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347U -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347U
KR19980026347U KR2019960039211U KR19960039211U KR19980026347U KR 19980026347 U KR19980026347 U KR 19980026347U KR 2019960039211 U KR2019960039211 U KR 2019960039211U KR 19960039211 U KR19960039211 U KR 19960039211U KR 19980026347 U KR19980026347 U KR 19980026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cable
lever
shift lever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형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9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347U/ko
Publication of KR19980026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347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개방된 리세스(24)가 형성된 노브(22)와 ; 리세스(24)에 삽입되는 푸시 버튼(32)과 ; 리세스(24)의 내측면과 푸시 버튼(32)의 단부에 안착되는 스프링(26)과 ; 일정 간격으로 연통된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중공의 하부 레버(36)와 ; 상부에는 노브(22)가 장착되고, 하부 레버(36)에 삽입되는 상부 레버(34)와 ; 상부 레버(34)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조절 수단(38)과 ; 스프링(26)과 연결된 푸시 버튼(32)의 단부와 조절 수단(38)에 연결된 케이블(30); 및 푸시 버튼(32)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케이블(30)을 지지하는 도르래(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시프트 레버(transmission gear shift lev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프트 레버의 높이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shift lever)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트랜스미션은 엔진 클러치와 추진축 또는 엔진 클러치와 종 감속 기어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엔진 회전을 적절히 변속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고속회전으로 바꾸어 주기 위해 사용되며, 엔진을 무부하 상태로 두거나 자동차를 후진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차실내에 제공되는 시프트 레버는 TGS 케이블을 경유하여 조작력을 트랜스미션에 전달하므로써 트랜스미션의 기어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시프트 레버가 작동되면, 컨트롤 샤프트(control shaft)와 컨트롤 핑거(control finger)에 의해 시프트 러그(shift lug)의 단이 선택되고, 시프트 러그의 단이 선택됨에 따라 변속 레일(shift rail)이 이동되며, 변속 레일의 이동에 따라 변속 레일의 단부에 고정되는 변속 포크(shift fork)가 트랜스미션 싱크로나이저 매카니즘에 대한 변속 조작을 행하게 된다.
도 1를 참조하면, 선행 기술에 따른 고정형 시프트 레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시프트 레버(10)의 상단에는 노브(12)가 나사 결합된다. 고정형 시프트 레버(10)는 높이가 획일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시프트 레버의 높이가 맞지 않게 되어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며 운전의 안정성을 해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 따른 시프트 레버에 내재되었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프트 레버의 높이를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운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프트 레버의 종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의 종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 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시프트 레버, 12,22 : 노브, 24 : 리세스(recess), 26,46 : 스프링, 28 : 도르래, 30 : 케이블, 32 : 푸시 버튼, 34 : 상부 레버, 36 : 하부 레버, 38 : 조절 수단, 40 : 지지판, 42 : 스토퍼, 44 : 구멍, 48 : 케이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로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는, 전방에 개방된 리세스가 형성된 노브와 ;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푸시 버튼과 ; 상기 리세스의 내측면과 상기 푸시 버튼의 단부에 안착되는 스프링과 ; 일정 간격으로 연통된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중공의 하부 레버와 ; 상부에는 상기 노브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레버에 삽입되는 상부 레버와 ; 상기 상부 레버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조절 수단과 ; 상기 스프링과 연결된 상기 푸시 버튼의 단부와 상기 조절 수단에 연결된 케이블 ; 및 상기 푸시 버튼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도르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홀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과 일치하는 위치에 홀이 측면에 형성된 케이스와 ; 상기 측면 홀에 삽입되어 작동되는 한쌍의 스토퍼와 ;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블이 분기되어 연결된 한쌍의 지지판 ; 및 상기 한쌍의 지지판 사이에 안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특징에 의해, 운전자가 상기 푸시 버튼을 누르면 케이블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스토퍼는 상기 하부 레버의 구멍에서 인출된다. 그후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알맞도록 시프트 레버를 조절한 후 상기 푸시 버튼을 해제시키면 상기 케이블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하부 레버의 구멍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의 요부 작동 상태도이다.
시프트 레버 조절 장치는 푸시 버튼(32),노브(22),스프링(26),상부 레버(34),하부 레버(36),케이블(30),조절 수단(38),도르래(28)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노브(22)는 상기 상부 레버(36)의 상부에 장착되고, 전방에 개방된 리세스(24)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24)에는 상기 푸시 버튼(32)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6)은 상기 리세스(24)의 내측면과 상기 푸시 버튼(32)의 단부에 안착되어 상기 푸시 버튼(32)의 수평 이동을 도와 준다.
상기 하부 레버(36)는 일정 간격으로 대칭하여 다수개의 구멍(44)이 서로 연통되어 형성된 중공이며, 상기 상부 레버(34)는 상기 하부 레버(36)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된다. 상기 조절 수단(38)은 상기 상부 레버(36)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장착되며, 상기 케이블(30)이 상기 조절 수단(38)과, 상기 스프링(26)과 연결된 상기 푸시 버튼(32)의 단부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르래(28)가 상기 푸시 버튼(32)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30)을 지지한다.
상기 조절 수단(38)은 케이스(48), 지지판(40), 스토퍼(42)등을 포함하는데, 상기 케이스(48)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블(30)이 관통되는 홀이, 상기 케이스(48)의 측면에는 상기 구멍(44)과 일치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2)는 상기 측면 홀에 삽입되어 작동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지지판(40)도 상기 케이블(30)이 분기되어 연결된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토퍼(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판(40) 사이에는 스프링(46)이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42)의 수평 이동을 도와 준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운전자가 상기 푸시 버튼(32)을 누르면 상기 케이블(30)이 상기 도르래(28)을 지지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상부 레버(34)에 내장된 케이블(30)은 상부로 이동된다. 상기 케이블(30)의 상부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조절 수단(38)내의 스토퍼(42)는 상기 구멍(44)에서 이탈되고, 상기 상부 레버(34)의 수직 이동은 자유롭게 된다. 그후 운전자는 자신의 체형에 알맞도록 상기 시프트 레버(20)를 조절한 후 상기 푸시 버튼(32)을 해제시키면 상기 케이블(30)은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프링(46)의 복원력으로 상기 스토퍼(42)와 상기 구멍(44)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에 따라, 시프트 레버의 높이를 운전자의 체형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운전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전방에 개방된 리세스가 형성된 노브와 ; 상기 리세스에 삽입되는 푸시 버튼과 ; 상기 리세스의 내측면과 상기 푸시 버튼의 단부에 안착되는 스프링과 ; 일정 간격으로 연통된 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중공의 하부 레버와 ; 상부에는 상기 노브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레버에 삽입되는 상부 레버와 ; 상기 상부 레버 하부 내측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조절 수단과 ; 상기 스프링과 연결된 상기 푸시 버튼의 단부와 상기 조절 수단에 연결된 케이블 ; 및 상기 푸시 버튼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도르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홀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과 일치하는 위치에 홀이 측면에 형성된 케이스와 ; 상기 측면 홀에 삽입되어 작동되는 한쌍의 스토퍼와 ;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블이 분기되어 연결된 한쌍의 지지판 ; 및 상기 한쌍의 지지판 사이에 안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 장치.
KR2019960039211U 1996-11-08 1996-11-08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KR199800263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211U KR19980026347U (ko) 1996-11-08 1996-11-08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211U KR19980026347U (ko) 1996-11-08 1996-11-08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347U true KR19980026347U (ko) 1998-08-05

Family

ID=5398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211U KR19980026347U (ko) 1996-11-08 1996-11-08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3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9872B2 (en) 2015-07-24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9872B2 (en) 2015-07-24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6347U (ko) 차량의 시프트 레버 높이 조절장치
JP2000280775A (ja) 車両用変速レバーの角度調節装置
JPH04282059A (ja) 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KR98000732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변속레버
KR200219643Y1 (ko) 시프트 로드 가이드 장치
JPH0529406Y2 (ko)
JPS632893Y2 (ko)
KR10025118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변속 레버
JPH11115523A (ja) 変速レバーの配線構造
KR20030033172A (ko) 자동차의 변속기용 변속레버
KR100365277B1 (ko) 자동차용 변속기의 변속레버
KR200259402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무릎 지지장치
KR19980024312U (ko) 변속레버
KR200143570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클러치 페달
KR19990019890A (ko) 자동차용 페달의 높이 조절장치
KR100241390B1 (ko) 차량용 페달 어셈블리
KR0138194Y1 (ko) 차량용 변속 레버 고정장치
KR1998004798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변속레버
KR200153567Y1 (ko) 차량용 패달 스톱퍼의 취착구조
KR19990005846U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위치조절장치
KR19980053948A (ko) 자동차용 변속 절도감 향상 구조
KR19980048101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변속레버
KR970074155A (ko) 높이조절식 변속레버
JPS61185116U (ko)
KR19980077210A (ko) 자동 변속기용 변환 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