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35Y1 -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35Y1
KR0123735Y1 KR2019930029166U KR930029166U KR0123735Y1 KR 0123735 Y1 KR0123735 Y1 KR 0123735Y1 KR 2019930029166 U KR2019930029166 U KR 2019930029166U KR 930029166 U KR930029166 U KR 930029166U KR 0123735 Y1 KR0123735 Y1 KR 0123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ork
release
clutch
support member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761U (ko
Inventor
손수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9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35Y1/ko
Publication of KR950017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35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릴리스포크의 이면부에는 볼스텃과 함께 클러치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배치하고, 이 지지부재의 양쪽 끝이 릴리스포크의 이면 양편을 받쳐줄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시 릴리스포크의 좌우유동을 막아줄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
제1도는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릴리스포크와 볼스텃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리스포크와 볼스텃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릴리스포크 11: 릴리스실린더로드
12: 릴리스베어링 13: 볼스텃
14: 요홈부 15: 클러치하우징
16: 지지부재
본 고안은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릴리스포크의 좌우유동을 방지하여 클러치페달 조작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킨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클러치의 릴리스포크는 릴리스베어링과 릴리스실린더 사이에 설치되어 클러치페달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릴리스포크(10)의 설치구조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이 각각 릴리스베어링(12)과 릴리스실린더로드(11)에 접촉되고, 그 중심부에서 볼스텃(13)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작동구조는 클러치페달을 밟게 되면 유압이 작용하여 릴리스실린더로드(11)가 릴리스포크(10)의 하단을 오른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릴리스포크(10)는 중간의 볼스텃(1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되면서 그 상단에 접촉되어 있는 릴리스베어링(12)을 왼쪽으로 밀어주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5는 볼스텃(13)이 체결되는 클러치하우징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에서 릴리스포크(10)의 중간 지지부위 즉, 볼스텃(13)으로 받쳐지는 부위가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부(14)내에 볼접촉부(13a)가 안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릴리스포크 작동시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로 인해 클러치페달 조작력의 전달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릴리스포크의 이면부에는 볼스텃과 함께 클러치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배치하고, 이 지지부재의 양쪽 끝이 릴리스포크의 이면 양편을 받쳐줄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시 릴리스포크의 좌우유동을 막아줄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릴리스베어링(12)과 릴리스실린더로드(11)에 접촉되고, 그 중심부에서 볼스텃(13)으로 지지되어 릴리스실린더로드(11)에 의해 볼스텃(13)을 중심으로 요동되는 클러치 릴리스포크(10)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포크(10)의 이면부에 있는 볼스텃(13)의 설치부위에 좌우 2개의 받침편(16a)을 갖는 지지부재(16)가 함께 설치되어 릴리스포크(10)의 이면 양편을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16)의 받침편(16a)은 끝이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진 곡면부(16c)로 이루어져 있어서, 릴리스포크(10)의 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6)는 양쪽의 받침편(16a)과 그 사이의 고정편(16b)으로 구성된 ㄷ자형상의 띠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편(16b)의 중앙에는 볼스텃(13)의 스크류부(13b)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16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6)에 있는 받침편(16a)의 끝은 릴리스포크(10)의 요동방향 즉, 수직방향을 따라 라운드진 형상의 곡면부(16c)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곡면부(16c)의 곡률정도는 릴리스포크(10)의 작동폭에 따라 즉, 볼스텃(13)을 중심으로 하여 상단과 하단이 요동하는 정도에 따라 설정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6)는 볼스텃(13)이 설치되는 위치에 함께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6)가 갖는 2개의 받침편(16a)은 같은 높이에서 양쪽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지지부재(16)는 릴리스포크(10)의 이면부에 배치되면서 양쪽의 받침편(16a)을 이용하여 볼스텃(13)의 볼접촉부(13a)가 안착되는 곳인 요홈부(14)의 양편을 받쳐주게 되므로서, 종전과 같이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현상이 없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릴리스포크(10)의 작동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릴리스포크의 좌우유동을 방지하여 클러치페달의 조작력을 온전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클러치 조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단과 하단이 각각 릴리스베어링(12)과 릴리스실린더로드(11)에 접촉되고, 그 중심부에서 볼스텃(13)으로 지지되어 릴리스실린더로드(11)에 의해 볼스텃(13)을 중심으로 요동되는 클러치 릴리스포크(10)의 작동구조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포크(10)의 이면부에 있는 볼스텃(13)의 설치부위에 좌우 2개의 받침편(16a)을 갖는 지지부재(16)가 함께 설치되어 릴리스포크(10)의 이면 양편을 받쳐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6)의 받침편(16a)은 끝이 수직방향으로 라운드진 곡면부(16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포크의 작동구조.
KR2019930029166U 1993-12-23 1993-12-23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KR0123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166U KR0123735Y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166U KR0123735Y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61U KR950017761U (ko) 1995-07-22
KR0123735Y1 true KR0123735Y1 (ko) 1998-09-15

Family

ID=1937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166U KR0123735Y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61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914522A (pt) Conjunto de freio automático de funcionamento em ladeira para veìculos automotores
US4606242A (en) Parking device
KR970075502A (ko) 자동 변속기용 파킹장치
KR0123735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US4178651A (en) Wip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window
JP2006112447A (ja) チェーンガイド
CA2158963A1 (en) Latch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US5647087A (en) Joint spacer for the yoke of a windshield wiper
KR960040774A (ko) 변속레버의 작동구조
KR970038898A (ko) 자동차의 루프몰딩 설치구조
KR950005281Y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쉬프트 포크 고정장치
KR0140553Y1 (ko) 자동차의파워스티어링파이프고정구조
KR960000181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오일 공급탱크 고정구조
KR100372715B1 (ko) 변속케이블 고정용 클립
KR200252720Y1 (ko) 자동차의 코일스프링 서포트 구조
KR920000378Y1 (ko) 자동차 시트 어드져스터(Adjuster)장치
JP200106339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衝撃吸収機構
JP2884888B2 (ja) 自動車用ワイパーブレード
JP2000043603A (ja) 変速操作機構の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H032053Y2 (ko)
KR200187366Y1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
KR19980048508U (ko) 자동차의 보조 범퍼
KR19980023024U (ko) 차량용 로어아암
KR19980045306A (ko) 자동차용 글래스 가이드와 브라켓의 결합 구조
KR19980048921U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디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