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52Y1 -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52Y1
KR0124352Y1 KR2019950026444U KR19950026444U KR0124352Y1 KR 0124352 Y1 KR0124352 Y1 KR 0124352Y1 KR 2019950026444 U KR2019950026444 U KR 2019950026444U KR 19950026444 U KR19950026444 U KR 19950026444U KR 0124352 Y1 KR0124352 Y1 KR 0124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cer
baffles
pipes
pip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048U (ko
Inventor
황문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26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52Y1/ko
Publication of KR970014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제1,2파이프(60,61) 사이를 제1,2배플(58,59)로써 연결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서, 상기 제1,2배플(58,59)의 고정공(57) 내면에 걸림부(1)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이프(60,61)에 굴곡부(2)가 형성되어, 이 굴곡부(2)가 상기 걸림부(1)에 압입결합되어, 소음기의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음기(a muffler for automobil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소음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배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보조 소음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림부 2 : 굴곡부
3 : 요부 4 : 철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배기 장치에서 배출 소음을 감소시키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새시와 차체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한 새시는 엔진, 동력전달장치, 서스펜션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되고, 차체는 상기한 각 장치를 지지함과 아울러 자동차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한 엔진에는 흡기 장치, 배기 장치, 연료공급 장치, 윤활장치 등이 설치되어 엔진의 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배기 장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E)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 매니폴드(50)와, 상기 배기 매니폴드(50)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관(51)과, 상기한 배기관(51)과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소음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소음기는 주 소음기(52)와 보조 소음기(53)로 구분되는 바, 상기한 보조 소음기(53)는 배기 가스에서 발생된 수분에 의해 주 소음기(52)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보조 소음기(53)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케이스(54)와, 상기한 케이스(54)의 양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중앙에 삽입공(55)이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56)와, 상기한 케이스(54)의 중간에 용접으로 고정되고 중앙에 고정공(57)이 형성된 원판상의 제1,2배플(58,59)과, 상기한 삽입공(55)에 일단이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이 고정공(57)에 지지되도록 삽입된 제1,2파이프(60,61)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제1파이프(60)의 배기가스 유입 대향측은 막혀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제1배플(58)과 제1,2파이프(60,61)에는 다수의 통기공(62)이 일정 배열로 형성되어 있고, 제2파이프(61)와 케이스(50)의 사이에는 흡음재(63)가 충진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제1,2배플(58,59)과 제1,2파이프(60,61)는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소음기는 배기 매니폴드(50)를 통해 제1파이프(60)로 배기가 유입되면 타단이 막혀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1파이프(60)에 형성된 통기공(62)으로 확산되면서 온도와 압력이 감소되고 제1배플(58)의 통기공(62)을 통해 제2파이프(61)로 유입된다.
제2파이프(61)로 유입되는 배기는 이를 통과하면서 여기에 형성된 통기공(62)을 통해 흡음재(63)로 확산되면서 소음이 차단된 상태로 주 소음기(52)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보조 소음기(53)는 주 소음기(52)에 비해 배기의 소음과 압력을 크게 줄이지는 않게 되고, 엔진 시동시 배기 매니폴드(5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 차가운 상태인 주 소음기(52)에 닿아 수분이 발생됨과 아울러 상기한 수분에 의해 주 소음기(52)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보조 소음기에서 제1,2배플과 제1,2파이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를 용접하게 되는 것은 케이스가 비교적 작은 직경일 뿐만 아니라 제1.2배플이 케이스 내측에 위치되어 용접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용접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보조 소음기 제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플과 파이프를 용접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 소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2파이프 사이를 제1,2배플로써 연결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서, 상기 제1,2배플의 고정공 내면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이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이 굴곡부가 상기 걸림부에 압입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소음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케이스(54)와, 상기한 케이스(54)의 중간 부분에 고정된 제1,2배플(58,59)과, 상기한 제1,2배플(58,59)과 제1,2파이프(60,61)를 끼움 결합에 의해 고정한 탄성 고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제1,2파이프(60,61)의 일단은 엔드 플레이트(5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한 탄성 고정 수단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2배플(58,59)의 고정공(57)을 구부려 형성한 걸림부(1)와, 상기한 걸림부(1)에 압입되도록 제1,2파이프(60,61)에 형성된 굴곡부(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제1,2배플(58,59)과 제1,2파이프(60,61)는 고정공(57)의 내측으로 곡면 돌출된 걸림부(1)에 곡면 상태로 형성된 제1,2파이프(60,61)의 굴곡부(2)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한 굴곡부(2)의 요부(3)와 철부(4) 높이 차이는 제1,2배플(58,59)의 걸림부(1)에 삽입될 때 제1,2배플(58,59)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차를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제1파이프(60)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 제1파이프(60)와 제1배플(58)의 통기공(62)을 통해 제2파이프(61)로 유입될 때 상기한 배기는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배플(58)에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된다.
제1배플(58)에 가해진 압력은 제1파이프(60)와 연결된 부위로 집중되는 바, 상기한 압력으로 제1배플(58)이 밀려도 걸림부(1)가 굴곡부(2)의 요부(3)에 끼워져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철부(4)를 넘어가지 못하게 된다.
즉, 배기의 압력이 높아도 걸림부(1)와 굴곡부(2)가 이탈되지는 않게 됨으로써 용접할 때와 같은 고정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물론, 상기한 걸림부(1)에 굴곡부(2)를 삽입할 때는 작업자가 강제 압입시키게 됨으로써 파이프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보조 소음기의 파이프와 배플을 굴곡부와 걸림부로 고정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1,2파이프(60,61) 사이를 제1,2배플(58,59)로써 연결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상기 제1,2배플(58,59)의 고정공(57) 내면에 걸림부(1)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파이프(60,61)에 굴곡부(2)가 형성되어, 이 굴곡부(2)가 상기 걸림부(1)에 압입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KR2019950026444U 1995-09-27 1995-09-27 자동차용 소음기 KR0124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444U KR0124352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444U KR0124352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48U KR970014048U (ko) 1997-04-28
KR0124352Y1 true KR0124352Y1 (ko) 1998-10-01

Family

ID=1942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444U KR0124352Y1 (ko) 1995-09-27 1995-09-27 자동차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2183A1 (en) * 2007-08-31 2009-03-1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Vehicular exhaust resonator with cooling feature
KR101284328B1 (ko) * 2011-12-08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기
KR101521965B1 (ko) * 2011-03-04 2015-05-20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통합된 쉘 및 배플을 갖는 배기 후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2183A1 (en) * 2007-08-31 2009-03-1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Vehicular exhaust resonator with cooling feature
US7845465B2 (en) 2007-08-31 2010-12-0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Vehicular exhaust resonator with cooling feature
CN101796278B (zh) * 2007-08-31 2012-10-17 田纳科汽车营运公司 具有冷却功能的车辆尾气共鸣器
KR101521965B1 (ko) * 2011-03-04 2015-05-20 테네코 오토모티브 오퍼레이팅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통합된 쉘 및 배플을 갖는 배기 후처리 장치
KR101284328B1 (ko) * 2011-12-08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48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733B1 (ko) 배기 아이솔레이터
US4540064A (en) Noise and vibration reducing apparatus for use in exhaust system of engine
KR01243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4144149B2 (ja) 自動車用排気消音装置
KR0128971Y1 (ko) 자동차의 다운 파이프 서포트 브라켓
JP4255347B2 (ja) 排気管共振抑止装置
KR100245868B1 (ko) 자동차용 머플러 실험용 지그
CN217002108U (zh) 一种集成式空气滤清器和汽车
KR19990043199A (ko) 버스용 소음기에 사용되는 완충부재의 변형 방지구조
KR0136943Y1 (ko) 차량용 배기파이프 행거
JP3810514B2 (ja) 車両排気系用二重管
KR0131700Y1 (ko)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KR100279778B1 (ko) 차량용 배기파이프의 고정구조
KR0137764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100197218B1 (ko) 차량의 테일 트림 마운팅 구조물
JPH055220Y2 (ko)
JPS636414Y2 (ko)
KR0128970Y1 (ko) 자동차의 다운 파이프 서포트 브라켓
JP3088695U (ja) 排気消音器
JP2005090363A (ja) 排気管共振抑止装置
KR19980059577A (ko) 자동차의 소음기 고정장치
KR19990005664U (ko) 사일런서와 배기 파이프의 결합구조
KR19990034908A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의 소음기 체결장치
KR19980055338A (ko) 배기장치의 머플러 마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