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314Y1 - 파워업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파워업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314Y1
KR0122314Y1 KR2019950008359U KR19950008359U KR0122314Y1 KR 0122314 Y1 KR0122314 Y1 KR 0122314Y1 KR 2019950008359 U KR2019950008359 U KR 2019950008359U KR 19950008359 U KR19950008359 U KR 19950008359U KR 0122314 Y1 KR0122314 Y1 KR 0122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voltage
outpu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755U (ko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50008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314Y1/ko
Publication of KR960035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 H03K17/223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워업(power-up)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이 인가되어 안정된 동작 레벨로 램프업(ramp-up)될 때까지 칩(chip)내부의 동작을 억제시키고, 그 동안에 초기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파워업이 검출된 후에도 계속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필요없는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또한 전원이 불안정한 경우 즉,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을 경우 파워업 확인 신호인 출력이 흔들릴 수 있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파워업 확인이 종결되면 전원조절부가 '오프'됨으로써 동작전류 이외에 정전류를 소모하는 곳이 없으므로 전력 소모가 없고, 또한 스위칭부는 출력에 의하여 '오프'되므로 더 이상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스템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으며, 출력을 원하는 전압에서 변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쉬운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파워업 검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리세트신호 발생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 파형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파워업 검출장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전원 조절부 210 : 스위칭부
220 : 반전 출력부 230 : 지연부
본 고안은 파워업(power-up) 검출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전압이 인가되어 안정된 동작 레벨로 램프업(ramp-up)될때까지 칩(chip)내부의 동작을 억제시키고, 그 동안에 초기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파워업 검출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전압(Vcc)을 인가받아 반전소자가 동작하는 전압까지 충전하여 리세트신호를 발생시키는 리세트신호 발생부(100)와, 상기 리세트신호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 및 반전시켜 출력하는 반전 출력부(11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리세트신호 발생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a)에 도시된 바와같은 파형을 갖는 전원전압(Vcc)이 리세트신호 발생부(100)의 피모스트랜지스터(MP1) 소오스측으로 공급되면, 접지(Vss)측과 게이트가 연결된 상태이므로 항상 턴온상태가 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이 연결된 피모스트랜지스터(MP2) 또한 턴온상태가 되므로, 상기 전원전압(Vcc)은 피모스트랜지스터(MP1)(MP2)를 통해 제2도 (b)에서와 같은 전압강하된 VCC-VTP의 전압이 콘덴서(C1)에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이 반전출력부(110)의 인버터(I1)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압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인버터(I1)는 입력전압을 반전시켜 출력하는데, 이때 인버터(I1)의 출력전압은 제2도 (c)에서와 같이 충전전압이 서서히 충전되어 일정값에 도달하면 반전시켜 출력한다.
그러면, 제2노드(N2)도 시간지연을 갖고 충전하여 제2인버터(I2)의 게이트단으로 입력되며, 그에 반전된 신호는 제3노드(N3)에서도 마찬가지로 제2도(d)에서와 같이 시간을 두고 충전되어 제3인버터(I3)를 통해 만들어진 리세트신호를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하는데, 이때의 파형은 제2도(e)에 도시된 바와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리세트신호 발생회로는 인버터의 게이트 상태에 따라 계속적으로 정전류가 흐르게 되어 필요없는 전력을 소모하게 되고, 또한 전원이 불안정한 경우 즉,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을 경우 파워업(power up) 확인 신호인 리세트 신호가 흔들릴 수 있어 시스템의 오동작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압이 인가되어 안정된 동작 레벨로 램프업(ramp-up)될때까지 체(chip)내부의 동작을 억제시키고, 그 동안에 초기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안정된 동작을 하는 파워업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파워업 검출장치의 상세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전압(Vcc)단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하여 일정한 전압레벨이 되면 출력하도록하는 전원조절부(200)와, 상기 전원조절부(200)의 충전된 전압에 따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스위칭부(210)와, 상기 스위칭부(210)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반전 및 전압이 안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신호를 지연시켜 출력하는 반전출력부(220)와, 상기 반전출력부(220)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전원조절부(200)로 출력하는 지연부(23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 파워업 검출장치의 동작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전압(Vcc)이 5볼트로 램프 업(ramp up)되면 전원조절부(200)의 제1피모스트랜지스터(MP1)를 통하여 제4도에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노드(N1)가 천천히 충전되고, 이 충전된 전압은 스위칭부(210)를 통하여 제2노드(N2)로 전달된다. 이때 제2노드(N2)의 전압레벨은 제4도 (b)에서와 같이 제1노드(N1)의 전압레벨보다 약간 낮은 상태로 되고, 제3노드(N3)의 전압레벨은 전원이 상승함에 따라 같이 상승하다가 제2노드(N2)의 전압레벨이 제1인버터(I1)의 트립 포인트(trip point)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1인버터(I1)를 통해 저전위레벨로 반전된다. 이와같은 파형은 제4도 (b)에 도시한 바와같다.
이로인해 출력신호(OUT)도 다시 제2, 제3인버터(I2)(I3)를 통해 반전된 제4도 (d)에서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출력신호(OUT)의 저전위레벨신호는 지연부(230)을 통해 지연되어 전원조절부(200)의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MN1)의 게이트에 가해져 그 제1엔모스 트랜지스터(MN1)를 오프시켜 전원전압(Vcc)과 접지(Vss)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출력신호(OUT)는 스위칭부(210)의 제3엔모스트랜지스터(MN3)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오프'시키며, 또한 상기 반전출력부(220)의 제2인버터(I2)의 래치(latch)에 의해 제2노드(N2)는 전압의 변호가 생길때까지 전원전압(Vcc)의 상태가 된다. 이때의 전류파형은 제4도 (e)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인버터(I1)의 트립 포인트는 곧 출력(OUT)의 트립 포인트가 되는데, 이 트립 포인트의 값은 전원전압(Vcc)단과 접지(Vss)단 사이 즉, 제1피모스 트랜지스터(MP1) 및 제1, 제2엔모스 트랜지스터(MN1)(MN2)에 흐르는 전류비와, 이 전류비에 의해 제1노드(N1)에 충전되는 전압을 전달하는 제3엔모스 트랜지스터(MN3)를 직렬로 몇 단을 연결시키는가와, 또한 제1인버터(I1)를 구성하고 있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비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워업 확인이 종결되면 전원조절부(200)가 '오프'됨으로써 동작전류 이외에 정전류를 소모하는 곳이 없으므로 전력 소모가 없고, 또한 스위칭부(210)는 출력(OUT)에 의하여 '오프'되므로 더 이상의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아 시스템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으며, 출력(OUT)을 원하는 전압에서 변할 수 있도록 조절하기 쉬운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전원전압단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충전하여 일정한 전압레벨이 되면 출력하도록하는 전원조절부와, 상기 전원조절부의 충전된 전압을 통과 또는 차단하도록 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전압을 인가받아 반전 및 전압이 안정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 신호를 지연시켜 검출신호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반전출력부와, 상기 반전출력부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상기 전원조절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지연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업 검출장치.
KR2019950008359U 1995-04-24 1995-04-24 파워업 검출장치 KR0122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359U KR0122314Y1 (ko) 1995-04-24 1995-04-24 파워업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359U KR0122314Y1 (ko) 1995-04-24 1995-04-24 파워업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755U KR960035755U (ko) 1996-11-21
KR0122314Y1 true KR0122314Y1 (ko) 1998-12-01

Family

ID=1941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359U KR0122314Y1 (ko) 1995-04-24 1995-04-24 파워업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3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594B1 (ko) * 1997-06-18 2000-09-15 김영환 파워-업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755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419B1 (ko) 파워 업 신호 생성장치
KR960004573B1 (ko) 기동회로를 갖는 기준전압발생회로
KR100562636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회로
JP3756961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のチップ初期化信号発生回路
KR100551074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파워업 회로
KR100302589B1 (ko) 기준전압발생기의스타트업회로
JP3194136B2 (ja) 半導体メモリ素子の基板電圧発生回路
US5825698A (en) Redundancy decoding circuit for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52333B1 (ko) 파워 업 신호 발생기
KR0157885B1 (ko) 전원 공급 감지 회로
KR10062638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발진회로
US7126434B2 (en) Oscillator circuit for semiconductor device
KR0122314Y1 (ko) 파워업 검출장치
KR100258362B1 (ko) 반도체 소자의 기준전압 발생장치
KR100349356B1 (ko) 파워 온 리셋 회로
KR0146168B1 (ko) 전위 펌핑 회로
US5886550A (en) Integrated circuit built-in type supply power delay circuit
KR0167261B1 (ko) 전원공급 제어회로
KR100203868B1 (ko) 파워-온 리셋회로
KR0154192B1 (ko) 반도체 소자의 저전압 감지회로
KR100901972B1 (ko) Pofr 회로
KR101179187B1 (ko) 파워 온 리셋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
KR100806120B1 (ko)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및 내부 전원전압 발생방법
KR100825033B1 (ko) 파워업신호 발생장치
KR100279077B1 (ko) 반도체장치의승압전압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