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27Y1 - 도어 패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 패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27Y1
KR0122027Y1 KR2019950029191U KR19950029191U KR0122027Y1 KR 0122027 Y1 KR0122027 Y1 KR 0122027Y1 KR 2019950029191 U KR2019950029191 U KR 2019950029191U KR 19950029191 U KR19950029191 U KR 19950029191U KR 0122027 Y1 KR0122027 Y1 KR 0122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panel assembly
inner panel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808U (ko
Inventor
이진열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50029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027Y1/ko
Publication of KR9700168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8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그래스 런의 내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의 사이에 배설되는 도어 프레임에 다수의 드레인 홀이 형성된 도어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패널 어셈블리
제1(a) 도는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b) 도는 제1(a)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도어 인너 패널에 드레인 홀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0:도어 패널 어셈블리 12,52,52a:도어 인너 패널
14,54:도오 아우터 패널 16,56:도어 플레임
17,58:트레인 홀(drain hole)
본 고안은 도어 패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도장라인에서의 전착시 도어 인너 패널과 고어 아우터 패널 사이의 내면이 완벽하게 도장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도어 패널의 내부식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외관이 개선되는 도어 패널 어셈블리(door panel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제 1(a)도는 참조하면,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며, 제1(b) 도에는 제1(a) 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다면도를 도시한다. 도어 패널 어셈블리(50)는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을 포함한다.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의 가장자리는 서로 접합되어 용접된다.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사이의 상기 공간에는 도어 글래스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설되며, 도어 벨트부(door belt portion)의 상부에서 도어 글래스의 상하방향 이동은 도어 프레임(56)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56)은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의 냄녀에 용접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56)에는 도어 글래스 런(도시안됨)이 부착되어 외부의 소음 또는 습기가 차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패널 어셈블리(50)에 있어서는, 도어 프레임 설치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사이의 공간이 에어 포켓(air pocket)을 형성하기 때문에, 도장라인에서의 전착(electro painting)시페인트가 상기 에어 포켓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도어 인너 패널(52)과 도어 아우터 패널(54)의 내면들이 완전하게 도장될 수 없게 되어 여타부분에 비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인너 패널(52a)의 부분에 드레인 홀(58)을 형성하여 도장라인에서의 전착시 공기가 상기 드레인 홀(5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도어 프레임 설치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52a)과 도어 아우터 패널의 내면들을 완벽하게 도장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 인너 패널(52a)에 형성되는 상기 드레인 홀(58)들이 도어 인너 패널(52a)의 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도어 패널 어셈블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장라인에서의 전착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 사이의 내면이 완벽하게 도장될 수 있도곡 하므로써 도어 패널의 내부식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외관이 개선되는 도어 패널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라, 도어 패널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상기 도어 패널 어셈블리는, 도어 글래스 런의 내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의 사이에 배설되는 도어 프레임에 다수의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도장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가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써,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의 내면들이 완전하게 도장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식성이 증가되고, 상기 드레인 홀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게 되므로,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외관이 개선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어 패널 어셈블리(10)는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을 포함한다.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가장자리는 서로 접합되어 용접된다.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아 아우터 패널(14)사이의 상기 공간에는 도어 글래스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배설되고, 도어 벨트부의 상방향에서 도어 글래스의 상방향 이동은 도어 프레임(16)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16)은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내면에 용접된다.
본 고안에 따라, 상기 도어 프레임(16)에는 다수의 드레인 홀(18)이 형성되며, 도장라인에서의 전착시 상기 도어 프레임(16) 설치부에서도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는 상기 드레인 홀(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으로 페인트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인너 패널(12)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내면들이 완벽하게 도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 홀(18)이 상기 도어 프레임(16)의 내측에 형성되므로, 드레인 홀(18)은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장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가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써, 상기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의 내면들이 완전하게 도장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식성이 증가되고, 상기 드레인 홀이 외부로 드러나 보이지 않게 되므로, 도어 패널 어셈블리의 외관이 개선된다.

Claims (1)

  1. 도어 패널 어셈블리에 있어서, 도어 글래스 런의 내부에서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우터 패널의 사이에 배설되는 도어 프레임에 다수의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패너 어셈블리.
KR2019950029191U 1995-10-18 1995-10-18 도어 패널 어셈블리 KR0122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191U KR0122027Y1 (ko) 1995-10-18 1995-10-18 도어 패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191U KR0122027Y1 (ko) 1995-10-18 1995-10-18 도어 패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808U KR970016808U (ko) 1997-05-23
KR0122027Y1 true KR0122027Y1 (ko) 1998-08-01

Family

ID=194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191U KR0122027Y1 (ko) 1995-10-18 1995-10-18 도어 패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0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808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027Y1 (ko) 도어 패널 어셈블리
US6450563B2 (en) Noise shut-off device for doors of automotive vehicle
KR100199493B1 (ko) 버스 폴딩 도어의 웨더 스트립구조
KR200154503Y1 (ko) 자동차 사이드 씰 아웃터 패널의 드레인 홈
KR19980043174U (ko) 엔진 후드용 힌지 장착구조
JPS62273118A (ja) 自動車用ドアのシ−ル構造
KR100435858B1 (ko) 자동차용 도어 사이드 웨더스트립의 마운팅 구조
KR0123983Y1 (ko) 자동차용 루프 몰딩장치
KR200192382Y1 (ko) 자동차용 쿼터 인너 어퍼 센터 필러 트림의 보강구조
KR200149036Y1 (ko) 도어트림 취부용 채널
KR0132151Y1 (ko) 차량의 도어글라스 취부구조
KR980007258U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KR19990023181U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캐치장치
KR0139847Y1 (ko) 차체의 사이드 상부의 웨더스트립의 구조
KR0139427Y1 (ko) 도어 힌지의 결합구조
SU1139666A1 (ru) Кузов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
KR200151682Y1 (ko)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KR200231002Y1 (ko) 자동차의 도어프레임구조
KR0173412B1 (ko) 자동차 도어의 실링 구조
KR0139845Y1 (ko) 차체의 사이드 상부의 웨더스트립의 구조
KR19980030770U (ko) 도어트림용 채널
JPH025618B2 (ko)
KR19980045779U (ko) 사이드 쿼터 글라스 체결구조
KR19980053730A (ko) 자동차의 루프 레일 조립체
KR980007196U (ko) 자동차의 도어 아우터 찬넬 몰딩 형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