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745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745B1
KR0125745B1 KR1019930002703A KR930002703A KR0125745B1 KR 0125745 B1 KR0125745 B1 KR 0125745B1 KR 1019930002703 A KR1019930002703 A KR 1019930002703A KR 930002703 A KR930002703 A KR 930002703A KR 0125745 B1 KR0125745 B1 KR 012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temperature
indoor
data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0055A (ko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745B1/ko
Publication of KR94002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7Remote control using telephone netw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11/526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giving audible ind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9Remote control for pres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6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adding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출중인 사용자로부터 전화를 통해 원격제어되어 실내의 가습 및 산소를 발생시키며, 필요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고, 통상의 공조기를 원격제어하여 난방 내지는 냉방운전을 행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온도가 제2운전조작수단에 입력되면, 상기 설정온도를 제2마이크로컴퓨터에서 받아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제2실내온도감지수단에 검출된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그 차에따라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구동수단과,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수단과,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구동수단과, 풍향을 제어하도록 루버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루버모터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실내습도감지수단과, 상기 제2실내습도감지수단에서 검출된 습도를 RF 송신하고,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수단으로 이루어진 제2공조수단과, 제1마이크로컴퓨터와,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2운전조작수단과,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제1실내온도감지수단과,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실내습도감지수단과,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실내산소량감지수단과, 외출중인 사용자로부터 전화를 통해 작동명령을 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산소발생제어신호를 받아 산소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산소발생기제어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가습제어신호를 받아 가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습기제어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음향출력제어 신호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온도제어신호를 받아 제1안테나를 통해 RF 송신하고, 상기 제2공조수단의 제2송수신수단에서 제2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데이타를 제2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제1송수신 수단으로 구성된 제1공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1도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제2공조수단동작루틴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히터구동수단13 : 압축기
21 : 팬모터구동수단23 : 팬모터
25 : 제1마이크로컴퓨터27 : 제1운전조작수단
29 : 제1실내온도감지수단31 : 제1실내습도감지수단
33 : 실내산소량감지수단35 :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
37 : 산소발생기제어수단39 : 산소발생기
41 : 가습기제어수단43 : 가습기
45 : 음향발생수단49 : 표시수단
51 : 제1송신수단55 : 제2마이크로컴퓨터
57 : 제2운전조작수단59 : 제2실내온도감지수단
61 : 제2실내습도감지수단63 : 제2송수신수단
67 : 압축기구동수단75 : 루버모터구동수단
77 : 루버모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출중인 사용자로부터 전화를 통해 원격제어되고, 가습기 및 산소발생기가 장착되어 있어서 실내의 가습 및 산소를 발생시키면, 음향발생수단이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고, 통상의 공기조화기를 원격제어하여 난방 내지는 냉방운전을 행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운전명령이 리모트콘트롤러(1)(이하 리모콘이라 칭함)로부터 송신되어, 리모콘수신수단(8)에서 수신되는 설정온도, 또는 운전조작수단(5)에서 선택된 설정온도를 마이크로컴퓨터(17)에서 입력단자(P1, P2)로 받아들여 실내온도검출수단(7)에서 검출되어 입력단자(P4)에 인가된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그차에 따라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턱동수단(9)과 압축기(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수단(11)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단자(P7)(P6)에 출력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전원수단(15)에서 출력된 작동전압이 인가된 마이크로컴퓨터(17)는 습도검출수단(19)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와 상기 압축기구동수단(11)의 제어롤에 따라 팬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구동수단(21)을 소정시간동안 작동시키도록 출력단자(P5)에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리모콘 내지는 운전조작수단에서 설정온도가 입력되면 실내공간중의 일부분의 온도만을 감지하여 냉방 또는 난방공조 운전을 행하게 되므로 실내전체의 효율적인 공조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가습기능만을 갖춘 별도의 가습기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가습기가 운전하게 되며, 사용자가 외출중에는 실내의 공조를 행할 수 없어 늦은 귀가시 필요한 시간동안 난방 혹은 냉방공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방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기의 상태를 표시하며, 가습기 및 산소발생기 갖추어 실내의 습도 및 산소량의 조절하고,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시에 음향을 출력하여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제공하고, 냉/난방공조운전을 행하는 통상의 공기조화기를 원격제어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출중인 사용자가 전화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운전시간을 미리 예약설정하므로써 설정된 시간에 실내의 공기를 공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온도가 제2운전조작수단에 입력되면, 상기 설정온도를 제2마이크로컴퓨터에서 받아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제2실내온도감지수단에서 검출된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그 차에 따라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구동수단과,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수단과,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구동수단과, 풍향을 제어하도록 루버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루버모터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실내습도감지수단과, 상기 제2실내습도감지수단에서 검출된 습도를 RF 송신하고,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수단으로 이루어진 제2공조수단과, 제1마이크로컴퓨터와,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운전조작수단과,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제1실내온도감지수단과,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실내습도감지수단과,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실내산소량감지수단과, 외출중인 사용자로부터 전화를 통해 작동명령을 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산소발생제어신호를 받아 산소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산소발생기제어수단과,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가습제어신호를 받아 가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습기제어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음향출력제어 신호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온도제어신호를 받아 제1안테나를 통해 RF 송신하고, 상기 제2공조수단의 제2송수신수단에서 제2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데이타를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제1송수신 수단으로 구성된 제1공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81)은 실내의 습도 및 산소량을 조절하는 제1공조수단으로써, 제1마이크로컴퓨터(25)와, 사용자로부터 작동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1)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운전조작수단(27)과, 실내의 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돌르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2)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실내온도감지수단(29)과, 실내공간중의 낮은위치의 실내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3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실내습도감지수단(31)과,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4)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실내산소량감지부(33)와, 외출중의 사용자로부터 전화를 통해 작동명령을 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5)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35)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1)로부터 출력되는 산소발생제어신호를 받아 산소발생기(39)의 구동을 제어하는 산소발생기제어수단(37)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2)로부터 출력되는 가습제어신호를 받아 가습기(43)이 구동을 제어하는 가습기제어수단(41)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3)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출력명령신호를 받아 스피커(47)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수단(45)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출력단자(IO1)를 통해 출력되는 온도조절명령신호를 받아 제1안테나(53)를 통해 RF 송신하고, 제2공조수단(83)으로부터 송신된 습도데이타를 수신하는 제1송수신수단(51)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실내공기상태를 액정표시소자 내지는 발광다이오드등을 통해 표시하는 표시수단(49)으로 구성되어 있다.
(83)은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통상의 공기조화기로 동작하는 제2공조수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온도가 제2운전조작수단(57)에 입력되면 제2마이크로컴퓨터(55)에서 받아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제2실내온도감지수단(59)에서 검출되는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그차에 따라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구동수단(9)과, 압축기(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수단(67)과, 팬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구동수단(21)과, 풍향을 제어하도록 루버모터(77)의 구동을 제어하는 루버모터구동수단(7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실내의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실내습도감지수단(61)과, 상기 제2실내습도감지수단에서 검출된 습도를 RF송신하고, 상기 제1공조수단(81)의 제1송수신수단(55)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제2안테나(65)를 통해 수신하는 제2송수신수단으로 구동되어 있다.
이하,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동작효과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S는 스텝을 표시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고,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제2공조수단동작루틴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실내의 온도조절은 난방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제1공조수단(81) 및 제2공조수단(83)의 전원스위치가 온되어 제어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1운전조작수단(27) 및 제2운전조작수단(57)을 통해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스텝 S1에서 제1공조수단(81) 및 제2공조수단(83)이 동작하도록 초기화시키고, 스텝 S2에서는 제1실내온도감지수단(29), 제1실내습도감지수단(31) 및 실내산소량감지수단(33)을 통해 실내의 온도, 습도 및 산소량을 감지한 신호를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2)(IN13)(IN14)로 출력하여,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데이타저장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스텝 S3에서는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35)으로부터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입력단자(IN15)로 입력된 명령이 외출중인 사용자에 의해 원격제어되는 원격제어모드(mode)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3에서 원격제어모드라고 판별된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4에서 운전시간을 예약설정하는 예약시간설정모드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4에서 운전시간을 예약설정하는 예약시간설정모드라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5로 나아가서 실내의 습도 및 산소량을 조절하도록 공조운전을 행하는 제1공조수단(81)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조운전을 행하는 제2공조수단(83()이 운전 온될 시간을 사용자가 전화를 통해 예약 설정하면,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35)을 통해 입력된 예약시간이 제1마이크로컴퓨터(25)에 기억 설정된다.
상기 스텝 S5에서 운전예약시간이 설정되면, 스텝 S6에서는 상기 스텝에서 설정된 운전예약시간에 맞추어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공조운전을 행하는 제2공조수단(83)에 운전온 신호와 제1실내온도감지부(29)에서 검출된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온도데이타를 제1공조수단(81)의 제1송수신수단(51)에서 제1안테나(53)를 통해 RF 송신하고, 상기 스텝 S6에서 제1송수신수단(51)에서 제1안테나(53)를 통해 운전온신호 및 온도데이타가 RF 송신되면, 스텝 S7에서는 제2공조수단(83)에서 제1공조수단(81)으로 전송된 데이타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7에서 제2공조수단(83)으로부터 제1공조수단(81)의 제1마이크로컴퓨터(25)에 전송된 데이타가 있다고 판별된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8로 나아가서 제2공조수단(83)에서 송신된 평균온도 및 평균습도데이타를 제1공조수단(81)의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데이타저장영역에 저장시킨다.
상기 스텝 S8에서 제2공조수단(83)에서 송신된 평균온도 및 평균습도데이타가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데이타저장 영역에 저장되면, 스텝 S9에서는 제1마이크로컴퓨터(25)에서 평균온도가 제1운전조작수단(27) 및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35)으로 입력된 설정온도 보다 높은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9에서 평균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다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10으로 나아가서 제2공조수단(83)의 동작을 정지시켜 난방운전을 정지하고, 상기 스텝 S10에서 제2공조수단(83)의 운전이 정지되면, 스텝 S11에서는 실내산소량감지수단(33)에서 감지된 실내의 산소량의 적정량 이하인지를 제1마이크로컴퓨터(25)에서 판별하고, 상기 스텝 S11에서 실내의 산소량이 적정량이하라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12에서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1)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산소발생기(39)를 온시켜 실내에 맑은 산소를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스텝 S12에서 산소발생기(39)가 온되면, 스텝 S13에서 습도데이타가 설정습도 이하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13에서 습도데이타가 설정습도 이하라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14에서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2)로 제어신호를 가습기제어수단(41)에 출력하여 가습기(43)를 구동시키고, 상기 스텝 S14에서 가습기(43)가 구동되면 스텝 S15에서는 제1운전조작수단(27)으로부터 입력된 운전명령이 음향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드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15에서 음성출력모드라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16에서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음향발생수단(45)에서 받아 스피커(47)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고, 스텝 S17에서는 실내의 평균온도, 평균습도 및 산소량을 표시수단(49)을 통해 표시하고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3에서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35)으로부터 제1마이크로컴퓨터(25)로 입력된 운전명령이 원격제어모드가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18로 나아가서 제1운전조작수단(27)에서 입력된 명령이 온도조절명령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18에서 제1운전조작수단(27)에서 입력된 운전명령이 온도조절명령이라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19에서 제2공조수단의 운전온명령을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데이타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스텝 S6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8에서 제1운전조작수단(27)에서 입력된 명령이 온도조절 명령이 아닐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6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4에서 예약시간설정모드가 아니라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18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7에서 제2공조수단(83)에서 제1공조수단(81)으로 전송된 데이타가 없다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20에서 감지온도 및 감지습도를 제1마이크로컴퓨터(24)의 데이타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스텝 S9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9에서 제2공조수단(83)에서 송신된 평균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라고 판별될 경우 (NO일 경우)는 스텝 S21의 제2공조수단(83)정상동작루틴을 행하고, 상기 스텝 S11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 S21의 제2공조수단(83)의 정상동작루틴을 설명하면 스텝 S22에서는 제1공조수단에서 송신된 신호를 제2공조수단(83)에서 수신하고, 상기 스텝 S22에서 안테나(65)를 통해 제2송수신수단(68)에 데이타가 수신되면, 스텝 S23에서는 제2마이크로컴퓨터(55)의 입출력단자(IO2)로 입력된 신호데이타가 난방운전명령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23에서 난방운전명령이라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는 스텝 S24에서 난방운전을 행하도록 히터구동수단(9)을 통해 히터를 구동하고 스텝 S25에서는 팬모터구동수단(21)의 제어에 따라 팬모터(23)를 구동시킨다.
상기 스텝 S25에서 팬모터(23)가 구동되면 스텝 S26에서는 제2실내온도감지수단(59) 및 제2실내습도감지수단(61)을 통해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제1마이크로컴퓨터(55)의 데이타저장영역에 저장시키고, 스텝 S27에서는 상기 스텝 S26에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데이타와 상기 제1공조수단(81)에서 송신된 온도 및 습도데이타의 평균데이타를 구하고, 스텝 S28로 나아가서 상기 스텝 S27에서 얻어진 온도 및 습도의 평균데이타를 제2송수신수단(63)에서 제2안테나(65)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스텝 S28에서 온도 및 습도의 평균데이타가 제2송수신수단(63)에서 제2안테나(65)를 통해 송신되면, 스텝 S29에서는 평균온도가 제2실내온도감지수단(59)에서 감지된 감지온도보다 큰지를 판별하고, 상기 스텝 S29에서 평균온도가 감지온도보다 크다고 판별될 경우(YES일 경우) 스텝 S30에서는 제2마이크로컴퓨터(55)의 출력단자(OUT23)를 통해 루버모터구동제어수단(7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루버모터(77)를 구동시켜 도시되지 않은 루버를 상향제어하여 풍향을 상향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텝 S29에서 평균온도가 감지온도보다 크지 않다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 스텝 S31에서는 제2마이크로컴퓨터(55)의 출력단자(OUT23)를 통해 루버모터구동수단(7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루버모터(77)를 구동시켜 동시되지 않은 루버를 하향제어하여 풍향을 햐향제어한다.
한편, 상기 스텝 S23에서 난방운전이 아니라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 스텝 S11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1에서 산소량이 적정량 이하가 아니라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32에서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1)를 통해 산소발생기제어수단(37)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산소발생기(39)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13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3에서 설정습도이하가 아니라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33에서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2)를 통해 가습기제어수단(4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습기(43)의 구동을 정지하고, 스텝 S13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15에서 음성출력모드가 아니라고 판별될 경우(NO일 경우)는 스텝 S34에서 제1마이크로컴퓨터(25)의 출력단자(OUT13)를 통해 음향발생수단(45)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47)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스텝 S17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가습기 및 산소발생기를 갖추고 있으므로 실내의 습도 및 산소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음향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요시에 음향을 출력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어 외출중인 사용자가 전화를 통해 원격제어하여 필요한 시간에 실내의 공기를 공조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온도가 제2운전조작수단에 입력되면, 상기 설정온도를 제2마이크로컴퓨터에서 받아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제2실내온도감지수단에 검출된 실내온도와 비교하여 그 차에따라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히터구동수단과,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수단과, 팬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구동수단과, 풍향을 제어하도록 루버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루버모터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실내습도감지수단과, 상기 제2실내습도감지수단에서 검출된 습도를 RF 송신하고,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송수신수단으로 이루어진 제2공조수단과, 제1마이크로컴퓨터와, 사용자로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2운전조작수단과,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제1실내온도감지수단과, 실내공간중의 낮은 위치의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1실내습도감지수단과,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데이타로 출력하는 실내산소량감지수단과, 외출중인 사용자로부터 전화를 통해 작동명령을 받아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산소발생제어신호를 받아 산소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산소발생기제어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가습제어신호를 받아 가습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습기제어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음향출력제어 신호를 받아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발생수단과, 상기 제1마이크로컴퓨터의 온도제어신호를 받아 제1안테나를 통해 RF 송신하고, 상기 제2공조수단의 제2송수신수단에서 제2안테나를 통해 송신된 데이타를 제1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제1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는 제1송수신 수단으로 구성된 제1공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30002703A 1993-02-25 1993-02-25 공기조화기 KR012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703A KR0125745B1 (ko) 1993-02-25 1993-02-2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703A KR0125745B1 (ko) 1993-02-25 1993-02-2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55A KR940020055A (ko) 1994-09-15
KR0125745B1 true KR0125745B1 (ko) 1998-04-01

Family

ID=1935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703A KR0125745B1 (ko) 1993-02-25 1993-02-2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787A (ko) * 2001-08-22 2003-03-03 (주)바이오텔 실내 대기질 제어 시스템
KR100432726B1 (ko) * 2001-09-11 2004-05-2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원격제어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11816B1 (ko) * 2001-10-29 2003-12-24 한국전력공사 스페이스 히터 원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055A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08464A (ja) 運転制御システム
KR10218261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0125745B1 (ko) 공기조화기
JPH10232044A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システム
JP2012057855A (ja) 空気調和機
CN215863962U (zh) 空调器的反馈系统和空调器
KR100203426B1 (ko) 에어컨의 온도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2004176936A (ja)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方法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211258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同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暖房機器及びリモコン
CN108317689A (zh) 一种乐器房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080001293A (ko) 공기 조화기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619452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及び空気調和機
WO2001033894A1 (fr) Systeme de reponse audio telecommande et appareil de reponse audio telecommande
JP2950708B2 (ja) 人体検知手段を備えた機器と人体検知手段を備えた機器のリモコン装置
JP3086644B2 (ja) 空気調和機
JP2007187346A (ja) 電気機器及び空気調和機
KR19990083690A (ko) 버섯및식물재배용마이컴컨트롤러
KR20010047645A (ko) 유/무선 통신기를 이용한 원격조정 냉방용 공조장치
KR012573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장치 및 그 제습운전방법
JPH0642798A (ja) 暖房加湿制御装置
JP2001153439A (ja) 空気調和機
JPH0898121A (ja) 投写型表示装置
JPH0634191A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KR100347045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200131398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の送信出力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