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579Y1 -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579Y1
KR0122579Y1 KR2019950040907U KR19950040907U KR0122579Y1 KR 0122579 Y1 KR0122579 Y1 KR 0122579Y1 KR 2019950040907 U KR2019950040907 U KR 2019950040907U KR 19950040907 U KR19950040907 U KR 19950040907U KR 0122579 Y1 KR0122579 Y1 KR 0122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runk
vehicle
side terminals
la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163U (ko
Inventor
권영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0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579Y1/ko
Publication of KR970033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60Q3/35Portable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를 이용하여 트렁크 룸이 아닌 타 장소를 밝힐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하면서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트렁크 판넬(20)상에 자동차전원(BT1)과 접속되어 있는 전원측 단자(21a)(21b)를 서로 절연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측 단자(21a)(2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램프측 단자(22a)(22b)를 램프 본체(30)의 배면상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트렁크 판넬(20)의 내측면과 상기 램프 본체(30)의 배면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가결합기구(40)와 건전지 수납실(32)을 설치하며, 상기 램프 본체(30)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측 단자(22a)(22b)와 접속되고, 상기 자동차전원(BT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자동차 트렁크용 전구 (LP1)와 건전지(BT2)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램프 스위치(SW)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는 랜턴용 전구(LP2) 및 그 램프 스위치(SW)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제 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의 전면부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의 배면부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를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접속관계를 보이는 전기회로도,
제 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이 자동차의 트렁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트렁크 판넬 21a,21b:전원측 단자
22a,22b:램프측 단자 30:램프 본체
32:건전지 수납실 40:가결합기구
41:상단걸림턱 42:더브테일 홈
BT2:건전지 LP1:트렁크용 전구
LP2:랜턴용 전구 SW:램프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트렁크 룸을 밝히도록 되어 있는 트렁크 룸램프를 착탈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평상시 트렁크 룸을 밝히는 용도외에 분리하여 트렁크 룸이 아닌 다른 장소를 밝히는 용도에도 사용가능하도록 한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밤길을 주행하다가 노면상에서 차량고장이 발생하면 운전자는 우선 차량의 예측되는 고장개소를 밝히려고 어두움을 밝힐 수 있는 랜턴의 필요성을 느끼게되나 평소에 랜턴을 준비하여 두지 않은 경우에는 곤란을 겪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트렁크 룸램프는 트렁크 룸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단지 트렁크 룸을 밝히는 기능외에 다른 장소를 밝힐 수 없어 활용도가 타 부품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를 이용하여 트렁크 룸이 아닌 타 장소를 밝힐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하면서 고정 또는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트렁크 판넬상에 자동차전원과 접속되어 있는 전원측 단자를 서로 절연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측 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램프측 단자를 램프 본체의 배면상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트렁크 판넬의 내측면과 상기 램프 본체의 배면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가결합기구와 건전지 수납실을 설치하며, 상기 램프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측 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자동차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자동차 트렁크용 전구와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램프 스위치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는 랜턴용 전구 및 그 램프 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이 제공된다.
상기 가결합기구는 상기 램프 본체의 배면에 상단걸림턱을 가진 더브테일홈을 형성하고, 상기 트렁크 판넬상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과 결합되고, 상기 상단걸림턱에 걸리는 더브테일 돌기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트렁크 판넬(20)상에 자동차전원(BT1)과 접속되어 있는 전원측 단자(21a)(21b)를 서로 절연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측 단자(21a)(2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램프측 단자(22a)(22b)를 램프 본체(30)의 배면상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트렁크 판넬(20)의 내측면과 상기 램프 본체(30)의 배면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가결합기구(40)와 건전지 수납실(32)을 설치하며, 상기 램프 본체(30)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측 단자(22a)(22b)와 접속되고, 상기 자동차전원(BT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자동차 트렁크용 전구(LP1)와 건전지(BT2)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램프 스위치(SW)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는 랜턴용 전구(LP2) 및 그 램프 스위치(SW)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가결합기구(40)는 상기 램프 본체(30)의 배면에 상단걸림턱(41)을 가진 더브테일 홈(42)을 형성하고, 상기 트렁크 판넬(20)상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42)과 결합되고, 상기 상단걸림턱(41)에 걸리는 더브테일 돌기(43)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램프 본체(30)에 설치되어 있는 트렁크용 전구(LP1)와 랜턴용 전구(LP2)는 통상의 구성과 같이 투명창(35)으로 보호되도록 가려져 있으며, 램프 스위치(SW)는 시소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토글 스위치 또는 슬라이드 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건전지 (BT2)는 첨부도면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설치되며 서로 직렬로 접속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트렁크 리드를 나타낸 것이며, 51은 트렁트 룸을 나타낸 것이고, 52는 상기 건전지 수납실(32)을 덮는 건전지 수납실용 뚜껑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첨부도면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본체(30)가 자동차의 트렁크 판넬(20)에 부착된 상태에서 트렁크 리드(50)를 열게 되면, 트렁크 룸램프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통전되면서 트렁크 룸(51)의 내부가 밝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작용은 자동차전원(BT1)으로 부터 전원측 단자(21a)(21b) 및 램프측 단자(22a)(22b)를 거쳐 트렁크 룸램프 스위치(도시 생략)를 통해 트렁크용 전구(LP1)로 전달되는 폐쇄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트렁크용 전구(LP1)가 점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램프 본체(3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전원측 단자(21a)(21b)와 램프측 단자(22a)(22b)이 서로 떨어지면서 트렁크용 전구(LP1)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된다.
이때 상기 램프 본체(30)와 트렁크 판넬(20)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더브테일 홈(42)과 더브테일 돌기(43)는 서로 이탈되면서 램프 본체(30)가 독립적인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 램프 본체(30)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이동한 후 램프 본체(30)에 설치되어 있는 램프 스위치(SW)를 닫게 되면, 건전지(BT2)를 통해 램프 스위치(SW)를 거쳐 랜턴용 전구(LP2)로 통하는 폐쇄회로가 형성되면서 랜턴용 전구(LP2)는 점등된다. 즉, 랜턴용 전구(LP2)는 램프 본체(30)의 건전지 수납실(32)에 수납되어 있는 건전지(BT2)로 부터 전원을 공급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전원(BT1)의 도움 없이도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램프 스위치(SW)를 열게 되면, 랜턴용 전구(LP2)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서 랜턴용 전구(LP2)는 소등된다.
한편, 독립적인 상태로 있던 램프 본체(30)를 다시 트렁크 판넬(20)에 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램프 본체(3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더브테일 홈(42)의 하단부를 트렁크 판넬(20)상에 설치되어 있는 더브테일 돌기(43)의 상단부에 일직선상에 일치시킨 후 하측으로 밀게 되면, 더브테일 홈(42)이 더브테일 돌기(43)상에서 미끄럼운동을 하면서 램프 본체(30)의 좌우 전후방향으로 구속되며, 램프 본체(30)를 계속해서 하측으로 내리게 되면, 더브테일 홈(4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단걸림턱(41)이 더브테일 돌기(43)의 상단부에 걸리면서 램프 본체(30)가 트렁크 판넬(20)상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부착된 램프 본체(30)는 일반 트렁크 룸램프 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차에 마련되어 있는 램프 본체를 트렁크 판넬에 취부한 상태로 사용하면, 일반 트렁크 룸램프 처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트렁크 판넬로 부터 분리해 내어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랜턴을 경제적인 부담을 안고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며, 램프 본체가 트렁크 판넬에 취부되면서 보관되는 겪이어서 일반적인 랜턴을 사용할 때와 같이 보관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말끔히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트렁크 판넬(20)상에 자동차전원(BT1)과 접속되어 있는 전운측 단자(21a)(21b)를 서로 절연되게 설치하고, 상기 전원측 단자(21a)(2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램프측 단자(22a)(22b)를 램프 본체(30)의 배면상에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트렁크 판넬(20)의 내측면과상기 램프 본체(30)의 배면에는 각각 착탈이 가능한 가결합기구(40)와 건전지 수납실(32)을 설치하며, 상기 램프 본체(30)의 전면에는 상기 램프측 단자(22a)(22b)와 접속되고, 상기 자동차전원(BT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자동차 트렁크용 전구(LP1)와 건전지(BT2)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램프 스위치(SW)에 의해 전원이 단속되는 랜턴용 전구(LP2) 및 그 램프 스위치(SW)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기구(40)는 상기 램프 본체(30)의 배면에 상단걸림턱(41)을 가진 더브테리 홈(42)을 형성하고, 상기 트렁크 판넬(20)상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42)을 형성하고, 상기 트렁크 판넬(20)상에는 상기 더브테일 홈(42)과 결합되고, 상기 상단걸림턱(41)에 걸리는 더브 테일 돌기(43)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KR2019950040907U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KR0122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907U KR0122579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907U KR0122579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63U KR970033163U (ko) 1997-07-26
KR0122579Y1 true KR0122579Y1 (ko) 1998-08-01

Family

ID=1943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907U KR0122579Y1 (ko) 1995-12-14 1995-12-14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09B1 (ko) * 2011-12-06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러기지 램프와 그 충전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609B1 (ko) * 2011-12-06 2013-09-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탈부착이 가능한 러기지 램프와 그 충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163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643A (en) Combination courtesy light and detachable flashlight assembly
US6022131A (en) Room lighting unit for vehicles
US4819134A (en) Interior automobile light
US4575784A (en) Chargeable working light
KR0122579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룸램프겸 휴대용 랜턴
US5803581A (en) Device to illuminate keyhole area
US5632549A (en) Fastener frame with button switch
JPH07309170A (ja) 自動車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4931697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utomotive brake lamp
KR200154702Y1 (ko) 다기능스톱램프의구조
KR930003233B1 (ko) 비상 경고등 스위치를 겸한 윙커 스위치 구조
KR20210063863A (ko)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KR200265577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200177991Y1 (ko) 점멸신호 기능을 가진 회중전등
KR101589876B1 (ko) 휴대용 전등 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JPS5848943Y2 (ja) 自転車用前照灯装置
KR20000006525U (ko) 차량용 실내등의 제어 장치
KR200341385Y1 (ko) 네온등 과 마크등이 구비된 사이드미러
KR0157808B1 (ko) 차량의 엔진룸 내부 조명장치
JPS5853236Y2 (ja) 自動車の車室内灯
KR0126236Y1 (ko) 자동차 실내등 스위치 구조
KR970001125Y1 (ko) 파워윈도우 작동스위치 조명제어장치
KR0112929Y1 (ko) 형광등과 백열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실내등
KR910001182Y1 (ko) 회중 전등
KR910002552Y1 (ko) 다목적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