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43Y1 -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43Y1
KR200219643Y1 KR2019990001103U KR19990001103U KR200219643Y1 KR 200219643 Y1 KR200219643 Y1 KR 200219643Y1 KR 2019990001103 U KR2019990001103 U KR 2019990001103U KR 19990001103 U KR19990001103 U KR 19990001103U KR 200219643 Y1 KR200219643 Y1 KR 200219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rod
shift
guide means
frame
guid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220U (ko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90001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4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43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버스 등에 구비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프트 로드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다수의 롤러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변속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와, 상기 시프트 로드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시프트 로드가 통과되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프트 로드의 종방향 이동시에 시프트 로드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름 안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Shift rod guide apparatus}
본 고안은 대형 버스 등에 구비되어 변속 레버의 조작력을 변속기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프트 로드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다수의 롤러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력은 자동차에 실은 하물의 양과 도로의 상황 및 주행 속도 등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시프트 로드를 통해 조작력이 전달되어 구동력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특히 버스 등 대형 차종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의 평면도 및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뒤쪽에 변속기(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 레버(21)와 연결된 시프트 로드(25)가 차량 뒤쪽의 변속기(30)까지 길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속 레버(21)와 변속기(30) 사이에 연결되어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25)는 차량의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시프트 로드(25)는 변속 레버(21)의 조작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변속기(30)측에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게 되는 바, 상기 시프트 로드(25)는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에는 가이드(Guide) 장치(15)가 설치되어 시프트 로드(25)를 프레임(10)에 지지함과 동시에 종방향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시프트 로드 가이드 구조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시프트 로드(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16a)이 형성되어 프레임(10)의 크로스 멤버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래킷(16)과, 상기 마운팅 브래킷(16)의 양측에서 내부를 보호토록 설치되는 주름진 고무 부재(17)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마운팅 브래킷(16)의 홀(16a)에는 시프트 로드(25)의 원활한 종방향 이동을 위해 그리스(G)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홀(16a)은 그리스(G)가 내재되어 있도록 요철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시프트 로드 가이드 구조는 마운팅 브래킷(16)과 시프트 로드(25)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고무 부재(1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부재(17)가 상기 시프트 로드(25)의 둘레에 접촉되면서 마찰 저항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통상 시프트 레일(25)은 차량의 설치 구조상 일직선으로 배열하여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특정 부분이 가이드 장치(15)에 지지되면서 굽혀지기 때문에 그리스(G)가 도포되어 있다 하더라도 마찰 저항을 최소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가이드 장치(15)의 마찰 저항의 증대로 운전자가 변속 레버(21)를 작동할 때 변속 조작력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변속 조작감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프트 로드에 구름 접촉되면서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 작동시 마찰 저항을 줄여 운전자의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는, 변속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와, 상기 시프트 로드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시프트 로드가 통과되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프트 로드의 종방향 이동시에 시프트 로드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는 구름 안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가 도시된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다른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프레임 61 : 변속 레버
65 : 시프트 로드 70 : 변속기
80 : 가이드 수단 81 : 케이스
82 : 고정부 85 : 구름안내수단
86 : 수직 롤러 88 : 수평 롤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가 구비된 시프트 로드의 설치 구조 측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장치의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61)와 변속기(70) 사이에는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65)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시프트 로드(65)는 차량의 프레임(50)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시프트 로드(65)는 상기 변속 레버(61)의 조작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변속기(70)에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게 되는 바, 상기 시프트 로드(65)를 프레임(50)에 지지함과 동시에 종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토록 본 고안의 가이드 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가이드 수단(80)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0)에 고정되는 동시에 내부에 시프트 로드(65)가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81)와, 상기 케이스(8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프트 로드(65)의 종방향 이동시에 시프트 로드(65)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는 구름 안내 수단(8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케이스(81)는 상기 구름 안내수단(85)이 내재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앞부분과 뒷부분에 시프트 로드가 통과되도록 홀(81a)(8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8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름 안내수단(85)은 시프트 로드(65)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두 개의 수직 롤러(86)와, 상기 시프트 로드(65)의 상하측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두 개의 수평 롤러(88)로 이루어지고, 각 롤러(86)(88)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스(81)내에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롤러(86) 및 수평 롤러(88)는 상기 시프트 로드(65)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 레버(61)를 작동하게 되면 시프트 로드(65)를 통해 변속기(70)에 변속 조작력이 전달되는 바, 상기 시프트 로드(65)는 본 고안의 가이드 수단(80)을 통해 프레임(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변속 레버(61) 작동시 케이스(81)내의 수직 롤러(86) 및 수평 롤러(88)에 접촉되면서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프트 로드(65)가 종방향으로 이동될 때 수직 롤러(86)와 수평 롤러(88)가 회전운동되면서 구름 접촉되므로 시프트 로드(65)와 롤러(86)(88)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은 최소화된다. 또한, 시프트 로드(65)가 종방향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의 힘이 발생하더라도 수직 롤러(86)나 수평 롤러(88)가 구름 접촉 방식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시프트 로드(65)의 종방향 조작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름접촉 방식으로 시프트 로드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프트 로드와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운전자의 변속 조작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변속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와, 상기 시프트 로드를 차량의 프레임에 지지하는 가이드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내부에 시프트 로드가 통과되도록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시프트 로드의 종방향 이동시에 시프트 로드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되도록 복수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름 안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구름 안내수단이 내재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앞부분과 뒷부분에 시프트 로드가 통과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는 박스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 안내수단은 시프트 로드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 개의 수직 롤러와, 상기 시프트 로드의 상하측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롤러 및 수평 롤러는 상기 시프트 로드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KR2019990001103U 1999-01-27 1999-01-27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KR200219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103U KR200219643Y1 (ko) 1999-01-27 1999-01-27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103U KR200219643Y1 (ko) 1999-01-27 1999-01-27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20U KR20000016220U (ko) 2000-08-25
KR200219643Y1 true KR200219643Y1 (ko) 2001-04-02

Family

ID=5475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103U KR200219643Y1 (ko) 1999-01-27 1999-01-27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950B1 (ko) * 2001-12-14 2004-05-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로드 지지용 롤러 조립체
KR100412633B1 (ko) * 2001-12-17 2003-12-3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변속로드 지지장치
KR101225218B1 (ko) * 2010-11-29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브레이크 다운 압연기용 매니퓰레이터의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20U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325A (en) Speed change gear apparatus for an automobile transmission
KR950031862A (ko) 자동케이지를 갖는 승강기
KR200219643Y1 (ko)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KR100295840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와 파워 트레인의 일체형 마운팅 구조
CA1112130A (en) Remote shift control for a tilt cab truck
RU2580588C1 (ru) Система рычага передач
KR0156806B1 (ko) 캐빈과 적어도 두개의 주행기어를 갖는 차량
JP7121608B2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EP0999084B1 (e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N100575140C (zh) 连接至仪表板的变速杆装置
KR100431950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로드 지지용 롤러 조립체
KR200162151Y1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위치 결정 기구
KR0139730Y1 (ko) 엔진 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960040774A (ko) 변속레버의 작동구조
KR19990031428U (ko) 엘리베이터용 가이드롤러장치
JPS6226943B2 (ko)
KR0123735Y1 (ko) 자동차용 클러치 릴리스 포크의 작동구조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100364210B1 (ko) 파워유닛 마운트 시스템
KR0183243B1 (ko) 차량의 센터 베어링 장착 브라켓트 구조
KR101028299B1 (ko) 스티어링 기어 튜브 고정 구조
KR0117719Y1 (ko) 고속주행용 입체주차설비의 파레트 롤러 완충장치
KR19980026347U (ko)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KR960012236B1 (ko) 동상조향기능을 갖는 차량의 후륜조향장치
KR100348569B1 (ko) 차량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