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570Y1 - 차량용 코인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코인 박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570Y1
KR200153570Y1 KR2019950049135U KR19950049135U KR200153570Y1 KR 200153570 Y1 KR200153570 Y1 KR 200153570Y1 KR 2019950049135 U KR2019950049135 U KR 2019950049135U KR 19950049135 U KR19950049135 U KR 19950049135U KR 200153570 Y1 KR200153570 Y1 KR 200153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in box
cover
spring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019U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9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570Y1/ko
Publication of KR970034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570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전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차량용 코인 박스(coing box)에 관한 것으로, 크래쉬 패드와 에어벤트 사이에 홈을 형성하여 코인 박스(20)를 설치하되, 코인 박스(20)는, 그 내부의 스프링(30)과 피스톤(40)을 내장, 설치하고, 전방 일부를 개방시켜 유연한 재질의 커버(50)를 설치하며, 또한 코인 박스(20)의 일측에 스파이럴 스프링(60)을 내장하면서 이 스파이럴 스프링(60)에 커버(50)의 일단을 연결하여 권취, 개폐가능케 하고, 또한 커버(50)의 타단에 손잡이(51)를 형성하고, 커버(50)의 단부에 걸림후크(52)를 형성하며, 크래쉬 패드(10)의 일측에 지지후크(70)를 힌지핀(80)으로 연결하면서, 아울러 지지후크(70)에 걸림후크(52)가 착탈되도록 하고, 지지후크(70)의 일단을 스프링(90)으로 연결, 지지하며, 지지후크(80)의 타측에 버튼(81)을 형성하여, 이 버튼(81)을 누름에 따라 커버(5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코인 박스
제1도는 코인 박스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코인 박스의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코인 박스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래쉬 패드 20 : 코인 박스
30,90 : 스프링 40 : 피스톤
50 : 커버 51 : 손잡이
52 : 걸림후크 60 : 스파이럴 스프링
70 : 지지후크 80 : 힌지핀
81 : 버튼
본 고안은 차량용 코인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전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차량용 코인 박스(coing box)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코인 박스는, 대부분 운전석의 크래쉬 패널측에 구비되어 있으나, 동전의 보관 및 인출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동전의 보관 및 인출이 용이한 차량용 코인 박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크래쉬 패드와 에어벤트 사이에 홈을 형성하여 코인 박스를 설치하되, 코인 박스는, 그 내부의 스프링과 피스톤을 내장, 설치하고, 전방 일부를 개방시켜 유연한 재질의 커버를 설치하며, 또한 코인 박스의 일측에 스파이럴 스프링을 내장하면서 이 스파이럴 스프링에 커버의 일단을 연결하여 권취, 개폐가능케 구성한다.
커버의 타단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커버의 단부에 걸림후크를 형성하며, 또한 크래쉬 패드의 일측에 지지후크를 힌지핀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후크에는 걸림후크가 착탈되도록 하고, 지지후크의 일단을 스프링으로 연결, 지지하며, 지지후크의 타측에 버튼을 형성하며, 이 버튼을 누름에 따라 커버를 권취, 개방시키거나 또는 당겨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코인 박스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 박스의 정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 코인 박스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과 같이, 크래쉬 패드(10)와 에어벤트 사이에 홈을 형성하여 코인 박스(20)을 설치하되, 코인 박스(20)는, 그 내부의 스프링(30)과 피스톤(40)을 내장, 설치하고, 전방 일부를 개방시켜 유연한 재질의 커버(50)를 설치하며, 또한 코인 박스(20)의 일측에 스파이럴 스프링(60)을 내장하면서 이 스파이럴 스프링(60)에 커버(50)의 일단을 연결하여 권취, 개폐가능케 구성한다.
커버(50)의 타단에 손잡이(51)를 형성하고, 커버(50)의 단부에 걸림후크(52)를 형성하며, 또한 크래쉬 패드(10)의 일측에 지지후크(70)를 힌지핀(80)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지후크(70)에는 걸림후크(52)가 착탈되도록 하고, 지지후크(70)의 일단을 스프링(90)으로 연결, 지지하며, 지지후크(80)의 타측에 버튼(81)을 형성하여, 이 버튼(81)을 누름에 따라 커버(50)를 권취, 개방시키거나 또는 당겨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동전의 투입 또는 인출을 위하여 버튼(81)을 누르면 이때 지지후크(70)가 힌지핀(8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걸림후크(52)가 지지후크(70)로부터 이탈되면서 커버(50)가 스파이럴 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해 권취되어 코인 박스(20)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40)과 각 동전 사이에 다른 동전을 끼우거나 인출할 수 있으며, 동전의 투입, 인출이 완료된 다음 커버(50)를 당겨 그 걸림후크(52)를 지지후크(70)에 끼움으로써 코인 박스(20)가 폐쇄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크래쉬 패드와 에어 벤트 사이에 코인박스를 설치하고 커버를 착탈시켜 코인 박스를 개폐시킴으로써 코인의 투입 및 인출이 편리한 잇점을 갖는다.

Claims (1)

  1. 크래쉬 패드에 코인 박스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코인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인을 압지하는 피스톤; 피스톤을 탄력지지시키는 스프링; 코인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프링; 스파이럴 스프링에 연결, 권취되고 코인 박스를 개폐시키는 커버; 크래쉬 패드의 일측에 설치되고 버튼에 의해 회동가능한 지지후크; 커버의 일단에 형성되어 지지후크에 착탈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작동되는 걸림후크;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인 박스.
KR2019950049135U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코인 박스 KR200153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135U KR200153570Y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코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135U KR200153570Y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코인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019U KR970034019U (ko) 1997-07-26
KR200153570Y1 true KR200153570Y1 (ko) 1999-08-02

Family

ID=6088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135U KR200153570Y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용 코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5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12B1 (ko) 2007-07-26 2009-04-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12B1 (ko) 2007-07-26 2009-04-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버튼 타입의 정수기 호스 피팅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019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570Y1 (ko) 차량용 코인 박스
JPH07206055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収納容器
JP3852907B2 (ja) 釣用携行具
USD366356S (en) Automobile accessory
KR0132247Y1 (ko) 자동차 어퍼트레이부로 설치된 글러브박스의 도어 개폐장치
JPS6348443Y2 (ko)
KR960007778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형성된 스키수납 구조
KR20080001354U (ko) 화장지케이스
KR0157780B1 (ko) 착탈 가능한 동전 보관 장치
KR100215670B1 (ko) 수납함이형성된자동차용팔걸이대
KR100268986B1 (ko) 승용차 비상용 타이어 덮개판의 고정장치
JP2507036Y2 (ja) 車両用ボックスの開閉構造
US4854651A (en) Video cassette recorder protector and organizer
KR100427214B1 (ko) 차량의 센터콘솔
KR0137156Y1 (ko) 자동차의 휴즈박스용 커버
JPH0235555Y2 (ko)
KR0129284Y1 (ko) 자동차용 콘솔 암레스트
KR100365215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0134403Y1 (ko) 자동차용 푸시 오픈 타입의 재떨이 구조
KR920007213Y1 (ko) 차량용 적재대의 연결장치
KR19980038530U (ko) 휴지상자가 내장된 자동차의 도어트림구조
KR960006232Y1 (ko) 디지탈 피아노의 악보받침대
JPH0539002Y2 (ko)
JP2586166Y2 (ja) 車両内コートハンガー部構造
JPH1045192A (ja) カード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