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075Y1 -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075Y1
KR0125075Y1 KR2019950040814U KR19950040814U KR0125075Y1 KR 0125075 Y1 KR0125075 Y1 KR 0125075Y1 KR 2019950040814 U KR2019950040814 U KR 2019950040814U KR 19950040814 U KR19950040814 U KR 19950040814U KR 0125075 Y1 KR0125075 Y1 KR 0125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ush
rack bush
rack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794U (ko
Inventor
류준형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50040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075Y1/ko
Publication of KR9700367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7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0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랙바의 좌우운동을 가이드하는 랙부쉬의 중앙부에 스프링(Spring)을 환설하여 랙바의 좌, 우 슬라이딩 및 경방향 하중발생시 유격을 보상하면서 노이즈(Noise)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랙부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향장치의 랙튜브에 설치되어 좌, 우 슬라이딩되는 랙바끝단에 랙부쉬를 삽입하여 랙스톱퍼로 고정하되 상기 랙부쉬의 중앙에 스프링을 환설하여 랙바의 좌우슬라이딩을 도와주다가 경방향하중에 따른 랙바의 요동을 보상하여 랙부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Manual Steering)조향장치의 랙부쉬(Rack Bush)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향장치의 요부절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조향장치의 요부절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랙튜브 2 : 랙바
3 : 랩부쉬 4 : 지지돌기
5 : 충격보상홈 6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Manual Steering)조향장치의 랙부쉬(Rack Bush)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랙바의 좌우운동을 가이드하는 랙부쉬의 중앙부에 스프링(Spring)을 환설하여 랙바의 좌, 우 슬라이딩 및 경방향 하중발생시 유격을 보상하면서 노이지(Noise)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랙부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랙튜브(51)내에 랙바(52)를 설치하되, 랙튜브(51)의 끝단에는 랙바(52)의 좌, 우습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경방향 하중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랙부쉬(53)를 설치한 후 랙스톱퍼(57)를 고정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랙바(52)를 잡아주기 위한 랙부쉬(53)는 120°지점에 3점 지지면(54)을 형성하여 좌, 우 원활한 습동을 유도하다가 경방향하중을 받을때 3점 지지면(54)의 틈새(55) 만큼 유격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구성된 조향장치는 랙튜브(51)내에 120°지점에 3점 지지면(54)을 갖는 랙부쉬(53)를 삽입설치하여 랙바(52)를 좌, 우 가이드되게 하는 바 이는 랙바(52)와 랙부쉬(53)의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밀하게 재작하여야하므로 제작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랙바(52)에 랙부쉬(53)를 설치후 장기간 사용시는 랙부쉬(53)의 내면이 마모되어 좌, 우 슬라이딩 및 경방향 하중 발생시 랙바(52)가 요동되어 노이즈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조향장치의 랙튜브에 설치되어 좌, 우 슬라이딩되는 랙바 끝단에 랙부쉬를 삽입하여 랙스톱퍼로 고정하되 상기 랙부쉬의 중앙에 스프링을 환설하여 랙바의 좌우 슬라이딩을 도와주다가 경방향하중에 따른 랙바의 요동을 보상하여 랙부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조향장치의 요부절개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 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간에 연장조립된 랙튜브(1)의 내부에 유량조절에 의해 좌, 우 슬라이딩되는 랙바(2)를 중앙에 위치되게 조립하고, 랙튜브(1)의 끝단에는 랙바(2)에 삽입되는 상태로 랙부쉬(3)를 설치하되, 랙부쉬(3)의 중앙원주에 내주연으로 지지돌기(4)를 형성하고 외주연으론 항상 압입력을 갖을 수 있도록 스프링(6)을 환설하였다.
이때 상기 랙부쉬(3)의 내주면에 돌설된 지지돌기(4)의 양측으론 충격보상홈(5)을 갖도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랙부쉬(3)의 삽입고정 완료후에는 외측에서 랙스톱퍼(7)를 압입하여 랙부쉬(3)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향장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연장조립된 랙튜브(1)에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유량을 공급하여 좌, 우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랙바(2)를 조립한다.
그리고 랙튜브(1)와 랙바(2)간에는 내주연 중앙에 지지돌기(4)가 형성되고 외주연에 스프링(6)이 탄설된 랙부쉬(3)를 삽입하되, 랙부쉬(3)의 내주면 중앙에 돌설된 지지돌기(4)를 랙바(2)의 외주면과 긴밀히 접촉지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지지돌기(4)양측의 충격보상홈(5)은 경방향 하중 발생시 충격은 흡수 할 수 있도록 렉바(2)와 이격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으며, 랙부쉬(3)의 원주면 랙튜브(1)와 긴밀히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랙튜브(1)의 끝단에는 랙바(2)와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랙스톱퍼(7)를 삽입고정하여 랙부쉬(3)의 이탈됨을 방지토록 삽입고정하여 조립완료한다.
이 상태에서 조향핸들의 조향에 의해, 렉튜브에(1)에 설치된 랙바(2)를 작동시키면 랙튜브(1)의 끝단에 조립된 랙부쉬(3)의 지지돌기(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원활한 슬라이딩을 도와준다.
이때, 랙튜브(1)의 외주면에 환설된 스프링(6)은 항상 조임하중작용을 하고 있어 습동저항을 일정하게 보상하고 있게된다.
그리고 렉튜브(1)에 설치된 랙바(2)에 경방향하중이 발생하면 랙부쉬(3)의 지지돌기(4)양측에 형성된 충격보상홈(5)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경방향하중을 흡수하면서 랙부쉬(3)의 중앙부를 스프링(6)이 항상 조임하중을 갖고 있게되어 랙부쉬(3)의 변형을 최소화하므로서 랙바(2)의 상하요동시 랙부쉬(3)와 랙바(2)사이의 유격이 없어 노이즈의 발생됨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랙튜브와 랙바 사이에 중앙 내주면에 지지돌기를 돌출하고 외주면에 스프링을 환설한 랙부쉬를 설치하여 랙바의 좌, 우 슬라이딩운동을 할 때 원활한 움직임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랙바 가이드 역활을 하고, 랙바가 경방향 하중 발생시 랙부쉬의 변형을 최소화 하여 랙바의 요동시 랙부쉬와 랙바 사이를 항상 일정하게 보상시켜 노이즈의 발생됨을 전혀 없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랙튜브(1)와 랙바(2)를 조립하되, 그 사이에 랙부쉬(3)를 설치한 후 랙스톱퍼(7′)로 고정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부쉬(3)의 중앙 내면에는 지지돌기(4)를 돌설시키되 양측에 충격보상홈(5)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조임력을 갖는 스프링(6)을 환설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매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KR2019950040814U 1995-12-13 1995-12-13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KR0125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14U KR0125075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14U KR0125075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794U KR970036794U (ko) 1997-07-26
KR0125075Y1 true KR0125075Y1 (ko) 1998-09-15

Family

ID=1943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814U KR0125075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0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87B1 (ko) * 2002-07-29 2007-08-0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동 파워스티어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794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587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US5195717A (en) Device for mounting and fixing the hydraulic unit of an abs
KR930019496A (ko) 차량용 위치 조절 가능한 조향 컬럼 유니트
KR0125075Y1 (ko) 자동차용 메뉴얼 스티어링 조향장치의 랙부쉬
KR102394389B1 (ko) 미끄럼 베어링 및 이를 구비한 베어링 기구
US11613300B2 (en) Steering apparatus
US7500414B2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vehicle
KR102070272B1 (ko) 스태빌라이저용 부시
KR101766111B1 (ko) 내부 구성요소의 회전이 가능한 부시와 이를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바 어셈블리
JP3843205B2 (ja) 舵取り装置の取付構造
US20080156573A1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JP2022190692A (ja)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のラックのガイドベアリング
JP4730160B2 (ja) スタビライザーブッシュ装置
US6261024B1 (en) Rocker device for an openable motor vehicle roof and process for mounting one such device
JPH11294511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652635B1 (ko)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KR20150026452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보상 장치
JPH01199028A (ja) ブッシュ組立体
KR100236211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 에너지 흡수부재
JPS6220368Y2 (ko)
KR970004338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박스의 랙부쉬(Rack Bush)구조
KR20050121793A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와 지지장치
KR10079509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마운팅브라켓
KR10025497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
KR0176054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에너지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