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863A -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863A
KR20210063863A KR1020190152487A KR20190152487A KR20210063863A KR 20210063863 A KR20210063863 A KR 20210063863A KR 1020190152487 A KR1020190152487 A KR 1020190152487A KR 20190152487 A KR20190152487 A KR 20190152487A KR 20210063863 A KR20210063863 A KR 20210063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main body
interio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재
Original Assignee
이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재 filed Critical 이완재
Priority to KR102019015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863A/ko
Publication of KR2021006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또는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에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 및 상기 제1과 제2조명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를 변환되도록 하는 모드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조명뿐만 아니라 위급상황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날개(12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본체(110)에 삽입 및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2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본체(110)에는 내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등(200)이 삽입되는 수납공간(112)과 상기 수납공간(11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2)보다 더 함몰된 깊이를 가지는 탈거공간(114)과 상기 수납공간(112)의 일측에 구성되는 걸림부(116) 및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내등(200)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118)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등(200)은 내측에 회로가 구성되는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자동차 실내를 조명하는 제1조명부(220)와 일단에 형성되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조명부(230) 및 상기 제1 또는 제2조명부(220)(230)의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스위치(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Detachable vehicle interior light}
본 발명은 휴대용 전등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또는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에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 및 상기 제1과 제2조명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를 변환되도록 하는 모드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조명뿐만 아니라 위급상황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실내등은 자동차 실내의 헤드라이닝 중앙부에 장착되거나 프런트 시트, 트렁크 등의 위치에 장착되는 실내등으로써, 야간 승차시 운전자가 운전석 계기판을 점검하거나 탑승자의 독서를 위해서 또는 주행 중 자동차 실내를 밝히기 위해 전등하거나 또는 트렁크의 실내를 보기 위해 점등시켜서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실내등은 자동차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일정각도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자동차 실내에 떨어진 물건 등을 착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야간에 실외의 자동차 정비작업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여 별도의 휴대용 전등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등의 자동차 실내등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일례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깊이의 홈 형상을 이루고 실내등(30)을 안착하기 위한 수납부(10)가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10)의 소정 부위에 실내등(30)의 착탈을 위한 착탈레버(13)가 하단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착탈레버(13)는 실내등(30)의 요홈부(25) 등에 상응하여 끼워지는 소정의 돌기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착탈레버(13)를 지지하는 돌기부 측면으로 소정의 착탈 스프링(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착탈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착탈레버(13)는 실내등의 요홈부(25)에 안착되어, 실내등(30)을 수납부(10)에 고정하게 된다. 충전단자(21)는 실내등(30)이 수납부(10)에 안착되는 경우, 자동차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실내등의 충전지(23)로 공급한다. 상기한 실내등은 하우징에서 랜턴 또는 비상용 램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랜턴 또는 비상용 램프 등에 대한 별도의 보관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수납부로부터 실내등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착탈레버를 각각 일정길이만큼 뒤로 후퇴시켜야 하고, 다시실내등을 수납부에 결합하기 위해서 억지로 삽입을 하면 착탈스프링에 의해 착탈레버가 뒤로 밀렸다가 요홈부에 착탈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착탈레버가 걸리는 등의 탈거 및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램프가 형성된 실내등으로 휴대용 전등을 대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용 전등 즉, 손전등처럼 구석구석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하는 조명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착탈형 실내등은 한가지 모드, 예컨대, 일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방식으로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비상등이나 경광등 또는 수색을 위한 집중 조명 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또는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에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 및 상기 제1과 제2조명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를 변환되도록 하는 모드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조명뿐만 아니라 위급상황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 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서 돌출되어 자동차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본체에 삽입 및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본체에는 내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실내등이 삽입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보다 더 함몰된 깊이를 가지는 탈거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구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내등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등은 내측에 회로가 구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형성되어 자동차 실내를 조명하는 제1조명부와 일단에 형성되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조명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조명부의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내등의 일측에는, 외부전원을 통해 충전 또는 계속적인 사용상태를 지속시키도록 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내등은, 상기 모드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조명부가 점등모드 또는 점멸모드로 작동되고 상기 제2조명부가 일반조명모드 또는 집중조명모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서 실내등이 탈거된 후에도 자동차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는, 수납공간에 삽입 또는 탈거가 용이하도록 실내등의 일측 또는 양측을 압박하는 압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일측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또는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에 제1조명부와 제2조명부 및 상기 제1과 제2조명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모드를 변환되도록 하는 모드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조명뿐만 아니라 위급상황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탈착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 실내등을 탈거한 후에도 자동차의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등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내등이 탈거된 상태에서도 자동차의 실내가 조명되도록 하는 사용의 편리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실내등의 분리 사시도.
제1실시 예의 차량용 실내등은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수납공간(112)을 가지는 본체(110)와, [0022]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 수평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자동차의 실내프레임에 밀착되는 날개(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110)에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납된 실내등(200)을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공간(114)을 포함한다. 상기 탈거공간(114)은 상기 수납공간(112)에서 일정깊이를 더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탈거공간(114)은 상기 수납공간(112)의 일단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납공간 (112)에 수납된 실내등(200)을 상기 본체(110)에서 안정적으로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면 어느 곳이든 형성 가능하다.
[0025] 즉,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112)에 실내등(200)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2)보다 더 함몰된 탈거 공간(114)에 위치한 실내등(200)의 일단을 상기 탈거공간(114)측으로 밀면, 밀림력에 의해 상기 실내등(200)의 일단이 상기 탈거공간(114)으로 밀려지고, 이때 상기 실내등(200)의 타단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솟아 올라짐으로써, 사용자는 솟아올라진 상기 실내등(200)의 일단을 파지하여 상기 본체(110)에서 탈거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납되는 실내등(200)의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걸림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16)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납되는 실내등 (2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압박하도록 하는 요철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수납되는 실내등(200)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충전단자(118)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단자(118)는 상기 탈거공간(114)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단자(118)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실내등(200)을 충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날개(120)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연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자동차의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상기 날개(120)에는 직결나사 또는 체결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110)가 자동차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0031] 또한, 상기 체결공(122)에는 상기 체결공(122)을 통해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마감캡(124)을 포함한다. 상기 마감캡(124)은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이다. 한편, 상기 날개(120)에는 자력을 가진 영구자석을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체결공(122)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상기 본체(110)가 자동차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등(200)은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112)에 수납되어, 평상시엔 자동차 실내를 조명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10)에서 탈거시켜 휴대용 전등으로 사용한다. 상기 실내등(200)은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에 구성되는 제1조명부(220)와, 상기 케이싱(210)의 일단에 구성되는 제2조명부(230) 및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에 구성되는 모드스위치(2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210)은 상,하부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회로기판 등의 실내등(200)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품들(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면 또는 양면 각각에는 상기 본체(110)의 걸림부(116)가 삽입되어 상기 본체(110)에 실내등(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걸림홈(212)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212)은 상기 걸림부(11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 0)의 수납공간(112)에 실내등(2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212)은 도시되 바와 같이, 걸림부(116)와 대응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V'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을 안내하면서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고정력이 증폭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걸림홈(212)의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110)의 수납공간(112)에 안정적인 수납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형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의 상단 즉, 상기 실내등(200)이 본체(110)의 수납공간(112)에 삽입되어 면 접촉되는 면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10)에 구성된 충전단자(118)와 연결되는 연결단자(214)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단자(118) 및 연결단자(214)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을 상기 실내등(200)에 안정적으로 공급시켜 충전상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자 형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의 일단에는 탈거된 실내등(200)을 외부에서 충전 또는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전원과 연결하는 접속단자(21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210)에는 상기 연결단자(214) 또는 접속단자(216)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시키도록 하는 충전부(218)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명부(220)는 상기 케이싱(210)의 일면 즉, 본체(110)의 수납공간(112)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차 실내를 조명할 수 있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자동차 실내를 조명한다. 또한, 상기 제1조명부(220)는 상기 본체(110)에서 탈거된 후에는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조명부(220)는 모드스위치(240)의 선택에 따라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는 점등모드 및 점멸된 상태를 유지하는 점멸모드를 유지한다.상기 제2조명부(230)는 상기 케이싱(210)의 일단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조명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명등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조명부(230)는 모드스위치(240)의 선택에 따라 넓은 범위를 조명하는 일반조명모드 및 어느 한곳을 집중하여 서치라이트효과를 가지는 집중조명모드를 유지한다.
[0045] 상기 모드스위치(240)는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조명부(220)(230)의 조명모드를 선택하거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모드스위치(240)는 누르는 순서에 따라, 온(ON)-> 제1조명부(220)의 점등-> 제1조명부(220)의 점멸-> 제2조명부(230)의 일반조명-> 제2조명부(230)의 집중조명-> 오프(OFF)의 순서로 가진다. 물론, 이에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다양한 순서 또는 조명모드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명부(220)의 점멸모드의 경우에는 주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 예컨대, 적색이나 황색 또는 이들이 번갈아가면서 점멸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착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실내 등에 하우징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본체(110) 수납공간(112)에는 실내등(200)이 수납된 상태를 이룬다. 이 경우, 상기 자동차의 운전자 조작에 의해 상기 실내등(200)은 점등 또는 소등 작용을 한다.
[0051] 이후, 캠핑이나 주변정찰 또는 위급상황 예컨대, 사고발생이나 경찰의 경우 검문 등을 위해 상기 실내등(2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실내등(200)을 탈거한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110)의 탈거공간(114)이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실내등(200) 일단을 위쪽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본체(110)의 탈거공간(114)으로 상기 실내등(200)의 일단이 밀려 들어가면서 타단 부분이 지렛대원리에 의해 외부로 밀려 나오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솟아나온 타단을 파지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실내등(200)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110: 본체 112: 수납공간
114: 탈거공간 116: 걸림부
118: 충전단자 120: 날개
122: 체결공 124: 마감캡
130: 보조등 140: 압박스프링
200: 실내등 210: 케이싱
212: 걸림홈 214: 연결단자
216: 접속단자 218: 충전부
220: 제1조명부 230: 제2조명부
240: 모드스위치 242: 제어부

Claims (1)

  1. 청구항 1
    내측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보다 더 함몰된 깊이를 가지는 탈거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구성되는 걸림부 및 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자동차의 실내등과 전기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서 돌출되어 자동차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내측에 회로가 구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형성되어 자동차 실내를 조명하는 제1조명부와 일단에 형성되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조명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조명부의 조명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삽입 및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실내등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200)의 케이싱(210) 일측에는 상기 본체(110)에서 탈거시킨 후 외부전원을 통해 충전 또는 계속적인 사용상태를 지속시키도록 하는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접속단자(216)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등(200)의 모드스위치(240)는 순차적인 스위칭동작에 따라, 온(ON), 제1조명부(220)의 점등모드, 점멸 모드, 제2조명부 (230)의 일반조명모드, 집중조명모드, 오프(OFF)로 동작되며 상기 제1조명부(220)가 점멸모드일 경우, 적색 및 황색이 번갈아가면서 점멸되고 상기 본체(110)에는 수납공간(112)에서 실내등(200)이 탈거될 경우 자동차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보조등(130)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등(130)은 상기 수납공간(112)에 실내등(200)이 삽입될 경우 무조건 오프(OFF)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본체(110)의 걸림부(116)는 실내등(200)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요철로 형성되며 상기 실내등(200)의 케이싱(210)에는 상기 걸림부(116)와 대응되고 상기 실내등(200)의 삽입을 안내하면서 접촉
    면적이 극대화되도록 'V'형상의 걸림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에는 수납공간(112)에 삽입 또는 탈거가 용이하도록 실내등(200)의 일측 또는 양측을 압박하는압박스프링(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차량용 실내등.
KR1020190152487A 2019-11-25 2019-11-25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KR20210063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487A KR20210063863A (ko) 2019-11-25 2019-11-25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487A KR20210063863A (ko) 2019-11-25 2019-11-25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863A true KR20210063863A (ko) 2021-06-02

Family

ID=7637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487A KR20210063863A (ko) 2019-11-25 2019-11-25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8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7643A (en) Combination courtesy light and detachable flashlight assembly
US7789523B2 (en) Receptacle positioned rechargeable flashlight
US10738980B2 (en) Flashlight with rear-facing signal light and modular integrated mount system
KR20080022586A (ko) 호환성이 있는 손전등-카고 램프 시스템
JP2924553B2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充電用コネクタ
US7281814B2 (en) Car flashlight structure
KR101360673B1 (ko) 러기지 램프
WO2006067460A1 (en) Removable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luggage compartment
US20050219854A1 (en) Illuminated grab handle assembly wih integrated control features
JPH10181445A (ja) 室内照明ユニット
US4819134A (en) Interior automobile light
US20080180238A1 (en) Vehicle signaling device having a remote power source
US7264371B1 (en) Illuminable mountable storage receptacle
US6045235A (en) DC power suppy device with rechargeable cellular telephone battery in flashlight with connection for remote electrical device
KR20210063863A (ko) 탈착 가능한 차량용 실내등
US20060087836A1 (en) Portable lighting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
KR101589876B1 (ko) 휴대용 전등 기능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실내등
JPH10278673A (ja) 脱着式ルームランプ
KR20010044446A (ko) 마그네틱 스위치 플래쉬
CN218929318U (zh) 用于车辆的车灯和具有它的车辆
US6454434B1 (en) Flashlight unit with externally supported battery
CN211765220U (zh) 一种汽车应急后备箱照明装置
KR101469153B1 (ko) 탈착형 무선 스위칭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탐조등
CN217423077U (zh) 行李灯及车辆
CN209977906U (zh) 一种可进行拆装外置使用的应急车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