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820Y1 - 전자부품 실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실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820Y1
KR0124820Y1 KR2019950029139U KR19950029139U KR0124820Y1 KR 0124820 Y1 KR0124820 Y1 KR 0124820Y1 KR 2019950029139 U KR2019950029139 U KR 2019950029139U KR 19950029139 U KR19950029139 U KR 19950029139U KR 0124820 Y1 KR0124820 Y1 KR 01248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empty
fram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349U (ko
Inventor
최희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9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820Y1/ko
Publication of KR970020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8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8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다수의 부품을 탑재한 트레이가 트레이적재함으로부터 프레임 상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놓여져 있던 전자부품들이 모두 소진된 상태가 되었을 때, 그 빈 트레이를 용이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
제1도는 종래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일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일예의 개략적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제3도는 프레임 상의 빈 트레이가 취출되기 전의 상태를 보이며 제4도는 빈 트레이가 취출되는 상태를 보인다.
제5도는 제4도의 V-V선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부품 실장장치 110 : 케이스
120 : 트레이적재함 130 : 트레이
140 : 프레임 141 : 가이드부
151 : 공압척 152 : 벨트
153 : 모터 164 : 이송판
167 : 지지대 168 : 흡착헤드
171 : 척킹부재 172 : 블럭
173 : 척킹부재 승강용모터 180 : 컨베이어
190 : 트레이공급대 192 : 실린더
본 고안은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장착하는 공정에는 전자부품 실장장치가 사용된다. 이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될 부품들이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를 트레이적재함 내에 다단으로 적재하여 두고, 그 트레이들을 트레이적재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한 후 그 인출된 트레이상의 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도록 된 것으로서, 그 일예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부품 실장장치(90)는 상부에 부품이 놓이는 부품수납부(31)를 다수 갖춘 트레이(30)와, 트레이(30)를 다수 적재할 수 있도록 다단의 트레이수납부(21)를 가지는 트레이적재함(20)과, 이 트레이적재함(20)들 내의 트레이(30)를 프레임(40)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수단과, 인출된 트레이(30) 상의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소정위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하는 흡착헤드(6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적재함(20)은 케이스(10) 내의 브라켓(13)에 놓이는데, 이 브라켓(13)은 이송나사(12)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송나사(12)는 케이스(10)에 고정된 모터(11)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11)의 회전시 브라켓(13)이 이송나사(12)를 통해 가이드봉(14)을 따라 승강하게 되므로, 브라켓(13)에 놓여진 트레이적재함(20)들은 케이스(10)내에서 승강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40)은, 트레이적재함(20)의 전방에 케이스(10)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상호 소정거리 이격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41)를 갖고 있다. 이 가이드부(41)들은, 트레이적재함(20)의 승강시 트레이적재함(20) 내의 트레이(30)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인접되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4)들에 인접되게 위치하는 트레이는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트레이적재함(20)으로부터 프레임(40)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인출수단으로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트레이적재함(20)측으로 전후진 주행하는 벨트(52)에 고정되어 그 벨트(52)의 주행에 따라 트레이적재함(20) 측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된 공압척(51)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공압척(51)은, 벨트(52)가 전진 주행한 상태에서 트레이적재함(20)내의 상기 가이드부(41)에 인접된 트레이(30)를 척킹한 후 벨트(52)의 후진 주행시 그 트레이(30)를 프레임(40) 상으로 인출하게 된다. 한편,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30)는 그 장변 방향으로의 양 단부가 프레임(40)의 가이드부(41)들에 접촉 가이드되면서 인출되고, 인출된 상태에서 그 장변방향의 양단부 하측면이 가이드부(41)들에 접촉되어 지지되게 된다.
이처럼 인출된 트레이(30) 상의 전자부품은 흡착헤드(68)에 의해 흡착되게 되는데, 흡착헤드(68)에는 전자부품이 흡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진공원(미도시)으로부터 진공압이 공급된다. 그리고 흡착헤드(68)는, 부품의 흡착 및 흡착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프레임(40)의 상방에서 수평이동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착헤드(68)의 구동수단으로서, 케이스(10)에 고정된 X축방향 이송모터(61)와, 이 X축방향 이송모터(61)의 출력축에 결합된 이송나사(62)와 나사결합되어 모터(61)의 회전시 가이드봉(63)을 따라 트레이적재함(20)측으로 진퇴하는 이송판(64)과, 이 이송판(64)에 고정된 Y축방향 이송모터(65)에 의해 이송판(64)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벨트(66)와, 이 벨트(66)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헤드(68)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67)과, 흡착헤드(68)를 지지대(67)에 대해 승강시키는 구동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부품 실장장치(90)에 있어서, 트레이적재함(20) 내의 트레이(30)들 중 어느 하나가 인출수단에 의해 프레임(40) 상에 인출되면, 흡착헤드(68)가 트레이(30)상의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고, 그 사이에 프레임(40) 상의 트레이(30)는 인출수단에 의해 다시 그 트레이수납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다시 원하는 부품이 놓여져 있는 트레이가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후, 상술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트레이들에 놓여진 전자부품들이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게 된다.
한편, 프레임(40)으로 인출된 트레이(30) 상의 부품이 모두 소진되게 되면(일반적으로, 임의의 트레이상에 놓여지는 부품수는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그 트레이가 트레이적재함(20)으로부터 인출되는 수를 기초로 하여 부품의 소진된 시기 및 그 트레이가 수납되어 있던 트레이수납부의 위치를 작업자가 알 수 있도록 램프의 점등 등에 의해 표시하도록 되어 있음), 그 빈 트레이를 다시 새로운 부품들이 놓여진 새 트레이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빈 트레이(30)를 트레이적재함(20) 내의 트레이수납부(21)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전자부품 실장장치(9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케이스(10) 내의 트레이적재함(20)을 케이스(10) 밖으로 꺼낸 후, 빈 트레이를 트레이수납부로부터 취출하고 새로운 트레이를 그 트레이수납부에 수납시켜 둔 다음 다시 트레이적재함(20)을 케이스(10) 내의 브라켓(13)에 올려 두어야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트레이 교환방법에 따르면, 트레이적재함이 상당히 무거우므로 그 트레이적재함의 취출 및 삽입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우려가 내재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빈 트레이의 교환작업에 따르는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빈 트레이를 다시 새로운 트레이로 교환하는 작업이 상당히 용이하며 신속하게 행하여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교환작업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는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을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전자부품들이 놓여진 트레이가 다단으로 적재되는 트레이적재함과, 이 트레이적재함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해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트레이적재함 내의 트레이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인출하기 위한 트레이인출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인출된 트레이 상의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탑재시키는 흡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인출된 트레이는 그 장변방향으로의 양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들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하방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안착되는 물체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가이드부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빈 트레이를 척킹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안착시키는 빈 트레이 취출수단과, 상기 트레이적재함 내의 상기 빈 트레이가 수납되어 있던 위치에 다시 새로운 부품들이 놓여진 트레이를 수납시키기 위한 새 트레이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의 케이스(110) 내에는, 모터(111)가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113)이 가이드봉(114)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브라켓(113)은 상기 모터(111)의 출력축에 결합된 이송나사(112)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브라켓(113)에는 한 쌍의 트레이적재함(120)이 놓여져 있다. 각 트레이적재함(120)의 내부에는 다단의 트레이수납부(121)가 구비되어 있는데, 각 트레이수납부(121)에는 부품이 놓여지는 부품수납부(131)를 다수 가지는 트레이(130)가 수납되게 된다.
트레이적재함(120)의 전방에는 케이스(110)에 대해 고정 설치된 프레임(140)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 프레임(140)의 상부에는 상호 이격 대향된 한 쌍의 가이드부(141)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14)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적재함(120)으로부터 트레이(130)가 인출될 때, 그 트레이(130)의 장변방향으로의 양단부의 하면을 접촉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는, 트레이적재함(120)내의 트레이를 프레임(140) 위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수단으로서, 트레이(130)를 척킹하는 한 쌍의 공압척(151)과, 상기 프레임(140) 상에 트레이적재함(120) 측으로 전후진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압척(151)을 고정지지하는 한 쌍의 벨트(152)와, 프레임(140)에 고정되어 벨트(152)들이 주행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5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벨트(152)들은, 트레이(130)의 단변의 길이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며, 모터(153)와 연결된 축(154)에 의해 상대고정된 폴리에 걸려저 모터(153)의 회전시 동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수단에 의해 프레임(140)의 상부로 인출된 트레이(130)상의 전자부품들 중 어느 하나를 흡착하여 소정위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장착하는 흡착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 흡착수단으로서, 케이스(110)에 고정된 X축방향 이송모터(161)와, 프레임(140)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모터(161)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이송나사(162)와, 이 이송나사(162)에 나사결합되어 X축방향 이송모터(161)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봉(163)을 따라 트레이적재함(120) 측으로 전후진되는 이송판(164)과, 이 이송판(164)에 고정된 Y축방향 이송모터(165)와, Y축방향 이송모터(165)에 의해주행하는 벨트(166)에 고정되어 이송판(164)의 이송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대(167)와, 이 지지대(167)에 소정의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흡착헤드(16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00)는 종래 전자부품 실장장치와는 달리, 상기 가이드부(141) 하방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안착되는 물체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는 컨베이어(180)와, 상기 프레임(140)의 가이드부(141)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빈 트레이(130)를 척킹하여 상기 컨베이어(180) 상에 안착시키는 빈 트레이 취출수단과, 상기 트레이적재함(120) 내의 상기 빈 트레이(130)가 수납되어 있던 트레이수납부에 다시 새로운 부품들이 놓여진 트레이를 수납시키기 위한 새 트레이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참조부호 181은 컨베이어(180)를 지지하는 지지대이며, 182는 컨베이어(180)의 구동을 위한 모터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 취출수단은 프레임(140)의 상방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물체를 척킹하는 공압척이나 진공흡착헤드 등의 척킹부재(171)를 구비하여, 이 척킹부재(171)가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140) 상의 빈 트레이(130)를 척킹한 후, 그 빈 트레이(130)의 장변방향으로의 양 단부 하면과 가이드부(141)들과의 접촉이 해제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척킹되어 있던 빈 트레이(130)를 낙하시켜 상기 컨베이어(180)상에 안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척킹부재(171)는, 흡착헤드(168)를 지지하는 지지대(167)에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블록(172)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블록(172)의 상단에 고정된 모터(173)에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0)의 상기 트레이적재함(120)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벽에는 트레이적재함(120)의 내부로 트레이가 출입 가능하도록 트레이 출입공(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새 트레이 공급수단으로서, 케이스(110)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트레이 출입공(115)에 인접되게 위치하며 그 상면에 상기 새로운 트레이(130a)가 놓여지는 트레이공급대(190)와, 이 트레이공급대(190)에 놓여진 트레이(130a)를 압압하여 케이스(110)의 트레이 출입공(115)을 통해 트레이적재함(120) 내부로 이송시키는 실린더(192)가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공급대(190)에는 절제부(191)가 트레이적재함(120)을 향해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92)는 트레이공급대(190)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그 로드(193)에는 일단이 상기 절제부(191)를 통해 트레이공급대(190)의 상측으로 돌출된 트레이 압압부재(194)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레이적재함(120) 내에 적재되어 있는 트레이(130)들 중에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고자 하는 전자부품을 탑재한 트레이가 프레임(140)의 가이드부(141)와 인접되게 위치하도록 모터(111)를 작동시켜 트레이적재함(12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그리고, 모터(153)를 작동하여 벨트(152)들을 트레이적재함(120) 측으로 전진 주행시키면, 그 벨트(152)들에 고정된 공압척(151)들은 트레이적재함(120) 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가이드부(141)에 인접된 트레이를 척킹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압척들(151)에 의해 그 트레이가 척킹되도록 한 후 벨트(152)들을 후진시키면, 공압척(151)에 의해 척킹된 트레이(130)는 그 장변방향으로의 양단부가 상기 가이드부(141)들에 의해 접촉 가이드되면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40) 상으로 인출되어 그 장변방향으로의 양 단부가 가이드부(141)들에 접촉된 상태로 프레임(140) 상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인출된 트레이(130) 상의 전자부품들 중 흡착하고자 하는 전자부품의 상방에 흡착헤드(168)가 위치하도록, 모터들(161,165)을 구동하여 지지대(167)를 하강시키고 진공압을 공급하여 그 흡착헤드(168)에 전자부품이 흡착되도록 한다. 그 후, 전자부품을 흡착한 흡착헤드(168)를 상승시키고,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으로 이동시켜, 흡착헤드(168)에 흡착된 전자부품을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시킨다. 이때, 프레임(140)의 상부로 인출되어 있던 트레이(130)는 인출수단에 의해 다시 트레이적재함(120)에 적재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트레이(130)들의 부품수납부(131)에 놓여진 전자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는 동안, 그 상면에 단지 하나의 전자부품만이 놓여진 트레이가 프레임(140) 상에 인출된 상태에서 그 마지막 하나의 전자부품이 흡착헤드(168)에 의해 흡착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술한 종래 전자부품 흡착장치(90)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인출되어 있는 트레이(130)가 비어있음과 함께 그 빈 트레이(130)가 적재되어 있던 트레이수납부의 위치가 경광등과 같은 표시수단을 통해 작업자에게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빈 트레이가 발생하면, 척킹부재(171)가 프레임(140)의 상부로 인출되어 있는 빈 트레이(130)의 중심부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모터들(161,165)을 작동시켜 지지대(167)를 이송한다. 그리고, 각 공압척(151)의 트레이 척킹상태를 해제하고 모터(153)를 작동시켜 각 벨트(152)를 후진 주행시킴으로써 공압척(151)들을 빈 트레이(130)로부터 후진 이격시킨다. 그 후, 블록(172)을 지지대(167)에 대해 하강시키고, 그 블록(172)의 하부에 설치된 척킹부재(171)가 프레임(140)의 상부로 인출되어 가이드부(141)들에 의해 장변방향의 양단부가 접촉 지지되어 있던 빈 트레이(130)를 척킹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척킹부재 회전용 모터(173)를 작동시켜 척킹부재(171)를 90도 회전시키면, 척킹부재(171)에 척킹되어 있던 빈 트레이(130)는, 제4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90도 회전되게 된다.
이에 따라, 빈 트레이(130)의 장변방향 양단부는 가이드부(141)들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각 가이드부(141)에는 빈 트레이(130)의 각 단변방향의 단부가 인접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각 가이드부(141)간의 거리는 트레이(130)의 단변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빈 트레이(130)의 단변방향의 단부들은 가이드부(141)들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척킹부재(171)의 트레이 척킹상태를 해재시키면, 그 척킹부재(171)에 척킹되어 있는 빈 트레이(130)는 가이드부(141)의 하방에 설치된 컨베이어(180)의 상부로 안착되어 소정의 위치 즉, 작업자가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빈 트레이(130)가 소정의 위치로 이송되어 나오면, 작업자는 그 빈 트레이(130)를 꺼내어 전자부품 탑재 위치로 반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빈 트레이(130)가 프레임(140)으로부터 취출되는 동안, 트레이적재함(120) 내의 상기 빈 트레이(130)가 수납되어 있던 트레이수납부에는 전자부품이 다수 놓여진 새로운 트레이(130a)가 새 트레이공급수단에 의해 수납되게 되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빈 트레이(130)가 수납되어 있는 트레이수납부의 위치가 경광등 등에 의해 표시되면, 새로운 트레이(130a)를 트레이공급대(190) 상에 놓아 둔다. 그리고, 트레이공급대(190)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192)를 작동시키면, 제5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로드(193)에 고정된 트레이 압압부재(194)가 트레이공급대(190) 상의 새 트레이(103a)를 케이스(110)의 트레이출입공(115)를 통해 상기 빈 트레이(130)가 적재되어 있던 트레이수납부에 밀어 넣게 된다. 이에 따라, 빈 트레이(130)가 적재되어 있던 트레이수납부에는 새 트레이(130a)가 적재되게 됨으로써 트레이의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00)에 있어서는, 종래 전자부품 실장장치(90)에서와는 달리, 빈 트레이(130)가 발생한 경우에 그 빈 트레이(130)의 교환을 위하여 트레이적재함(120)을 케이스(110)로부터 꺼낼 필요가 없다. 따라서, 무거운 트레이적재함(120)을 꺼내고 다시 삽입하는데 따르는 노력이나 시간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척킹부재(171)는 흡착헤드(168)를 수평이송하기 위한 지지대(167)에 설치되어 그 흡착헤드(167)와 함께 프레임(140)의 상방에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흡착헤드(168)의 이송을 위한 지지대(167)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척킹부재(168)가 소정의 위치에서 즉, 프레임(140)으로 인출되어 있는 트레이(130)의 중심부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트레이(130)의 척킹 및 회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빈 트레이 취출과 동일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여러 가지 형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공압척(151)을, 종래의 전자부품 실장장치(90)에 있어서와 같이, 가이드부(141)들간의 중앙부에 하나 설치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설명 및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30)의 단변폭보다 넓은 간격으로 한 쌍 설치하게 되면, 빈 트레이(130)가 컨베이어(180)로 낙하될 때 그 빈 트레이(130)와 공압척(151)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다수의 부품을 탑재한 트레이가 트레이적재함으로부터 프레임 상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놓여져 있던 전자부품들이 모두 소진된 상태가 되었을 때, 그 빈 트레이를 용이하고 신속하여 안전하게 취출할 수 있다.

Claims (3)

  1.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을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전자부품들이 놓여진 트레이가 다단으로 적재되는 트레이적재함과, 이 트레이적재함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해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트레이적재함 내의 트레이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인출하기 위한 트레이인출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인출된 트레이 상의 전자부품을 흡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탑재시키는 흡착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 인출된 트레이는 그 장변방향으로의 양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들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된 전자부품 실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하방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안착되는 물체를 소정의 위치로 반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가이드부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빈 트레이를 척킹하여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안착시키는 빈 트레이 취출수단과, 상기 트레이적재함 내의 상기 빈 트레이가 수납되어 있던 위치에 다시 새로운 부품들이 놓여진 트레이를 수납시키기 위한 새 트레이 공급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트레이 취출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방에서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물체를 척킹하는 척킹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척킹부재가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 상의 빈 트레이를 척킹한 후 그 빈 트레이의 장변방향으로의 양 가장자리부와 상기 가이드부들과의 접촉이 해지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척킹되어 있던 빈 트레이를 낙하시켜 상기 컨베이어 상에 안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트레이적재함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벽에는 트레이적재함으로 트레이가 출입 가능하도록 트레이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새 트레이 공급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대해 고정되어 상기 트레이 출입공에 인접되게 위치하며 그 상면에 상기 새로운 트레이가 놓여지는 트레이공급대와, 상기 트레이공급대에 놓여진 트레이를 압압하여 상기 트레이 출입공을 통해 트레이적재함 내부로 이송시키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KR2019950029139U 1995-10-17 1995-10-17 전자부품 실장장치 KR01248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139U KR0124820Y1 (ko) 1995-10-17 1995-10-17 전자부품 실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139U KR0124820Y1 (ko) 1995-10-17 1995-10-17 전자부품 실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49U KR970020349U (ko) 1997-05-26
KR0124820Y1 true KR0124820Y1 (ko) 1998-12-15

Family

ID=1942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139U KR0124820Y1 (ko) 1995-10-17 1995-10-17 전자부품 실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8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967B1 (ko) * 2001-06-22 2004-06-26 미래산업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
KR100487790B1 (ko) * 1997-10-13 200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터의번인인/아웃장치
KR100707717B1 (ko) * 2005-10-04 2007-04-16 주식회사 프로텍 반도체 칩 적층 방법 및 장치
KR101134009B1 (ko) * 2012-02-02 2012-04-09 주식회사 화이날플렉스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450B2 (ja) * 2001-09-17 2008-04-09 ミナミ株式会社 フィルム状印刷体の一貫印刷実装装置
KR100555579B1 (ko) * 2003-11-17 2006-03-03 주식회사 프로텍 트레이 피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90B1 (ko) * 1997-10-13 2005-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터의번인인/아웃장치
KR100437967B1 (ko) * 2001-06-22 2004-06-26 미래산업 주식회사 트레이 피더용 스택커
KR100707717B1 (ko) * 2005-10-04 2007-04-16 주식회사 프로텍 반도체 칩 적층 방법 및 장치
KR101134009B1 (ko) * 2012-02-02 2012-04-09 주식회사 화이날플렉스 다층 인쇄회로기판 제조용 소재 안착 트레이를 위한 업다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49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447B1 (ko) Pcb의 플라즈마 연속 자동 처리장치
CN113264358A (zh) Pcb隔纸收板机
KR0124820Y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JPH03297733A (ja) 部品供給装置
KR100633848B1 (ko) 기판 반입출 장치 및 기판 반입출 방법, 기판 반송장치 및기판 반송방법
CN115780918B (zh) 一种齿条全自动加工设备
JPH0134886B2 (ko)
CN113023328B (zh) 工件自动送料组件
KR200286751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KR0139989Y1 (ko) 트레이 공급장치
CN214685082U (zh) 装配机
CN116119330B (zh) 一种撕膜机
CN217229294U (zh) Pcb隔纸收板机
CN219094039U (zh) Pcb成品镭射打标设备
KR100275370B1 (ko) 트레이 공급장치
JPH0134885B2 (ko)
CN220975732U (zh) 自动上料装置及自动装料机
CN217577171U (zh) 产品中转上下料设备
CN114762924A (zh) 装配机
EP0769461A1 (en) Magazine for storage and removal of packs of packaging sheets, especially in cigarettes packaging machines or the like
JP2742387B2 (ja) 基板供給装置
JPH07285611A (ja) ストッカ装置
KR0148931B1 (ko) 건전지용 파레트의 언로딩 장치
KR200153802Y1 (ko) 부품 공급장치
CN117262737A (zh) 电池壳上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