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271B1 -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271B1
KR0125271B1 KR1019940018734A KR19940018734A KR0125271B1 KR 0125271 B1 KR0125271 B1 KR 0125271B1 KR 1019940018734 A KR1019940018734 A KR 1019940018734A KR 19940018734 A KR19940018734 A KR 19940018734A KR 0125271 B1 KR0125271 B1 KR 0125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djustment
bit
encod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237A (ko
Inventor
이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8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271B1/ko
Publication of KR9600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1/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P1/00 - H02P5/00, H02P7/00 or H02P21/00 - H02P29/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 H02P2203/03Determination of the rotor position, e.g. initial rotor position, during standstill or low speed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 검사 조정기에 있어서, 계측용 컴퓨터와 별개의 마이컴으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를 구성하여 엔코더에 의한 각도 제어 및 압력센서에 의한 조정용 모터의 비트 삽입후 유, 무를 판별하여 부품을 정확히 돌리기 위한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조정 대상체(90)의 조정점(91)를 조정하는데 있어, 계측 조정용 컴퓨터(10)를 각각의 PWM 신호 발생부(30)와 모터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회전 방향 선택부(40)와 구동 모터 선택부(42)를 통해 선택된 모터(예 : 41a)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41)에 연결되게 구성한 통상의 파형 검사 조정기 모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터(41a) 상·하부에 엔코더 펄스를 발생하여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엔코터(51)(52)를 취부하여 엔코더 입력부(50)를 통해 컴퓨터(10)로부터 전송된 모터 구동 명령어를 해독하여 제어하는 마이컴(20)에 연결하고, 모터 회전축에 취부된 압력센서(80)에 의해 조정점(91)의 비트 삽입 유, 무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비트 감지부(60)와 선택된 모터(41a)에 과전류 공급시 이를 감지하는 과부하 점검부(70)를 마이컴(20)에 연결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 제어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20 : 마이컴,
30 : PWM 신호 발생부, 31 : PWM 증폭부,
40 : 회전방향 선택부, 41 : 모터 선택부,
41a-41n : 모터, 42 : 구동 모터 선택부,
50 : 엔코터 입력부, 51,52 : 엔코더,
60 : 비트 감지부, 70 : 과부하 점검부,
80 : 압력센서, 90 : 조정체,
91 : 조정점.
본 발명은 파형 검사 조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측용 컴퓨터와 별개의 마이컴으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를 구성하여 엔코더에 의한 각도 제어 및 압력센서에 의한 조정용 모터의 비트 삽입 유, 무를 판별하여 부품을 정확히 돌리기 위한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형 검사 조정기는 조정용 모터 회전에 의해 부품을 조정하는데 있어 별도의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가 없이 계측용 컴퓨터가 조정용 모터를 선택하여 제어하였으므로 상기 계측용 컴퓨터가 조정용 모터 회전에 대해 모두 처리해야 되는 부담이 생겨 조정 속도와 효율이 저하되고, 별도의 조정 각도 제어 기능과 과부하를 점검하는 리미트 감지 장치 기능과 조정 비트 삽입 유, 무를 판별하는 기능이 없어 고정 및 조정을 하지 못하고 기능과 조정 비트 삽입 유, 무를 판별하는 기능이 없어 고정밀 조정을 하지 못하고, 과부하에 의해 부품이 자주 파손되었으며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을 하지 못해 조정 에러를 알아낼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컴에 의한 모터 전용 콘트롤러를 구성하여 계측용 컴퓨터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게 하여 처리 속도가 빠르고, 엔코더에 의해 조정 각도를 제어하여 부품을 정밀 조정하고, 과부하 감지부로 과전류 공급을 감지하여 부품의 파손을 예방하고, 압력센서로 조정 비트 삽입 유, 무를 감지하여 조정 에러를 알아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계측 고정용 정보 교환을 위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wechange) 문자 명령어를 전송하는 컴퓨터(10)를 8비트 데이타 라인을 통해 전송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제어하는 마이컴(20)에 연결하고, 상기 마이컴(20)을 각각의 PWM(Pulse Wi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하는 PWM 신호 발생부(30)와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모터 회전 방향 선택부(40)를 거쳐 PWM 신호를 키우는 PWM 증폭부(31)에 연결하고, 상기 PWM 증폭부(31)와 마이컴(20)에서 출력하는 번호값에 의해 구동하고자 하는 모터를 선택하는 구동모터 선택부(42)를 선택된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41)에 접속하고, 다수개의 모터중 선택된 모터(예 : 41a) 상부에 접속되어 모터 회전시 엔코더 펄스를 발생하여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엔코더(51)와 하부에 모터 회전을 감축하기 위해 감축기어가 취부된 엔코더(52)를 발생된 엔코터 펄스를 입력하는 엔코더 입력부(50)를 통해 마이컴(20)에 연결하고, 조정 비트에 취부되어 조정체(90)의 조정점(91)에 비트 삽입이 되었는지를 압력센서(80)에 의해 감지하여 판단하는 비트 감지부(60)를 마이컴(20)에 접속하며, 선택된 모터(41a)에 과전류 공급시 이를 감지하는 과부하 점검부(70)를 마이컴(20)에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컴퓨터(10)에서 마이컴(20)으로 8비트 데이타 라인을 통해 아래의 예제와 같은 ASCII 문자 명령어를 전송한다.
예제) CCW.80.10.10.1
여기서 CCW는 모터 구동이 시계 반대 방향임을 알리고, 80은 듀티비(80%)이며 10은 회전 각도(10˚)이고, 10은 구동시간(10m Sec)이며 1은 모터 번호이다.
따라서 마이컴(20)은 컴퓨터(10)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자체 프로그램에 의해 해독하며 모터(예 : 41a) 회전방향(CCW, CW) 명령을 회전 방향 선택부(40)에 주어 모터 구동부(41)에 의해 선택된 모터(41a)를 구동시키고, 마이컴(20)에서 다음 명령(듀티비 80% 회전 각도 10˚구동시간 10m Sec 모터 번호 1)를 순차적으로 해독하여 듀티비(80%)와 구동시간(10m Sec) 사이에서 최적의 PWM 신호 발생부(30)에 전송함과 아울러 구동 모터 선택부(42)에 모터(41a) 번호값을 준다.
이때부터 선택된 모터(41a)는 모터 구동부(41)에 의해 회전을 시작하여 엔코더(5l)(52)에서 엔코딩된 펄스가 엔코더 입력부(50)를 통해 마이컴(20)이 입력받아 모터(41a)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엔코더 펄스를 계산한다.
그 계산 방법의 일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엔코더(51)(52)에서 펄스가 입력될때 1주기당 1000×100=100,000개의 펄스가 발생되었다면 마이컴(20)은 엔코더 입력부(50)에서 입력되는 엔코더(51) 값과 엔코더(52)에서 발생된 값의 펄스가 일치되는 기점으로 각도를 계산(예 : 1개의 펄스당 0.0036˚이므로 1˚에 약 277.8개의 펄스)하여 모터(41a)를 하강시켜 조정체(90)의 조정점(91)에 조정 비트 삽입이 완료되면 컴퓨터(10)에서 전송된 명령 각도에 조정체(90)의 조정점(91)이 일치되도록 모터(41a)를 회전시킨다.
예제) 모터(41a) 회전각이 10˚일때 10×277.8=2778개의 펄스가 될때까지 회전시킨다.
여기서 비트 감지부(60)는 모터(41a) 조정 비트가 조정체(90)의 조정점(91)을 돌리고자 조정 비트 하강시 조정점(91)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의 유, 무를 판단하기 위함이며 판단 방법은 조정 비트가 하강하여 조정점(91) 홈에 일치했을때의 압력과 일치하지 않았을 때의 압력을 압력센서(80)로 감지하여 판단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모터(41a) 조정 비트가 조정체(90)의 조정점(91) 홈에 도달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할때 전류가 과다하게 공급되게 되므로 과부하 점검부(70)에서 전류가 기준값 이상이 될때를 감지하여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여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으면 조정 작업을 계속하고, 과부하가 발생되었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컴에 의한 모터 전용 콘트롤러를 구성하여 계측용 컴퓨터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게 하므로서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고, 엔코더에 의해 조정 각도를 제어하여 부품을 정밀 조정하고, 과부하 감지부로 과전류 공급을 감지하여 부품의 파손을 예방하고, 조정 비트 삽입 유, 무를 압력센서로 감지하여 조정시 에러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조정 대상체(90)의 조정점(91)을 조정하는데 있어, 계측 조정용 컴퓨터(10)를 각각의 PWM 신호 발생부(30)와 모터 회전 방향을 선택하는 회전 방향 선택부(40)와 구동 모터 선택부(42)를 통해 선택된 모터(예 : 41a)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부(41)에 연결되게 구성한 통상의 파형 검사 조정기 모터 콘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터(41a) 상·하부에 엔코더 펄스를 발생하여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엔코더(51)(52)를 취부하여 엔코더 입력부(50)를 통해 컴퓨터(10)로부터 전송된 모터 구동 명령어를 해독하여 제어하는 마이컴(20)에 연결하고, 모터 회전축에 취부된 압력센서(80)에 의해 조정점(91)의 비트 삽입 유, 무를 감지하여 판단하는 비트 감지부(60)와 선택된 모터(41a)에 과전류 공급시 이를 감지하는 과부하 점검부(70)를 마이컴(20)에 연결되게 구성한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모터 콘트롤러.
KR1019940018734A 1994-07-29 1994-07-29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KR0125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34A KR0125271B1 (ko) 1994-07-29 1994-07-29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734A KR0125271B1 (ko) 1994-07-29 1994-07-29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237A KR960006237A (ko) 1996-02-23
KR0125271B1 true KR0125271B1 (ko) 1997-12-04

Family

ID=1938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734A KR0125271B1 (ko) 1994-07-29 1994-07-29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2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237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3023B1 (en) Encoder and parameter establishing device therefor
CA1175892A (en) Apparatus for stepper motor position control
KR0125271B1 (ko) 각도 제어 및 조정 비트 삽입 유, 무 판별이 가능한 조정용 모터 콘트롤러
KR20040017175A (ko) 스텝모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11130353A (ja) エレベータ調速機の動作試験装置
JP7277295B2 (ja) サーボモータの制御装置
JP4270616B2 (ja) エンコーダ種類に対応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506188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reciprocating member, having data display capable of indicating encoder signal indicative of the movement
CN113389538B (zh) 车身回转控制方法以及系统
JP5049084B2 (ja) 負荷異常診断装置および負荷異常診断プログラム
KR890002460B1 (ko) 재봉틀 제어장치
EP1646141A2 (en) Numerical control device
JP7294901B2 (ja) ファンモータ、ファンモータ駆動装置、及び冷却装置
JP2005288589A (ja) 自動ねじ締め装置
KR0154411B1 (ko) 각도제어에 의한 파형검사조정기 조정장치 및 방법
KR960000289B1 (ko) 로보트의 원점세트 장치 및 그 방법
JP2009128089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
KR100242012B1 (ko) 스위치드릴럭턴스모터의전류중첩제어방법
KR20010076914A (ko) 단상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구동장치 및 방법
KR970007131Y1 (ko) 공구대 위치검출장치
JP3181522B2 (ja) ダイレクトドライブモータの等分割位置出力制御装置
JP4269874B2 (ja) サーボ制御装置
KR100690641B1 (ko) 비엘디씨 모터의 정/역회전 변경시점 검출방법
KR200256351Y1 (ko) 공작기계용 서보드라이브의 위치펄스 모니터링 시스템
JP2571588B2 (ja) 精米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