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151Y1 -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151Y1
KR0123151Y1 KR2019950033891U KR19950033891U KR0123151Y1 KR 0123151 Y1 KR0123151 Y1 KR 0123151Y1 KR 2019950033891 U KR2019950033891 U KR 2019950033891U KR 19950033891 U KR19950033891 U KR 19950033891U KR 0123151 Y1 KR0123151 Y1 KR 0123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argo
hook
fix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191U (ko
Inventor
이강우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33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151Y1/ko
Publication of KR9700221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1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1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0807Attachment points
    • B60P7/0815Attachment rails or trell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화물실에 적재된 화물을 로프로 고정시키려 할때, 로프를 걸고 고정시키는 후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후크는, 후크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의 크기에 따라 결합부위를 조정할 수 없고, 후크의 위치에서 맞춰 화물을 로프로 고정시키다 보면, 화물의 고정상태는 매우 불안한 상태로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브라켓(12)과 가이드브라켓(10), 그리고 몸체(34)를 협지하는 고정브라켓(3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브라켓(12)에는 스프링(40)과 힌지부(28) 그리고 걸림돌기부(38)가 형성된 고정구(30)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브라켓(10)에는 걸림구멍(18)을 다수 천공시켜 이동브라켓(12)의 고정구에 형성된 걸림돌기부(38)가 삽입 또는 삽탈되면서 이동브라켓(12)은 일정위치에 고정이 되거나 가이드 브라켓(10)을 따라 자유로이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위치로 몸체(34)를 이동시켜 로프(60)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백도어를 개방하여 화물실을 표현한 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고정후크가 설치된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고정후크 사용상태 평면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후크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후크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브라켓 12 : 이동브라켓
14 : 고정후크 16 : 결합부
18 : 걸림구멍 20 : 가이드면
22 : 용접면 24 : 양단부
26 : 가이드홈 28 : 힌지부
30 : 고정구 32 : 고정브라켓
34 : 몸체 36 : 지지돌부
38 : 걸림돌기부 40 : 스프링
41 : 요홈 42 : 돌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화물실에 적재된 화물을 로프로 고정시키려 할때, 로프를 걸고 고정시키는 후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곤형과 같은 차량의 화물실에 화물을 적재하고, 로프로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후크를 설치하는데, 이 후크는 일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차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후크가 설치되는 화물실을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 웨곤형 자동차의 화물실을 표현한 예시도로서, 웨곤형 자동차의 대쉬보드에서부터 프론트시트(62)와 리어시트(64)에 이르는 차시로가 리어시트(64)에서부터 백도어(66)에 이르는 화물실을 원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원박스형으로 형성된 웨곤형 자동차의 화물실에 화물을 적재하고 노면이 좋지 않은 도로를 주행할 경우, 적재된 화물들이 쓰러지면서 부딛치거나, 구르게 되어 큰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대에 후크를 형성, 로프로 화물을 고정시켜 놓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설치되는 후크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2도는 종래의 고정후크가 설치된 예시도로서, 후크는 사각으로 절곡된 몸체(34)와 고정브라켓(32)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34)는 원봉을 다수 절곡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측의 상·하단부(44)(46) 사이에 개구부(48)가 형성되고, 하측으로부터 협지부(50), 수직부(2), 걸림부(54)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32)은 중앙부분을 호형으로 절곡시켜 돌출부(56)를 형성하고, 양측에 구멍이 천공되어 보울트로 차체(58)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종래의 후크를 차체(58)에 고정시키는 작업은, 몸체(34)의 내부로 고정브라켓(32)을 삽입시켜 돌출부(56)의 하측에 형성된 협지홈에 몸체(34)의 협지부(50)를 삽착시킨 후, 고정브라켓(32)을 차체(58)에 얹어놓고 보울트로 나합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56)에 삽입된 협지부(50)는 상측으로 절곡된 하단부(46)에 의해 이탈되지 않으며, 고정브라켓(32)의 협지홈내에서 회동할 수 있어 몸체(34)의 걸림부(54)를 회전시키면서 적재된 화물을 적합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후크는, 첨부도면 제3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후크가 차체(58)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물의 크기에 따라 결합부위를 조정할 수 없고, 후크의 위치에 맞춰 화물을 로프(60)로 고정시키다 보면, 화물의 고정상태는 매우 불안한 상태로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후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몸체가 고정브라켓에 의해 이동브라켓에 결합이 되고, 이동브라켓은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맞춰 고정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이동브라켓과 가이드브라켓, 그리고 몸체를 협지하는 고정브라켓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브라켓에는 스프링과 힌지부 그리고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브라켓에는 걸림구멍을 다수 천공시켜 이동브라켓의 고정구에 형성된 걸림돌기부가 삽탈되면서 이동브라켓은 일정위치에 고정이 되거나 가이드 브라켓을 따라 자유로이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재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적합한 위치로 몸체를 이동시켜 로프로 묶어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가이드 브라켓(10)과 이동브라켓(12) 그리고 고정후크(14)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 브라켓(10)에는 양측에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이단 절곡되어 걸림구멍(18)이 다수 천공된 가이드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모서리는 용접면(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브라켓(12)에는 양단부(24)가 절곡되어 가이드홈(26)을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힌지부(28)를 형성하여 고정구(30)가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후크(14)는 이동브라켓(12)의 상부에 고정브라켓(32)으로 협지된 몸체(34)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후크의 분해사시도로서, 몸체(34)는 원봉을 다수 절곡시켜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일측에 형성된 상·하단부(44)(46) 사이에 개구부(48)가 형성되고, 하측으로부터 협지부(50), 수직부(52), 걸림부(54)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32)의 중앙부에 돌출부(5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협지홈에 상기 협지부(50)를 삽착하고 이동브라켓(12)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후크(14)임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이동브라켓(12)은 양단부(24)가 하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이드홈(26)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절곡된 일측단부에는 요홈(41)과 고정구(30)를 결합시키는 힌지부(28)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부(28)로 결합되어 있는 고정구(30)에는 하단 일측으로부터 돌부(42)와 걸림돌기부(38), 지지돌부(36)로 형성되어 가이드 브라켓(10)과 결합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0)은 양측에 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이단 절곡되어 걸림구멍(18)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천공된 가이드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모서리는 용접면(22)를 형성시켜 상기 이동브라켓(12)과 결합한 후 용접시켜 일체를 이루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후크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제6도는 결합상태의 가변후크에 있어 요부인 A-A선 단면도로서, 몸체(34)는 고정브라켓(32)의 돌출부(56) 하단에 형성된 협지홈에 협지부(50)가 삽착되어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브라켓(32)은 이동브라켓(12)의 상부에 결합이 되어 있으며, 하단부(46)에 의해 고정브라켓(32)으로부터 몸체(34)는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32)이 결합되어 있는 이동브라켓(12)은 양단부(24)가 하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직사각형의 공간으로 형성된 가이드홈(26)에 가이드 브라켓(10)의 가이드면(20)을 삽입시켜 이동브라켓(12)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절곡된 일측단부에는 고정구(30)를 결합시키는 힌지부(28)를 형성하여, 고정구(30)의 하단 상면과 일측단부의 하면 사이에 스프링(40)을 삽지시키되, 스프링(40)은 요홈(41)과 돌부(42)에 의해 견고하게 협지되어 있다.
특히, 고정구(30)는 하단 중앙에 걸림돌기부(38)를 형성시키고 지지돌부(36)를 형성하여, 힌지부(28)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40)은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브라켓(12)의 가이드홈(26)에 가이드 브라켓(10)의 가이드면(20)을 삽입시키고, 모서리에 형성된 용접면(22)을 접합시키는 것으로 일체를 이루게 된 이동브라켓(12)은 가이드면(20) 내에서, 상기 고정구(30)의 걸림돌기부(38)가 가이드면(20)의 걸림구멍(18)에 삽탈착되는 것으로 자유롭게 이동되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브라켓(12)의 이동되고 고정되는 작용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6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구(30)의 상단부를 화살표와 같이 힘을 가하게 되면, 고정구(30)는 힌지부(28)를 축으로 스프링(40)을 압착하면서, 걸림돌기부(38)가 걸림구멍(18)으로부터 이탈되면 이동브라켓(12)은 이동이 가능해지므로 필요한 적당한 위치에 이동브라켓(12)을 이동시켜 걸림구멍(18)과 걸림돌기부(38)가 일치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40)의 탄반력에 의해, 힌지부(28)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돌기부(38)가 걸림구멍(18)에 삽입되어, 이동브라켓(12)은 가이드 브라켓(10)의 가이드면(20) 내에서 고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화물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 적재되는 화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필요한 위치로 이동브라켓(12)을 간단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물을 로프로 묶을때 매우 효과적으로 묶을 수 있으며, 묶여져 있는 화물의 고정상태는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가이드 브라켓(10)과 이동브라켓(12) 그리고 고정후크(14)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가이드 브라켓(10)은 양측으로 결합부(16)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 걸림구멍(18)이 다수 형성된 가이드면(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면(20) 일측 모서리에 용접면(2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동브라켓(12)은 양단부(24)가 절곡되어 가이드홈(26)을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힌지부(28)를 형성하여 고정구(30)가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후크(14)는 이동브라켓(12)의 상부에 고정 브라켓(32)으로 협지된 몸체(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 고정용 가변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구(30)에는 지지돌부(36)와 걸림돌기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40)이 안치되는 돌부(4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브라켓(12)은 고정구(30)의 걸림돌기부(38)가 스프링(40)에 의해 가이드면(20)의 걸림구멍(18)에 삽입되고, 지지돌부(36)에 의해 균형을 이루면서 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KR2019950033891U 1995-11-16 1995-11-16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KR0123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891U KR0123151Y1 (ko) 1995-11-16 1995-11-16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891U KR0123151Y1 (ko) 1995-11-16 1995-11-16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191U KR970022191U (ko) 1997-06-18
KR0123151Y1 true KR0123151Y1 (ko) 1998-09-15

Family

ID=1942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891U KR0123151Y1 (ko) 1995-11-16 1995-11-16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1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191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6192A (en) Apparatus for pairwise transport of elongate objects
US6336580B1 (en) Vehicle load carrier and fastening mechanism
US5934735A (en) Connector assembly
US3955845A (en) Convertible removable structure for the bed of a truck
KR0123151Y1 (ko)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가변후크
EP0620149A1 (en) Shackle lock holder
JP2005509118A (ja) 物体のためのホルダ及び固定装置
JP3040696B2 (ja) 自動車用荷台の支持装置
JP4095057B2 (ja) 荷締器
JP2805247B2 (ja) トラックの側あおり板の支持装置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KR0123155Y1 (ko)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회전후크
KR0134160Y1 (ko) 루프캐리어 체결 브래킷
KR0123153Y1 (ko)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후크
US20020083565A1 (en) Holding device with at least one operating mount
JP2838174B2 (ja) 荷締ベルトに使用される着脱式端末金具
KR0123152Y1 (ko) 자동차의 화물고정용 후크
KR102620455B1 (ko) 다용도 루프랙 장치
JP2580102Y2 (ja) 組立式車両用ベッド
JPH0751574Y2 (ja) ロック装置のストライカ構造
KR200195830Y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고정장치
JP2524396Y2 (ja) トランクルームの荷物固定構造
JPH08232916A (ja) ロック機構
JPH0537872Y2 (ko)
JPH0781433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