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700Y1 -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700Y1
KR0131700Y1 KR2019930023134U KR930023134U KR0131700Y1 KR 0131700 Y1 KR0131700 Y1 KR 0131700Y1 KR 2019930023134 U KR2019930023134 U KR 2019930023134U KR 930023134 U KR930023134 U KR 930023134U KR 0131700 Y1 KR0131700 Y1 KR 0131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exhaust pipe
exhaust
brack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3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587U (ko
Inventor
박기윤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3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700Y1/ko
Publication of KR950014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5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배기파이프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진 및 방사음 저감효과가 뛰어나고 내구성이 월등한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배기파이프(1)에 결합되는 클램프(10)와, 양 단부가 상기 클램프(10)의 양 단부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차체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부(11b)를 구비하는 브라켓(11)과, 그 브라켓(11)의 양 단부측과 대향하는 상기 클램프(10)의 양 단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1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배기장치에 있어 플렉시블 파이프 장착부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클램프와 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파이프 10 : 클램프
10a : 스프링지지돌기 11 : 브라켓
11a : 스프링지지부 11b : 장착부
12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 배기 파이프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파이프에 장착됨으로써 배기파이프의 방진효과가 뛰어나고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된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의 배기포트에서 빠져나온 배기가스는 매우 고온이며 고압이다. 따라서,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면 배기음이 대단히 크게 된다. 이와 같은 배기음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자동차에는 배기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자동차의 배기장치는 배기파이프와, 그에 연결되어 배기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머플러로 크게 구분된다. 배기파이프는 실리더헤드의 배기포트와 연결된 배기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머플러까지 배기가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배기파이프는 고온 고압인 내부의 배기가스에 의해 상당한 진동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진동을 제어하고 방사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기파이프의 중간에 플렉시블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는 종래의 경우 배기파이프 상에 적용되는 플렉시블 파이프와 그의 장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파이프(2)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갖도록 되어 있으며, 분리된 2개의 배기파이프(1)를 연결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되어 배기유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배기파이프(1)를 포함하는 배기장치는 차체의 프레임 등의 고정되어지는데, 주로 배기파이프(1) 상의 수개소(통상적으로 4∼5개소)에 장착부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플렉시블 파이프(2)를 전후하여 장착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클램프(3)로 이루어진다. 클램프(3)는 중앙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결부(3a)와 상부측에 장착구멍(3b)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3)의 상기 절결부(3a)에는 그 하방으로부터 배기파이프(1)가 끼워진 후 그 하부에 볼트 및 너트(4)가 결합되어져 단단히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3)가 상기 장착구멍(3b) 상에서 나사 등의 체결요소에 의해 차체의 프레임 등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배기장치의 방진구조는 플렉시블 파이프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러한 플렉시블 파이프는 연속반복되는 배기가스의 충격적인 내압과 그에 연루된 외압에 의해 상당히 큰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결국 파손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폐단을 초래하며, 플렉시블 파이프 자체가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파이프를 전후하여 단단히 조여진 클램프로 인해 방진 및 방음효과면에서 저급의 한계를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기장치 방진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방지 및 방사음 저감효과가 뛰어나고 내구성이 월등한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배기파이프에 결합되는 클램프와, 양 단부가 상기 클램프의 양 단부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차체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의 양 단부측과 대향하는 상기 클램프의 양 단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와 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진클램프 장치는, 클램프(10)와, 한쌍의 브라켓(11) 및 스프링(12)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10)는 배기파이프(1)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배기파이프(1)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양단부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한쌍씩의 스프링 지지돌기(10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브라켓(11)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측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프링지지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양측 스프링 지지부(11a)간의 거리는 상기 클림프(10)의 양 단부측 스프링지지돌기(10a)간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설정되며 이러한 스프링지지부(11a)는 클램프(10)를 사이에 두고 스프링지지돌기(10a) 선상에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2)은 각 대향하는 스프링 지지돌기(10a)와 스프링지지부(11a)에 양측이 끼워져 지지된다. 따라서, 스프링(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전술한 바에 따라 각 대향하는 스프링지지돌기(10a)와 스프링지지부(11a) 간에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 이 간격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10)는 상, 하, 전, 후, 좌, 우 어느 방향이든지 유동될 수 있으며 스프링(12)에 의해 복원력을 갖는다. 클램프(10)의 유동에 반하여 브라켓(11)은 움직이지 않도록 차체의 프레임 등에 고정된다. 브라켓(11)의 고정을 위하여 브라켓(11)의 중앙부에는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장착부(11b)가 구비되어 있다. 장착부(11b)에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구멍에 나사 등을 끼워 넣어 차체의 프레임 등에 고정시킴으로써 브라켓(11)이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클램프 장치는 배기파이프(1) 상의 적절한 임의의 수개소에 설치된다. 이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0) 내에 배기파이프(1)가 삽입된 형식을 취한다. 클램프(10)는 배기파이프(1)의 외경에 알맞는 링형으로 할 수 있으며,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다른 구조로 변경하여 적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1)은 스프링(12)에 의해 상기 클램프(10)가 유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는 구조적인 범위내에서 변형가능하며, 그 갯수에 있어서도 도면에 따르면 1개소당 2개를 되어 있으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범위내에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는, 차체에 고정지지되는 브라켓과 그 브라켓상에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어느 방향이든지 유동가능한 클램프에 의해 그 클램프에 결합되는 배기파이프의 진동을 무리없이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에 의한 방사음도 저감되게 되며, 스프링을 이용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내구력이 크게 신장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던 플렉시블 파이프에 비하여 원가절감 효과가 아울러 제공된다.

Claims (2)

  1. 배기파이프(1)에 결합되는 클램프(10)와, 양 단부가 상기 클램프(10)의 양 단부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차체에 고정되기 위한 장착부(11b)를 구비하는 브라켓(11)과, 그 브라켓(11)의 양 단부측과 대향하는 상기 클램프(10)의 양 단부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1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1)의 양 단부측에 상기 스프링(12)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부(11a)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10)의 양 단부측에 상기 스프링(12)의 타측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돌기(10a)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파이프용 방진클램프 장치.
KR2019930023134U 1993-11-05 1993-11-05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KR0131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134U KR0131700Y1 (ko) 1993-11-05 1993-11-05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3134U KR0131700Y1 (ko) 1993-11-05 1993-11-05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587U KR950014587U (ko) 1995-06-17
KR0131700Y1 true KR0131700Y1 (ko) 1998-12-15

Family

ID=19367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3134U KR0131700Y1 (ko) 1993-11-05 1993-11-05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7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587U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10866A (ja) 共振防止パイプクリップ
JPS5863521A (ja) 内燃機関車両用排気系部品支持装置
CA1323023C (en) Two piece male-female grommet
KR0131700Y1 (ko) 자동차 배기 파이프용 방진 클램프 장치
JPH0629549B2 (ja) エンジンの排気管連結装置
JPH0565030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マウント装置
JP3018839B2 (ja) 車両の排気系部品の防振支持構造
KR100261415B1 (ko) 자동차용 배기파이프
CN218953414U (zh) 一种车用易拆装消声器总成
KR01243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142631Y1 (ko) 자동차용 배기관 지지장치
KR19980062517U (ko) 자동차용 사일렌서 행거 브라켓의 행거러버
KR100362403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러버
KR100372695B1 (ko) 자동차 엔진용 디커플러
KR0170613B1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장착구조
KR200142630Y1 (ko) 자동차용 배기관 지지장치
JPH0544499Y2 (ko)
JPH0213695Y2 (ko)
KR100362406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마운팅 기구
JP2524008Y2 (ja) 車両用内燃機関のマウント装置
KR200205680Y1 (ko) 자동차 소음기 진동방지 고정장치
KR19980037722U (ko) 배기계 매니폴드의 히트쉴드 장착구조
KR950006971Y1 (ko) 자동차용 배기관 행거장치
KR920006508Y1 (ko) 자동차용 배기관 장착구조
KR970044400A (ko)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의 배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