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658Y1 -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 Google Patents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658Y1
KR0122658Y1 KR2019950011203U KR19950011203U KR0122658Y1 KR 0122658 Y1 KR0122658 Y1 KR 0122658Y1 KR 2019950011203 U KR2019950011203 U KR 2019950011203U KR 19950011203 U KR19950011203 U KR 19950011203U KR 0122658 Y1 KR0122658 Y1 KR 0122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nut
hole
vehicle body
screw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897U (ko
Inventor
현석종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11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658Y1/ko
Publication of KR960037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절개부(11)가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의 상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장 너트(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4) 및 머리부(18)를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14)의 내측에는 연속된 S 자형의 체결공(12)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너트구조인 바, 본 고안에 의하면 차체의 관통공 공차와 부품에 끼워진 스크루우간의 상대적인 공차를 모두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제 1도는 종래 확장 너트의 사시도.
제 2도는 종래 확장 너트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 너트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 너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확장 너트 11: 절개부
12: 체결공 14: 몸체
16: 걸림턱 18: 머리부
20: 차체 22: 관통공
30: 부품 32: 끼움공
40: 스크루우
본 고안은 가로 세로의 공차를 폭 넓게 흡수할 수 있도록 스크루우 체결공을 연속으로 형성시킨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상공정에서는 하나의 얇은 차체에 다른 부품을 체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통상 스크루우를 사용하고 있으며, 스크루우의 체결상태 및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확장 너트(10)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확장 너트(10)는 십자형으로 절개부(11)를 갖고 내측 중심부에는 체결공(12)이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외측의 걸림턱(16) 및 몸체(14)상부의 머리부(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20)에 천공된 관통공(22)에 상기 확장 너트(10)의 몸체(14)를 압입하게 되면 십자형으로 절개된 몸체(14)가 탄성적으로 상기 차체(20)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확장 너트(10)의 몸체(14)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6)은 차체(20)의 관통공(22)내측에 걸리게 되고, 머리부(18)는 차체(20)의 관통공(22)외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확장 너트(10)가 가고정 되는 것이며, 차체(20)에 끼워진 확장 너트(10)의 체결공(12)에 다른 부품(30)에 끼워진 스크루우(40)를 끼워 조이게 되면 상기 확장 너트(10)의 체결공(12)직경이 확장되면서 스크루우(40)가 결합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확장 너트(10)의 몸체(14)는 내측의 체결공(12)이 스크루우(40)의 진입에 의하여 확장되어짐에 따라서 몸체(14)도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확장 너트(10)가 차체(20)의 관통공(22)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되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확장 너트(10)는 차체(20)에 끼워지는 확장 너트(10)의 위치와 다른 부품(30)에 체결된 스크루우(40)의 위치가 상호 정확할 경우에만 결합이 가능하고, 가로 혹은 세로방향으로 상기 스크루우(40)와 확장 너트(10)의 체결공(12)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어 차체(20)에 관통공(22)을 재 천공하고 다시 확장 너트(10)를 옮겨 끼워 주어야만 했었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고 차체에 불필요한 관통공이 천공되게 됨으로써 차체의 성능에도 하자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확장 너트가 끼워지는 차체의 관통공 공차 및 다른 부품에 끼워진 스크루우의 공차를 동시에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차체에 다른 부품의 취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절개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장 너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및 머리부를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의 내측에는 연속된 S자형의 체결공을 형성시켜서 된 확장 너트구조를 제공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 너트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몸체(14)의 내측에는 연속된 S자형의 체결공(12)을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속상태로 체결공(12)이 형성된 몸체(14)에는 그 사방에 절개부(11)를 형성시킴으로써 체결공(12)의 확장 및 몸체(14)의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하고, 몸체(14)의 외측에는 머리부(18)를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걸림턱(16)을 형성시킴으로써 차체의 관통공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확장 너트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20)의 관통공(22)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게 되면서 상기 확장 너트(10)의 몸체(14)외측에 형성된 걸림턱(16)과 머리(18)사이에 차체(20)의 관통공(22)내외측이 걸리게 됨으로써 확장 너트(10)가 차체(20)에 가고정 되게 된다.
한편, 상기 차체(20)에 취부되는 다른 부품(30)에는 스크루우(40)가 끼워지는 끼움공(32)을 상기 차체(20)의 확장 너트(10)길이방향과 직각으로 길게 형성시켜 스크루우(40)가 끼움공(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루우(40)가 끼워진 부품(30)을 차체(20)에 고정시킬 때에는 부품(30)을 차체(20)에 댄 상태에서 스크루우(40)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켜 확장 너트(10)의 체결공(12)에 끼워 널게 되면 부품(30)의 취부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확장 너트에 연속형상으로 체결공이 형성되고 차체에 취부되는 부품에는 상기 확장 너트의 체결공 방향과 직각으로 스크루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체의 관통공 공차와 부품에 끼워진 스크루우간의 상대적인 공차를 모두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차체에 부품을 취부하는 작업을 할 경우, 차체의 관통공 공차와 부품의 스크루우 위치공차를 동시에 흡수하게 되어 부품의 취부작업을 신속하게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차체에 불필요한 관통공을 형성시키지 않게 됨으로써 차체의 성능에 하자를 끼치게 될 염려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절개부(11)가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의 상부에 형성되는 머리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장 너트(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4) 및 머리부(18)를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시키고, 상기 몸체(14)의 내측에는 연속된 S 자형의 체결공(12)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KR2019950011203U 1995-05-24 1995-05-24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KR0122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203U KR0122658Y1 (ko) 1995-05-24 1995-05-24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203U KR0122658Y1 (ko) 1995-05-24 1995-05-24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97U KR960037897U (ko) 1996-12-18
KR0122658Y1 true KR0122658Y1 (ko) 1998-08-17

Family

ID=1941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203U KR0122658Y1 (ko) 1995-05-24 1995-05-24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6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897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658Y1 (ko) 상대공차 흡수용 확장 너트구조
JPH0949547A (ja) 防振クリップ
KR0131246B1 (ko) 자동차 부품 조립용 지그의 고정구조
JPH04127405U (ja) ボツクス取付構造
KR920003883Y1 (ko) 자동차의 트림패널 장착용 클립
JPH0323886Y2 (ko)
KR0123492Y1 (ko) 자동차의 펜더 판넬과 범퍼의 결합구조
KR970038945A (ko) 자동차의 트림 취부구조
KR0124882Y1 (ko) 체결점 가변식 지그
KR19990035658A (ko) 자동차 도어 트림 체결용 클립
KR970045808A (ko) 자동차 패널(Panel) 체결용 볼트(Bolt)
KR19990041344A (ko) 자동차의 패널 고정용 너트 스피드
JPS6034803Y2 (ja) スクリユ−グロメツト
JP3643014B2 (ja) マウンティングクリップ及び該クリップを有するアクセサリー
KR19980029680U (ko) 자동차의 트림 마운팅용 클립
KR950004345Y1 (ko) 자동차 도어의 가니쉬 체결용 스크류
KR200142401Y1 (ko) 글라스 마운트
KR970002505Y1 (ko) 자동차의 경음기(horn) 부착용 브라켓
JP2003152370A (ja) 制御機器用ヒートシンク
KR19980040906U (ko) 자동차의 부품 조립용 체결구
KR970045715A (ko) 차량의 카울취부클립
JPH06248772A (ja) 建物用ガードレール
KR19980049670A (ko) 진동 감쇄식 볼트 체결 구조
JPH0662212U (ja) リテーナ取付具
KR970033405A (ko) 자동차의 히터 장착 브라켓 용접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