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929Y1 -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929Y1
KR0122929Y1 KR2019950041549U KR19950041549U KR0122929Y1 KR 0122929 Y1 KR0122929 Y1 KR 0122929Y1 KR 2019950041549 U KR2019950041549 U KR 2019950041549U KR 19950041549 U KR19950041549 U KR 19950041549U KR 0122929 Y1 KR0122929 Y1 KR 0122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tray
tray panel
trunk
packag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938U (ko
Inventor
고영익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1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929Y1/ko
Publication of KR970033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물건등을 트렁크내에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히 확보할수 있도록 하는데에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선단부 양측에 구비하고 있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트렁크에 의하여 회동하도록 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이 구성되는데, 상기 분리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등받이의 배면 하부에서 고정하도록 된 고정 브라켓트와, 상기 고정 브라켓트에 결합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등받이의 배면 상부에서 지지할수 있도록 된 지지 브라켓트로 구성된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힌지축 16 : 쿼터 아웃터 패널
18 : 룸 20 : 푸셔
22 : 스프링 24 : 레버
본 고안은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트렁크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러소 사용자가 필요한 물품 등을 다량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은 자동차의 실내 후미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 등을 필요에 따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팩키지 트레이 패널은, 회동이 용이할 수 있또록 힌지핀을 선단부 양측에 형성하고, 동시에 쿼터 아웃터 패널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크를 연결하고 있는 와이어를 후미 양측상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은 쿼터 아웃터 패널에 형성되는 룸에 삽탈식으로 결합을 이루고 동시에 이 룸에는 상기 힌지핀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푸셔가 레버를 구비하면서 설치되고, 이와 함꼐 푸셔의 후미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수단에 대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렁크내에 물건 등을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트렁크를 오픈하게 되면, 상향하는 쿼터 아웃터 패널에 의하여 후크가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트렁크와 함께 팩키지 트레이 패널이 상향을 하되, 쿼터 아웃터 패널에 결합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와는 반대로 트렁크를 닫기 위하여 하향시키게 되면, 팩키지 트레이 패널이 함께 하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단은 트렁크내에 물건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추가되는 물건 등을 자동차의 실내에 일시적으로 적재하거나 기타 다른 수단으로 적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물건 등을 트렁크내에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단부 양측에 구비하고 있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개폐되는 트렁크에 의하여 회동하도록 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이 구성되는데, 상기 분리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등받이의 배면 하부에서 고정하도록 된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결합된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등받이의 배면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된 지지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2)을 구성하는 등받이(4)의 후미에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이 위치하는데, 먼저 트렁크리드(8)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후크(10)에 와이어(12)가 연결되는데, 이 와이어(12)는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의 후미 양측상에 묶여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의 선단부 양측에 외부로 돌출된 힌지축(14)이 구성되는데, 이 힌지축(14)은 쿼터 아웃터 패널(16)에 형성되는 룸(18)에 삽탈되게 결합된다.
상기 룸(18)내에 삽입되는 힌지축(14)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된 푸셔(20)가 설치되고, 이 푸셔(20)의 후미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푸셔(20)의 상부에는 후진을 용이하게 할 수 이또록 한 레버(24)가 결합된다.
한편, 좌석(2)을 구성하는 등받이(4)의 배면에 분리되는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고정브래킷(26)이 등받이(4)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4)의 상부 양측에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지지브래킷(28)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물건을 보관하고자 트렁크를 오픈하게 되면 트렁크 리드(8)가 상향을 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하고 있는 후크(10)가 함께 상향을 하게 됨에 따라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이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와 같이 트렁크가 오픈되면 사용자는 트렁크내에 물건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물건을 과도하게 트렁크내에 적재하게 되면,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이 상단부에 닿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트렁크를 닫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건의 상단부에 팩키지 트레이 패널(6)에 닿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그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후크(10)를 트렁크 리드(8)로부터 분리한 다음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4)를 후진시키게 되면 푸셔(20)가 스프링(22)을 압축하면서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푸셔(20)의 선단부가 힌지축(14)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사용자는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14)을 룸(18)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팩키지 패널(6)은 등받이(4)의 배면 양측에 설치된 지지브래킷(28) 사이로 통과시켜 고정브래킷(26)에 그 선단부를 삽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은 등받이(4)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팩키지 트레이 패널(6)을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수단과는 반대로 역순으로 작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건 등을 트렁크내에 보관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물품을 보다 많이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개폐되는 트렁크에 의하여 선단부 양측에 구비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고,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등판이 배면 상,하부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브래킷과 지지브래킷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4)을 쿼터 아웃터 패널(16)에 형성된 룸(18)에 결합하되, 상기 룸(18)내에 삽입되는 힌지축(14)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푸셔(20)를 설치하고, 이 푸셔(20)의 후미에 스프링(22)을 장설하며, 상부에는 레버(24)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KR2019950041549U 1995-12-15 1995-12-15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KR0122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549U KR0122929Y1 (ko) 1995-12-15 1995-12-15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549U KR0122929Y1 (ko) 1995-12-15 1995-12-15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938U KR970033938U (ko) 1997-07-26
KR0122929Y1 true KR0122929Y1 (ko) 1998-10-15

Family

ID=1943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549U KR0122929Y1 (ko) 1995-12-15 1995-12-15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01A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쉘프의 보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01A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커버링 쉘프의 보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938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605A (en) Jewelry box with a linking assembly which permits hanging of jewelry thereon
US7806453B2 (en) Stowable cover with storage feature for vehicle cargo area and method
KR20020044972A (ko) 차량용 이중 폴딩 테일게이트
KR0122929Y1 (ko)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US6666150B2 (en) Rear window shelf for motor vehicle integrated with supports for objects
KR0119123Y1 (ko) 자동차용 팩키지 트레이 패널을 보관하기 위한 구조
JP3748793B2 (ja) 車両の仕切装置
JPH02279439A (ja) 自動車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0222169B1 (ko) 글로브 박스의 핸들 록킹구조
KR100342068B1 (ko) 차량용 콘솔 박스
KR100369008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록킹 구조
KR0142945B1 (ko) 해치 백 자동차의 트렁크 셀프 트림 구조
JP2002087169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WO2022244453A1 (ja) 遮蔽部材
KR0137297B1 (ko) 더블폴딩 시트용 버클 수납장치
JPS6031946Y2 (ja) 自動車の後部棚構造
KR100402769B1 (ko) 레저용 차량의 캠핑매트 설치구조
KR19980044644A (ko) 차량의 수납포켓구조
KR200153570Y1 (ko) 차량용 코인 박스
KR100418501B1 (ko) 승합차의 화물 고정장치
JPH0114527Y2 (ko)
JPS6125573B2 (ko)
US5681069A (en) Device for supporting a rear bow of an automotive convertible top
JP2526869Y2 (ja) 乳母車の座席
KR100369005B1 (ko) 자동차의 콘솔 암레스트 록킹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