 공정(예컨대, 다음 단계의 혐기조)에 공급된다.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활성오니처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초화유니트(100)에서의 초화액 순환 도수관(101)에는 유량조정장치(102)가 설치되고, 이 초화액 순환 도수관(101)의 선단부에는 혐기조내에 설치한 교반기(103)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2도에 있어서, 초화유니트(100)에서의 초화액 순환 도수관(101)에는 유량조정장치(102)가 설치되고, 이 초화액 순환 도수관(101)의 선단부는 교반기(103)의 흡인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는 초화액의 순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혐기조에서의 초화액의 혼합이 촉진되고 탈질반응 효율이 향상한다. 특히, 제1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 펌프의 원리를 이용한 교반기(103)에 의하여 흡입구(103a) 부근에 초화액 순환 도수관(101)의 신단개구부가 위치하고 있고, 초화액은 인펠러(103b)에 의한 회전에 따른 양수효과로써 토출구(103c)로부터 토출된다. 따라서 초화액의 순환과 교반이 효율적으로 된다. 또한 교반기(103)는 수중 펌프 등의 양수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교반기(103) 혹은 수중 펌프 등의 양수장치를 이용한 상기 방법은 제8도에 도시한 초화유니트조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15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활성오니처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비교적 대용량의 처리에 적합한 것이고, 혐기조(120)에 인접한 초화조(122)는 초화조로서의 유입수로(124)와 초화액의 순환수로(126)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유입수로(124)로부터는 하방으로 향하여 3개소의 유입구(128),(130),(132)가 분기하여 개구되어 있다. 초화조(122)의 저부에는 산기장치(134)가 배치되어 있다. 초화조내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페레트(도시하지 않았음)가 수납되고, 페레트는 웨지와이어(136)에 의하여 분리된다. 웨지와이어(136)를 통과한 초화액은 상기 순환수로(126)이 여러곳에 설치한 유출구(138),(140),(142),(144)로부터 혐기조(120)에 분류하여 순환한다.
또한, 초화조(122)는 상기 웨지와이어(136)와는 별도로 처리수용의 웨지와이어(146)를 통하기 도시하지 않은 최종 침전지로 배출된다. 웨지와이어(146)와 웨지와이어(146)의 유출측은 연락수로(150)에 의하여 연통하고 유량조정장치(152)를 조정하는 것에 따라서 순환수로(126)로부터 혐기조(120)에 되돌아가는 초화액과 가동보(148)를 장치외로 배출되는 초화액의 양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입구(128),(130),(132)와 유출구(138),(140),(142),(144)가 각각 분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이 초화조나 혐기조에 대하여 액의 분산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양호한 순환계를 형성할 수가 있다.
제16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개선예를 도시한 부분구성도이다. 초화액의 순화수로(160)의 도중에 간막이판(162)을 가진 수하부(164)를 설치하고, 이 수하부(164)의 하방에 산기장치(166)를 배치한다. 본 구성에 의하여 산기장치(166)에서의 산기에 의한 공기승강작용에 의하여 초화액의 순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즉 순환량을 증가 또는 조정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초화조유니트는 처리조내에 투입하는 것만으로서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내부에 페레트가 수납되어 있는 경우, 내부의 액이 유동시 페레트가 초화조유니트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구조이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초화조유니트는 제17도 내지 제21도에 원리적으로 도시한 구조의 것도 좋다. 제17도 내지 제21도에 있어서 111은 페레트, 112는 산기장치, 113은 간막이판, 114는 유입구, 115는 유출구, 116는 초화액 순환 도수관, 117은 유량조정장치, 118은 일류부이다.
제17도 내지 제21도에 있어서 유입구(114), 유출구(115)는 어느 것이나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되었다. 상기한 망목의 스크린 또는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의 망목 크기는 페레트의 크기 등과의 관계에 의하여 설정되지만, 페레트가 1.5-4㎜의 경우 망목크기는 통상 0.5-1.5㎜ 정도가 바람직하다. 유출구에 있어서 페레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은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즉 산기에 의하여 유동하는 페레트는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의 경사면에 충돌하고 이 충돌작용에 의하여 페레트 표면이 항상 세정된다. 이 때문에 페레트 표면에 균체와 미세립이 번식,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항상 초화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페레트의 자유로운 유동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충돌작용에 의하여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도 세정되어 망목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경사각도는 30°-60°의 범위가 바람직한 것을 알수 있다.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의 망목방향은 종방향으로 해야 한다. 즉 종방향으로 함으로써 산기에 의하여 일어나는 수류의 방향과 망목에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에 걸린 섬유형태와 같은 협잡물이 자동적으로 긁어내려지며, 또한 페레트도 걸리기가 어려워 망목막힘이 생기지 아니한다. 필요에 따라서,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을 세정하기 위한 브러싱 등에 의한 세정기구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초화세균을 고정한 페레트 대신에 표면적이 큰 접촉용 충전재에 초화세균 등을 착상 또는 고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특히 유입구 및 유출구를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만, 초화반응을 효율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하여 페레트 쪽이 유효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생물반응조, 예컨대, 활성오니를 사용하는 처리조내에 초화조유니트 등을 투입 설치하는 것만으로서 좋고 장치 구성이 간략해진다. 또한 초하조에는 초화세균을 고농도로 담지한 담체가 배치되기 때문에 초화반응이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진행한다. 더우기, 초화조의 저부에 설치한 산기장치에 의하여 오수의 순환동력을 저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처리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수 초화처리장치에 의하여 산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혐기조로부터 초화조에, 초화조로부터 다시 혐기조에 오수를 순환하기 때문에 오수순환에 의한 소비동력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윈 오수가 유입하는 생물반응조와 초하세균의 포괄고정된 입상 페레트가 배치되어 오수가 초화처리되는 초화조와를 구비한 오수처리조와, 생물반응조에서 초화조에 오수를 보내는 오수 유입통로와, 초화조에서 생물반응조에 오수를 되돌리는 오수 순환통로와, 초화조의 지부에 설치되어 방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입상 페레트의 초화세균에 산소를 부여함과 함께 공기승강 작용에 의하여 초화조 내의 오수를 오수순환 통로를 통하여 생물반응조 내에 복귀시키고, 오수를 생물반응조와 초화조와의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산기장치와, 초화조의 오수유입구 또는 오수 유출구에 설치되어 입상 페레트의 유출을 지지하는 페레트 분리장치로 구성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초화조는 오수유입구와 오수 유출구와를 구비한 초화조유니트로써 구성되고 초화조유니트는 오수처리조내에 1개 또는 복수개 배치되고, 오수처리조내의 초화조유니트 이외의 부분인 생물반응조가 탈 질소처리를 하는 혐기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페레트 분리장치는 웨지와이어 등의 스크린으로 한 초화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의 순환수로에 유량조정 장치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입상페레트는 초화세균을 폴리에칠렌 글리콜 등의 겔화 가능한 유기화합물로써 포괄 고정한 입상체로 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수 유입통로에는 초화조에 오수를 유입시키는 복수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오수순환 통로에는 생물반응조에 오수를 복귀하는 복수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오수의 순환수로에 간막이판이 있는 수하부를 설치하고, 수하부의 하방에는 보조의 산기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처리조의 오수를 처리조의 내면과 초화조의 외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통하여 다음 공정에 이송하는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초화조의 상부에는 웨지와이어가 설치된 오수의 유출구가 형성되고 웨지와이어는 경사 배치되는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혐기조의 저부에는 교반장치가 설치되고 이 교반장치의 근방에는 오수의 순환통로의 출구가 형성된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KR1019900001925A 1989-02-16 1990-02-16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KR0126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7057A JPH02214597A (ja) 1989-02-16 1989-02-16 汚水の硝化処理装置
JP1-37057 1989-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46A KR900012846A (ko) 1990-09-01
KR0126221B1 true KR0126221B1 (ko) 1997-12-19

Family

ID=1248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925A KR0126221B1 (ko) 1989-02-16 1990-02-16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61368A (ko)
JP (1) JPH02214597A (ko)
KR (1) KR0126221B1 (ko)
CA (1) CA2010127C (ko)
DE (1) DE400476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885455L (no) * 1988-12-08 1990-06-11 Sunfish Ltd As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rensing av vann.
US5185080A (en) * 1990-06-04 1993-02-09 Gregory Boyle Process for the on-site removal of nitrates from wastewater
FR2667860B1 (fr) * 1990-09-04 1992-11-27 Omnium Traitement Valorisa Procede d'epuration biologique des eaux residuaires incluant la denitrification.
DE4107917A1 (de) * 1991-03-12 1992-09-17 Nitra Biotechnik Verfahren zur biologischen reinigung von wasser
US5211847A (en) * 1991-04-22 1993-05-18 Infilco Degremont Inc. Denitrification methods
JP2579122B2 (ja) * 1994-07-11 1997-02-05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汚水の処理装置
US6077424A (en) * 1995-05-23 2000-06-20 Ebara Corporation Method for aerobically treating wastewater and a treatment tank for such method
US5624563A (en) * 1995-08-25 1997-04-29 Hawkins; John C. Process and apparatus for an activated sludge treatment of wastewater
JP3485240B2 (ja) * 1996-11-01 2004-01-13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窒素除去方法及び装置並びに包括固定化担体
US6447681B1 (en) 2000-08-07 2002-09-10 Kent Sea Tech Corporation Aquacultur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821345B1 (fr) * 2001-02-27 2003-11-14 Degremont Procede d'epuration biologique des eaux residuaires en cultures mixtes
GB0411215D0 (en) * 2004-05-20 2004-06-23 Univ Cranfield Waste water treatment
WO2010096450A1 (en) * 2009-02-20 2010-08-26 Headworks Bio Inc. Water treatment reactor screening system and method
JP6394976B2 (ja) * 2015-03-24 2018-09-26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担体投入型汚水処理装置
JP6394977B2 (ja) * 2015-03-24 2018-09-26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担体投入型汚水処理装置
JP6394980B2 (ja) * 2015-04-21 2018-09-26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担体投入型汚水処理装置
CN104843871B (zh) * 2015-05-04 2016-09-21 成都八八五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控制水体中亚硝酸盐的方法
CN110790378B (zh) * 2019-11-28 2022-04-19 恩格拜(武汉)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厌氧-好氧深度耦合处理高固含率有机废水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289A (en) * 1978-07-18 1980-02-12 Ferdinand Besik Process for purification of sanitary waters
US4731185A (en) * 1981-07-13 1988-03-15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Biological wastewater treating system
JPS58139793A (ja) * 1982-02-12 1983-08-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有機性廃水の生物学的脱窒素装置
JPS58174289A (ja) * 1982-04-07 1983-10-13 Kyoritsu Yuki Kogyo Kenkyusho:Kk ユニツト型流動担体生物処理装置
JPS6026599B2 (ja) * 1982-04-16 1985-06-24 昭二 竹内 汚水処理装置
JPS60179194A (ja) * 1984-02-27 1985-09-13 Kyoritsu Yuki Kogyo Kenkyusho:Kk 曝気槽処理能力向上方法
JPS6125697A (ja) * 1984-07-13 1986-02-0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廃水の窒素除去装置
US4681685A (en) * 1985-06-25 1987-07-21 Dorr-Oliv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centrating bioparticles
JPS61167499A (ja) * 1985-12-16 1986-07-29 Kyoritsu Yuki Kogyo Kenkyusho:Kk ユニツト型流動担体生物処理装置
DE3716598A1 (de) * 1987-05-18 1988-12-01 Juergen Hochhuth Teichklaeranlage zur reinigung von abwasser
US4929349A (en) * 1988-08-24 1990-05-29 Beckman William J Bio-filt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846A (ko) 1990-09-01
JPH0546279B2 (ko) 1993-07-13
US5061368A (en) 1991-10-29
CA2010127A1 (en) 1990-08-16
DE4004762C2 (de) 1998-02-19
CA2010127C (en) 1998-11-03
DE4004762A1 (de) 1990-08-23
JPH02214597A (ja) 199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21B1 (ko) 오수의 초화처리장치
JP3350364B2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CA1307059C (en) Method of treating waste water and equipment therefor
KR19990021838A (ko) 오수의 호기성 처리방법 및 처리조
CN102161554B (zh) 一种厌氧水解酸化和ao-sbr一体化污水处理反应池
RU24804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саждения фосфора из сточных вод
KR20110088481A (ko)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JP7432945B2 (ja) 水処理装置
KR102171365B1 (ko) 이중탱크구조를 이용한 연속흐름의 생물학적 하·폐수 고도처리시설
US6773596B2 (en) Activated sludge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effluent with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EP204944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larification and endogenous post denitrification
CN111470737A (zh) 一种污水处理设备
JP4002851B2 (ja) 汚水処理装置
WO1998055407A1 (fr) Procede et appareil de traitement des eaux usees
CN107381817A (zh) 一种防气蚀微氧脱氮反应器
CN212894329U (zh) 一种可调污水pH值的厕所污水循环处理设备
CN212174582U (zh) 两级ao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10419438U (zh) 用于底泥余水处理设备的生化处理系统
JP2579122B2 (ja) 汚水の処理装置
SK10119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logical activation waste water treatment and device for its realization
RU211479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от органических и азотсодержащих загрязнений
JPH1110193A (ja) 担体併用硝化脱窒反応方法及びその装置
RU94568U1 (ru) Комплектно-блочная модульная очистная установка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9409439U (zh) 一种同步硝化反硝化的装置及污水处理系统
KR0140421B1 (ko) 유기성 오.폐수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