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158B1 -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158B1
KR0121158B1 KR1019930009753A KR930009753A KR0121158B1 KR 0121158 B1 KR0121158 B1 KR 0121158B1 KR 1019930009753 A KR1019930009753 A KR 1019930009753A KR 930009753 A KR930009753 A KR 930009753A KR 0121158 B1 KR0121158 B1 KR 0121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lider
circuit breaker
hand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163A (ko
Inventor
요오지 이케하타
신지 요코다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4000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70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27Interlocked hand- and power-opera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2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friction, toothed, or screw-and-nut gea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4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friction, toothed, or screw-and-nut gearing
    • H01H2003/405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friction, toothed, or screw-and-nut gearing using a walking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2071/665Power reset mechanisms the reset mechanism operating directly on the normal manual operator, e.g. electromagnet pushes manual release lever back into "ON" posi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슬라이더를 캠으로 부터 분리해 슬라이더가 캠에 구속되는 일 없이 회로차단기의 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온,오프,트립의 각 위치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여분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차단기의 핸들의 트립표시가 가능하게 되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를 제공한다.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44)와, 이 캠의 반회전마다에 걸어맞춤과 이탈을 반복하는 캠걸어맞춤부(50)(53)와 회로차단기의 핸들(38)을 삽입하는 개공부를 갖고 또 핸들의 온,오프 조작방향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슬라이더(48)로 구성되고, 또, 온,오프 조작후는 슬라이더(48)의 캠걸어맞춤부(50)(53)가 캠(44)으로 부터 이탈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1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를 우측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서 장치 커버를 떼어 놓은 온 상태의 선 Ⅲ-Ⅲ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를 좌측에서 본 부분도.
제5도는 오프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6도는 온-오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7도는 오프위치로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8도는 온 위치에서 트립했을 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9도는 리세트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10도는 제3도의 슬라이더 부분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를 밑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슬라이더를 표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리세트레버를 표시하는 도면.
제14도는 리세트레버가 회동한 제10도와 같은 도면.
제15도는 회전차단기의 조작하중 특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5를 표시하는 전동기 제어회로의 오프상태도.
제17도는 전동기 제어회로의 온상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18도는 전동기 제어회로의 오프로부터 트립한 순간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도.
제19도는 종래장치의 각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종단면도.
제21도는 동작부재 및 이동체를 표시하는 확대사시도.
제22도는 동작부재의 동작설명도.
제23도는 구동부의 제어블록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7 : 회로차단기 38 : 회로차단기의 핸들
43 : 전동기 44 : 캠
47 : 캠롤러 48 : 슬라이더
50 : 온 조작측 캠걸어맞춤부 51 : 오프 조작측 캠걸어맞춤부
52 : 개공부 53 : 리세트 레버
56 : 수동조작 샤프트 57 : 수동레버
60 : 표시판 61 : 표시창
62 : 수동조작 핸들 63 : 삽입공
65 : 캠위치검출용스위치 66 :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
이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핸들을 원격에서 조작하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9도∼제23도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 4-6727호 공보에 게재된 종래의 회로차단기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제19도는 각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0도는 단면도, 제21도는 동작부재 및 이동체를 표시하는 확대사시도, 제22도는 동작부재의 동작설명도, 제23도는 구동부의 제어블록회로도이다.
제19도(a)는 동작부재(2)의 조작부(20)를 본체(1)측에 손으로 눌러서 동작부재(2)의 구멍부(34)를 돌기(33)에 대해서 이동함으로써 조작부(20)를 핸들(4)의 걸어 맞춘 상태에서 떼어낸 상태이고, 직접 수동에 의해 핸들(4)을 조작할 수가 있고, 또, 동작부재(2)에 의해 전원스위치(25)가 오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13)가 원격신호에 의해 동작하지 않는다.
제19도(b)는 동작부재(2)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끌어 내어 동작부재(2)의 조작부(20)가 핸들(4)에 걸어 맞춰진 상태이고, 핸들(4)은 오프위치에 있고, 조작부(20)의 공간부 내에서 22도(a)의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 동작부재(2)가 전원스위치(25)로 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제23도의 제어회로에는 급전되어 있고, 구동부(13)가 동작가능해 진다.
원격온스위치(35)를 닫으면 구동부(13)의 제어회로에 핸들(4)을 온으로 하기 위한 원격신호가 입력되고, 모터(15)의 방향 R로의 회전에 의해 나사측(16) 및 종동체(21)를 통해서 이동체(17)의 돌기(33)의 방향 X로의 이동으로 인해, 구멍부(34)를 통해서 동방향으로 동작부재(2)가 이동하므로, 조작부(20)에 의해 핸들(4)을 온 위치로 조작하고, 제19도(c) 및 제22도(b)의 상태가 된다. 또, 스위치작동부(26)는 위치검출스위치(27)를 누른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15)가 역회전하고, 이동체(17)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작부재(2)도 같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스위치작동부(26)가 위치검출스위치(28)에 닿으면 정지하고, 제22도(c)의 상태가 된다(제19도(c)의 화살표).
이 때, 제22도(b)로 부터 동도(c)까지의 거리는 핸들(4)의 온 위치로 부터 트립표시위치까지의 범위이동에 같이 설정되어 있고, 또 동작부재(2)의 조작부(20)는 핸들(4)의 온 위치로 부터 트립위치까지의 거리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므로 핸들(4)의 오프방향으로는 눌리지 않는다.
여기서, 회로차단기(3)는 핸들(4)의 온 위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온이 되고, 전로에 전류를 흘릴 수가 있다. 이 전로에 관전류가 흘렀을 때, 회로차단기(3)는 트립동작하고 이 때문에 핸들(4)는 온 위치로 부터 트립표시위치로 동작하나, 핸들(4)는 조작부(20) 내를 제19도(d)의 화살표 또는 제22도(c)의 상상선과 같이 이동할 뿐이고, 동작부재(2)는 이동하지 않는다. 트립 후의 리세트는 핸들(4)을 오프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핸들(4)의 온 위치로 부터 오프위치로 조작하는 경우와 리세트의 경우, 원격오프스위치(36)를 담음으로써, 모터(15)가 방향 S로 회전하고, 종동체(21) 및 동작부재(2)가 방향 Y로 이동하고, 이 때문에, 핸들(4)이 오프방향으로 조작되어 제22도(d)의 상태가 된다. 이 때 종동체(21)는 위치검출스위치(30)에 닿아, 방향을 반전한 후 핸들(4)를 온 조작하기 전의 위치에서 스위치 작동부(26)가 위치검출스위치(29)에 닿아서 모터가 정지함으로써, 동작부재(2)가 정지하고, 제22도(a)와 같은 제22도(e)의 위치가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에서는, 회로차단기(3)의 트립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동작부는 온 위치로 부터 트립표시위치까지의 허용길이 이상의 공간부를 요하는 동시에, 온 조작후는 허용 길이와 같은 거리를 후퇴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은 조작 후, 조작부를 허용길이와 같은 거리만큼 후퇴시키기 위해 조작부의 위치제어에 정도를 요하고, 제어회로가 복잡해진다.
(2)조작부를 허용길이와 같은 거리만큼 여분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으므로, 온 오프 조작방향에 여분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이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게 된 것으로, 슬라이더를 캠으로 부터 떼어서 슬라이더가 캠에 구속되는 일 없이 회로차단기의 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온,오프 트립의 각 위치에 움직이게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여분의 슬라이더를 필요로 하지 않고, 차단기의 핸들의 트립표시가 가능한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오프로 부터 트립했을 때도, 온에서부터 트립했을 때도 오프 조작만으로 리세트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는,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에 의해 일전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과, 이 캠의 반회전마다에 걸어맞추고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하는 걸어맞춤부와 회로차단기의 회로차단기을 삽입하는 개공부를 갖고 또 상기 회로차단기의 온,오프 조작방향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슬라이더로 되어 있고, 또 온,오프 조작후는 상기 슬라이더의 캠걸어맞춤부와 상기 캠으로 부터 이탈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는, 수동조작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레버를 슬라이더에 걸어맞추게 한 것이다.
이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는, 전동기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과, 이 캠의 반회전마다 걸어맞춤과 이탈을 반복하는 캠걸어맞춤부와 회로차단기의 회로차단기를 삽입하는 개공부를 갖고 또 상기 핸들의 온,오프 조작방향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슬라이더와, 상기 전동기를 구동하는 전동기 제어회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캠의 위치검출용스위치와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검출용스위치를 3방향스위치도 구성해서 이것을 상기 전동기 제어회로에 설치한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온,오프 조작후는 슬라이더의 캠걸어맞춤부가 캠으로 부터 떨어지므로, 슬라이더가 캠에 구속되지 않고, 회로차단기의 회로차단기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온,오프,트립의 각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그래서, 이 핸들의 트립위치를 이용해서 트립표시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캠에 구속되어 있지 않은 슬라이더를 수동조작함으로, 조작중이 경감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캠의 온,오프 위치와 슬라이더의 온,오프,트립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관계에 없을 때는 전동기를 구동해서 캠을 공전시켜서 위치 보정을 하므로, 온에서 트립했을 때도 오프로 부터 트립했을 때도 외부로 부터의 오프 조작신호에 의해 리세트조작이 가능해진다.
[실시예1]
청구항 1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제15도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를 우측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서 장치커버를 떼어 놓은 온 상태의 선Ⅲ-Ⅲ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를 좌측에서 본 부분도, 제5도 오프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6도는 오프-온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7도는 오프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8도는 온 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와 같은 도면, 제9도는 리세트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3과 같은 도면, 제10도는 제3도의 슬라이더부분을 표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를 밑에서 본 도면, 제12도는 슬라이더를 표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리세트레버를 표시하는 도면, 제14도는 리세트레버가 회동한 제10도와 같은 도면, 제15도는 회로차단기의 조작하중 특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37은 회로차단기, 38은 회로차단기(37)의 핸들, 39는 회로차단기(37)에 부착대(40)에 의해 부착된 장치프레임, 41은 장치프레임(39)에 덮어서 고정한 장치커버, 42는 장치프레임(39) 내에 설치된 서포터, 43은 서포터(42) 상에 설치한 전동기, 44는 서포터(42)에 캠축(45)에 의해 지지되어 톱니바퀴부(46)를 통해서 전동기(43)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캠, 47은 캠(44)에 설치된 캠롤러, 48은 장치프레임(39) 내에 가이드로드(49)에 의해 슬라이더 가능하게 유지되어 캠(44)에 의해 핸들(38)의 온,오프 조작방향에 왕복운동되는 슬라이더로, 저마찰계수의 몰드로 형성해 두고 있다.
50,51은 슬라이더(48)에 돌설되어 캠롤러(47)가 걸어맞추고 이탈하는 온,오프 조작용 캠걸어맞춤부, 52는 슬라이더(48)에 뚫어 만든 핸들(38)의 삽입용 개공부, 53은 오프 조작측 캠걸어맞춤부(51)에 팬(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리세트레버, 55는 리세트레버(53)를 상시 가압하는 누름스프링, 56은 장치프레임(39)과, 서포터(42)로 유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동조작샤프트, 57은 수동조작샤프트(56)의 하단에 고정되어 타단롤러(58)가 슬라이더(48)의 요부(59)에 걸어맞는 수동레버, 60은 수동조작샤프트(56)의 상단에 고정되어서 오프표시(60a), 트립표시(60b), 온표시(60c)를 갖고 있는 표시판, 61은 장치커버(41)에 설치된 표시창, 62는 장치커버(4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수동조작핸들, 63은 장치커버(41)에 설치된 수동조작핸들(62)의 삽입공,64는 수동조작샤프트(56)의 상단면에 요설한 수동조작핸들(62)의 끼워맞춤구멍, 65는 캠(44)의 위치검출용스위치, 66은 슬라이더(48)의 위치검출용스위치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에 표시한 회로차단기(37)의 오프상태에서, 온 짝에 의해 전동기(43)가 구동되어 캠(44)이 화살표(67)의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또, 캠(44)의 180도 마다의 회전을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해 검출해서 전동기(43)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되어있다)되면, 그 도중에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캠롤러(47)가 온 조작부 캠걸어맞춤부(50)을 화살표(68)의 방향으로 밀게되므로, 캠(44)이 온 위치에 정지한 제3도에서는 슬라이더(48)가 핸들(38)의 온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1도∼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37)가 온 상태가 된다. 이 때 슬라이더(48)의 이동에 따라 수동레버(5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수동조작샤프트(56)의 회동에 의해 표시판(6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창(61)으로 부터 온 표시(60c)가 보인다.
제3도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37)의 온 상태에서, 오프 조작에 의해 전동기(43)가 구동되어 캠(44)이 화살표(69)의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그 도중에서 캠롤러(47)가 오프 조작측 캠걸어맞춤부(51)(실제로는 리세트레버(53))를 밀게되므로, 캠(44)이 오프위치에 정지한 제5도에서는 슬라이더(48)가 핸들(38)의 오프방향으로 이동해서 회로차단기(37)가 오프상태로 된다. 이 때, 슬라이더(48)의 이동에 따라 수동레버(5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수동조작샤프트(56)의 회동에 의해 표시판(6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표시창(61)에는 오프표시(60a)가 나온다.
제3도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37)의 온 상태, 제5도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37)의 오프상태에서는, 어느 것이나 슬라이더(48)의 캠걸어맞춤부(50),(51) 가 캠롤러(47)로 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회로차단기(37)가 트립했을 때, 슬라이더(48)는 캠(44)에 구속되지 않고 회로차단기(37)의 핸들(38)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제3도의 온 상태에서는 화살표(70)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8도에 표시하는 온 위치에서 트립했을 때의 상태가 되고, 또 제5도의 오프상태에서는 화살표(71)의 방향으로 이동해서 제7도에 표시하는 오프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가 된다. 이 때의 슬라이더(48)의 각 이동에 의해 수동레버(57)가 회동되어서 표시판(60)도 회동하고 표시창(61)에 트립표시(60b)가 나온다.
[실시예2]
제3도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37)의 온 상태에서, 수동조작핸들(62)을 삽입공(63)으로 부터 끼워맞춤구멍(64)에 끼워서 수동조작샤프트(5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수동레버(57)에 의해 슬라이더(48)가 화살표(70)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동에 의해 오프 조작될 수 있다. 또, 제5도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37)의 오프상태에서 수동조작 핸들(62)을 삽입공(63)으로 부터 끼워맞춤구멍(64)에 끼워서 수동조작샤프트(5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수동레버(57)에 의해 슬라이더(48)가 화살표(71)의 방향에 이동되어 수동에 의해 온 조작될 수 있다. 이 수동조작시에는, 슬라이더(48)가 캠(44)에 구속되지 않으므로, 회로차단기(37)의 핸들(38)만을 조작하면 되므로 수동에 의한 조작력이 대폭 경감된다.
따라서, 수동조작부의 기구가 간략화될 수 있으므로, 코스트다운을 기할 수 있다.
[실시예3]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48)의 캠걸어맞춤부(50)(51)을 온조작측과 오프조작측의 2개소로 분할해서, 대각위치에 배치해 놓으면, 온,오프 조작후의 전동기(43)의 정지위치의 허용범위(캠롤러(47)가 온조작측 캠걸어맞춤부(50)에서 떨어지고 나서 오프 조작측 캠걸어맞춤부(51)에 이르기 까지의 거리)를 넓게 잡을 수 있으므로, 전동기(43)의 정지방향에 관해서 브레이크 등이 필요치 않게 된다(마찰에 의한 자연정지로도 된다).
또, 슬라이더(48)의 캠걸어맞춤부(50)(5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조작스트로오크와 조작하중의 특성을 회로차단기(37)의 핸들(38)의 조작하중 특성에 맞는 특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소출력의 전동기(43)가 사용 가능하다.
또, 온 조작시는 핸들(38)의 온의 데드포인트를 초과할 때까지의 핸들(38)을 조작하면, 슬라이더(48)는 핸들(38)에 연동해서 온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핸들(38)의 조작스트로크가 약간 다른 것에 대해서도,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해 진다.
[실시예4]
제8도에 표시하는 회로차단기(37)의 온 위치로 부터 트립한 상태에서, 리세트 조작에 의해 전동기(43)가 구동되어서 캠(44)이 화살표(72)의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그 도중에서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캠롤러(47)가 오프조작측 캠걸어맞춤부(51)(실제로는 리세트레버 53)를 밀게 되므로, 캠(44)이 오프위치에 정지했을 때는 제5도에 표시하는 오프상태에 리세트된다.
제9도에 표시하는 리세트 도중에 캠롤러(47)가 누름스프링(55)에 반하여 회동하는 리세트레버(53)에 의해 완충되므로, 리세트조작 여유가 적은 회로차단기(37)의 리세트조작이, 부착 오차 등에 의해 조작 불가능하게 되는 염려없이 확실하게 된다.
또 리세트조작시에 잘못하여 핸들(38)을 부러뜨릴 염려가 없다. 리세트레버(53)를 핀(54)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누름스프링(55)을 약한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작은 스페이스에서 실현할 수가 있다.
[실시예5]
청구항 5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1도∼제9도, 및 제16도∼제18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 5의 구성을 상기한 실시예 1과 같으므로 실시예 1의 제1도∼제9도를 사용해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 5와 같이 캠(44)의 위치검출용스위치(65) 및 슬라이더(48)의 위치검출용스위치(66)를 설치한 경우의 동작을 제16도∼제18도에 표시하는 전동기제어회로를 사용해서 상술한다. 제16도는 회로차단기(37)의 오프상태(제5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전동기제어회로도, 제17도는 온 상태(제1도∼제4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전동기 제어회로도, 제18도는 오프로 부터 트립한 순간의 상태(제7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전동기제어회로이다.
도면에서, 73은 온 조작스위치, 74는 오프조작스위치, 75는 스위칭전원, 76은 전동기제어용릴레이, 77,78은 온 조작용릴레이, 79,80은 오프 조작용릴레이, 81은 펌핑방지용릴레이, 82는 펌핑방지용스위치, 83은 수동조작시의 안전스위치이다.
제16도의 오프상태에서 온조작스위치(73)가 페로되면, 온 조작용릴레이(77)→온 조작용릴레이(78)→전동기 제어용릴레이(76)와 각 릴레이가 순차적으로 여자되고, 전동기(43)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캠(44)이 제5도의 화살표(67)의 방향으로 회전해서 제3도에 표시하는 온 위치에서 캠 위치검출용스위치(65)가 전환되고, 온 조작용릴레이(78)의 여자전류를 차단한다. 계속해 전동기 제어용릴레이(76)의 여자전류도 차단되고, 전동기(43)를 정지한다.
온상태에서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8)에 의해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가 전환되어 있다.
제17도의 온 상태에서 오프 조작스위치(74)가 페로되면, 오프조작용릴레이(79)→오프조작용릴레이(80)→전동기제어용릴레이(76)와 각 릴레이가 순차적으로 여자되고, 전동기(43)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캠(44)이 제3도의 화살표(67)의 방향으로 회전해서 제5도에 표시하는 오프위치에서 캠 위치검출용스위치(65)가 전환되고, 오프조작용릴레이(80)의 여자전류를 차단한다. 계속해 전동기 제어용릴레이(76)의 여자전류도 차단되고, 전동기(43)를 정지한다.
온 상태에서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8)에 의해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가 전환되어 있다.
제8도에 표시한 온 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에서는, 슬라이더(48)는 회로차단기(37)의 핸들(38)의 트립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해서 제3도의 위치로 부터 제8도의 위치로 이동하나, 캠 위치검출용스위치(65) 및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은 온 때와 같은 상태이므로, 전동기 제어회로는 제17도에 표시하는 온 상태에서 오프 조작신호 대기의 상태로 대기한다.
제7도에 표시하는 오프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에서는, 슬라이더(22)가 회로차단기(37)의 핸들(38)의 트립위치로의 이동에 연동해서 제5도의 위치로 부터 제7도의 위치로 이동하고,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가 전환되므로, 제16도의 오프상태에서 온 조작용릴레이(78)가 여자되고, 계속해 전동기제어용릴레이(76)를 여자해서 전동기(43)가 회전된다. 제7도에 표시하는 오프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에서 전동기(43)에 연동해서 캠(44)이 약 반회전하게 되면, 캠위치검출용스위치(65)가 온측에서 전환되고, 온조작용릴레이(78)의 여자전류를 차단한다.
계속해서, 전동기 제어용릴레이(76)의 여자전류도 차단되고, 전동기(43)가 정지한다.
제8도에 표시하는 온위치로 부터 트립했을 때의 상태와, 도 제17도에 표시하는 온 상태와 꼭 같은 상태가 되고, 오프조작신호대기의 상태에서 대기한다.
수동조작핸들(62)에 의해 슬라이더(48)를 통해서 회로차단기(37)의 핸들(38)이 조작되면,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가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수동 온조작후, 제16도의 오프상태에서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가 도면과는 역의 방향으로 전환되므로, 온 조작용릴레이(78)→전동기제어용릴레이(76)를 여자해서 전동기(43)를 회전하고, 캠(44)이 반회전해서 캠위치검출용스위치(65)가 전환되어 전동기(43)를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7도에 표시하는 온 상태가 되어 위치보정동작(수동에 의한 온 조작에 연동해서 캠을 공전하는 것)을 완료한다.
또 수동오프조작후는, 제17도의 온 상태에서 슬라이더 위치검출용스위치(66)가 도면과는 역의 방향으로 전환되므로, 오프조작용릴레이(80)→전동기제어용릴레이(76)를 여자해서 전동기(43)를 회전하고, 캠(44)이 반회전해서 캠위치검출용스위치(65)가 전환되어 전동기(43)가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16도에 표시하는 오프상태로 되어 위치보전동작(수동에 의한 오프조작에 연동해서 캠을 공전하는 것)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더를 캠으로 부터 분리해서 슬라이더가 캠에 구속되는 일 없이 회로차단기의 핸들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온,오프,트립의 각 위치로 움직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여분의 스페이스가 필요치 않고 차단기 핸들의 트립표시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오프로 부터 트립했을 때도 온에서 트립했을 때도 오프조작만으로 리세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조작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기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과, 이 캠의 반회전마다에 걸어맞춤과 이탈을 반복하는 캠걸어맞춤부와 회로차단기의 핸들을 삽입하는 개공부를 갖고, 또 상기 핸들의 온,오프 조작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슬라이더로 되는 회로 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에 있어서, 온,오프 조작후는, 상기 슬라이더의 캠걸어맞춤부가 상기 캠으로 부터 이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조작핸들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레버를 슬라이더에 걸어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3. 전동기에 의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과, 이 캠의 반회전마다에 걸어맞춤과 이탈을 반복하는 캠걸어맞춤부와 회로차단기의 핸들을 삽입하는 개공부를 갖고 또 상기 핸들의 온,오프 조작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슬라이더와, 상기 전동기를 구동하는 전동기제어회로를 갖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의 위치검출용스위치와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검출용슬라이더를 3방향 스위치 구성으로 해서 이것을 상기 전동기 제어회로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KR1019930009753A 1992-06-02 1993-05-31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KR0121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41250 1992-06-02
JP92-141251 1992-06-02
JP14125092 1992-06-02
JP14125192 1992-06-02
JP92-105524 1993-05-06
JP10552493A JP2838956B2 (ja) 1992-06-02 1993-05-06 回路遮断器の電動操作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163A KR940006163A (ko) 1994-03-23
KR0121158B1 true KR0121158B1 (ko) 1997-11-21

Family

ID=2731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753A KR0121158B1 (ko) 1992-06-02 1993-05-31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7770A (ko)
EP (1) EP0572970B1 (ko)
JP (1) JP2838956B2 (ko)
KR (1) KR0121158B1 (ko)
DE (1) DE69307396T2 (ko)
TW (1) TW2285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1107B1 (fr) * 1995-02-28 1998-05-15 L Estang Du Rusquec Gilles De Dispositif de rearmement automatique d'un disjoncteur electrique
US5857563A (en) * 1997-12-19 1999-01-12 Cooper Industries, Inc. Actuator for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s
US6078017A (en) * 1999-03-29 2000-06-2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Adapter plate assembly for mounting a stored energy circuit breaker operator assembly
KR100325408B1 (ko) * 1999-10-26 2002-03-04 이종수 회로차단기용 접점개폐장치
FR2806524B1 (fr) * 2000-03-17 2002-06-14 Ge Power Controls France Commande motorisee pour disjoncteur
ITRM20030021A1 (it) * 2003-01-22 2004-07-23 Bticino Spa Apparecchio elettrico con interruttore comandato a distanza.
ITMI20081009A1 (it) * 2008-06-03 2009-12-04 Gewiss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interruttori
CN101436493B (zh) * 2008-12-05 2011-01-12 常熟开关制造有限公司(原常熟开关厂) 断路器辅助开关
CN101577196B (zh) * 2009-05-31 2011-06-01 麦广炜 一种小型断路器的电动控制合闸操作机构
KR101291791B1 (ko) 2011-09-05 2013-07-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기의 드라이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01029B1 (ko) * 1970-08-10 1973-11-23 Merlin Gerin
JPH0648720Y2 (ja) * 1987-06-25 1994-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の電気操作装置
FR2654254B1 (fr) * 1989-11-06 1995-11-24 Merlin Gerin Dispositif de telecommande pour disjoncteur electrique.
JP2881944B2 (ja) * 1990-04-24 1999-04-12 松下電工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電動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28597B (ko) 1994-08-21
US5387770A (en) 1995-02-07
DE69307396T2 (de) 1997-08-14
JP2838956B2 (ja) 1998-12-16
KR940006163A (ko) 1994-03-23
EP0572970A1 (en) 1993-12-08
JPH0652783A (ja) 1994-02-25
EP0572970B1 (en) 1997-01-15
DE69307396D1 (de) 199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158B1 (ko) 회로차단기의 전동조작장치
KR0185243B1 (ko) 창 또는 문의 슬리브 기어장치
US5838219A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with manual and remote actuators
US7932794B2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a high or medium voltage disconnector having such an actuator
US5323131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motor operator
US6972538B2 (en) Device for control of an electric motor driving a moving object
US20040112722A1 (en) Electric switch with a drive shaft and a blocking mechanism for blocking actuation of the drive shaft
KR910002726Y1 (ko) 회로차단기의 전기조작장치
DE4137779A1 (de) Motorantrieb fuer schaltgeraete, wie leistungsschalter oder schutzschalter, mit kipphebelbetaetigung
KR100968918B1 (ko) 개폐기용 조작기
EP0798473A2 (en) Linear actuator provided with limit microswitches having a very simple adjustment
JP2830625B2 (ja) 回路遮断器の電動操作装置
KR101258534B1 (ko) 회로 차단기의 부속 장치
DE69920793T2 (de) Hilfseinhei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anpassbar für einen Leistungschutzschalter
EP0911542B1 (en) Linear actuator with manual or motor drive
DE1807660B2 (de) Schrittantrieb
JPH0612964A (ja) サーマルリレー用手動制御装置
CN216250521U (zh) 固化操作顺序的隔离操动机构
KR950009404Y1 (ko) 가스밸브 개폐장치의 수동개폐구조
CN214956688U (zh) 一种可远程控制的断路器
CN214956687U (zh) 一种断路器
JP2575377Y2 (ja) 回路遮断器の操作装置
CN113921325A (zh) 固化操作顺序的隔离操动机构
CN115148547A (zh) 一种可远程控制的断路器
DE1807660C (de) Schrittantri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