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097B1 -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097B1
KR0126097B1 KR1019940025478A KR19940025478A KR0126097B1 KR 0126097 B1 KR0126097 B1 KR 0126097B1 KR 1019940025478 A KR1019940025478 A KR 1019940025478A KR 19940025478 A KR19940025478 A KR 19940025478A KR 0126097 B1 KR0126097 B1 KR 0126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operator
hook
remote operat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85A (ko
Inventor
노병규
정교일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2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097B1/ko
Publication of KR96001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telemeter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용 보조 전력 장치를 운용 요원 없이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원격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용자가 2차 전지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검사하고, 운용자가 원하는 경우 원격지에서 발전기를 구동시켜 2차 전지를 재충전하도록 하고, 부 원격 운용기는 항상 2차 전지의 상황을 점검하여 2차 전지의 전압이 어느 수준 이하일 경우 운용 요원의 요청이 없이도 부 원격 운용기 스스로 발전기를 동작시켜 2차 전지를 충전시킨 후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원격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교환 기능을 가지는 교환기(102) ; 전화기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제어 신호로 사용하여 원격 검침과 구동을 수행하는 주 원격 운용기(101) ; 및 발전기(105)를 구동시키거나 2차 전지(104)의 전압을 측정하는 부 원격 운용기(103)을 포함하는 원격 운용 장치와 상기 주 원격 운용기에서 제어를 시작하거나 상기 부 원격 운용기에서 제어를 시작하여 발전기를 구동시켜 2차 전지를 충전하는 두가지 방법을 안출하여 운용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도서 가입자 장치에 사용할 경우 통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 원격 운용기와 부 원격 운용기의 연결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부 원격 운용기의 세부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 원격 운용기측에서 제어가 시작될때의 원격 운용 장치의 동작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 원격 운용기측에서 제어가 시작될때의 원격 운용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주 원격 운용기102 : 교환기
103 : 부 원격 운용기104 : 2차 전지
105 : 발전기
본 발명은 비상용 보조 전력 장치를 운용 요원 없이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원격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시를 위하여 발전기 또는 2차 전지의 보조 전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시스템에서는 기본 전원으로 사용하는 상용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2차 전지를 구동하고, 차단 시간이 길어져 2차 전지의 방전이 지속되면 발전기를 구동한다.
종래의 보조 전력 장치의 구동에 있어서는 2차 전지의 전원 저하에 따른 운용 및 유지 보수와 발전기의 구동은 인적 자원에 의하여 직접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 전력 장치의 구동에 있어서는 보조 전력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제반 운용 자원 및 비용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운용자가 2차 전지의 상태를 원격지에서 검사하고, 운용자가 원하는 경우 원격지에서 발전기를 구동시켜 2차 전지를 재충전하도록 하고, 부 원격 운용기는 항상 2차 전지의 상황을 점검하여 2차 전지의 전압이 어느 수준 이하일 경우 운용 요원의 요청 없이도 부 원격 운용기 스스로 발전기를 동작시켜 2차 전지를 충전시킨 후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원격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공중 전화 통신망에 연결되어 교환 기능을 가지는 교환기 ; 상기 교환기에 제1전용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전화기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제어 신호로 사용하여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통하여 원격 검침과 구동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주 원격 운용기 ; 및 상기 교환기에 제2전용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 원격 운용기의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키거나 2차 전지의 전압을 측정한 후에 DTMF 값으로 바꾸어 상기 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주 원격 운용기로 전송하는 부 원격 운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주 원격 운용기측의 운용 요원이 버튼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주 원격 운용기는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상기 부 원격 운용기를 호출 다이얼링하고, 호출된 상기 부 원격 운용기는 상기 주 원격 운용기가 호출한 링 신호를 검출한 후에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제 1단계 수행후,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는 통화로 형성을 확인한 후에 상기 주 원격 운용기가 상기 부 원격 운용기로 제어가 시작됨을 알리면, 상기 부 원격 운용기는 제어 코드 대기 상태에서 상기 주 원격 운용기가 운용 요원의 요구에 따라 송신한 DTMF 코드를 수신하여 운용자의 요구를 판단하는 제2단계 ;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운용자 요구가 2차 전지 전압 검사이면 상기 부 원격 운용기는 2차 전지의 전압을 샘플링하여 디지탈 값을 획득한 후에 상기 디지탈 값을 DTMF 코드로 전환하여 상기 주 원격 운용기로 송신한 후에 송수신을 확인하고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하며, 상기 주 원격 운용기도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다음에 상기 부 원격 운용기측의 2차 전지 전압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종료하는 제3단계 ; 및 제2단계 수행후, 운용자 요구가 발전기 구동 제어이면 상기 부원격 운용기가 발전기 구동 회로를 동작시킨 후에 2차 전지를 샘플링하여 상기 주 원격 운용기로 송신한 후에 송수신을 확인하고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는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다음에 종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상기 부 원격 운용기는 2차 전지를 샘플링하여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이 필요하면 상기 주 원격 운용기를 호출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호출 다이얼링하고, 호출된 상기 주 원격 운용기는 부 원격 운용기의 호출에 의해 발생된 링을 검출한 후에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 수행후,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는 통화로 형성을 확인한 후에 상기 부 원격 운용기는 제어가 시작됨을 상기 주원격 운용기로 알리고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되는 2차 전지를 계속적으로 샘플링한 후에 샘플링 값을 상기 주 원격 운용기에 전송하는 제2단계 ; 및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충전이 확인되면 상기 주 원격 운용기는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하며, 상기 부 원격 운용기도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후에 종료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 원격 운용기와 부 원격 운용기의 연결 구성도로서, 101은 주 원격 운용기, 102는 교환기, 103은 부 원격 운용기, 104는 2차 전지, 105는 발전기를 각각 나타낸다.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는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하여 전화기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를 이용하며, 2회선의 전용 회선을 할당한다. 주 원격 운용기(101)는 교환기(102)의 단말기로 한 회선을 할당하여 연결되며, 부 원격 운용기(103)는 교환기(102)의 단말기로 한 회선을 할당하여 연결된다. 신호의 흐름을 살펴보면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는 주 원격 운용기(101)에서 발생되어 교환기(102)을 통하여 부 원격 운용기(103)에 의하여 해석되어 전압 감지 센서 또는 발전기 구동 회로를 동작시켜 2차 전지(104)의 전압을 측정하거나 발전기(105)를 구동시킨다. 역으로 2차 전지의 검침된 전압 센서값은 부 원격 운용기(103)에 의하여 약속된 DTMF 값으로 바뀌어 교환기(102)를 통하여 주 원격 운용기(101)에 의하여 해석되어진 후,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운영 요원에 의해 판독 가능한 값으로 인지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부 원격 운용기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주 원격 운용기(101)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중앙 제어 처리 장치(201), 부 원격 운용기(103)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DTMF 발신/검출 회로(202)와 링 검출 회로(203), 원격 조정을 위한 명령 수행 버튼(204) 및 주,부 원격 운용기의 운용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상태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205)를 구비하며, 부 원격 운용기(103)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중앙 제어 처리 장치(208), 주 원격 운용기(101)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DTMF 발신/검출 회로(209)와 링 검출 회로(210), 2차 전지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2차 전지 전압 감지 센서(206) 및 발전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발전기 구동 회로(207)를 구비한다.
각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 제어 처리 장치(201,208)는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의 모든 상태를 추적하여 운용하고, DTMF 발신/검출 회로(202,209)는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간의 프로토콜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한 DTMF 신호는 일반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0에서 9번의 번호를 제외한 A에서 E의 번호를 사용하여 일반 전자식 전화기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도록 한다. 링 검출회로(203,210)는 평소에는 통화로를 단절하고 있다가 원격 동작이 필요할 경우 통화로를 형성하여 운용되는 시스템으로, 어느 한 운용기가 임의로 작동되었을 경우 상대 운용기에 미리 할당된 번호로 다이얼링하면 상기 다이얼링 신호를 감지하는 회로이다.
명령 수행 버튼(204)은 주 원격 운용기(101)의 운용 요원이 부 원격 운용기(103)측의 2차 전지(104)의 전압을 측정하거나 발전기(105)를 구동하라는 명령을 내리는 버튼들로서 중앙 제어 처리 장치(201)에 의하여 인식되고 처리된다.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205)는 주,부 원격 운용기(101,105)의 현재 상황, 발전기 구동 여부 및 부 원격 운용기(103)측에서 측정된 2차 전지(104)의 충전 여부 상태를 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발전기 구동 회로(207)는 중앙 제어 처리 장치(208)에 의해 출력되는 온/오프의 상태를 이용하여 발전기 구동 모터를 동작시키는 회로로서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소자로 구성한다.
2차 전지 전압 감지 센서(206)는 아날로그 값을 디지탈 값으로 바꾸는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중앙 제어 처리 장치(208)는 읽어들인 디지탈 값 즉, 2차 전지의 전압을 4단계로 구분하여 DTMF 값으로 전환시킨 후 DTMF 발신/검출 회로(209)를 통하여 주 원격 운용기(101)로 전송한다.
두 원격 운용기(101,103)의 제어 시작 순서는 필요에 의하여 주 원격 운용기(101) 또는 부 원격 운용기(103)에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을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는, 교환기(102)의 회선에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모국(106)을 연결하고, 부 원격 운용기(103)에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자국(107)를 연결하고,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모국(106)과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자국(107) 사이는 무선(108)으로 연결한다.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모국(106)은 육지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을 사용하고,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자국(107)은 섬에 설치되어 보조 전력 장치를 사용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 원격 운용기측에 제어가 시작될 때의 원격 운용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주 원격 운용기(101)는 운용 요원의 입력을 대기하고 있으며, 부 원격 운용기(103)은 모국에서의 링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300), 주 원격 운용기(101)측의 운용 요원이 유지 보수의 필요에 의하여 버튼으로 명령을 입력하면(301) 주 원격 운용기(101)는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부 원격 운용기(103)을 호출 다이얼링을 한다(302).
링 신호를 대기하고 있던 부 원격 운용기(103)는 주 원격 운용기(101)가 호출한 링 신호를 검출한 후에(303)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통화로를 형성한 다음에(304) 부 원격 운용기(103)는 주 원격 운용기(101)에서 코드 AA가 수신될 때까지 통화로 형성 코드 AA를 전송하여 통화로가 형성되었음을 주 원격 운용기(101)에 알린다(305).
주 원격 운용기(101)가 통화로 형성 코드 AA를 수신한 후에(306) 즉각, 부 원격 운용기(103)로 재전송하여 제어가 시작됨을 알리면 부 원격 운용기(103)는 재전송한 통화로 형성 코드 AA를 수신한 후에(308) 제어 코드 대기 상태에서 대기한다(309). 이때, 주 원격 운용기(101)가 운용 요원의 요구에 따른 DTMF 코드를 송신하면(310), 부 원격 운용기(103)는 DTMF 코드를 수신한 후에(311) 운용자의 요구를 판단한다(312).
운용자의 요구가 2차 전지 전압 검사이면 부 원격 운용기(103)는 2차 전지의 전압을 샘플링하여 디지탈 값을 획득한 후에(313) 상기 디지탈 값을 4단계로 구분하여 2차 전지의 전압이 낮은 순서대로 DA, DB, DC, DD의 DTMF 코드로 전환한다. 즉, 인적 자원에 의하여 유지 보수를 하여야 하는 상태를 DA, 충전을 요하는 상태를 DB, 충전을 요하지만 당분간 쓸 수 있는 상태를 DC, 충분한 전압이 유지되는 상태를 DD로 구분하여 주 원격 운용기(101)로 전송하고(314), 주 원격 운용기(101)는 이 값을 수신하여(315) 수신 이상 없음을 알리기 위하여 부 원격 운용기(103)로 반환 전송한다(316). 만일 부 원격 운용기(103)가 주 원격 운용기(101)로부터 수신한 반환 코드가 부 원격 운용기(103)가 보낸 코드가 아닐 경우, 오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2차 전지 샘플링 단계부터 반복한다(317). 모든 반환 코드가 정확히 수신되면 부 원격 운용기(103)는 종료 코드 EE를 전송한 후에(318)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하며(319), 종료 코드를 대기하고 있던 주 원격 운용기(101)도 종료 코드를 수신한 후에 (320)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다음에(321) 부 원격 운용기(103)측의 2차 전지(104) 전압을 디스플레이(205)에 표시하고(322) 상황을 종료한다(323).
운용자 요구에 발전기 구동 제어이면 부 원격 운용기(103)는 발전기 구동 회로를 동작시킨 후에(324) 2차 전지를 샘플링하여(325) 그 값을 주 원격 운용기(101)에 전송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EE 코드를 전송한다(326). 주 원격 운용기(101)는 전송되어 오는 값에 의하여 2차 전지가 충전되는 과정을 검사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충전에 의하여 적절한 충전값이 되어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종료 코드 EE를 수신한 후에(327) 즉시 반환 전송하고(328)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하며(329), 반환 전송된 종료 코드를 수신한(330) 부 원격 운용기(103)도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후에(331) 상황을 종료하도록 한다(323).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 원격 운용기측에서 제어가 시작될때의 원격 운용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주 원격 운용기(101)는 자국에서의 링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400) 부 원격 운용기(103)는 계속적으로 2차 전지를 샘플링하여 전압을 측정하여(401) 어느 시점에 2차 전지의 소모가 어느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402) 주 원격 운용기(101)를 호출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호출 다이얼링을 시도한다(403). 링 신호를 기다리던 주 원격 운용기(101)는 부 원격 운용기(103)의 호출에 의해 발생된 링을 검출한 후에(404)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통화로를 형성한 다음에(405) DTMF AA 코드를 전송하여 통화로가 형성되었음을 부 원격 운용기(103)에 알린다(406). DTMF AA 코드를 수신한(407) 부 원격 운용기(103)는 제어가 시작될 것이라는 신호로 AA를 재전송하고(408) 주 원격 운용기(101)는 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AA 송신 단계부터 반복하고 신호를 수신하면 종료 코드 EE를 대기한다(408). AA를 재전송한 부 원격 운용기(103)는 발전기 구동 회로를 동작시켜 발전기를 구동하여(410) 충전되는 2차 전지를 계속적으로 샘플링한 후에(411) 그 값을 주 원격 운용기(101)에 전송하고 충전 완료시에는 EE 코드를 전송한다(412). 전송되어 오는 값에 의하여 주 원격 운용기(101)는 2차 전지가 충전되는 과정을 검사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충전에 의하여 적절한 충전값이 되어 상황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종료 코드 EE를 수신하면(413) 이 코드 접수 즉시 반환 전송한 후에(414)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하며(415), 반환 전송된 종료 코드를 수신한(416) 부 원격 운용기(103)도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후에(417) 상황을 종료하도록 한다(418).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2차 전지와 발전기의 검침과 구동을 원격 조정하므로서 운용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도서 가입자 장치에 사용할 경우 통신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중 전화 통신망에 연결되어 교환 기능을 가지는 교환기(102) ; 상기 교환기(102)에 제1전용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전화기의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를 제어 신호로 사용하여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교환기(102)를 통하여 원격 검침과 구동을 수행하고 결과를 상기 운용자에게 출력하는 주 원격 운용기(101) ; 및 상기 교환기(102)에 제2전용 회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의 제어 신호를 해석하여 발전기(105)를 구동시키거나 2차 전지(104)의 전압을 측정한 후에 DTMF 값으로 바꾸어 상기 교환기(102)를 통하여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로 전송하는 부 원격 운용기(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용 회선의 중간에, 상기 교환기(102)측에 연결되어 있으면, 육지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을 사용하여 섬과 통신하는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모국(106) ; 및 상기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모국(106)에 무선(108)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측에 연결되고 섬에 설치되어 보조 전력 장치를 사용하여 육지와 통신하는 도서 가입자 무선 장치 자국(10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1)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1)과 상기 제1전용 회선 사이에 연결되어 부 원격 운용기(103)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DTMF 발신/검출 수단(202)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1)과 상기 제1전용 회선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에서 오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 수단(203)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1)에 연결되어 운용자가 원격 조정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 수단(204) ; 및 상기 중앙 제어 수단(201)에 연결되어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의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20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8)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8)과 상기 제2전용 회선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와 제어 신호를 주고 받는 DTMF 발신/검출 수단(209)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8)과 상기 제2전용 회선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에서 오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 검출 수단(210)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1)에 연결되어 상기 2차 전지(104)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전압 감지 수단(206) ; 상기 중앙 제어 처리 수단(201)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기(105)를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20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5. 제1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TMF 제어 신호는, 일반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0에서 9번의 번호를 제외한 A에서 E의 번호를 사용하여 일반 전자식 전화기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6. 교환기(102), 주 원격 운용기(101) 및 부 원격 운용기(103)를 구비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주 원격 운용기(101)측의 운용 요원이 버튼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는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을 호출 다이얼링하고, 호출된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는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가 호출한 링 신호를 검출한 후에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1단계(300 내지 304) ; 제1단계 (300 내지 304) 수행후,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는 통화로 형성을 확인한 후에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가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로 제어가 시작됨을 알리면,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는 제어 코드 대기 상태에서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가 운용 요원의 요구에 따라 송신한 DTMF 코드를 수신하여 운용자의 요구를 판단하는 제2단계(305 내지 312) ; 상기 제2단계(305 내지 312) 수행후, 운용자 요구가 2차 전지 전압 검사이면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는 2차 전지의 전압을 샘플링하여 디지탈 값을 획득한 후에 상기 디지탈 값을 DTMF 코드로 전환하여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로 송신한 후에 송수신을 확인하고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료를 해제하며,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도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다음에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측의 2차 전지(104) 전압을 디스플레이(205)에 표시하고 종료하는 제3단계(313 내지 323) ; 및 제2단계(305 내지 312) 수행후, 운용자 요구가 발전기 구동 제어이면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가 발전기 구동 회로를 동작시킨 후에 2차 전지를 샘플링하여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로 송신한 후에 송수신을 확인하고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는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다음에 종료하는 제4단계(324 내지 331,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방법.
  7. 교환기(102), 주 원격 운용기(101) 및 부 원격 운용기(103)를 구비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는 2차 전지를 샘플링하여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이 필요하면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를 호출하기 위하여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호출 다이얼링 하고, 호출된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는 부 원격 운용기(103)의 호출에 의해 발생된 링을 검출한 후에 전화기의 후크 오프를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오프를 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1단계(400 내지 405) ; 상기 제1단계(400 내지 405) 수행후, 상기 주,부 원격 운용기(101,103)는 통화로 형성을 확인한 후에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는 제어가 시작됨을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로 알리고 발전기를 구동시켜 충전되는 2차 전지를 계속적으로 샘플링한 후에 샘플링 값을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에 전송하는 제2단계(406 내지 413) ; 및 상기 제2단계(406 내지 413) 수행후, 충전이 확인되면 상기 주 원격 운용기(101)는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하며, 상기 부 원격 운용기(103)도 전화기의 후크 온을 흉내내는 가상 후크 온을 행하여 통화로를 해제한 후에 종료하는 제3단계(414 내지 4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방법.
KR1019940025478A 1994-10-05 1994-10-05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KR012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478A KR0126097B1 (ko) 1994-10-05 1994-10-05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478A KR0126097B1 (ko) 1994-10-05 1994-10-05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85A KR960016385A (ko) 1996-05-22
KR0126097B1 true KR0126097B1 (ko) 1997-12-26

Family

ID=1939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478A KR0126097B1 (ko) 1994-10-05 1994-10-05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94B1 (ko) * 2004-05-19 2007-01-17 주식회사 케이티브이글로벌 텔레비젼의 원격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85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07848A (en) Test set communication/interface system
JPH04227158A (ja) 電話回線の自動試験方法および装置
KR0126097B1 (ko) 보조 전력 장치를 원격 운용하기 위한 원격 운용 장치 및 방법
US70396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subscriber's phone testing remotely via the internet
EP0033821A2 (en) Intelligent interfacing apparatus for the automatic management of a switched or dedicated telecommunication line
JPH09163007A (ja) 自動検針処理方式
JPS6256710B2 (ko)
JP2604797B2 (ja) 通話路試験装置
JPH05233992A (ja) 自動検針システムにおける識別子付与方法
KR920000080B1 (ko) 다기능 포터블 선로 시험기
JPH11341175A (ja) 無線観測システム
JP200830676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100258466B1 (ko) Adsl전송시스템의 보드 원격 모니터링 장치
JPS588184B2 (ja) 切分試験方法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JP3092332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JP3047601B2 (ja) 無線端末制御装置
JPH0218618Y2 (ko)
JPS6318855A (ja) 通信用端末装置の遠隔保守・運用方式
JP3394690B2 (ja) 起動確認試験方法および回路
KR200171139Y1 (ko) 광대역-무선로컬루프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의 장애정보표시장치
JPH01188064A (ja) 加入者線路心線対照方式
KR20000046136A (ko) 전전자교환기의 고정 가입자 정합 장치 블록 테스트용 지그
JP2000184034A (ja) 通信端末装置
JPS59115657A (ja) 電話交換機加入者線路試験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