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635B1 -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635B1
KR101652635B1 KR1020150052563A KR20150052563A KR101652635B1 KR 101652635 B1 KR101652635 B1 KR 101652635B1 KR 1020150052563 A KR1020150052563 A KR 1020150052563A KR 20150052563 A KR20150052563 A KR 20150052563A KR 101652635 B1 KR101652635 B1 KR 10165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racket unit
insertion hole
power stee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052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개구된 삽입 홀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가 삽입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와 상기 브라켓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Power steering ECU cable retainer body}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와 연결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홀더부를 브라켓 유닛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행하는 장치로 스티어링휠과 스티어링 샤프트 및 스티어링 컬럼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와, 조작기구의 운동 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그리고 기어장치의 작동을 자동차의 앞바퀴에 전달하고 좌우 바퀴의 위치를 바르게 지지하는 피트먼 아암과 드래드 링크 및 너클 아암과 타이로드 등으로 이루어진 링크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컬럼은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며 상기 스티어링 휠의 각도와 전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써, 운전자의 조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조절하며, 근래에는 차량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 기능이 부가된 스티어링 컬럼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가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는데, 상기 파워스티어링 ECU는 작동을 위한 와이어가 상기 브라켓에 설치된 홀더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파워스티어링 ECU로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는 홀더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홀더를 브라켓에 개구된 삽입 홀에 우선 설치하여 상기 홀더를 안정적으로 고정한 후에 상기 와이어에 대한 고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에 홀더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홀더가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어야 하나 상기 홀더가 삽입 홀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홀더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상기 삽입 홀에서 홀더가 이탈되거나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가 홀더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홀더가 삽입 홀에서 이탈될 경우 재 장착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528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이 장착되는 홀더부를 상기 브라켓 유닛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개구된 삽입 홀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가 삽입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와 상기 브라켓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는 일면이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삽입 홀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 유닛의 일면을 향해 절곡되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는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길이 방향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는 상기 브라켓 유닛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측에 형성된 마그네틱에 의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부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가이드는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길이 방향에 돌출된 제1 돌기에 삽입되도록 제1 홈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 홀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유닛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브라켓 유닛에서 돌출된 제2 돌기에 삽입되도록 제2 홈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 본체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개구된 삽입 홀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가 삽입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와 상기 브라켓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유닛은 상기 홀더부와 밀착된 밀착면의 두께(t1)가 감소된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로 연결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차량에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이탈이 방지되어 케이블에 대한 고정 안정성이 향상되어 이탈로 인한 문제점이 예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1)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ECU본체를 고정하는 브라켓 유닛(10)에 설치되는 홀더부(20)의 안정적인 안착과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2)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3)에 대한 고정을 위한 홀더부(20)를 통해 상기 브라켓 유닛(10)에서 상기 홀더부(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착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2)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10)과,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2)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3)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10)에 개구된 삽입 홀(11)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20) 및 상기 홀더부(20)가 삽입 홀(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20)와 상기 브라켓 유닛(10)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30)를 포함한다.
파워 스티어링 ECU본체(2)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브라켓 유닛(10)이 장착되는데,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본체(2)에 대한 작동을 위해 케이블(3)이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3)은 브라켓 유닛(10)과 근접한 경로로 배치되는데, 상기 브라켓 유닛(10)에는 홀더부(20)의 삽입을 위해 삽입 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11)을 경유하여 홀더부(20)가 결합된다.
홀더부(20)는 삽입 홀(11)을 경유하여 위치되는 헤드부(20a)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부(20b)와, 상기 삽입 홀(11)이 형성된 브라켓 유닛(10)의 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0c)와, 상기 밀착부(20c)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3)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2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20b)는 헤드부(20a)를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20b)는 헤드부(20a)에서 외측 후방을 향해 벌어진 상태로 연장되므로 삽입 홀(11)을 경유한 헤드부(20a)가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20c)는 브라켓 유닛(10)에 밀착되되, 상기 삽입 홀(11)이 형성된 브라켓 유닛(10)의 일면에 밀착 유지된다.
케이블 삽입부(20d)는 케이블(3)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케이블(3)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 가이드(30)는 일면이 상기 삽입 홀(11)을 경유한 홀더부(2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삽입 홀(11)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 유닛(10)의 일면을 향해 절곡되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유닛(10)에 용접 또는 볼팅 고정 방식을 통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 가이드(30)는 홀더부(20)에 구비된 헤드부(20a)가 삽입 홀(11)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 홀(11)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부(20a)를 브라켓 유닛(10)에 고정시켜 진동이 브라켓 유닛(10)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홀더부(20)에 고정된 케이블(3)이 상기 케이블 삽입부(20d)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의 안정적인 작동이 유지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정하는 동안 차량의 조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가이드(30)는 상기 삽입 홀(11)을 경유한 홀더부(20)의 길이 방향에 각각 장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L자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나, 일단이 헤드부(20a)에 고정되고, 타단이 브라켓 유닛(10)에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지지 가이드(30)는 상기 브라켓 유닛(10)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측에 형성된 마그네틱(M)에 의해 상기 브라켓 유닛(1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경우 마그네틱(M)은 지지 가이드(3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그네틱(M)은 스틸에 부착시켜 사용하므로 상기 브라켓 유닛(10)에 형성된 마그네틱(M)의 자력에 의해 브라켓 유닛(10)에 손쉽게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유닛(10)이 비금속 재질일 경우 상기 마그네틱(M)과 인력이 작용하는 다른 보조 마그네틱(미도시)이 상기 마그네틱(M)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마그네팃(M)과 보조 마그네틱은 서로 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손쉽게 부착이 가능하고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간에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진동이 브라켓 유닛(10)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지지 가이드(30)가 브라켓 유닛(10)에 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이탈이 방지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지지 가이드(30)는 상기 삽입 홀(11)을 경유한 홀더부(20)의 길이 방향에 돌출된 제1 돌기(22)에 삽입되도록 제1 홈부(32a)가 형성된 제1 연장부(32)와, 상기 제1 연장부(32)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 홀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유닛(10)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브라켓 유닛(10)에서 돌출된 제2 돌기(24)에 삽입되도록 제2 홈부(34a)가 형성된 제2 연장부(3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지지 가이드(30)가 앞서 설명한 구성과 다르게 돌기와 홈부의 상호 결합에 의한 고정 방식에 의해 서로 간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이 경우 돌기의 형상과 위치는 홈부의 형상과 위치와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특별히 도면에 도시된 위치와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 돌기(22)는 단일 개수로 이루어지거나 복수개가 돌출된 구성 중의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특별히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1 돌기(22)는 제1 홈부(32a)에 결합된 이후에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주면에 단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홈부(32a)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속적이고 장시간의 진동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결합된 상태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결합성이 향상된다.
제2 돌기(24)와 제2 홈부(34a) 또한 전술한 제1 돌기(22)와 제1 홈부(32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1a)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2)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100)과,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2)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3)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100)에 개구된 삽입 홀(110)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200); 및 상기 홀더부(200)가 삽입 홀(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200)와 상기 브라켓 유닛(100)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300)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 유닛(100)은 상기 홀더부(200)와 밀착된 밀착면(400)의 두께(t1)가 감소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면(400)은 홀더부(200)의 밀착부(200c)와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홀더부(200)가 삽입된 위치의 브라켓 유닛(100)의 두께와 상기 홀더부(200)와 이격된 다른 브라켓 유닛의 두께(t2)는 서로 상이한 두께가 유지되며, 상기 밀착면의 두께(t1)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경우 치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고 균일해지므로 상기 밀착부(200c)가 항시 상기 밀착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상기 홀더부(200)의 안착성이 향상된다.
밀착면(40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가공되므로 홀더부(200)가 상기 밀착면(400)에 밀착될 경우 유격 발생이 최소화되고 밀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지지 가이드(300)와 함께 홀더부(200)의 안정적인 설치와 이탈 방지를 도모하여 진동이 간헐적으로 전달되거나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장기간 유지된다.
홀더부(200)는 삽입 홀(110)을 경유하여 위치되는 헤드부(200a)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걸림부(200b)와, 상기 삽입 홀(11)이 형성된 브라켓 유닛(10)의 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200c)와, 상기 밀착부(200c)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3)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부(20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부(200b)는 헤드부(200a)를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200b)는 헤드부(200a)에서 외측 후방을 향해 벌어진 상태로 연장되므로 삽입 홀(110)을 경유한 헤드부(200a)가 삽입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200c)는 브라켓 유닛(100)에 밀착되되, 상기 삽입 홀(110)이 형성된 브라켓 유닛(100)의 일면에 밀착 유지된다. 케이블 삽입부(200d)는 케이블(3)이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거나 상기 케이블(3)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특정 구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지지 가이드(300)는 일면이 상기 삽입 홀(110)을 경유한 홀더부(200)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삽입 홀(110)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 유닛(100)의 일면을 향해 절곡되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유닛(100)에 용접 또는 볼팅 고정 방식을 통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 가이드(300)는 홀더부(200)에 구비된 헤드부(200a)가 삽입 홀(110)에 삽입된 이후에 상기 삽입 홀(110)을 통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부(200a)를 브라켓 유닛(100)에 고정시켜 진동이 브라켓 유닛(100)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홀더부(200)에 고정된 케이블(3)이 상기 케이블 삽입부(200d)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의 안정적인 작동이 유지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정하는 동안 차량의 조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가이드(300)는 상기 삽입 홀(110)을 경유한 홀더부(200)의 길이 방향에 각각 장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L자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나, 일단이 헤드부(200a)에 고정되고, 타단이 브라켓 유닛(100)에 고정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
3 : 케이블
10, 100 : 브라켓 유닛
11, 110 : 삽입 홀
20, 200 : 홀더부
30, 300 : 지지 가이드
400 : 밀착면

Claims (7)

  1.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개구된 삽입 홀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가 삽입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와 상기 브라켓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 유닛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내측에 형성된 마그네틱에 의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부착 유지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는,
    일면이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삽입 홀을 향해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브라켓 유닛의 일면을 향해 절곡되어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는,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길이 방향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가이드는,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길이 방향에 돌출된 제1 돌기에 삽입되도록 제1 홈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 홀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유닛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브라켓 유닛에서 돌출된 제2 돌기에 삽입되도록 제2 홈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유닛은,
    상기 홀더부와 밀착된 밀착면의 두께(t1)가 감소된 상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7.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와 고정된 브라켓 유닛;
    상기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를 향해 연장된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위해 상기 브라켓 유닛에 개구된 삽입 홀을 경유하여 삽입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가 삽입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부와 상기 브라켓 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지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가이드는,
    상기 삽입 홀을 경유한 홀더부의 길이 방향에 돌출된 제1 돌기에 삽입되도록 제1 홈부가 형성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 홀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브라켓 유닛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브라켓 유닛에서 돌출된 제2 돌기에 삽입되도록 제2 홈부가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0150052563A 2015-04-14 2015-04-14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65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63A KR101652635B1 (ko) 2015-04-14 2015-04-14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563A KR101652635B1 (ko) 2015-04-14 2015-04-14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635B1 true KR101652635B1 (ko) 2016-08-30

Family

ID=5688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563A KR101652635B1 (ko) 2015-04-14 2015-04-14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46A (ko) 2018-10-23 2020-05-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545U (ko) * 1997-10-24 1999-05-25 추호석 자동차 전장품의 케이블와이어 고정브라켓
KR20060052813A (ko)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KR20110032631A (ko) * 2009-09-23 2011-03-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컬럼의 컨넥터 클립과 브라켓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545U (ko) * 1997-10-24 1999-05-25 추호석 자동차 전장품의 케이블와이어 고정브라켓
KR20060052813A (ko) 2003-07-15 2006-05-19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자동차의 도어 또는 힌지 결합된 플랩을 위한 핸들
KR20110032631A (ko) * 2009-09-23 2011-03-30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조향컬럼의 컨넥터 클립과 브라켓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846A (ko) 2018-10-23 2020-05-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용 도난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650B2 (en) Chassis control arm with an air-guiding device
US20140326836A1 (en) Cable fixing clip for preventing reverse-assembly
KR10139052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EP1847755A2 (en) Piping fixing structure
US6926434B2 (en) Headlamp fix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1652635B1 (ko) 파워 스티어링 ecu 본체의 케이블 고정 장치
JP2018016296A (ja) 車両用補機の取付構造
KR20060135912A (ko) 와이핑 기구용 고정 장치
KR101806438B1 (ko) 차량 내장재용 고정클립
KR20230002575A (ko) 후면 패널에 v2x 안테나가 제공되는 차량
KR10161522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KR101710372B1 (ko) 로워암 조립장치
JP2001042193A5 (ko)
CN109649510B (zh) 用于机动车辆的后扰流器的装配支架
EP3038861B1 (en) Socket joint with integrated tube anchors
KR20160072310A (ko)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JP2021127037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HU230911B1 (hu) Vezérlőkábel összeállítás jármű számára
CN210806228U (zh) 用于固定车辆前照灯线束连接器的连接器支架
JP2018043600A (ja) ハーネスクランプ
KR20180068139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
KR101583440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브라켓 결합구조
KR101774638B1 (ko) 텐셔너
KR20190047980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ES2342617T3 (es) Dispositivo de revestimiento de una columna de direc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